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젖소의 개량 천안연암대학 정흥우 안녕하십니까 방금 소개받은 젖소개량부 조주현 입니다.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젖소의 개량 천안연암대학 정흥우 안녕하십니까 방금 소개받은 젖소개량부 조주현 입니다."— Presentation transcript:

1 젖소의 개량 천안연암대학 정흥우 안녕하십니까 방금 소개받은 젖소개량부 조주현 입니다.
지금부터 2006년도 후대검정 사업에 대하여 보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 1. 젖소의 경제형질 1. 번식능률 : 분만간격, 수태당 종부회수 등 2. 산유량(kg) 3. 유지율(%) 및 유지방량(kg) 4. 유단백질율(%) 및 유단백량(kg) 5. 무지고형분율(%) 및 무지고형분량(kg) 6. 생산수명 7. 체형과 외모

3 2.젖소 주요경제형질의 유전력 형질 유전력(%) 비유량(kg) 20 ~ 30 유지율(%) 50 ~ 60 단백율(%)
45 ~ 55 유지방량(kg) 유단백량(kg) 사료효율 30 ~ 40 생산수명 0 ~ 10 번식능률 체형평점 15 ~ 30

4 젖소의 개량 목표 구분(단위) 2005 2010 2015 연간 개량량 산유량(kg) 8,142 8,510 8,740 59.8
유지방량(kg) 309 323 330 2.1 유지율(%) 3.80 0.0 단백질량(kg) 252 268 280 2.8 단백질율(%) 3.10 3.15 3.20 0.01 무지고형분량(kg) 700 736 760 6.0 무지고형분율(%) 8.6 8.65 8.70 최종점수(점) 75 76 77 0.2 표준화유방점수(점) 51.5 52.5 53.5

5 3. 체형과 외모에 근거한 유우의 선발 유우에 대한 외모심사 평점의 반복력 - 젖소의 체형 : 쐐기형
구분 반복력 구61분 목과 머리 어깨와 가슴 몸통과 허리 궁둥이와 넓적다리 다리 34 42 48 61 41 유방의 모양과 크기 유두∙유정맥∙유방의 자질 일반적 자질 품종의 특징 최종 등급 37 43 50 56 - 젖소의 체형 : 쐐기형 - 육우의 체형 : 장방형 외모심사 평점의 유전력은 낮다. 체척측정치와 비유량간의 상관은 낮다 체형과 외모에만 근거한 선발은 바람직하지 않다. 종축의 경우 : 유생산과 체형의 상대적 경제가치 4 : 1 실용축의 경우 : 유생산과 체형의 상대적 경제가치 5~6 : 1

6 4. 유우의 개량에 혈통선발의 이용 선조의 능력에에 근거한여 종축으로서의 가치 판단 후대검정과 반대되는 선발방법
주로 양친의 능력을 혈통선발에 이용 조부모의 능력도 함께 참고 혈통선발은 후보종축의 선발에 이용

7 젖소개량의 향후 과제 향후 관심대상 형질(검정조사의 강화, 추가연구 필요) 장수성 (생산수명)
번식효율성(수태율, 초산월령, 분만난이, 유사산) 비유지속성 유단백, 고형분 관리의 용이성(착유 속도, 착유 기질) 두번째는 육종농가 사업과 연계하여 추진할 고능력 수정란 도입 사업 입니다. 개요는 다음과 같습니다. 선진국이 보유한 씨암소중 유전능력이 월등하고 우리나라 장기 개량목표에 적합한 고능력 씨암소와 우수 정액을 이용하여 수정란을 현지 생산하고 이를 도입하여 우리나라 청정우군에 이식함으로써 우수한 후보 씨수소를 생산하고, 후대검정 하여 보증씨수소를 선발하는 것 입니다. 도입물량은 매년 200두 분량이며, 수정란 이식은 청정우군을 보유하고 있는 기관이나 농가를 활용할 예정이나, 장기적으로는 육종농가를 주로 활용할 예정입니다. 또한 수정란으로 생산된 암소는 유전평가 후 씨암소로 재활용하거나, 수정란 이식등을 통하여 우량우군 확산에 활용될 예정 입니다. 사업추진은 올해부터 추진할 예정이며, 수정란 도입국은 국내 방역법상 도입이 가능한 국가부터 추진할 예정입니다.

