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yright © THE EXPORT IMPORT BANK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서비스산업 동향 및 전망 2016.07.07 해외경제연구소
목 차 서비스 산업 현황 Ⅰ 주요 세부 산업별 동향 및 전망 Ⅱ 유망 사업 분야 Ⅲ 2
Ⅰ. 서비스산업 현황 □ 경제성장의 축이 제조업에서 서비스업으로 변화 : 서비스업 성장기여도(‘15)는 1.5%p로 제조업 성장기여도 0.3%p의 5배 □ 서비스산업은 명목 GDP의 59.4%를 차지하여 미국(80.1%), 일본(72.6%), 영국 (79.2%) 대비 낮은 수준 경제활동별 성장기여도 명목 GDP 대비 서비스산업 비중 (%p) 주: 실질 GDP 성장률에서 부문별로 기여하는 정도 자료: 한국은행 주: 2013년 기준 자료: 한국은행 제조업이 성장 동력을 잃어가고 있기 때문에 경제의 안전판으로서 서비스업의 경쟁력을 끌어올려 발전시켜 나아가는 것이 중요함 3
Ⅰ. 서비스산업 현황 □ 서비스 수출(‘15)은 978.8억 달러, 서비스 수지는 -157.1억 달러 - 주요 흑자업종은 건설서비스와 운송서비스이며 주요 적자업종은 여행 - 지역별로는 미국, EU에 대해서는 적자, 중국 등 그외 지역은 흑자 서비스 수지 세부 업종별 서비스 수지(‘15) (억 달러) (억 달러) 수출 수입 수지 건설 134.9 30.0 104.9 운송서비스 326.7 296.5 30.2 여행 152.8 249.6 -96.7 가공서비스 28.8 82.7 -54.9 지식재산권 62.0 98.3 -36.3 통신·컴퓨터·정보서비스 36.5 27.8 8.7 보험 6.9 8.8 -1.9 금융 16.0 19.1 -3.1 개인·문화·여가서비스 9.0 6.4 2.5 유지보수서비스 3.3 3.5 -0.2 기타 202.0 312.2 -110.2 합계 978.8 1,135.9 -157.1 IMF 금융위기 이후 여행수지가 큰 폭으로 개선되면서 한때 서비스 수지가 흑자로 전환되었으나 2000년이후 만성적 적자. 2014년 서비스 수지 37억 달러 적자. 미국, EU 서비스 수지는 각각 100억 달러 이상 적자, 미국은 지식재산권 사용료, 여행/ 유럽은 사업서비스, 여행 등 자료: 한국은행 4
Ⅰ. 서비스산업 현황 □ 수출중 서비스업 비중은 13~18%로 OECD 국가의 평균 26~29% 대비 낮은 수준 이 지속되고 있음 OECD 국가의 서비스 수출액과 수출비중 한국 서비스 수출액과 서비스 수출 비중 (조 달러) (%, 서비스 수출/총수출) (억 달러) (%, 서비스 수출/총수출) 경제성장의 축이 제조업에서 서비스업으로 넘어옴 주: 서비스 부가가치는 평균이며, 수출액은 OECD 국가(멕시코 외)의 합 자료: OECD, 현대경제연구원 5
Ⅰ. 서비스산업 현황 □ 서비스산업 해외직접 투자는 ’01년 12억 달러에서 ’15년 132억 달러로 증가 - ’06년 비금융기관의 해외금융·보험업 건별 투자한도 폐지, 개인의 해외직접투자 한도 증액으로 ’07년을 기점으로 서비스업 해외투자 증가 □ 세부산업별로는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도매 및 소매업 비중이 높음 해외직접투자 서비스산업 해외직접투자 산업별 비중 (억 달러)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 서비스업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 도매 및 소매업 부동산 및 임대업 제조업 2014년 270억 달러, 2015년 272억 달러, 2015년에는 서비스업 비중이 약 50% 금융 및 보험업 자료: 수출입은행 6
