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G Dae-Kyum Kim, Sang-Uk Woo, Jung-Han Kim, Seok-Jin Nam, and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Gastric adenoma 에 대하여 ESD 시행 후 PDA 로 재발한 1 예 30th September 2009 Gastrointestinal Division of Internal Medicine Presbyterian Medical Center Young Jae Lee.
Advertisements

- 기초영양과 건강 -.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3. 첨단 과학과 질병 치료 3. 생명을 위협하는 암.
우울증 스트레스 불면증.
Case Presentation SKKU School of Medicine Otorhinolaryngology, Head and Neck Surgery Son Eui Young 1.
Background  In the Helsinki policemen Study Hyperinsulinemia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all-cause and CV mortality independent of other risk factors.
종양표지자 CA19-9 검사 - Cobas Core 와 Elecsys 의 비교 -
대장암 (Colorectal cancer)
총담관에 삽입된 금속스텐트가 방사선 치료 중 위치 이동한 증례
서울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박진명, 백우현, 송병준, 박주경, 류지곤, 김용태, 윤용범
GI conference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소화기내과.
Radiofrequency Ablation Therapy(RFA)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March 14, 2015
EISD in Early Esophageal Cancer
인하대병원 소화기내과 박현주, 유성수, 권계숙, 김형길, 신용운
Everolimus-Eluting Bioresorbable Scaffolds for Coronary Artery Disease
AJCC 7th edition (Lung) 흉부외과 최 주 원.
Jin Hee Lee Dapertment of Medicine
제64회 내시경 집담회 순천향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송해정 박정훈 정인섭 유창범 조주영 이문성 심찬섭 순 천 향 대 학 교 의
Antineoplastic Effects of Various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PPAR)-  Agonists against Hepatitis B virus (HBV)-associated Hepatocellular.
Effectiveness of Recommendations to Prevent Reactivation of Latent Tuberculosis Infection in Patients Treated With Tumor Necrosis Factor Antagonists Loreto.
순천향대학교병원 소화기병센터, 병리학교실* 김영대, 김완중, 정인섭, 조주영, 이준성, 진소영*, 심찬섭
Case Presentation SKKU School of Medicine Otorhinolaryngology, Head and Neck Surgery Son Eui Young 1.
A Study of a System Development for Virtual Pointing Device
Gastric Carcinoid Tumor
Multidisciplinary Bowel conference
KCP 807 대한세포병리학회 2014 봄 학술대회 슬라이드 세미나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전공의 4년차 조의주.
lung and massive intra abdominal lymphadenopathy.
Sentinel Lymph Node Biopsy in Multifocal or Multicentric Breast Cancer An approach by subareolar injection of blue dye HTG Dae-Kyum Kim, Sang-Uk Woo,
Invasive Micropapillary Carcinoma of the Breast
A STUDY FOR RFID APPLICATION OF CONSTRUCTION MATERIALS.
2016 전공의 연수강좌 [갑상선암]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내분비내과 문재훈.
유 방 암 6조:최복엽 문성호 곽동우 이연자 김소원.
알레르기 진단을 위한 UniCAP 검사 소개 이원의료재단 학술부.
Seong-Hwa Jeong & Chung Mo Nam
구강악안면 영역의 낭종 및 종양 낭종.
안재석 ∙ 김지나 ∙ 원우재 국립암센터 핵의학과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원경준, 김영대, 박찬국, 김만우
Colorectal ESD Perforation
유방암 환자에서 Breast-Specific Gamma Imaging(BSGI)의 유용성
Current clinical practice for cholecystectomy after ERCP
The pink ribbon is the symbol for breast cancer awareness invented in 1991 by Evelyn H. Lauder, found & president of the Breast Cancer Research Foundation.
How to establish a fetal cardiology service and regional meeting
Clostridium difficile 연관 설사 진단을 위한 Toxin A/B immunoassay의 유용성 평가
종양계 67Ga 검사 123I-MIBG 종양 검사 131I-MIBG 종양 검사 99mTc-MIBI 종양 검사
Yangsoo Jang, M.D. Ph. D On behalf of CTO-IVUS investigator
Developmental Screening
근관치료학 개요.
Recurrence Patterns of Curative Resected Ampulla of Vater Cancer
대한갑상선영상의학회 춘계학술대회, 2011 Basic & Update Thyroid Radiology
시.지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기능과 일상생활 활동 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Disease Review - Nausea & Vomiting -
Chapter9 신생물(종양) 임미란.
김채리, 이상민, 이현주, 오상영 이상민, 도경현, 김미영, 서준범, 송재우, 송군식
Case Presentation 날짜: 장소: Sub-intern:.
Case Presentation 날짜: 장소: Sub-intern:.
99mTc-MAA를 이용한 간세포암의 간동맥 관류 스캔의 유용성
제 세 동.
폐결핵 진단을 위한 분자생물학검사 유용성과 한계
인지활동을 병행한 운동훈련이 치매노인의 균형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약인성 간염 진단 DB 구축 정용진.
99mTc-MAA를 이용한 간세포암의 간동맥 관류 스캔의 유용성
초미숙아의 생존한계 Won Soon Park
미세먼지 실험 성동초등학교 이도은.
폐암 이란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김 세 규.
Osteochondral lesion of talus (OLT; 거골의 골연골 병변)
1차 약제에 감수성을 보인 폐결핵 환자에서 당뇨가 치료 결과에 미치는 영향
발표제목 Department of Nanoenergy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Case of Epithelial Ingrowth After Cataract Surgery Treated with Argon Laser and Monitored by Fourier 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Jin Pyo Hong,MD1,
Presentation transcript:

