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시대 교수법: 토의/참여 수업 조벽 2004. 10. 20 한양대학교.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價値 시장을 잘 파악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 제품의 사용자는 누구이며, 무엇을 하고, 어떤 환경에 있는지, 그리고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에 대한 관찰을 통해 소비자의 생활 패턴을 파악해야.
Advertisements

1 03 자동제세동기 활용으로 기적을 만들어요 ! 보건안전  상황제시 : 자동제세동기가 필요해요 !  자동제세동기는 어디에 있나요 ?  기억하세요 ! 자동제세동기 사용법 ( 동영상 )  자동제세동기 사용법, 잊지 마세요 !
1 나 를 지키고, 침 착하게 대처하려면, 반 드시 익혀야 하는 나 · 침 · 반 5 분 안전교육 (11 월 ) 01 체육시간 ! 자칫하면 큰 사고가 발생해요 ! 생활안전  상황제시 : 체육시간 다친 경험 이야기하기 !  학교안전수칙 1 탄 - 체육시간 전에 ( 동영상.
강의 SKILL-UP 과정 신 현 호. 2 교육 개요 Ⅰ Verbal, Document, Visual Presentation 성공적인 강의스킬 실현 - 학습심리 -HRD 개요 - 교수 설계 & 교안 작성법 지식 - 교수의 제기법 - 교수매체 활용 - 강의.
Internet Addiction Disorder
블룸의 교육목표분류학 (Bloom’s Taxonomy)
• 수학 • 6학년 나단계 • 7. 연비>1/9 홈 두 수의 대응 관계를 , 를 사용한 식으로 나타내기 수업활동 수업계획.
하나님의 말씀 죄에 대하여라함은 그들이 나를 믿지 아니함이요 요한복음 16장 9절 말씀 -아멘-
사회자와 참여자의 역할과 책임 토론 사회자의 주된 역할 객관적인 입장에서 토론이 원만히 이루어지도록 공정하게 토론을 진행
새시대 교수법 조벽 시대 이동에 따른 다섯 기본 교수법.
가치관 경매 게임 (PPT 다운로드).
인간다운 삶, 가치 있는 삶 1학년 1학기 3. 인간다운 삶의 자세 (1)인간다운 삶, 가치 있는 삶(1-2/8) 도덕
밥 파이크의 창의적 교수법.
SEOIL iBT 학생 버전/pbt와 ibt의 차이점/시험 시 주의사항/ 시험결과 안내 학부모 버전/ibt
PBL 점수: 총점 20점 개별 성찰 일지 6점 (3회- 회당 각 2점)
새시대 교수법 신임교수 생존 전략 조벽 경북대학교.
Windows Server 장. 사고를 대비한 데이터 백업.
새시대 교수법 Session 4 명확하게 설명하기 05FEBkp.
경영사례 및 영업협상 방법론.
잠재력의 발견
분석적 사고 (Analytical Thinking)
교육 교육목적: Why ? 교육내용: What ? 교육방법: How ?.
미국의 특별활동 교육 박지혜 황아름.
11장. 포인터 01_ 포인터의 기본 02_ 포인터와 Const.
몬티홀 문제 (Monty Hall Problem).
1. 현대 생활과 응용 윤리의 필요성 2. 윤리 문제의 탐구와 실천 3.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새시대 교수법 Session 6 선택 잘 하기 05FEBkp.
Self Leadership Course
2017년 4학년 1반.
Can Automatic Calculating Machine Be Said To Think?
Technology Strategy : An Evolutionary Process Perspective
말의 힘 풍영 초 등 학 교 교사 오은진.