Ⅱ. 주요 세부 산업별 동향 및 전망 : ⓛ 콘텐츠 □ 콘텐츠 수출은 ‘16년 61억 달러로 전년대비 7% 증가 예상 - 주력 분야(‘15)는 게임(56.5%), 캐릭터(9.6%), 지식정보(9.3%), 방송(6.5%)이며, 지역별로는 중국과 일본(57%) 중심의 구조를 유지 - 해외투자(‘15)는 4억 달러 수준이며 ’16년에도 3~4억 달러 수준으로 예상 콘텐츠 산업 수출 추이 콘텐츠 산업 해외투자 (억 달러) (백만 달러) 61.0 57.0 52.7 49.2 46.1 43.0 출판, 영화는 문화적 장벽이 높아 문화적 유사성을 보유한 아시아에서는 경쟁력을 보유 해외투자는 출판업의 해외 투자는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영상오디오 기록물 제작 및 배급업은 해외 투자 감소 *박물관 운영업, 공연 기획업, 공연시설 운영업 등 자료: 한국콘텐츠진흥원 7
Ⅱ. 주요 세부 산업별 동향 및 전망 : ⓛ 콘텐츠 □ 수출경쟁력과 시장 매력도가 모두 높은 분야는 온라인 게임, 방송, 캐릭터, 음악 □ 우선 진출 국가는 중국, 일본, 미국, 태국이며 현지기업과의 협업이 바람직 수출 장르별 매력도 우선 진출 국가 및 진출전략 High High 국가 현지여건 진출전략 중국 ·독자 진출은 현행법 상 불가능 ·중국회사와 합작 일본 ·모바일게임이 유망 ·방송 콘텐츠 수출 확대를 위해 판매채 널 확보 필수 ·게임은 협업 형 태로 진출 ·방송은 지속적 판매채널 구축 미국 ·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이나 경쟁이 치열하고 막대한 진출자금 소요 ·협업을 통한 진출 태국 ·게임은 다수 국내 기업이 진출 ·게임외에는 현지 업체와 협업 방송 캐릭터 출판 온라인 게임 음악 산업별 시장매력도 애니메이션 만화 영화 출판, 영화는 문화적 장벽이 높아 문화적 유사성을 보유한 아시아에서는 경쟁력을 보유 문화적 장벽 등으로 현지기업과 협업이 중요 기타 게임 Low Low 수출경쟁력 High 자료: 한국 문화콘텐츠산업의 수출의 유형별 포지셔닝 및 전략 방향, 한국문화경제학회(2014) 자료: 서비스산업 해외진출 촉진방안(2012) 8
Ⅱ. 주요 세부 산업별 동향 및 전망 : ② 보건의료 □ 의료기관은 ’15년까지 18개국 141건(누적) 진출하였으며 중국이 52건, 미국 33건으로 중국과 미국의 비중이 높음 (’16년 목표: 162건) - 진출 규모별로는 의원급 83건(59%), 전문센터 17건(12%), 병원 8건(6%) 순 의료기관 해외진출 현황 진출 국가별 비중 (건) 상대적으로 진출 위험이 적은 프랜차이즈 형태가 34건, 단독투자 29건, 합자·합작과 라이센싱이 각각 24건 순 수출활성화를 저해하는 요인은 낮은 브랜드 인지도, 효율적인 컨소시엄 구성 미흡. 병원 패키지 수출시 건설, IT 분야 경쟁력은 높은 편이나 의료기기는 다국적기업에 비해 품질 및 인지도가 낮음. 의료해외진출법 시행(’16.6월)에 맞추어 자금 지원․세제지원 등 해외진출 종합계획 마련(’16.9월) 주: 누적기준, 2016년은 정부 목표 자료: 보건복지부 9
Ⅱ. 주요 세부 산업별 동향 및 전망 : ② 보건의료 □ 우선 진출 국가는 중국, 미국, UAE, 카자흐스탄 - 중국은 고급·전문병원, 건강검진 분야가 유망하며 미국은 교포외 현지인으로 고객 확대 필요 - UAE와 카자흐스탄은 PPP 프로젝트 중심으로 추진 우선 진출 국가 및 진출전략 국가 현지여건 진출전략 중국 ·건강검진 활용도와 의료서비스 만족도가 낮음 ·공공병원 현대화 및 검진센터 설립 분야에 한국 진출 희망 ·대자본의 영리병원이 허용되고, 의료기관 이외 의 자(기업인)의 의료기관 개설 가능 ·고급․전문병원 진출, 공립병원 소유권개혁 참여, 건강검진․관리분야 진출이 유망 ·보험상품 개발, 현지 병원과의 네트워크 확대를 통해 고객 범위를 확대 미국 ·의료서비스업은 성장 추세를 보이고, 향후 지속 성장 전망 ·의료정보시스템, 제네릭 의약품 수요확대 예상 ·마케팅과 현지 의료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통해 교포에서 현지 중산층으로 고객층을 확대 UAE ·낮은 의료 수준, 수요확대, 