Breast Cancer Discovered after Microdochectomy Is it possible for breast conservation? HTG Dae-Kyum Kim, Sang-Uk Woo, Jung-Han Kim, Seok-Jin Nam, and Jung-Hyun Yang Department of 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Introduction Microdochectomy is one of the therapeutic options for nipple discharge Nipple discharge accounts for about 5% of all breast symptoms 2~15% of women who undergo surgery for nipple discharge are found to have an underlying breast carcinoma Microdochectomy는 유두 분비물의 치료법이면서도 원인을 진단하기 위한 방법중의 하나입니다. 유두분비물은 외래에서 드물지 않게 볼수있는 증상인데 종종 암을 포함한 유방의 주요 병변을 나타내는 증상이기도 합니다.

Breast conserving procedure or total mastectomy? Favor for total mastectomy Fisher ER et al (1975) Ohuchi et al (1994), Bauer et al (1998), Fish et al (1998), Obedian and Haffty (2000) Favor for breast conserving surgery Fisher B and Wolmark (1985) Dale and Giuliano (1996) Ito et al (1997), Horiguchi (2001) 유두 분비물을 동반한 유방암에서는 전통적으로 유방 전절제술이 정설이었지만 최근 유방 보존 술식이 증가하면서 이들에 대한 유방 보존 가능성은 논란이 되고있습니다. 이에 저희 병원 에서 경험한 microdochectomy후 발견된유방암의 특성을 살펴보고 유방보존가능성을 분석하여 보고드리는 바입니다

Methods Between Oct. 1994 and May 2004 200 cases of microdochectomy at Samsung Medical Center Retrospective study for 12 cases(6.0%) of breast cancer in microdochectomy - General and pathologic characteristics - Resection margin and residual cancer 방법입니다 94년부터 2004년 5월 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microdochectomy시행받은 환자는 200명으로 수술후 병리진단결과 유방암으로 나온 환자는 12명이었습니다. 이들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습니다 이들의 임상적 병리학적 특징외에도 Resection margin과 residual cancer를 중심으로 분석하였습니다

Results Age Mean age =43.5 yr No. of patients (yr) 결과 말씀드리겠습니다 평균연령은 43.5세로 5명은 40세 미만의 환자였습니다 No. of patients (yr)

2. Pathologic Results after Microdochectomy Pathology No. of patients (%) Ductal carcinoma in situ (DCIS) 11 (91.7) Comedo type 0 ( 0.0) Non- comedo type Mixed 7 (58.3) Solid 2 (16.7) Cribriform 1 ( 8.3) Solid papillary carcinoma 1 ( 8.3) Invasive ductal carcinoma (IDC) 1 ( 8.3) Microdochectomy 후 병리조직 검사 결과 DCIS는 11예였으며 invasive ductal cancer는 1예에서 발견되었습니다 Comedo 형은 없었습니다

