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관시스템 배출량 산정방법 지침 개정내용 개정내용별 세부 사항.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산업시스템분석 임성수 차수길 장연식 주혜림 7조7조.
Advertisements

( 구 ) 농협과 농업은행 통합. 종합농협 발족 통합 농협중앙회 출범. 농ㆍ축ㆍ인삼협중앙회 통합 세계 4 대 협동조합기관 선정 농협은행 출범.
구 분현존 무창계사 사육장 (1,000 평기준 ) 신개념 가금류사육장 (1,000 평기준 특허보유유럽에서 약 50 여년전 개발 2008 년 특허개발 ( 송백영농조합 ) 계사구조 별도 독립된 단층계사 500 평ⅹ 2 동 건축 많은 사육장면적 확보시 계사를 추가로 신축 500.
1 N N N201/301 SERIES 시동 및 운전상의 점검. 2 N201/301 SERIES PC BOARD CONDENSE R SENSOR MAGNETIC SWITCH ICE THICKNESS SENSOR DISPLAY CONNECTO R.
단원 3. 물질의 구성 3-2. 원소와 화합물 단원 3. 물질의 구성 3-2. 원소와 화합물 중학교 3 학년.
관세환급 제도 개요 수출용원재료에 대한 관세환급제도의 의의
2012년도 화학물질 배출량조사 교육 배출량 조사표 작성 방법.
머리가 좋아지는 IQ퀴즈 (1탄).
콘트롤밸브 적용기술 2. 콘트롤 밸브 종류 3. 콘트롤 밸브 선정 4. 콘트롤 밸브 선정절차 5. 보조기기
miniplasma -station miniplasma -cube For the Pioneer
효과적인 금연법 산재의료관리원 동해병원 건강관리센타.
1. 목 차 8. 기체의 Cv계산 2. CV 개 요 9. Steam의 Cv계산
우리나라 전통의 무술, 태권도 5학년 8반 김유승.
안전은 사랑입니다. 산업안전보건법령(밀폐공간작업) 서울지방노동청.
미국 CDC 및 NIH산하 RML(Rocky Mountain laboratory) BL4 방문협의
자살 사례 분석 경영학과 백승용 경영학부 하수정 경영학부 이은옥
제2절 공압제어밸브 공압 제어밸브의 개요 압력 제어 밸브 유량 제어 밸브 방향 제어 밸브 근접 감지 장치 공압 서버 밸브
Sequence Control -Introduction-
Provide Pressure control Technology
자동차공학 디젤엔진 건국대학교 기계공학과 박 정 규.
Double Seal Plan - 52 Tandem Seal이라고 함.
ASD SYSTEM(보일러 연도 자동 댐퍼)설치 제안
구약 파노라마 대구북부교회.
  사 용  설 명 서    (항온항습기) Ver. 09
돼지가격 대표 기준 ‘탕박’변경 관련 설명자료
학습 주제 p 용해도 차이로 물질 분리하기.
위생 노로바이러스 예방수칙 □ 노로바이러스란 노로바이러스는 사람에게 장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 그룹입니다.
콘트롤밸브 적용기술 2. 콘트롤 밸브 종류 3. 콘트롤 밸브 선정 4. 콘트롤 밸브 선정절차 5. 보조기기
삼성토탈 대산사업장 SPS-520 자주보전 자주보전 STEP 활동 매뉴얼 GPS-520
GS칼텍스 NO2. HOU PROJECT ㈜ SKI 보온 공사 결과 유) 참 솔.
기타 신재생에너지설비 전북대학교 IT응용시스템공학과 소 병 문.
제4장 점화와 시동계통(Ignition and Starting System)
EMS정보지원자료 밀폐공간작업 중대재해사례 및 대책 - 근로자 안전보건교육 한국산업안전공단 교재자료개발팀.
자주보전 제 4 Step 『총 점 검』 교육 Text.
VAT 개조 국산화.


