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Stump의 위치부류 이론 (Stump 1992, 1993, 1997) 한국어 형태론 발제 2016. 3. 30. 허인영.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Stump의 위치부류 이론 (Stump 1992, 1993, 1997) 한국어 형태론 발제 2016. 3. 30. 허인영."— Presentation transcript:

1 Stump의 위치부류 이론 (Stump 1992, 1993, 1997) 한국어 형태론 발제 허인영

2 위치부류란? (박진호 2016) 오래 전부터 position class, template morphology, slot-filler morphology 등으로 불려 온 현상이 있음. 주로 동사 형태법(verbal morphology)이나 명사 형태법(nominal morphology)에서 동사/명사 어근/어간의 앞이나 뒤에 일정한 순서로 배열된 자리(position, slot)들이 있고 각 자리를 채워 줄 수 있는 요소가 있는데 같은 자리에 속한 요소들끼리는 상호 배타적이고 (공기 불가, 계열관계) 서로 다른 자리에 속한 요소들끼리는 공기 가능하나 항상 일정한 순서로만 공기할 수 있음.

3 굴절 접사에 대한 위치부류 제한의 이론적 지위 (YoM 1991)
굴절 접사에 대한 위치부류 제한의 이론적 지위에 대한 두 가지 설명 패러다임 함수 접근법(paradigm function approach) 굴절 접사를 형태통사적 자질 명세를 실현하는 작용에 의해 남겨진 특징적 표시(mark)로 봄. 따라서 접사에 대한 위치부류 제한은 접사를 도입하는 작용의 상대적 배열에 대한 제한으로 간주됨. 형태어휘 규칙 - 패러다임 함수 - 형태어휘 함수 - 패러다임 함수 도식 하위범주화 접근법(subcategorization approach) 접사를 어간 및 단어와 같은 어휘적 지위를 갖는 것으로 봄. 따라서 접사에 대한 위치부류 제한은 형태론적 구조 속으로 그 접사를 어휘적으로 삽입하는 것에 대한 하위범주화 제약으로 간주됨.

4 굴절 접사에 대한 위치부류 제한의 이론적 지위 (YoM 1991)
굴절 형태론에 대한 패러다임 함수 접근법의 네 가지 장점 같은 위치부류의 경쟁하는 구성원들의 분포가 기정(default)과 기각(override)의 측면에서 경제적으로 기술될 수 있도록 함. y의 경쟁자 중 하나의 출현이 실제로 x의 존재를 함의한다면, 어떤 접사 y의 출현이 다른 접사 x의 존재나 부재와 양립가능할 수 있다는 사실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제공함. 특히, 이것은 이 사실이 문제가 되는 접사의 형태통사적 자질의 직접적인 결과로 취급되도록 함.

5 굴절 접사에 대한 위치부류 제한의 이론적 지위 (YoM 1991)
굴절 형태론에 대한 패러다임 함수 접근법의 네 가지 장점 어떤 슬롯에서 접사의 부재 자체가 어떤 형태통사적 자질 명세의 구현체일 수 있다는 개념을 쉽게 수용함.

6 굴절 접사에 대한 위치부류 제한의 이론적 지위 (YoM 1991)
굴절 형태론에 대한 패러다임 함수 접근법의 네 가지 장점 접사 위치부류의 전통적인 개념이 매우 단순한 측면으로, 즉 같은 형태어휘 함수로 도입된 접사들의 부류로 재구성되도록 함. (42)는 단일한 기정 형태어휘 규칙으로 설명될 수 있음.

7 위치부류와 형태 이론 (YoM 1992) 두 가지 PS 접근법: 하위범주화 접근법과 순수한 PS 접근법
연쇄적 형태론에 적용되는 규칙과 표상이 구적 형태론의 그것과 유사함. 다시쓰기 규칙, 어근 어간 접사가 어휘부에 자율적인 항목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됨.

8 위치부류와 형태 이론 (YoM 1992) 두 가지 실현적 접근법: 선조 배치 접근법과 패러다임 함수 접근법
접사첨가 과정이 어근과 연결된 형태통사적 자질 명세의 집합을 실현하는 데 적용되는 연쇄를, 굴절 접사의 배열이 반영함. 선조 배치 접근법: 같은 위치부류에 속한 굴절 접사들은 이접적으로 배치된 규칙의 단일한 블록으로 도입됨. 따라서 굴절 접사의 배치는 상이한 규칙 블럭의 고정된 선조적 배열을 반영함. 패러다임 함수 접근법: 굴절 규칙이 적용되는 순서는 패러다임 함수로 불리는 특수한 규칙의 체계로 규정됨. 이러한 종류의 체계에서, 주어진 형식이 굴절되는 규칙 적용의 연쇄는 원칙적으로 그 형식과 연결된 자질 내용에 따라 다양할 수 있음.