3. Tumor Size Mean tumor size= 2.1cm No. of patients (cm) 종양의 평균크기는 2.1 cm으로 7예는 1cm 미만이었습니다 No. of patients (cm)

4. Immunohistochemical Stainings Positive rate (%) Estrogen receptor 12/12 (100.0) Progesterone receptor 12/12 (100.0) c-erb-B2 4/12 ( 33.3) P53 4/12 ( 33.3) 면역조직화학 염색결과입니다 ER과 PR은 모든 예에서 양성이었습니다 HER2와 P53은 각각 33.3%에서 양성이었습니다

5. Associated Pathologic Conditions No. of patients (%) Solitary papilloma 4 (33.3) Multiple papillomas 1 ( 8.3) Fibrocystic disease 1 ( 8.3) 동반된 다른 질환을 보면 solitary papilloma 가 4예에서 동반하였으며 Multiple papilloma 와 fibrocystic disease 가 각각 1예에서 동반하였습니다

6. Operations No. of patients (%) Breast conserving procedures 5 (41.7) No further excision 2 (16.7) Wide excision 3 (25.0) Total mastectomy 7 (58.3) Cancer 진단후 수술 방법입니다 2예는 microdochectomy후 더 이상 수술을 하지안았으며 resection margin이 양성이거나 tumor 가 남아있을 것으로 의심되는 3예에서는 microdochectomy 주위로 wide excision을 시행하였습니다 7예에서는 total mastectomy를 시행하였습니다.

7. Residual Cancer and Resection Margin Resection Residual cancer(%) Total(%) Margin yes no Positive 6 (50.0) 1 ( 8.3) 7 (58.3) Negative 2 (16.7) 3(2*) (16.7) 5 (41.7) Total 8 (66.7) 4 (33.3) 12 (100.0) *including cases of no further operation Resection margin과 residual cancer 입니다 Resection margin이 positive 였던 경우는 7예였고 negative 였던경우는 5예였습니다 positive 였던 경우는 대부분 남아있는 cancer있었습니다. 2예는 resection margin negative 였지만 남아있는 cancer가 있었습니다

8. Residual Cancers with Negative Resection Margin Patients Pathology* Size(cm)* Multificality* 39/F solid DCIS 0.5 no 52/F mixed DCIS 0.8 yes *microdochectomized specimen Resection margin 이 negative 였지만 residual cancer가 있던 case 입니다 2예 모두 DCIS엿으며 크기는 모두 1cm미만이 었습니다

9. Pathology of Residual Cancer Microdochectomy DCIS (%) IDC (%) no residual (%) DCIS 5 (41.7) 2 (16.7) 4(2*)(33.3) IDC 1 ( 8.3) 0 ( 0.0) 0 ( 0.0) Total 6 (12.0) 2 (16.7) 4 (33.3) * Cases of no further operation Residual cancer 의 병리검사 결과입니다 모두 8예에서 residual cancer가 있었는데 DCIS 인경우는 6예였고 invasive ductal cancer 인경우는 2예였습니다.

10. Results of Follow-Up 수술후 유방 보존술을 시행한 환자에게는 모두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습니다 Diagnosis Op RTx TAM or TOR* FU period(mo) Result 44/F IDC MRM - + 99 NED 53/F DCIS MRM - - 69 NED 39/F DCIS MRM - - 48 NED 36/F IDC MRM - + 48 NED 29/F DCIS MRM - + 18 NED 49/F DCIS TM+SLN - + 41 NED 52/F DCIS TM - + 15 NED 31/F IDC PM+SLN + - 9 NED 45/F DCIS PM + +* 48 NED 39/F DCIS PM + +* 5 NED 47/F DCIS NF + +* 20 NED 58/F DCIS NF + + 6 NED RTx; Radiation therapy, FU; Follow-Up, TM; Total mastectomy, PM; Partial mastectomy, SLN; Sentinel lymph node biopsy, TAM; Tamoxifen, TOR;toremifen, NF; No further treatment, NED; No evidence of disease 수술후 유방 보존술을 시행한 환자에게는 모두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습니다 항호르몬 치료는 3예를 제외한 9예에서 시행하였고 평균 32.4개월간 추적한 결과 재발은 없었습니다

Conclusions Although experience is limited because of small number of patients, BCS may be possible for breast cancers discovered after microdochectomy. In addition to tumor free margins, the existence of residual cancers and their invasiveness should be considered for BCS. 결론 말씀드리겠습니다 Microdochectomy후 유방암이 발견되는경우 resection margin 외에도 residual cancer여부와 그들의 invasive 여부를 조심스럽게 확인하여 고려한다면 유방 보존술도 가능할것으로 사료는 바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