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학습 주제 Ⅳ. 현대 사회의 발전 2. 민주주의의 시련과 발전 2-1. 4.19 혁명 2-2. 5.16 군사 정변 2-3. 민주주의 시련과 민주 회복 2-3. 민주주의 시련과 민주 회복.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정치외교학과 허재필 정치외교학과 정유라 정치외교학과 김민재 정치외교학과 우석현 정치외교학과 김태욱.
Advertisements

년 정세와 사업계획. ▶ 노동개악 저지 완전 승리의 해▶ 본격적인 정치권력 재편의 해▶ 박근혜정권과 전면적 대결의 해 년은 노동자에게 어떤 해 ?
- 제주도 : 지난 80 년대부터 대외무역법에 의한 직접수출, 간접수출, 외국 인도 - 제주도 : 지난 80 년대부터 대외무역법에 의한 직접수출, 간접수출, 외국 인도 수출 ( 이전기업 ), 용역수출 ( 외국인면세점 ) 도 포함하는 광의 개 념 수출 ( 이전기업.
20722 이유라 5.18 민주화 운동의 의미 배경 : 1979 년 12 월 12 일 쿠데타 원인 : 사태 (1979) - 박정희 대통령 죽음, 국가 혼란 - 전두환은 군대를 동원, 정권강탈 - 전국적 시위 발생 5.18 민주화 운동 발생.
1. 사회 변동 시간이 흐름에 따라 사회를 구성 하는 정치, 경제, 사회 제도, 가치 관 등이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변화하는 현상.
2013 학년도 봄학기 중앙대학교 KF Global e-School 하노이국립외국어대학교 현대한국의 사회와 문화 - 3 주차 손병권.
민주노총 7 기 임원선거 입장. 원탁회의 원탁회의 노동전선 원탁회의 제의 원탁회의 3 차 회의 좌파노동자회 퇴장 원탁회의 3 차 회의 좌파노동자회 퇴장 원탁회의 4 차 회의 통합집행부 구성 무산 원탁회의 4 차 회의 통합집행부 구성 무산 1. 현장의 투쟁을 방기한 개인과.
성대골 협동조합의 거리 만들 기 희망나눔동작네트 워크 SUNG DAE GOL. 1 어떻게 함께 살 것인가 ? 2 동네 안에 다 있다 ! 3 협동조합의 거리를 꿈꾸 다 ! 순서 SUNG DAE GOL.
대한민국의 발전 2. 자유 민주주의의 발전과 경제 성장. 자유 민주주의의 발전과 경제 성장 2 4·19 혁명으로 이승만 정부가 붕괴되다 1 1. 이승만 정부의 장기 집권 (1) 장기 집권을 위한 헌법 개정 : 발췌 개헌 (1952, 대통령 직선 제 개헌 ), 사사오입.
2) 북한의 통일 정책 2) 북한의 통일 정책 A) 북한의 통일정책 기본구조 주체와 주체와 방법 방법 한반도 전체의 공산화 북한 노동당규약 전문 : ‘ 온 사회의 공산주의 사회 건설 ’ 명시 주체 : 공산당에 찬성하는 집단이나 개인 방법 : ‘ 인민 민주주의 혁명 노선.
문화수업 청와대 사랑채 림유 한나 마이. 전화번호 : 이용시간 : 9 시부터 6 시까지 정기휴관 매주 월요일 표값 : 무료.
1. 정치 과정과 정치 주체 정치 과정을 통해 다원적 가치와 이익이 조정되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정치 과정에 참여하는 다양한 정치 주체의 역할을 파악할 수 있다.
Ⅷ. 정치과정과 참여 민주주의 4.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한다 ! 사회교육과 김문주.
중국 정치경제 이슈 시진핑시대 분석 년 11 월 : 공산당 제 18 차 전국대표대회 ( 당대회 ) 와 제 18 기 1 중전회 ( 제 18 기 중앙위 원회 제 1 차 전체회의 ) 에서 총서기와 중앙군 사위원회 주석 년 3.
2. 민주주의의 시련과 경제 개발 경제 개발 계획의 추진 과정과 그 성과는 ? Ⅹ. 대한민국의 발전.
Quiz Counts (5%) 1  총 10 회 퀴즈 중 최저점 2 번을 제외한 총점  class 최고점 기준 (5 점 )  개인별 점수 환산.
주 창 윤 ( 언론영상학과 ) 대중문화론 SWUSWU.
미디어 생태계 파괴자, 종편. 요구내용 관련 법안 의사결정구조현재진행상황 KBS 수신료 인상 ( 광고 폐지 ) 방송법 - KBS 이사회 의결 - 방통위 의결 - 국회 승인 방통위 의결 임박 채널 재배치 - 없음 - 방통위 정책 결정 및 PP, SO 사업자간 계약 - 사업.
훈련생 수강평가 훈련과정을 이수한 훈련생이 해당 훈련과정 에 대한 평가를 통해, 훈련기관은 다양한 의견 수렴의 용도로 활용되며, 훈련희망자 는 수강 전 기초 자료로 활용 훈련기관에 대한 정부의 지원 보조 자료로 활용 더 좋은 훈련과정 발굴 및 정책개발.
S W U 주 창 윤(언론영상학과) 언론사.
회복적 생활교육 Restorative Discipline
2010 국제 패션아트 비엔날레 in Seoul A. 국제 패션아트전 B. 국제 패션아트 퍼포먼스 C. 국제 패션아트 세미나