미국 중대산업사고 사례 (Giant Industries)
유 압 공 학 유압펌프와 유압모터 창원대학교 로보틱스실험실 정원지 교수님.
유 림 자 동 화
MULTI V super R-22 제작 및 설치 시방서
MULTI V SUPER Ⅲ 제작 및 설치 시방서 냉난방 겸용 R410A 단독형 DM2 Model (-10℃)
압력의 측정.
공기압 보전 교육.
펌프의 종류 펌프 기동전 점검사항 펌프기동시 착안사항
공정안전자료 울산중대산업사고예방센터.
개 요 TOGA Clean System이란? 처리가능한 유해가스
화학물질 배출저감 활동 광양제철소 ’
유독물 및 취급제한∙금지물질 관리자 교육 취급시설별 관리기준 2014 한강유역환경청 화학물질관리과.
STOPPER 작업 시방서 대양이엔지.
건 강 박 수 사람의 몸에서 전신을 축소한 것 같은 부위 손바닥 신체 각 부위와 연결된 경혈 : 345개
유 압 공 학 기본 유압회로의 구성 창원대학교 로보틱스실험실 정원지 교수님.
지구가 행복해지는 녹색생활 · 愛너지 절약습관 녹색은 생활이다!.
특 허 기 술 소 개 유속저감기능을 갖춘 자연형 어도 기술 특허 제 호 ㈜ 자 연 환 경.
Hydraulic valve Directional control valve : Solenoid valve.
지중 공가설비 조사자 안전관리 교육
- 원료의약품, 염료, 도료 제조업 - <2009년 3/4분기> 경기도공단환경관리사업소
GEAR TYPE 및 TURBINE TYPE의 유량계를 사용한 BYPASS SYSTEM
휴대용 복합가스 측정기 소하119안전센터 소방장 김형진
Vacuum Oven OPERATION MANUAL (Model:OV-01)
악취저감 / 친환경 축산(농장)을 위한 시험보고서
1월 교회학교 진급예배 및 성탄절 음악예배 찬 양 기 도 교 회 소 식 특 순 성 경 봉 독 말 씀 찬 양 축 도 인 도 자
센터 코칭 결과 소 속 제천센터 코칭대상 엔지니어, 상담사 코칭일시
뜨거운 햇살을 받으며 양 손에 도시락 두 개를 들고, 콧 노래를 부르며, 시골 길을 걷고 있는 한 아이가 있었어요
12. 위해물질 저감화 조은지.
대기배출시설 인·허가 관리
근골격계 질환 예방교육.
- 구조가 복잡하고, 고도의 자동제어시스템으로구성
II-2. 지구 구성 원소와 지구계 1. 행성의 대기와 에너지 보존
당신을 위한 NH 연금보험.
Presentation transcript:

배관시스템 배출량 산정방법 지침 개정내용 개정내용별 세부 사항

지침 개정내용 산정방법 우선순위 및 분류 수정 제시 직접측정이 가능한 배출원 수정 제시 배출계수 상관관계식(배출계수법) → 직접측정법 (우선순위 상향) 직접측정이 가능한 배출원 수정 제시 상세 장치종류(맨홀, 샘플링연결부, 개방식라인) 변경 제시 “배출원의 수”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방법 추가 세부 장치종류를 제시하여 배출원 수 누락 방지

지침 개정내용 (계속) 측정 불가능한 범위의 산정방법과 조건 추가 비누용액을 이용하는 누출여부 확인사항 추가 누락방지를 위한 측정 불가능 장치의 범위와 산정방법 제시 비누용액을 이용하는 누출여부 확인사항 추가 누출기준배출계수 적용시 비누용액 사용기준 추가 누출여부 감시활동 근거자료 확보와 검지기를 이용한 측정결과 신뢰도 검증과 절차 추가 신뢰도 검증 및 절차, 측정기별 RFm 적용방법 제시

1. 산정방법 우선순위 및 분류 (수정) 배출량 산정 우선순위 ① 배출계수법 배출계수법의 종류 - 평균배출계수 As-Is To-Be 배출량 산정 우선순위 ① 배출계수법 배출계수법의 종류 - 평균배출계수 - 누출기준배출계수 - 농도배출계수 - 배출계수 상관관계식 등 배출량 산정 우선순위 (70p.) ① 직접측정법 ② 배출계수법 직접측정법 - 검지기 평균측정농도를 이용한 상관관계식 적용 - 농도배출계수 등