6모둠의 면담 프로젝트 6모둠 : 김규동, 여명진, 이예린.
뇌를 자극하는 Windows Server 2012 R2
이야기를 듣고 앞뒤 내용 상상하여 말하기 말하기 듣기 4학년 1학기 2. 고운 꿈 아름답게 > 1) 이야기의 샘(1/9)
학교 홍보 광고문 쓰기1 최인호 선생님의 국어 수업.
초,중,고등학생 역량강화를 위한 GFAT& 맞춤형 진로탐색/자기주도학습
자기계발과 학습혁명의 Key! 마인드맵 세미나! 직장인을 위한 디지털 업무역량 강화 프로그램!
메모리 타입 분석을 통한 안전하고 효율적인 메모리 재사용
인생과 신앙을 푸는 열쇠 “EQ” - Emotional Intelligence
성령님은 무엇을 도와 주실까요? 이 세상을 만드신 분이세요 우리를 구원해 주신 분이세요 우리를 도와 주시는 분이세요
전북대학교 물 재이용 증진을 위한 범국민적 사고전환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College of Engineering
Problem-Based Learning
제 5장 교수설계의 실제 - ASSURE 모델 적용
말하기 ㆍ 듣기 2학년 2학기 5.마음을 전해요 >1)주고받는 마음 (2/4) 내 마음 전하는 말 하기.
마음이 아프세요? 무엇이 왜 우리 마음을 아프고 병들게 할까요?.
제10강 공무원 동기부여.
「 All children have strengths 」
Stress와 적응 Stress의 원인 Stress의 주요 유형 Stress 평가 요인 Stress에 대한 반응
Chapter 3. 성격 및 사회성 발달.
고등학생을 위한 성교육 7단원: 음란물, 나의 미래를 좀먹는다
바넘효과 [Barnum effect]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격이나 심리적 특징을 자신만의 특성으로 여기는 심리적 경향. 19세기 말 곡예단에서 사람들의 성격과 특징 등을 알아 내는 일을 하던 바넘(P.T. Barnum)에서 유래하였다. 1940년대 말 심리학자인.
음악 수업 & 수업 지도안.
햄버거가 만들어내는 사회·생태적 문제는?.
Boomers, GenX, and Millennials : Managing the Generations
BMC 한국경영인력연구원 2011년 자기 혁명/자기 혁신 제안서
강사 : 김연희 선생님 청강생 : 유영무 외 다수 ^^
강원 대학교 2003학년도 가을학기 담당 교수: 정기문
미시 경제학 강원 대학교 2005학년도 1 학기 담당 교수: 정기문.
자신의 브랜딩으로 사업자 모으기 Allyse Sedivy, 더블 프레지덴셜 다이아몬드 “당신의 꿈이 실현가능하다고
남편과 꼭! 같이 들어아야 하는 맞춤 태내기부모교육!
- 수학 - 5학년 나 단계 - 3. 도형의 합동 > (7) 7. 수준별 학습 수업 계획 수업 활동.
★나의 꿈! ☆ 6학년 2반 26번 최수인.
1. 강의 소개 컴퓨팅적 사고와 문제해결.
하나님의 말씀 오직 여호와는 참 하나님이시요 살아계신 하나님이시요 영원한 왕이시라 예레미야 10장 10절 말씀 -아멘-
[ 우수활용사례 – 수원 H학원 ] <학원 정보> 학원명 : H학원 위치 :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정자동
레크리에이션과 여가 배장섭.
급변하는 사회에서의 노년기 생애지침 한 경 혜 이 정 화 미국 펜실베니아 주립대학교 가족학 박사 현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장
교육 교육목적: Why ? 교육내용: What ? 교육방법: How ?.
이 은 Tyler 교육과정 개발 모형 이 은
Presentation transcript:

새시대 교수법: 토의/참여 수업 조벽 2004. 10. 20 한양대학교

토의/참여 수업 조벽 2004. 10. 20 1. 구슬리면 그런대로 잘 따라 준다. 2. 억지로 억지로 이끌어낸다. 한양대학교 상 1. 구슬리면 그런대로 잘 따라 준다. 2. 억지로 억지로 이끌어낸다. 3. 지들 맘대로 잘도 떠든다.

? 토론 수업의 장점 Instant feedback 연구 결과 위협적이거나 스트레스를 느끼게 하는 환경은 토론에 적합하지 않다. Making Connections: Teaching and the Human Brain, Renate Caine 웍샵 형태 (토론 + 참여) 세미나 형태 (일방적 강의) ?

토론 수업의 장점 Instant feedback 고등 사고력 강화 (meta-cognition) 학습 동기 부여 학생 중심 교육 실천

REVIEW 유능한 교육자의 최고의 강의는… 핵심특성 강의 기술 마음 자세 전문지식 1. 학생들을 위한 배려 2. 강의내용에 관한 지식 3. 흥미유발 4. 학생들에게 충분한 시간을 할애함 5. 토론을 장려함 6. 명확하게 설명하는 능력 7. 열의 8. 준비 유능한 교육자의 핵심특성 최고의 강의는… 새로운 정보를 알려준다. 어려운 개념들을 설명하고, 명료화하고, 정돈한다. 배움에 대한 존중심을 고취시킨다. 믿음과 생각하는 방법들을 다시 생각토록 한다. 더 깊게 학습하기 위한 열정과 동기를 부여한다. 강의 기술 마음 자세 전문지식 명확하게 설명하는 능력 준비 흥미 유발 토론을 장려함 강의 내용에 관한 지식 충분한 시간을 할애함 열의 학생들을 위한 배려 조벽교수의 명강의 노하우와 노와이, 조벽, 해냄, 2001.

Process which make students’ thinking visible to themselves Meta-cognition 어려운 개념들을 설명하고, 명료화하고 정돈한다 전문지식 강의 기술 명확하게 설명하는 능력 준비 흥미 유발 믿음과 생각하는 방법들을 다시 생각토록 한다 새로운 정보를 알려준다 토론을 장려함 강의 내용에 관한 지식 학생들을 위한 배려 열의 배움에 대한 존중심을 고취시킨다 열정과 동기부여를 육성한다 충분한 시간을 할애함 마음 자세 조벽교수의 명강의 노하우와 노와이, 조벽, 해냄, 2001.

REVIEW 강의 내용이 기억에 남는 비율 읽기 듣기 보기 보기와 듣기 보기와 말하기 말하기와 행동하기 10 % 26 % 30 % 50 % 70 % 90 % 토론 수업 - 가장 저렴하고 효과적인 방법 가르치기 100 %

REVIEW 효과적인 강의 준비하기 수업 시간에 … 내가 무엇을 할 것인가 학생들로 하여금 무엇을 하게끔 할 것인가 학생중심교육 사고관

토론 수업의 단점 썰렁해지기 쉽다. (품질이 없다.) 옆으로 빠지기 쉽다. (컨트롤이 없다.) 소수에 독점되기 쉽다. (참여가 없다.) 시간 낭비하기 쉽다. (진도를 나갈 수 없다.)

교수 중심 교육 단체여행 개별적 배낭여행 학생 중심 교육

토의 수업의 효과성 토론 효과 10 20 30 40 50 60 학생 수

일분 퀴즈 이 시간에 배운 것 중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은 무엇입니까? 2. 어떤 부분이 가장 혼동스럽습니까?

Classroom Structure that Encourages Student Participation Group discussion Buzz group Panel discussion Symposium discussion Debate discussion Experience discussion Concentric circle Reaction sheet Phillips 66 Reverse thinking Role playing Picture making Brain-storming Discussion Format Discussion Type General Guided Reflective Inquiry Exploratory Bergquist, W.H. & Phillips, S.R. (1975). “Getting Students involved in the classroom”, in A Handbook for Faculty Development. Council for the Advancement of Small Colleges, in association with the College Center of the Finger Lakes, Washington, D.C. http://www.dal.ca/~ctl/structures.html

토의/참여 수업 3. 질문 4. 반응 5. 동기 2. 두뇌 개념 1. 자기 개념

선생님께서 가장 자주하는 질문 질문이 들리지 않았다 주의집중 하지 않았다 질문을 이해하지 못했다 답을 모른다 답할 필요를 느끼지 않는다 대답하고 싶지 않다 “이것 이해 못한 학생 있어요?” 질문 없습니까? 이해합니까? 학생들이 잘 대답하지 않는 질문

질문의 종류 1 1. 어떤 종류의 답이 가능한가? 정답이 딱 하나 존재함. 닫힌 질문 정답이 몇개 존재함. 수렴적 질문 몇년도에 삼국이 통일되었습니까? 정답이 몇개 존재함. 수렴적 질문 어느 장군이 공을 세웠습니까? 정답이라고 볼 수 있는 답이 여럿 있음. 발산적 질문 당나라의 역할을 무엇이었습니까? 열린 질문 정답, 오답이 아예 존재하지 않음. 만약 고구려가 삼국을 통일하였다면...?