1. 6월의 정치혁명 1) 정당별 광역단체장의 득표율 2) 당선 광역단체장의 수 3) 당선 기초단체장의 수 2회 (%)
2. 민주시민이 승리하던 날들 9-10/14 차시 민주화 운동.
한국의 민주주의 손병욱 송수종 김동훈 이주봉 이다경.
도전! 방송작가의 길 2012년 교양특강 일시 : 2012년 9월 24일 (월) 16:00-17:20 장소 : 영암관 301호
Trend Watching 과정 (주) 미래인재개발원 변화의 시대를 읽자!
D emocracy 대학생, 민주로!내일로! 위대한 대학생 김지원, 박한솔, 위지선, 추모로.
정부 형태와 정치 제도 정치 참여와 선거 정당, 이익 집단과 시민 단체 여론과 정치 문화 국가 기관의 구성과 기능
대통령제 일반적인 대통령제와 우리나라 대통령제의 변화과정과 그 장단점 떠든 사람 김대용 김세주.
Hankook Ilbo Internship Program
03 공동체 발전을 위한 제도와 사회 참여 방법은?.
Reverse Engineering 발표자 : 이성진, 홍윤기.
7-2 정치과정에 참여하는 다양한 정치 주체 2, 정당과 언론의 역할 (4/7차시)
한국대외관계론 제5강. 한국 외교정책의 변화 2: 제5공화국부터 노무현 정부까지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고등학교 한국사 대한민국의 발전과 현대 세계의 변화 Ⅵ 4 경제 발전과 사회 변화.
하나님의 말씀 죄에 대하여라함은 그들이 나를 믿지 아니함이요 요한복음 16장 9절 말씀 -아멘-
Ⅲ. 대한민국의 발전 자유 민주주의의 발전 2..
헌법조항 제4장 1절 대통령 제69조 대통령은 취임에 즈음하여 다음의 선서를 한다.
1부 기관에대한소개 1.기관의 역사 및 사업 1)기관의 설립 동기 및 배경 순천종합사회복지관은 사회복지법인 순천성신원이 운영하고 있습니다. 순천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지역사회문제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가족기능 강화 사업과 지역사회보호사업,
지방자치제의 개념 지방자치제 실시와 지역사회복지 로컬 거버넌스 사회복지 재정분권
민주시민의 권리와 의무 민주시민의 배려, 협동, 봉사 실천
2019학년도 학생회 정부회장 선거 공고 전남대학교사범대학부설중선거관리위원회
미리별아이들, 세상과 손을 잡다 더불어 사는 민주시민이 되는 한 해 학급살이
‘평통사’의 평택기지 ‘불법 난입’ 및 ‘격렬시위’
3 지식경영을 위한 인사·조직시스템 설계 현선해·차동옥 교수(성균관대학교 경영학부).
UNISDR ONEA-GETI 안내.
도라도라 작전 국제관계학과 정민화.
여론조사기관 : 리얼메타 050 % 000 % 29 May 2017 (월) (수) 2 Jun (금)
미국 음악교육자협의회 (MENC, Music Educators National Conference)
지도교사 : 이석한 고등학교 통일교육 특강 지도안
Ⅳ 고려의 성립과 변천 2. 무신 정권의 성립과 농민∙천민의 봉기 02 무신들이 권력을 잡다.
Ⅳ 고려의 성립과 변천 2. 무신 정권의 성립과 농민∙천민의 봉기 03 농민과 천민이 봉기하다.
사회 사상의 전개 “진보한다는 것은 변하는 것을 뜻한다. 완전하다고 하는 것은 이미 몇 번인가 변하였다는 것을 말한다.” -처칠- 모든 사회는 끊임없는 자기 수정과 변화 속에서 진보를 계속해 왔다. TEXT PP.145~149.
전체 부채의 약 71.9 % 전체 부채의 약 76.0 % 전체 부채의 약 81.6 % 전체 부채의 약 92.7 %
문화혁명 [文化革命] 곽영신 임황빈 최하영.
빈곤 및 소득분배와 개선효과 추이 대통령자문 빈부격차ㆍ차별시정위원회.
5.18 민주화 운동과 6월 민주 항쟁, 대통령은 우리 손으로… 김효정, 문수연.
5.18민주화운동 6356정화영.
한국 사회와 정치 제3강. 제1공화국: 왜곡된 정치의 시작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한국 사회와 정치 제5강. 제3공화국과 제4공화국: 군사정권과 유신체제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다음을 보고 이야기 해 봅시다. [제작의도] 학습 동기유발을 위한 화면이다. [활용방법]
11판 회계감사론 『新英社』 이 효 익.
고등학교 사회 VIII. 정치 과정과 참여 민주주의 2. 정치 과정과 정치 참여 왜 정치 과정에 참여해야 하는가? 1.
유럽위기 시나리오.
민주 시민이 승리하던 날들 수업계획 수업활동 사회 6학년 1학기
2. 대한민국의 수립과 발전 13/14 차시 선택 학습.
중국 중산층 장기 해외여행자 증가 이유 언어정보학과 김예원.
Ⅲ. 민족 독립 운동의 전개 Ⅲ-2. 민주주의의 시련과 발전 1. 4 · 19 혁명 ◈ 학습목표
지방자치제도.
Presentation transcript:

오늘의 학습 주제 Ⅳ. 현대 사회의 발전 2. 민주주의의 시련과 발전 혁명 군사 정변 2-3. 민주주의 시련과 민주 회복 2-3. 민주주의 시련과 민주 회복

12.12 사태와 서울의 봄 (1) 신군부 세력의 등장 ① 사태 (1979) 후 : 계엄령 선포 →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최규하 선출 (10 대 ) ② 군사 정변 (1979) : 전두환・노태우 등의 신군부 세력 이 쿠데타로 실권 장악 (2) 서울의 봄 ( ) ① 배경 : 신군부 세력의 등장과 민주화 지연에 대한 불만 고조 ② 전개 : 서울역에서 계엄령 철폐와 신군부 퇴진을 요구하는 대규모 민주화 시위 (05.15) ③ 탄압 : 계엄령 전국 확대 (05.17) → 정치 활동 금지, 대학 폐쇄, 언론 검열 강화

5.18 민주화 운동 (1980 광주 ) (3) 5.18 민주화 운동 (1980) ① 배경 : 신군부의 권력 장악 음모, 민주 인사와 학생 운동 지도부 검거 ② 과정 : 광주에서 민주화 시위 (05.18) → 계엄군 발포 → 학생과 시민들의 시민군 조직 → 계엄군의 광주 봉쇄 → 계엄군의 무력 진압 ( ) ③ 의의 : 1980 년대 민주화 운동의 토대, 대미 인식의 변화 (→ 반미 운동 등장 )