9 위치부류와 형태 이론 (YoM 1992) - ambifixal 위치부류 -
(13) 같은 위치부류의 구성원에 대한 전통적인 가정 ㄱ. 상보적 분포(주어진 형식에서 하나의 출현이 다른 것들의 출현을 배제함)를 보임. ㄴ. 같은 단어의 다른 접사들에 대해 같은 계층적 관계를 대신함. ㄷ. 같은 단어의 다른 접사들에 대해 같은 선조적 순서로 나타남. (14) 같은 위치부류의 구성원들이 같은 형태통사적 자질(들)의 대안적인 명세를 실현함. 같은 위치부류에 속한 접사들은 (13, 14)의 모든 속성을 빈번하게 보이지만 (14)가 사실은 그러한 접사들의 필수적 속성은 아니라는 것이 잘 알려져 있음. 덜 알려진 것은 (13ㄷ) 속성 또한 사실은 불필요하다는 것임. 같은 형태어휘 함수의 정의에 참여하며, 따라서 굴절 작동의 연쇄에서 같은 위치와 연결되는 상이한 형태어휘 규칙들-일부는 접두사, 일부는 접미사-을 허용하는 것으로 설명함.

10 위치부류와 형태 이론 (YoM 1992) 이 현상을 설명하려면 위치부류의 개념이 접사의 선조적 배치와 무관하게 정의된다고 상정할 필요가 있음.

11 중세한국어 否定 동사구의 위치부류적 기술 (박진호 2016)
N + V: 부정소 + 동사 V + N: 동사 + 부정소 N: 아니, 몯 (ambifixal 위치부류) N 위치에 오는 ‘아니‘, ‘몯’의 단어부류 지위(품사)는 부사 N이 V 앞에 올 때는 별도의 부가 조치 불필요. N이 V 뒤에 올 때는 V에 ‘-디‘를 붙이고 N 뒤에 dummy verb ‘-’를 넣는 등의 부가 조치 필요.

12 위치부류와 형태 이론 (YoM 1992) - parallel 위치부류 -
각각 슬롯 IV와 I로 서로 구별되는 위치부류를 형성하고 있으나, 이들 부류의 접사들 간에 형식과 내용의 상당한 유사성이 있음. 실현적인 측면에서, 두 작용이 채우는 슬롯은 다르지만 자질 명세 [AGR(su):α] 실현에 의한 형식적 작용은 거의 모든 경우에 자질 명세 [AGR(ob):α] 실현에 의한 것과 일치한다고 할 수 있음. 두 가지 구별되는 형태어휘 함수의 정의에 참여하며, 따라서 굴절 작동의 연쇄에서 두 가지 구별되는 위치와 연결되는 같은 형태 어휘규칙을 허용하는 것으로 설명함.

13 위치부류와 형태 이론 (YoM 1992) - portmanteau 위치부류 -
접사의 연쇄가 예상되는 자리에 나타나는 개별 접사들이 구성원인 부류. portmanteau 형태어휘 함수의 정의에서 둘 이상의 형태어휘 함수의 합성물과 경쟁하는 portmanteau 형태어휘 규칙을 허용하는 것으로 설명함.

14 한국어 동사 형태법에서의 portmanteau 위치부류 (박진호 2016)
주절 어간 + p1 + p2 + p3 + p4 + p5 + p6 + p7 + p8 + p9 p1: 옵/사옵/사오/오 p2: 시 p3: 었 p4: 겠 p5: 습 p6: 더, 느 p6~7: 니, 디 p7: 이 *역사적으로도 ‘니‘는 ‘느이’, ‘디’는 ‘더이‘의 융합 p8: 다, 까, 냐 p9: 요, 마는

15 위치부류와 형태 이론 (YoM 1992) - reversible 위치부류 -
한 형식의 집합에서는 위치부류 A의 구성원이 위치부류 B의 구성원에 선행하지만, 상보적인 형식의 집합에서는 부류 B의 구성원이 부류 A의 구성원에 선행함(형태(소) 전위로 불리기도 함). 같은 두 가지 형태어휘 함수의 대안적인 배치를 인허하는 패러다임 함수 도식의 정의에서 서로 다른 절들을 허용하는 것으로 설명함. a. b.