질문의 종류 2 2. 어떠한 수준의 교육목표 달성도를 요구하는가? 불룸의 교육 목표 분류법 지 식 이 해 응 용 분 석 종 합 판 단 불룸의 교육 목표 분류법

질문의 종류 3 3. 누가 질문하고 누가 대답하는가? 교수 교수 교수 학생 학생 교수 학생 학생

질문의 삼차원 열린 질문 지 식 이 해 응 용 분 석 종 합 판 단 발산적 질문 수렴적 질문 닫힌 질문 교수 / 교수 교수 / 학생 학생 / 교수 학생 / 학생 © 1995 Peck Cho

New York: Jold Rinehart and Winston. 대학생들의 지적(인지) 발달 단계 평가 환경, 배경, 조건 고려 “What if…” 판단 결심 객관적 개념 선택에 대한 책임 상대론 정답! 다중성 흑백논리 이원론 Perry, W. G. Jr (1970) Forms of Intellectual and Ethical Development in the College Years: A Scheme. New York: Jold Rinehart and Winston.

다른 모양과 공통점이 없는 유일한 모양새는? (1) (2) (3) (4) (5)

토의/참여 수업 3. 질문 4. 반응 5. 동기 2. 두뇌 개념 1. 자기 개념

대답 유도하기 질문을 한 후 반응을 반드시 받아낸다. (1) 반응이 나올 때까지 기다린다. (2) 대답이 나올 수 있도록 다시 질문한다. (3) “단골” 틀린 답을 제시한다. (4) 말의 “물꼬”를 열어 준다. (5) 부담을 줄여 준다.

반응 보이기 1 모호함 과분/과장 구체적임 적절한 대답을 했을 경우 칭찬한다. (1) 좋다. (2) 잘했다. (3) 야, 천재적인 발언이다. (4) 귀신같이 알아 맞췄네. (5) 예를 들어 주어서 좋다. (6) 이유를 말해 주어서 좋다. (7) 간단히 요약해 주어서 좋다. (8) 질문의 본질을 정확히 파악했네요. 모호함 과분/과장 구체적임

반응 보이기 2 학생이 대답을 잘 못했을 때 격려해 준다. 틀렸어! 아닙니다. 다른 대답은 없나요? 그렇게도 생각할 수 있지만 내 질문은 ….였습니다. 그 대답과 이것을 연결하면 좀 더 정확한 대답이 나올 수 있습니다. 틀림에 강조 부정적 판정 판정 회피

정사각형이 모두 몇 개 보입니까?

학생들이 가장 듣기 싫어하는 말 “야, 그게 말이나 되냐?” “그렇게밖에 생각이 안 돼?” “어쭈, 제법이네.” “니네들 한테 답을 기대한 내가 잘못이지.”

반응 보이기 3 학생이 질문을 파악하지 못하고 엉뚱한 대답을 했을 경우에 순발력을 발휘한다. 내 질문이 조금 모호했던 모양이네요. 질문은 ….. 였습니다. 뒤에 앉아 질문이 잘 들리지 않았군요. 질문 탓 주변 환경 탓

반응 보이기 4 학생이 대답을 했을 때 다른 학생이 반응(코멘트)을 보이게끔 한다. “이 대답이 맞습니까?” “이 대답이 타당합니까?” “왜 맞다고 확신합니까?” “왜 틀렸다고 생각합니까?”

선생님이 질문하고 스스로 답하면 최하급 강의 선생님이 질문하고 학생이 답하면 조금 발전한 강의 학생이 질문하고 선생님이 답하면 바람직한 강의 학생이 질문하고 학생이 답하도록 유도하면 최상급 강의

토의/참여 수업 3. 질문 4. 반응 5. 동기 2. 두뇌 개념 1. 자기 개념

자기 개념 사장 장군 기술자 사회자 코치 소크라테스 관광안내자

교육자 학생 기술자 사장 소크라테스 코치 사회자 기계 직원 우맹 선수 참여자 장군 졸병 관광안내자 관광객 主管 注入 수동적 능동적 主管 注入 후원 자문 주관, 주입

기술자 사장 소크라테스 코치 사회자 기계 직원 우맹 선수 참여자 교육자 학생 장군 졸병 관광안내자 관광객

기술자 사장 소크라테스 코치 사회자 기계 직원 우맹 선수 참여자 교육자 학생 장군 졸병 관광안내자 관광객

기술자 사장 소크라테스 코치 사회자 기계 직원 우맹 선수 참여자 교육자 학생 장군 졸병 관광안내자 관광객 고객 서비스

경제 개념 교육 개념 정체성 혼동 행정마비 수요자 중심 학생 중심 소비 중심 학습 중심 위기 의식 자유 시장 자유 관리 병 교수노조 분쟁 고립 갈등 자기방어 저항 절망