신군부의 집권과 제 5 공화국 (1) 신군부의 권력 장악 ①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설치 (1980) : 입법・행정・사법의 3 권 장악한 초헌법적 기구 ② 과정 : 최규하 대통령 사임 →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전두환 선출 (11 대 ) ③ 헌법 개정 : 대통령 선거인단에서 간접선거로 대통령 선출, 임기 7 년 단임제 ④ 제 5 공화국 출범 (1981) : 민주정의당 창당, 대통령 선거인단에서 전두환 선출 (12 대 )

전두환 정부 ( 제 5 공화국 ) (2) 전두환 정부 ( 제 5 공화국 ) 의 정책 ① 강압책 : 정치활동 규제, 언론 통제 ( 보도지침 시달 ) * 삼청 교육대 : 강제 집단 수용, 군대식 훈련, 힘든 노동 강요 * 언론 통폐합 : 언론인 강제해직 및 대량해고, 언론사 통폐합 ② 유화책 : 중고생 두발 및 교복 자율화, 야간 통행금지 해제 * 3S 정책 : 프로야구와 민속씨름 창설, 컬러 텔레비전 방영 * 과외 금지, 국풍 81 개최, 해외여행 자유화 (1983 년 시작 )

직선제 개헌 운동과 6 월 민주 항쟁 (1) 전두환 정권에 대한 국민의 저항 ① 학생 운동의 활성화 : 대학 총학생회를 중심으로 대중 운동 ② 민주화 추진 협의회 조직 (1984) : 김영삼 계와 김대중 계 연 합 ③ 제 12 대 국회의원 선거 (1985) : 신민당 ) 이 제 1 야당으로 부상 ④ 개헌 운동의 추진 : 야당과 재야 세력의 대통령 직선제 개헌 운동

6 월 민주 항쟁 (1987) (2) 6 월 민주 항쟁 (1987) ① 배경 : 전두환 정부의 강압 통치와 부정 부패 * 박종철 고문 치사 사건 (1987) : 서울대생 박종철이 경찰의 물고문으로 사망 * 4.13 호헌 조치 (1987) : 전두환의 개헌 불가 선언, 개헌 논의 금지

6 월 민주 항쟁 (1987) ② 전개 : 민주 헌법 쟁취 국민 운동 본부 결성 ( ) * : 연세대생 이한열이 경찰의 최루탄에 맞아 중태 * : 6.10 국민 대회 – 고문살인 은폐 규탄 및 민주헌법 쟁 취 * : 전국적 시위 – 구호 ‘ 호헌 철폐, 독재 타도, 민주 쟁취 ’ * : 민주 헌법 쟁취 국민 평화 대행진 – 100 만명 이상 참가 ③ 결과 : 대통령 직선제 개헌 쟁취 * 6.29 선언 (1987) : 민정당 노태우 후보의 직선제 개헌 수용 발 표 * 국회에서 여야 합의로 헌법 개정 : 5 년 단임의 대통령 직선제 개헌

5.18 민주화 운동 (1980) 우리는 왜 총을 들 수밖에 없었는가 ? 그 대답은 너무나 간 단합니다. 너무나 무자비한 만행을 더 이상보고 있을 수만 없어서 너도나도 총을 들고나섰던 것입니다. … 정부당국에 서는 17 일 야간에 계엄령을 확대 선포하고 일부 학생과 민 주인사, 정치인을 도무지 믿을 수 없는 구실로 불법 연행했 습니다. … 18 일 아침에는 각 학교에 공수부대를 투입하고 이에 반발하는 학생들에게 대검을 꽂고 돌격 앞으로를 감행 하였고, 이에 우리 학생들은 다시 거리로 뛰쳐나와 정부당 국의 불법처사를 규탄하였던 것입니다. 그러나, 아 ! 이럴 수 가 있단 말입니까 ? 계엄당국은 18 일 오후부터 공수부대를 대량 투입하여 시내 곳곳에서 학생, 젊은이들에게 무차별 살상을 자행하였으니 ! … 너무나 경악스런 또 하나의 사실 은 20 일 밤부터 계엄당국은 발포명령을 내려 무차별 발포를 시작했다는 것입니다. … 그런데도 정부와 언론에서는 계속 불순배, 폭도로 몰고 있습니다.