2. 직접 측정이 가능한 장치 목록 (수정) 장치 종류 As-Is To-Be 장치 종류 - 밸브, 플랜지, 펌프봉인, 압력안전밸브, 압력조절밸브, 시료채취구 등 산정방법 - 배출계수법 장치 종류 (70p.) - 밸브, 플랜지, 압력안전밸브, 펌프봉인, 압축기봉인, 연결부 (커넥터), 맨홀, 샘플링연결부, 개방식라인, 공정배수구, 교반기 등 - 직접측정법 - 배출계수법

3. 배출원수 Counting 방법(1) (추가) ▣ 배관시스템에서의 “배출원의 수” 파악방법 (71p.) 다음과 같이 물리적 접근이 불가능한 배관시스템도 포함 - 파이프랙(Pipe-rack), 공간협소지역, 낙상사고 우려지역, 인슐레이션 장치, 고압/고열 위험지역, 고소지역, 폭발/화재 위험지역 등 Heater, 열교환기, Air Cooler, 샘플링설비, 오리피스, 각종 온도, 압력 측정장치 등 계기류의 설치 및 운영을 위한 Tubing Line 등 밸브, 펌프, 압력안전밸브, 압축기, 교반기 등에 부착된 부속 장치들도 별개의 장치 개수로 산정 - 밸브에 부착된 플랜지 - 압력안전밸브에 부착된 밸브, 플랜지 - 펌프에 부착된 밸브, 플랜지, 연결부 개방식라인, 공정배수구 등 - 압축기(Compressor)에 포함된 밸브, 플랜지, 연결부 등 - 샘플링장치에 포함된 밸브, 연결부 등 - 트랜스미터(Transmeter)에 포함된 밸브, 플랜지, 연결부 등 - 기타 이와 유사한 형태의 부속장치들

3. 배출원수 Counting 방법(2) (추가) ▣ 세부 장치종류 목록 (71~72p.) 장치종류 세부장치종류 밸브 Ball Valve Bellows Valve Butterfly Valve Block Valve Control Valve Gate Valve Globe Valve Needle Valve Orbit Valve Plug Valve Three Way Valve Angle Valve Twin Seal Valve Diaphragm Valve Check Valve Dump Arm Lever Emergency Vent Valve On-off Valve Air Operated Valve Solenoid Valve Auto Recirculation Valve Motor Operated Valve 펌프봉인 Pump Seal 압축기봉인 Compressor Seal 압력안전밸브 Pressure Relief Valve Vacuum(Pressure) Breaker 교반기 Agitator

3. 배출원수 Counting 방법(3) (추가) ① ③ ② ② ③ ④ ① ② ① ⑥ ⑤ ③ ⑦ Valve : 1, Flange : 2 PSV : 1, Flange : 2 Pump : 1, Flange : 6

3. 배출원수 Counting 방법(4) (추가) ① ③ ② ④ ⑤ ② ① ③ ① ③ ② ⑥ ⑦ Valve : 1, Connector : 2 Valve : 1, Flange : 2 Valve : 3, Connector : 4

4. 측정불가능 장치(1) (추가) ▣ 측정불가능 장치의 범위 (72p.) 파이프랙(Pipe-rack), 공간협소지역, 낙상사고 우려지역, 인슐레이션 장치, 고압/고열 위험지역, 고소 위험지역, 폭발/화재 위험지역 등 지리적 위치 또는 안전상의 이유로 인위적 접근이 불가능한 배관시스템

4. 측정불가능 장치(2) (추가) ▣ 측정불가능 장치의 배출량 산정방법 (72p.) 원칙적으로 누출기준배출계수를 적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하되 누출여부 점검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평균배출계수 적용이 가능하며, 예외적으로 다음과 같이 배출량을 산정할 수 있다. 측정 불가능한 장치의 대기오염물질로의 발생량 = 평균배출량 × 측정이 불가능한 장치 수 ※ 평균배출량(kg/년·개) = 직접측정 장치의 배출량(kg/년) ÷ 직접측정 장치 수(개) <평균배출량 적용조건> 측정 불가능 장치 수는 측정실적을 보유한 장치 수(이하, 직접측정장치) 의 3%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다만, 인슐레이션 장치를 포함할 경우엔 20%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직접측정 장치 수는 최소 1,000pts. 이상이어야 한다.