16 한국어 명사/동사 형태법에서의 reversible 위치부류 (박진호 2016)
도구격 조사 ‘-로‘는 p1, [한정, 단독, only]의 ‘-만’은 p3이나, ‘-로만‘의 순서뿐 아니라 ‘-만으로‘의 순서도 가능 ‘-로만‘이 현대 한국어의 전반적인 공시적 질서에 부합되는 순서이고 ‘-만으로’는 이전 시기에 ‘-만‘의 명사로서의 지위를 반영하는 흔적 중세 한국어: ‘-더시-’ ~ ‘-시더-’; ‘-거시-’, ‘-시거-’ 통시적 변화의 과도기에서 구형과 신형의 공존 ‘-옵시-’ ~ ‘-시옵-’; ‘-오시-’ ~ ‘-시오-’ ‘-옵/오-’의 기능 변화에 따른 순서 관계의 변화를 반영

17 위치부류와 형태 이론 (YoM 1992) 패러다임 함수 접근법에서는 접사의 접두사 또는 접미사 지위가 단어 구조에서의 계층적 위치와 분리되어 명세됨. 이러한 형태어휘 규칙과 패러다임 함수의 분리는 위치부류 현상의 모든 범위를 설명함. 방법론적 함의 단어 구조가 근본적으로 구 구조와 같은 원리에 의해 정해진다는 기존의 이론과 달리, 확장된 WP 이론은 지지자들은 굴절 형태론의 규칙이 형태론적 규칙과 비슷하고 심지어 문법의 음운부에 속할 수도 있다고 주장함. 그러나 이 두 가지 개념은 모두 잘못이고, 문법의 형태부는 최근 생성 이론에서 상정되어 왔던 것보다 높은 층위의 자율성을 지니고 있음. 형태어휘 규칙과 패러다임 함수 간의 구별은 통사론과 음운론의 영역에서 유사성을 갖지 않음. 이러한 유사성은 결여는 형태론적 구조가 통사 구조나 음운 구조 영역에는 정확한 유사체를 갖지 않는 개념인 패러다임에 속한다는 사실에 기인함.

18 형판 형태론과 굴절 형태론 (YoM 1996) 형태론이 근본적으로 다른 두 가지 유형일 가능성 (layered morphology v. template morphology) (1) 형판 형태론과 다층 형태론의 구별은 어떻게 굴절 형태론과 파생 형태론의 구별과 관련되는가? 형판적 파생과 다층적 파생 간의 구별은 존재할 수 있지만, Simpson & Withgott(1986)의 기준의 유효성을 상정한다면 사실상 모든 굴절은 형판적으로 간주되어야만 함. (2) 형태론의 타당한 이론에서 받아들여야 하는 형판은 어떤 형식인가? 형태론의 형식적 이론에서 형판적 제약은 형판으로 표상되는 대신에 패러다임 함수 도식의 형식을 취해야 함.

19 형판 형태론과 굴절 형태론 (YoM 1996) 유의미한 부재와 다중결정성은 굴절 형태론의 일반적 속성이며, 만일 다중 논항의 부호화와 면제가 정말로 형판 형태론과 다층 형태론을 구별한다면 그것들은 필요 조건이라기보다는 충분 조건임. 이러한 사실을 고려하면 굴절 형태론은 내재적으로 형판적임. 이러한 결론은 주변성 제약의 유효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함. 형판 형태론의 체계는 단어의 형태론적 표시를 도입하는 개별 규칙들의 수, 정체성, 상대적 영역이 분리된 규칙으로 규정되는 것임 - 형판이 아니라, 패러다임 함수 도식임. 평판 성분 구조는 형판 형태론의 필수적인 속성이 아님. 형태론에서 성분 구조의 개념은 잉여적임. 여러 가지 근거로, 굴절 형판에 대한 패러다임 함수 접근법은 기능적 핵 접근법보다 선호됨.


Download ppt "Stump의 위치부류 이론 (Stump 1992, 1993, 1997) 한국어 형태론 발제 2016. 3. 30. 허인영."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