정부의 의료관광 육성 감안시 의료분야의 투자확대 예상 ·의료투자시 해외 선진의료기관을 적극 활용 ·현지정부와의 파트너십 필요 ·턴키방식의 PPP프로젝트를 공략 - ICT 기술을 접목한 병원 운영 모델 제시 카작 ·의료비 지출 상승률이 높음 ·의료시스템 현대화를 위한 정부 주도의 PPP 시범사업이 개발될 예정 ·정부가 현지정부․의과대학 등과 협력 기반을 구축하여 현지 병원건설 PPP 시범사업 수주 추진 필요 출판, 영화는 문화적 장벽이 높아 문화적 유사성을 보유한 아시아에서는 경쟁력을 보유 자료: 서비스산업 해외진출 촉진방안(2012) 10
Ⅱ. 주요 세부 산업별 동향 및 전망 : ③ SW·ICT - 시장이 클라우드 컴퓨팅과 모바일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으나 한국은 이에 대한 대응이 늦어 수출증가율 둔화 - 주요 수출지역은 중국, 동남아, 일본, 북미 순이며 아시아 비중이 78%를 차지할 전망 소프트웨어 수출액 주요 수출 지역 (억 달러) 66.0 63.4 55.5 41.9 24.7 15.2 세계 SW 시장은 ’19년까지 연평균 4% 이상 성장하여 ICT 연평균 성장률 2.2% 높은 성장세를 시현. 1~4월 수출은 18억 달러. 패키지 SW는 5.8%, IT서비스는 3.5% 감소. 지난 4년간 두 자리수 성장률을 달성했으나 성장률 둔화 정부는 ’20년까지 SW 수출을 100억 달러로 높일 계획 클라우드 시장 선점을 위해 패키지SW 기업들이 제품 및 인프라 활용을 위한 협력 사례 증가 자료: 소프트웨어 정책연구소 자료: 2016년 수출, 고용 및 R&D투자 전망 조사, SPRi 11
Ⅱ. 주요 세부 산업별 동향 및 전망 : ③ SW·ICT □ 클라우드 컴퓨팅의 높은 성장성, 관련 법 시행으로 기업들도 관련 사업 강화 추진 - 한글과컴퓨터, 인프라웨어 등 국내 기업들은 클라우드 기반 제품으로 전환하였으며 SK C&C 등은 산업별로 적합한 클라우드 서비스 개발 및 해외진출을 추진 클라우드 컴퓨팅 모델 및 시장규모 주요 기업의 클라우드 사업 현황 시장규모 기업 내용 한글과컴퓨터 클라우드 방식의 오피스 SW인 ‘넷피스’ 출시 향후, 동사 모든 제품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협업 기능강화 예정 더존비즈온 기존 솔루션의 클라우드 전환 적극적 추진 인프라웨어 클라우드 오피스인 ‘폴라리스 오피스’ 무료 버전출시 파이오링크 클라우드 컴퓨팅 인프라 장비 산업 부품 제조 및 판매 파수닷컴 클라우드 DRM 서비스 출시 계획 안랩 클라우드 보안 솔루션 보유 알티캐스트 N스크린 관련 클라우드 솔루션 보유 (‘14) 270억 달러 →(‘20) 720억 달러 : 18%/년 성장 (‘14) 38억 달러 →(‘20) 240억 달러 : 36%/년 성장 세계 SW 시장은 ’19년까지 연평균 4% 이상 성장하여 ICT 연평균 성장률 2.2% 높은 성장세를 시현. 1~4월 수출은 18억 달러. 패키지 SW는 5.8%, IT서비스는 3.5% 감소. 지난 4년간 두 자리수 성장률을 달성했으나 성장률 둔화 정부는 ’20년까지 SW 수출을 100억 달러로 높일 계획 클라우드 시장 선점을 위해 패키지SW 기업들이 제품 및 인프라 활용을 위한 협력 사례 증가 (‘14) 125억 달러 →(‘20) 620억 달러 : 31%/년 성장 자료: 가트너, Wikibon Research 12