8 5. 유우의 산유능력 검정 표준산유기간 : 305일 검정기간은 분만 후 제6일부터 10개월간(305일) 1일 2회 착유
성년형 유량

9 검정간격을 고려한 생산량 추정 CDM법(centering Date Method)
1 개월간격으로 월 검정을 10회 실시한 후 월 검정성적 누계에 30.5를 곱하여 산유량을 추정하는 방법 TIM법(Test Interval Method) 전 비유기간을 매검정일의 검정간격으로 나누고 각 검정간격의 생산량을 이전 검정성적과 금번 검정성적을 함께 이용하여 산출한 후 이들을 누계하여 산유량을 추정하는 방법

10 CDM법과 TIM에 의한 검정간격의 산출방법 비교
검정차수 비유일수 (DIM) (일) 검정일 성적(Pn) 검정간격(LI) (Pn-1+Pn)/2 유량 유지량 (kg) 유지율 (%) CDM TIM 1 2 3 4 5 6 7 8 9 10 종료 40 68 99 129 160 190 221 252 282 305 14.8 25.0 27.2 25.8 23.6 23.0 21.4 20.6 18.8 18.0 3.9 3.6 3.4 3.5 3.7 3.8 0.58 0.90 0.92 0.88 0.83 0.81 0.77 0.76 0.70 0.68 31 28 30 23 (14.8) 19.9 26.1 26.5 24.7 23.3 22.2 21.0 19.7 18.4 (18.0) (0.58) 0.74 0.91 0.86 0.82 0.79 0.73 0.69 (0.68) 451.4 762.5 829.6 786.9 719.8 701.5 652.7 628.3 573.4 549.0 - 133.2 622.0 731.9 820.8 739.9 722.0 665.2 650.6 609.8 551.6 414.0 17.7 27.5 28.1 26.8 25.3 23.5 23.2 20.7 5.2 23.1 25.5 27.9 25.6 25.4 23.7 22.6 15.6 합계 6655 6661 238.9 239.0 CDM = 검정일 유량 X 30.5 TIM = (Pn-1+Pn)/2 X (LI -1) + Pn

11 유지보정유량 유지율이 다른 젖소들의 산유 능력 비교 4% FCM = 0.4M + 15F
FCM = Fat Corrected Milk(유지보정유량) M = 산유량 F = 유지량

12 추정생산능력 및 육종가

13 유우군 능력검정 사업 개요 목 적 사업내용 사업현황 우수유전자원 발굴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유전평가)
검정자료를 활용한 컨설팅으로 낙농가 경영개선 사업내용 검정원 월1회 목장 방문 자료수집 및 우유샘플채취 조사항목 : 생산(유량,유조성분), 번식,사양,경영 데이타베이스 축적 및 조사자료 가공을 통해 농가서비스 사업현황 참여규모 : 3,701호 / 146천두 (검정참여율 60%) 검정소현황 : 30개소 / 228 명 1두당 검정소요비용 : 67천원 /년 누적자료 : 5천만건

14 유우군 검정사업 체계 농협중앙회 젖소개량사업소 검정농가방문 (생산량 및 번식, 사양 기록, 우유 Sample 채취)
검 정 원(228명) 국가기관 (축산과학원) 사업보고 - 유전능력평가 종축선발 종합우군 성적표 세부지도자료 최적종모우 선정 농가번식일람표 사양관리 점검 기술분석 및 지도 체세포수 일람표 농협중앙회 젖소개량사업소 - 검정성적표 우송 검정성적 인터넷서비스 검정성적 휴대폰서비스 전국 검정조합(31개소) 전산입력 체세포분석 유성분분석

