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교과목(병리학) 개요 I. 총 론 II. 각 론 1. 세포손상과 적응 2. 염증과 수복 3. 순환장애 4. 면역계질환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교과목(병리학) 개요 I. 총 론 II. 각 론 1. 세포손상과 적응 2. 염증과 수복 3. 순환장애 4. 면역계질환"— Presentation transcript:

1 교과목(병리학) 개요 I. 총 론 II. 각 론 1. 세포손상과 적응 2. 염증과 수복 3. 순환장애 4. 면역계질환
5. 종양 6. 유전질환 7. 감염질환 II. 각 론 1. 순환기계 2. 소화기계 3. 호흡기계 4. 비뇨기계 5. 남,녀 생식기계 등

2 01. 개요 1. 병리학 개요 1) 병리학의 정의 생체내에서 발생하는 각종 질병의 원인 및 기전과 그 결과로 인하여 변형된 병
적인 형태 구조를 분석하고 종합하여 질병을 이해하고 연구하는 학문(병의 理 致를 연구하는 학문) 2) 질병의 성립 과정 제 1단계-- 병인이 숙주에게 침입(병인) 제 2단계-- 병인에 대한 숙주의 반응(발병기전) 제 3단계-- 질병의 성립으로 인한 형태학적 변화(임상증상) 제 4단계-- 합병증과 후유증

3 2. 세포의 구조 * 핵 - 염색질 - 핵소체 * 세포질 - 미토콘드리아 - 내형질세망 - 골지장치 - 리소솜 * 세포막

4 02. 세포손상과 적응 1. 세포손상 1) 세포손상의 정의 * 세포손상(cell injury): 비정상적인 자극으로 세포의 형태, 기능이 변한 상태 (=계속되거나 한계를 넘어선 자극으로 적응이 불가능한 상태) * 항상성 안정상태: 정상세포가 스스로 감당할 수 있는 범위내의 자극에 대해 서 부응할 수 있는 상태 2) 세포손상의 원인 (1) 저산소증 (2) 감염성 인자 (3) 물리적 인자 (4) 화학적 인자 (5) 유전적 인자 (6) 비정상적 면역반응 (7) 영양 불균형 * 세포손상의 종류– 가역적 비가역적

5 3) 가역적 세포손상 자극이 약하고 짧아 자극이 없어지면 세포가 다시 안정상태로 돌아오는 경우 (변성,degeneration) (1) 세포종창 * 정의-- 세포내에 수분(체액)이 축적되는 것 * 형태학적 변화-- 장기의 부피와 무게증가, 세포(大), 창백(투명) * 출현— liver, kidney(근위곡세뇨관) * 종류-- 수성변성(hydropic degeneration) 공포변성(vacuolar degeneration) (2) 지방변화 * 정의— 세포내에 지방(중성지방, TG)이 축적되는 것 * 원인— 저산소증, 각종독소 * 형태학적 변화-- bright yellow, 공포→ cyst * 출현— liver(지방간), kidney, heart(저산소증)

6

7 4) 비가역적 세포손상 자극이 강하고 지속되어 자극이 없어져도 기능이 정지되어 원상태로 돌아오지 못하는 경우 (괴사,necrosis) (1) 괴사 * 정의— 살아있는 개체 내에서의 세포 또는 조직의 붕괴나 융해 ① 세포질의 변화 단백질 변성. 호산성 세포질, vacuolization. calcification, 세포막 파괴 ② 핵의 변화 karyopyknosis→ karyorrhexis→ karyolysis (2) 괴사의 종류 ① 응고괴사 원인-- 허혈(혈액공급의 부족), 조직의 단백질 변성(응고) 출현-- heart, kidney(빈혈성 경색) 특징-- 균질화, hard, 건조

8 ② 액화괴사 원인-- 단백분해효소에 의한 자가 융해 출현— brain(뇌연화), abscess(세균감염) 특징— 낭성구조(cyst-like material, lacune) ③ 건락괴사 특징-- 세포모양 파괴(무구조), soft. 회백색 부스러기(cheese 같은 물질) 출현-- 결핵병변 부위 ④ 지방괴사 지방조직의 괴사를 뜻하며 효소성과 비효소성(외상성)으로 나눔 *효소 지방괴사: 지방분해 효소(lipase) 작용. acute pancreatic necrosis, 괴사→ 지방산 유리→ 칼슘침착→ 석회화된 비누거품 모양(비누화. 백색) *비효소 지방괴사: 외상성 지방괴사. breast adipose tissue ⑤ 섬유소성괴사 혈관파괴로 인한 괴사성 혈관염 유발— 섬유소 침착(피브리노이드 괴사) 원인— 혈관에 면역복합체 침착

9 ⑥ 괴저성괴사 원인-- 혈액공급 차단, 세균감염 종류: a) 건성괴저(dry gangrene)-- 응고괴사 우세, U
⑥ 괴저성괴사 원인-- 혈액공급 차단, 세균감염 종류: a) 건성괴저(dry gangrene)-- 응고괴사 우세, U. Cord, mumification b) 습성괴저(wet gangrene)-- 액화괴사 우세 c) 가스괴저(gas gangrene)-- 부패균 감염, 악취, 괴저성 충수염 (3) 세포자멸사 정의— 정상적인 세포의 소실 및 재생과정에서 발생(계획된 세포사) 과정— 핵 염색질 농축→ 핵과 세포질 분절→ 작은 구조물로 단편화→ 탐식