토의/참여 수업 3. 질문 4. 반응 5. 동기 2. 두뇌 개념 1. 자기 개념

대학생 절반 “하루 1시간도 공부 안한다” [조선일보 2004-04-05] 한양대 학생생활상담연구소가 지난해 입학한 학생 1천9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절반에 가까운 520명(47.6%)가 “하루에 공부를 거의 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벌 조롱 “이것 했어야지…” 위협 “이것 하지 않으면...” 학대 “이것 해!” 선택권 없음 PUNISHMENT

벌 동기 종류 PUNISHMENT 선택여지 없음 루즈-루즈 절망

상 (賞) REWARD 보상 “이것하면, 저것 준다.” 선물 “(이것 하면) 저것 준다.” 뇌물 “이것 하면 (저것 준다).” 조건부 선택 REWARD

벌 상 동기 종류 PUNISHMENT REWARD 조건부 선택 윈-루즈 스트레스

Brain-based learning Responsible for rote learning tasks Taxon Memory No imagination or creativity required Use what is memorized Motivate by punishment & reward Taxon Memory Responsible for instant memory of experience Responsible for big picture. It is global Automatic and always operating Motivate by novelty Locale Memory (spatial) autobiographical www.fcae.nova.edu/~turgenom/bbl.html

Extensive research data show that “carrots and sticks” seems to work in the short run and in assembly lines, but it is a strategy that ultimately fails and even does lasting harm. Our workplaces and classrooms will continue to decline until we begin to question our reliance on a theory of motivation derived from laboratory animals. Houghton Mifflin, 1999

벌 상 희망 HOPE 동기 종류 PUNISHMENT REWARD 루즈(lose) - 루즈(lose) 지식 정보 합의 HOPE 동기 종류 PUNISHMENT REWARD 루즈(lose) - 루즈(lose) 윈(win) - 루즈(lose) 윈(win) - 윈(win) 절망 스트레스

Cziksentmihalyi Flow experience “몰입의 즐거움”, 해냄

벌 상 희망 선택 자아실현 자아존중 소속감 윈-윈 안전 신체적 안전 희망 동기 종류 PUNISHMENT REWARD HOPE 매슬로의 동기(욕구) 피라미드

‘Guide on the side’ (인도) 구시대 일부러 살 빼기 위해 굶는 시대 자아성취 기회 보장 기회의 평등화 정신적 빈곤 새 시대 ‘Guide on the side’ (인도) 시대 자칫 잘 못하면 굶어 죽던 시대 학생들은 이미 2만 불 시대에 살고 있음 4만 불 시대의 비전이 필요함 교육의 역할 최소한의 생계 보장 ‘평등화’ 개념 결과의 평등화 문제점 물질적 빈곤 방법 ‘Sage on the stage’ (주도)

동기부여 교수법 희망

토의/참여 수업 3. 질문 4. 반응 5. 동기 2. 두뇌 개념 1. 자기 개념

토의/참여 수업 3. 질문 4. 반응 5. 동기 2. 두뇌 개념 1. 자기 개념

두뇌의 개념 Empty vessel Empty vessel Waiting to be filled Passive Inert Deterministic

두뇌의 개념 Tabula rasa Empty canvass Waiting to be filled Passive Inert Deterministic

두뇌의 개념 L R Sperry and Bogan 1970 Two hemispheres Left – logic Right - arts

두뇌의 개념 L R A D B C Ned Hermann The Creative Brain Cerebral 1988. 합리적 실험적 Limbic 계획적 감성적 B C

Multiple Intelligence 두뇌의 개념 Multiple Intelligence Howard Gardner Multiple Intelligence 1993 Linguistic Kinesthetic Spatial Logical Musical Interpersonal Intrapersonal

두뇌의 개념 Mel Levine “One Mind at a Time” 2002. 고등 사고력 사회적 사고력 언어 메모리 주의력 운동 신경 메모리 고등 사고력 사회적 사고력 언어 메모리 주의력 운동신경 시간적 질서 공간적 질서 사회적 사고력 언어 시간적 질서 공간적 질서 고등 사고력