4.13 호헌 조치 (1987) 합의 개헌의 전망이 절망적이고 더 이상 기다릴 시간적 여 유도 없다는 것이 분명해 졌습니다. 본인은 얼마 남지 않은 촉박한 임기와 현재의 국가적 상황 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중대한 결단을 내리지 않으면 안되 게 되었습니다. 이제 본인은 임기 중 개헌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고, 현행 헌법에 따라 내년 2 월 25 일 본인의 임기 만료와 더불어 후 임자에게 정부를 이양할 것을 천명하는 바입니다. 이와 함께 본인은 평화적인 정부 이양과 서울 올림픽이라 는 양대 국가 대사를 성공적으로 치르기 위해서 국론을 분 열시키고 국력을 낭비하는 소모적인 개헌 논의를 지양할 것 을 선언합니다.

6 월 민주 항쟁 (1987) 오늘 우리는 전세계 이목이 우리를 주시하는 가운데 40 년 독재정치를 청산하고 희망찬 민주국가를 건설하기 위한 거 보를 전국민과 함께 내딛는다. 국가의 미래요 소망인 꽃다 운 젊은이를 야만적인 고문으로 죽여 놓고 그것도 모자라서 뻔뻔스럽게 국민을 속이려 했던 현 정권에게 국민의 분노가 무엇인지를 분명히 보여주고, 국민적 여망인 개헌을 일방적 으로 파기한 4 ․ 13 폭거를 철회시키기 위한 민주장정을 시작 한다.

노태우 정부 (1988~1993) ① 노태우의 당선 : 야당의 후보 단일화 실패로 여당의 노태우가 당선 ② 여소야대 ( 與小野大 ) 국회 : 1988 년 총선에서 야당이 과반수 확 보 → 5 공 비리 청문회, 5.18 광주 청문회 개최 ③ 3 당 합당 (1990) : 민정당 ( 노태우 ) +민주당 ( 김영삼 ) +공화당 ( 김종 필 ) → 민주자유당 ( 민자당 ) 창당, 국회의원 재적 2/3 이상 차지 ④ 지방자치제 부분 실시 : 지방의회 의원 선거 실시 ⑤ 북방 정책 추진 : 소련・중국과 수교, 남북한 유엔 동시 가입, 남북 기본 합의서 채택 (1991)

김영삼 정부 (1993~1998) ① 문민 정부 : 5.16 군사 정변 이후 처음으로 민간 정부 등장 ② 역사 바로 세우기 : 전두환・노태우를 반란 및 내란 혐의로 구 속 ③ 정치 개혁 : 고위 공직자 재산 등록, 지방자치제 전면 실시 ( 단체 장 ) ④ 경제 정책 : 금융 실명제・부동산 실명제, 경제협력개발기구 가 입 ⑤ 외환 위기 : 국제통화기금 (IMF) 의 구제금융 (1997)

김대중 정부 (1998~2003) ① 국민의 정부 : 대한민국 수립 이후 여야 정권 교체 선거에 의한 최초의 평화적 여야 정권 교체 외환 위기 극복 ② 주요 정책 : 외환 위기 극복, 노사정 위원회 구성, 여성부 신설,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정 ③ 대북 정책 : 화해 협력 정책 ( 햇볕 정책 ) → 남북 정상 회담, 6.15 남북 공동 선언 발표 (2000)

노무현 정부 (2003~2008) ① 참여 정부 : 시민 사회의 의견을 국정에 반영하기 위해 노력 * 국회의 탄핵소추안 가결로 권한 정지 등 곤경을 겪음 ② 주요 정책 : 국가 균형 발전 정책, 행정수도 건설 특별법 제정 ③ 대북 정책 : 평화 번영 정책 → 제 2 차 남북 정상 회담, 10.4 평화 번영 선언 발표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