5. 누출기준배출계수 적용방법 (수정) 누출기준 배출계수 As-Is To-Be 누출기준 배출계수 - 월 1회 이상 육안으로 누출여부를 확인하고, 확인결과를 기록 보관하고 있는 경우 사용가능 누출기준 배출계수 (76p.) - 월 1회 이상 육안 또는 비누 용액으로 누출여부를 학인하고, 확인결과를 기록 보관하고 있는 경우 사용 가능 비누출계수 적용 - 육안 또는 비누용액 테스트 결과 가스누출이 발견되지 않았을 경우에 적용 누출계수 적용 - 육안 또는 비누용액 테스트 결과 가스누출이 발견되었을 경우에 적용

6. 누출여부 감시활동 근거자료 (추가) ▣ 배출량 산정결과를 객관적으로 뒷받침 할 수 있는 누출여부 감시활동 근거목록 확보 (73p.) 누출여부 감시활동 근거자료 목록 - 공정도(P&ID, PFD) - 비산배출원 배출량 산정근거 기록표 - 비산배출원 농도측정 기록부(엑셀 또는 DB형태로 보관 가능) - 육안점검 기록부(누출기준 배출계수 적용시) - 운전정보(혼합물, 가동시간 등) - 검지기 정보(검지기명, 물질별 RF값 등) - 기타 배출량 산정에 활용된 자료 - 산정근거 기록표

6. 측정결과 신뢰도 검증 (추가) ▣ 측정결과에 대한 교차검증을 통해 신뢰도 검증 (302p.) 측정결과 신뢰도 검증 - 모니터링(측정) 담당자와 감시자(Audits)와의 모니터링시 누출율(leak rate) 비교 - 측정회수는 교차검증을 포함하여 연 2회이상 실시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측정결과 신뢰도 검증 절차 ① 대상 Area를 선정 ② 임의의 표본 장치(Component) 선정 (일반적으로 100~200개가 적당) ③ 외부전문가 또는 내부 감시자와 측정담당자간 개별 모니터링 시행 ④ 측정회수는 모니터링 회수와 동일하게 진행 ⑤ 모니터링값 입력 ⑥ 누출율(leak rate) 산정 및 비교 시행 ※ 누출율 = 누출기준(ppm) 초과장치수 / 표본장치수 ※ 누출기준 : 일반적으로 VOCs물질의 경우 500ppm를 적용하나, 물질의 종류와 사업장의 특성에 따라 상이한 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 ⑦ 원인분석 및 조치 ⑧ 결과 기록 및 보존

6. 측정결과 가능 물질 및 검지기 (추가) ▣ 대상물질별 검지기 목록 및 측정농도 처리방법 (304p.) 구분 대상물질※ 검지기명 측정농도 처리방법 휘발성유기 화합물 벤젠, 톨루엔, 자일렌, 에틸렌 등 130종 MiniRAE2000 2020Pro MicroFID TVA-1000 실제농도=측정농도×RFm 휘발성무기 황화수소(H2S) VRAE 등 실제농도=측정농도 암모니아(NH3) 일산화탄소(CO) 염소(Cl2) 시안화수소(HCN) 불화수소(HF) IQ-350 등 브롬화수소(HBr) 염화수소(HCl) ※ 측정기기에 따라 측정가능 대상물질에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음.

참고. 배관시스템 산정방법 선택

워크시트 활용법 (1) - 출처 ▣ 화학물질 배출량조사 지원시스템 (http://ncis.nier.go.kr/tri) - 배출량산정 / 저감기술 → 공정별

워크시트 활용법(2) - 직접측정 ▣ 직접측정에 따른 워크시트 입력 예시

워크시트 활용법(3) – 농도 배출계수 ▣ 농도 배출계수 적용에 따른 워크시트 입력 예시

워크시트 활용법(4) – 누출기준 배출계수 ▣ 누출기준 배출계수 적용에 따른 워크시트 입력 예시

워크시트 활용법(5) – 평균 배출계수 ▣ 평균 배출계수 적용에 따른 워크시트 입력 예시

워크시트 활용법(6) - 제출 ▣ 워크시트 및 산정근거자료 첨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