15 유우군 후대검정 사업 개요 목 적 국내 환경에 적합한 우수 유전자원 판별 한국형 보증씨수소 선발 사업내용
후보씨수소 생산 : 년 20 ~ 50두 후대검정 : 후보씨수소의 유전적 능력 평가 보증씨수소 선발 : 년 2 ~ 10두 축산과학원(젖소분과위)에서 선발 결정 사업현황 보증씨수소 선발 두수(누계) : 32두

16 보증씨수소 선발 절차

17 젖소 종모우 선발의 중요성 개량기여도(100%) 아비소 선발 (43%) 종모우 (76%) 어미소 선발 (33%) (16%)
종빈우 (24%) (16%) (8%)

18 6. 젖소의 교배법 (1) 동일품종내 이계교배 (2)근친교배 ① 유전적 효과 ② 문제점 - 후구마비, 관절강직, 태아의 미이라 변성, 사산, 송아지 사망률 상승, 수태당종부회수 증가, 비유량 및 유지생산량 감소

19 ③ 근친교배 방지 방안 ㄱ. 암소의 교배시 혈연관계가 먼 종모우나 종모우의 정액 사용 ㄴ
③ 근친교배 방지 방안 ㄱ. 암소의 교배시 혈연관계가 먼 종모우나 종모우의 정액 사용 ㄴ. 교배에 이용되는 종모우의 수를 충분히 확보 ㄷ. 지역간 종모우 교환 이용 ㄹ. 특정지역 또는 특정목장에서 이용하는 종모우는 상호혈연관계가 먼 것을 이용

20 (4) 품종간교배 - 잡종교배시 약간의 잡종강세 현상 발현 - 잡종은 양친의 평균보다는 우수 - 잡종은 우수한 순종의 능력 보다는 불량

21 (5) 계획교배 방법 ① 보유하고 있는 축군에 대한 철저한 분석 ② 축군에 대한 개량 목표 설정 ③ 종모우에 대한 자료 수집 ④ 종모우 선택 요령 - 근친교배 지양 - 중점 개량 형질을 고려하여 종모우 선정 - 젖소 종모우 총괄표를 활용

22

23 7. 종모우 평가 (1) 육종가 : 어떤 가축의 종축으로서의 가치 또눈 어떤 개체가 지닌 유전자들의 평균효과의 총합 1) 개체자신의 능력을 이용한 육종가 추정 개체 A의 육종가 = 유전력 X (개체 A의 능력 – 집단의 평균) 2) 자손의 능력을 이용한 육종가 추정 개체 B의 육종가 = 유전력 X 2 X (개체 B 자손의 능력 – 집단의 평균) (2) 전달능력 : 특정 개체가 지닌 유전자의 반만이 자손에게 전달되므로 이를 전달능력이라 하며, 전달능력은 육종가의 ½이다. 개체 C의 전달능력 = ½ X 개체 C의 육종가

24 (3) 최적선형불편예측법(BLUP, Best Linear Unbiased Prediction) - 최적(Best):참 육종가(a)와 추정 육종가(a hat)간의 상관을 최대화하 거나 예측오차분산인 var(a-a hat)의 최소화 의미 - 선형(Linear) : 예측량이 관측치의 선형함수 - 불편(Unbiased):임의 변량에 대한 실현값의 추정 및 고정효과의 추정가능함수의 추정이 불편(E(a|a hat)=a ) - 예측(Prediction) : 참 육종가의 예측

25 (4) 아비와 어미의 능력을 이용한 딸소의 능력 예측
- 산유량 추정전달능력(PTAM, Predicted Transmitting Ability for Milk) - 유지량 추정전달능력(PTAF, Predicted Transmitting Ability for Fat) 1) 암소 및 종모우의 능력을 알고 있는 경우 종모우의 추정전달능력 : PTAM = +300 kg, PTAF = +50 kg 암소의 추정전달능력 : PTAM = +100 kg, PTAF = -30 kg 집단의 평균 산유량 : 8,000 kg, 유지방량 : 300 kg 딸소의 산유량 육종가 = = 400(kg) 딸소의 유지방량 육종가 = 50 + (-30) = 20(kg) 딸소의 예상 산유량 = 8, = 8,400(kg) 딸소의 예상 유지방량 = = 320(kg)