10

11 5) 세포내 물질축적 (1) 지방의 축적 지방변성, 중성지방침착
5) 세포내 물질축적 (1) 지방의 축적 지방변성, 중성지방침착. 간, 심장, 췌장 (2) 단백질의 축적 출현: 근위곡세뇨관(콩팥), 형질세포내 형태: 소적, Russel bodies(형질세포내 Ig 축적) 질환: 단백뇨, Uremia, Gout (3) 글리코겐(당원)의 축적 질환 및 원인: ① Diabetes Mellitus(D.M)-- 포도당이나 당원 대사이상 → 당원 축적 ② Glycogen storage disease-- 당원 분해효소 결핍 → 당원축적 (4) 복합지질 및 탄수화물의 축적 ① 선천선 대사이상-- 지질과 탄수화물의 대사이상 ② Mucopolysaccharidosis ③ 고셔병 ④ 테이-삭스병 ⑤ 니만 피크병

12

13

14 <용해소체축적병> 상염색체 열성유전질환 용해소체내에 효소결핍으로 지방대사가 장애→ 지방이 세포에 축적 * Mucopolysaccharidosis(MPSs) 원인: 점액다당류 분해용 용해효소(α-L-iduronidase, Isuronate α-sulfatase, N-sulfatase 등) 결핍→ 점액다당류 증가(lysosome에 축적) * Gaucher's disease 원인: 골수 내 대식세포 내 glucocerebrosidase 결핍 결과: 지라증대 진단: Gaucher's cell-- PAS(+), Acid phosphatase(+), SBB(+) * Tay-Sachs disease 원인: Hexosaminidase A 결핍→ spingophospholipidosis(neuron에 축적) -- 중추신경계 병리 * Niemann-Pick disease 원인: spingomyelinase 결핍→ spingophospholipid가 뇌에 축적 진단: Niemann-Pick cell-- 세포질(거품모양- 지방방울축적), 핵(불분명)

15 외인성 색소침착 (1) Anthracosis(탄분증)-- 대기중의 탄소를 탐식한 폐 질환
* 외인성 색소침착 (1) Anthracosis(탄분증)-- 대기중의 탄소를 탐식한 폐 질환. (2) Pnmonoconiosis(진폐증) (3) Tatooing(문신) (4) Silicosis(규폐증) * 내인성색소침착 (1) 갈색색소(Lipofusin): 노화색소(갈색위축) (2) 멜라닌: 분포-- skin, breast, hair, 망막, 중추신경계, 임산부 기미(뇌하수체 전엽기능 항진). Mongolian spot, 점(색소성 모반-- 하등동물 모근의 흔적) Addison disease: 멜라닌 합성증가로 피부에 침착. 부신피질 부전증 환자 cf. Albinism (3) 빌리루빈: 적혈구 파괴→ 혈색소 분해로 생성→ Jaundice(hemolytic, obstructive, hepatocellular)

16

17 2. 세포적응 세포손상을 피하기 위해 세포가 변화하는 것 세포적응: * Physiologic--- * Pathologic
* 세포의 크기 변화-- 위축, 비대 * 세포의 수적 변화-- 퇴축, 과형성 * 세포 분화이상-- 화생, 이형성증 1) 위축 정의: 세포의 크기 감소→ 조직과 기관 수축 원인: ① Disuse(작업량 감소)-- 기능 상실, 휴식상태 ex) 수유중지 후, gips ② 혈액공급 감소(ischemic, pressure) ex) 뇌 동맥경화증, Bedsore(decubitus) ③ 영양상태 불량-- 영양 불균형 ④ 신경자극 소실 ex) 안면근육 편마비, poliomyelitis ⑤ 노화(노인성)-- 뼈, 피부 생리적-- Thymus. ⑥ 물리,화학적 자극-- X선조사 ex) 정소, 난소, 고환 ⑦ 내분비 기능 저하-- Menopause후, 성선위축

18 2) 비대 정의: 세포의 크기(용적) 증가(세포 수는 무관)→ 조직이나 장기의 크기가 증가 (1) 생리적 비대 ① 호르몬 자극의 증가--사춘기 성기 비대, 임신시 자궁근 세포(8배), 수유기의 젖샘 ② 소아편도 비대: 단순비대 및 alleggy비대. 편식하는 소아→ 염증유발 ③ 단순성 비대: 근육노동자의 골격근 비대 ④ 대상성 비대: 좌우 대칭 장기(신장) (2) 병적 비대 고혈압증→ 좌심실 근육비대. 심장판막증→ 심장비대. 전립샘 이상→ 방광근육 비대(양상방광. 대들보 모양)

19

20 3) 과형성 정의: 분열능력이 있는 조직이나 장기를 구성하는 있는 세포의 수가 증가 하는 것(수적증가) 상피세포로 구성된 장기-- 비대와 과형성은 동시에 발생 4) 화생 정의: 한 가지 유형의 성숙한 세포가 다른 유형의 새로운 세포로 전환(즉, 자극 에 잘 견디기 위해 대치되는 것 분류: ① 편평상피 화생-- columnar→ stratified squamous epi. 분포: bronchus, endocervix ② 장상피 화생-- 위 피복상피→ 소장형의 상피 5) 이형성 정의: 세포가 증식하면서 형태, 크기, 배열등이 무질서하게 되는 상태 출현: 자궁경부. 피부

21


Download ppt "교과목(병리학) 개요 I. 총 론 II. 각 론 1. 세포손상과 적응 2. 염증과 수복 3. 순환장애 4. 면역계질환"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