Ⅱ. 주요 세부 산업별 동향 및 전망 : ③ SW·ICT □ 사물인터넷 시장은 ’13년 2.3조원에서 ’22년 22.9조원으로 연평균 29% 성장 하며 ’20년이후 시장이 본격화될 전망 - 시장 초기에는 디바이스 중심으로 성장하나 성장성은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 분야가 높음 – 소비재보다는 제조업에서 먼저 확산될 전망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주요 국가의 제조업 경쟁력 강화 정책 (조 원) 국가 정책 주요 내용 독일 Industry 4.0('12) IoT와 가상현실통합시스템(CPS)기반으로 전 제조공정 유연화와 네트워킹 미국 Remaking America('09) ICT 기술우위 기반으로 제조업 부흥 일본 산업재흥플랜(‘13) 아베노믹스 3대 전략의 하나로 산업 경쟁력 강화와 지역클러스터 벤처기업 법인세 감면 등 3개의 축으로 제조업 강화 한국 제조업 3.0, 스마트공장(‘14) 제조업과 IT를 융합하여 공장 자동화 및 지능화를 통해 제조업 전반 혁신 하드웨어는 ‘13년 2.2조원에서 ’22년 10.9조원으로 연평균 19% 성장하나 사물인터넷 시장에서 비중은 ‘13년 97.1%에서 ’22년 47.4%로 감소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은 ‘13년 0.1조원에서 ’22년 12.0조원으로 연평균 78% 성장하며 사물인터넷 시장에서 비중은 ‘13년 2.9%에서 ’22년 52.6%로 급증 삼성전자, LG전자, 통신사 등이 참여 자료: Machina Research, STRACORP 2013 13
Ⅱ. 주요 세부 산업별 동향 및 전망 : ④ 관광 □ 숙박업 해외투자는 2015년 605백만 달러를 달성하였으며 2016년에는 세계 경기 둔화 등으로 투자가 둔화될 전망 □ 숙박업 해외투자 지역별 비중은 아시아가 60%로 가장 높으며 다음으로 북미 27% 숙박업 해외투자액 진출 지역별 비중(‘10~’15) (백만 달러) 경기 둔화가 장기화될 것으로 보여 저가 매수 유인이 약해짐 투자금액 기준으로는 북미가 가장 높음(67%) 호텔 및 콘도 운영사 외에 건설회사의 투자가 많으며 다수 건설사들은 글로벌 호텔 브랜드에게 위탁운영을 맡기고 있음. 건설사들은 국내 시장이 악화되자 사업닥각화 차원에서 호텔사업에 진출. 호텔 운영사의 위탁경영 확대 전략, 건설사의 경영 악화, 세계경기 둔화로 향후 투자 규모는 빠르게 증가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임 자료: 수출입은행 주: 신고건수 비중 14
Ⅱ. 주요 세부 산업별 동향 및 전망 : ④ 관광 □ 숙박업 세부 업종별로는 2014년 이후 호텔 투자가 급증하여 95% 이상을 차지 - 휴양콘도 운영업 투자 비중은 2010년 13%에서 2013년 51%로 증가한 이후 급감 □ 대기업 투자가 50% 이상을 차지하며 중소기업 투자는 10~30%를 차지 숙박업 세부 업종별 비중 투자자 규모별 비중 자료: 수출입은행 15
Ⅱ. 주요 세부 산업별 동향 및 전망 : ④ 관광 □ 골프장 운영업 해외투자는 ‘11년이후 투자가 축소되고 있음(‘15: 9백만 달러) □ 골프장 운영업 해외투자 지역별 비중은 아시아가 67%로 가장 높으며 다음으로 북미 24%, 대양주 9% 순 골프장 운영업 해외투자액 진출 지역별 비중(‘10~’15) (백만 달러) 자료: 수출입은행 16
Ⅱ. 주요 세부 산업별 동향 및 전망 : ④ 관광 □ 여행사업 해외투자는 2010년이후 2~6백만달러/년이 투자되어 투자 규모는 작음 □ 여행사업 해외투자 지역별 비중은 아시아가 55%로 가장 높으며 다음으로 북미 30%, 대양주 10% 순 여행사업 해외투자액 진출 지역별 비중(‘10~’15) (백만 달러) 자료: 수출입은행 17
Ⅲ. 유망 사업 분야 콘텐츠 게임 보건의료 SW·ICT 클라우드 컴퓨팅 관광 - 가상현실(VR)과 결합한 게임 융합콘텐츠 해외진출 - 건강검진, 분야별 전문 의료기관 스마트헬스케어 - 원격의료, 건강관리업, 진료정보관리업 SW·ICT 클라우드 컴퓨팅 사물인터넷 핀테크, O2O 보안 관광 여행업계의 중국 아웃바운드업 진출(‘17) * 중국은 외국인 투자여행사에 대해 중국내 또는 인바운 드업만 허용했으나 합자 여행사에 대해 아웃바운드업을 시범 허용 아시아 관광 산업 기능성(교육, 치료 등) 게임, 이러닝 중국인 해외진출 18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