두뇌의 개념 컴퓨터 An information processor Creating Storing Manipulating data

두뇌의 개념 정글 An ever-changing organism Living Chaotic Interdependent Flexible Self-adjusting The Human Brain: A Guided Tour, Susan A Greenfield http://www.users.dircon.co.uk/~litrev/199707/15.html

참여 - active 토론 - verbalization 실습 - immersion Brain-based learning Problem-based learning Student-centered learning Learning-centered teaching Experiential learning 참여 - active 토론 - verbalization 실습 - immersion

행동주위 기능주위 인지발달 정서발달 정신운동발달 20세기 교육학 뇌과학 CAT PET MRI fMRI 21세기 교육학 심리학 행동주위 기능주위 인지발달 정서발달 정신운동발달 Computerized Axial Tomography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Magnetic resonance imagery functional resonance imagery 동물 실험 Longitudinal study 관찰 평가

심한 경우 “색안경 끼고 보기” 합리화 (RATIONALIZATION) 편견 (Bias) 공상 선입견 (Prejudice) (FANTASY) 합리화 (RATIONALIZATION) 현실부정 (DENIAL OF REALITY) 심한 경우 “색안경 끼고 보기” 편견 (Bias) 선입견 (Prejudice) 왜곡 (Distortion) 선택적 인지 (Selective perception)

경고 미국은 이렇다! ****** 믿지 마세요. ****** ****** 믿지 마세요. ****** 조벽: 교육부 전체 직원 초청강연, BK21 사업 “대학원중심대학 정책과 전망”, 1999. 3. 2

USA

QUIZ: 미국 사회의 빛과 그림자 1. 몇 년도에 찍은 사진일까요? (백인들로부터 린치를 당한 흑인) (ㄱ) 1800년대 – 미국 독립 직후 (ㄴ) 1850년대 – 남북전쟁 직전 (ㄷ) 1900년대 – 자동차 시대 초 (ㄹ) 1950년대 – 한국전쟁 직전

QUIZ: 미국 사회의 빛과 그림자 2. 미국에서는 매해 몇 명이 살인을 당할까요? (인구 몇 명당 한 명) (ㄱ) 1,000,000:1 (ㄴ) 500,000:1 (ㄷ) 100,000:1 (ㄹ) 10,000:1

QUIZ: 미국 사회의 빛과 그림자 3. 미국인 중에 노숙자는 몇 명 정도 될까요? (ㄱ) 3,000 (ㄴ) 30,000 (ㄱ) 3,000 (ㄴ) 30,000 (ㄷ) 300,000 (ㄹ) 3,000,000 힌트: 미국 뉴욕시 인구 수 ~ 9,000,000

QUIZ: 미국 사회의 빛과 그림자 4. 미국 여성들이 몇 년도부터 대통령 선거 투표를 하기 시작했을까요? (ㄱ) 1820년대 – 미국 몬로 독트린 무렵 (ㄴ) 1860년대 – 미국 남북전쟁 무렵 (ㄷ) 1920년대 – 미국 대공황 무렵 (ㄹ) 1960년대 – 미국 베트남 전쟁 / 히피 무렵

QUIZ: 미국 사회의 빛과 그림자 5. 미국의 과체중 성인 인구는 얼마나 될까요? (ㄱ) 130,000,000 (65%) (ㄱ) 130,000,000 (65%) (ㄴ) 66,000,000 (33%) (ㄷ) 43,000,000 (22%) (ㄹ) 15,000,000 (7.5%) 힌트: 미국 성인 인구 수 200,000,000

“관찰 잘 하기” 열린 마음 (객관적 관찰, 판단 보류) 풍부한 자료 (지식, 정보, 데이타) 배움의 자세 (순수함, 진지함)

? 연구 결과 위협적이거나 스트레스를 느끼게 하는 환경은 토론에 적합하지 않다. 웍샵 형태 (토론 + 참여) 세미나 형태 Making Connections: Teaching and the Human Brain, Renate Caine 웍샵 형태 (토론 + 참여) 세미나 형태 (일방적 강의) ?

CONSTRUCTIVIST LEARNING DIRECT INSTRUCTION 교육자 학생 수동적 능동적 主管 注入 후원 자문 기술자 기계 장군 졸병 사장 직원 관광안내자 관광객 소크라테스 우맹 코치 선수 사회자 참여자 CONSTRUCTIVIST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