26 2) 암소의 능력을 모르고 종모우의 능력을 알고 있는 경우
종모우의 추정전달능력 : PTAM = +300 kg, PTAF = +50 kg 암소의 추정전달능력 : PTAM = 0 kg, PTAF = 0 kg 집단의 평균 산유량 : 8,000 kg, 유지방량 : 300 kg 딸소의 산유량 육종가 = = 300(kg) 딸소의 유지방량 육종가 = = 50(kg) 딸소의 예상 산유량 = 8, = 8,300(kg) 딸소의 예상 유지방량 = = 350(kg)

27 (5) 표준화 - 정규분포의 모양은 평균과 표준편차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므로, 평균 또는 표준편차가 다른 두 가지 이상의 분포를 단순비교하기가 어렵다. - 표준화란 서러 다른 형질에 대한 육종가의 단위와 분포를 통일시켜 서로 다른 형질간에 변이의 크기를 서로 직접 비교할 수 있는 육종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개체의 육종가 – 집단의 육종가 평균) 표준화된 육종가 = 집단의 육종가 표준 편차

28

29 (6) 체형능력종합지수(Korean Type Production Index, KTPI) - 젖소의 생산능력과 체형을 함께 고려하여 젖소의 능력을 비교하는 지수 KTPI =[2.5(PTAF/SDPTAF)+1.5(PTAP/SDPTAP)+1(PTAT/SDPTAT) +1(UDC/SDUDC)]* 식에서, - PTAF는 유지방량 추정전달능력 - PTAP는 유단백량 추정전달능력 - PTAT는 체형종합점수 추정전달능력 - UDC는 유방종합점수로서 UDC = 0.16× 앞유방붙임 × 후유방붙임 × 후유방붙임너비 × 정중제인대 × 유방깊이 ×유두배열 - 는 PTAF 대한 표준편차 - 는 PTAP 대한 표준편차 - 는 PTAT에 대한 표준편차 - 는 UDC에 대한 표준편차

30 종합지수(KTPI) 한국형 종합지수(KTPI, korean Type Production Index)
KTPI =[2.5(PTAF/SDPTAF)+1.5(PTAP/SDPTAP)+1(PTAT/SDPTAT) +1(UDC/SDUDC)]* TPI =[28(PTAP/19.4) + 17(PTAF/23.0)] + 13(PTAT/.73) - 1(DF/1.0) + 10(UDC/.8) + 5(FLC/.85)+10(PL/1.26) - 5(SCS/.13) + 8(DPR/1.0) - 2(DCE/1.0) -1(DSB/.9)]3.7+1,575 LPI= 51[5.7(P-avg)/sd+0.3PD/sd+3.8(F-avg)/sd+0.2FD/sd)*cf1] +34[(2(HL-avg)/sd+4MS/sd+3FL/sd+1DS/sd)*cf2] +15[(-2.0(SCS-avg)/sd+1.0(UD)/sd+0.3(MSp-avg)/sd+6.7(DF-avg)/sd)*cf3] (Production+Durability+Health&Fertility) 미국 : 체형과 생산능력을 고려한 체형능력종합지수(TPI) 캐나다 : 생산능력과 수익성에 영향을 미치는 체형을 고려한 생애수익지수(LPI, Lifetime Profit Index) * 종합지수는 국가별 개량 방향이나 형질별로 농가의 수익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므로 이를 국가간에 직접 비교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31 얼마나 개량된 우군으로 얼마나 정교한 계획교배 를 수행하느냐? A B C (초핵군 농가) 정확한 계획교배의 중요성
년도 유전적 개량량 A B C 얼마나 개량된 우군으로 얼마나 정교한 계획교배 를 수행하느냐? A B C (초핵군 농가)


Download ppt "젖소의 개량 천안연암대학 정흥우 안녕하십니까 방금 소개받은 젖소개량부 조주현 입니다."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