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환자 및 응급의료체계 혜천대학 사회복지과 김 대 경 교 수
응급환자 불의의 사고나 기타 위급한 상황 하에서 즉시 처치를 하지 않으면 생명을 보존할 수 없거나 중대한 합병증을 초래하는 환자라고 되어 있으나, 현실적으로 의료인이 확인하기 전까지는 응급의료체계 내에 도움을 요청하거나 응급실에 내원한 모든 환자는 응급환자
응급 의료 체계 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
응급의료체계의 정의 Emergency Medical Service (EMS) System 응급의료를 지역사회에 효과적으로 적용시키기 위한 사회적 조직망 응급환자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하여 관련된 인력, 장비, 자원을 조직적으로 운영하는 체계
응급의료체계의 역사적 배경 전쟁과 더불어 발전
외국의 응급의료체계 미국 체계 일본 체계 프랑스 체계 영국 체계 스웨덴 체계
응급의료체계의 역사적 배경 미국 우리나라 1950년대 : 장의사 1960년대 이후 : 국가 지원의 조직 운영 1970년대 : 전국적인 응급의료체계 실시 우리나라 6.25 : 민간 구급차 서비스 시작 1982년 : 119 구급대 창설 1988년 : 서울 올림픽 의무지원 1989년 : 응급의학 수련제도 시작 1991년 : 129 정보센터, 응급의료센터 1994년 : 응급의료법 제정 1995년 : 1, 2급 응급구조사 배출 1996년 : 응급의학 전문의 배출 시작
응급의료와 관련된 우리 나라의 주요 사건 1978 : 의료보험제도 실시 1990 : 응급의료체계 구축에 관한 대통령 담화 1979 : 야간 응급환자 신고센터 당직제 운영(의협) 1991 : 응급의료관리 규칙 공포(보사부) - 응급의료 지정병원 및 구급차 기준 등 1980 : 대한구급의학회 창립(Korea Society of Critical Medicine) 1992 : 심폐소생술 표준화 작업을 위한 회의 응급구조사 수습기준안 발표 응급간호 분야의 창립 1982 : 119구급대 장설 1993 : 적십자에서 응급구조사 교육실시 1986 : 아시안 게임 의무지원 1995 : 응급의학과 전문의 제도 신설(보사부) 1988 : 올림픽 및 장애자 올림픽 지원 1996 : 제 1회 응급의학 전문의(51명) 배출 1989 : 대한응급의학과 창립(Korea Society of Emergency 응급의료체계 구축에 관한 조사연구(보사부) 전국민 의료보험 및 의료전달체계 실시 응급의학과 전공의 제도도입 교통사고예방법 및 대비책 회의
응급의료체계의 활동 단계 병원 전단계 (Prehospital stage) 병원 단계 (Hospital stage) 현장단계 : 출동 및 현장 처치 이송단계 : 이송 및 이송 중 처치 병원 단계 (Hospital stage) 응급실 내 응급 처치 전문적 집중 처치
응급의료체계의 15가지 요소 전문 인력 교육 통신체계 환자 이송 방법 응급의료기관 집중처치기관 공익안전단체 일반인 참여 신고체계 이송체계 의무기록표준화 일반인 홍보 및 교육 응급의료체계평가기관 재해대책수립 상호협력체계
응급의료체계 요소 전문인력 일반인 (lay person) 최초 반응자 (first responder) : 경찰, 소방, 각종 안전요원 전화상담원 (dispatcher) 응급구조사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 1급, 2급 응급간호사 (emergency nursing) 응급의학전문의 (emergency physician)
의료 통제 (medical control) 직접 통제 (direct) 의사와의 유, 무선 통화 간접 통제 (indirect) 사전 훈련, 지침서 활용 응급 처치 활동 상황 기록 검토
응급의료체계 요소 장비 응급 의료 장비 : 이동성, 경량, 자체전원 통신 장비 원거리 이송 장비 자동제세동기, 호흡보조장비, 외상처치장비, 환자이송장비 통신 장비 원거리 이송 장비 일반구급차, 특수구급차, 헬기 또는 비행기, 구급선박
응급의료체계의 진행단계 목격자에 의한 환자 발견과 기본 처치 응급전화에 의한 응급의료체계의 반응 응급의료요원에 의한 현장 처치 응급의료요원에 의한 전문 인명구조술과 이송 응급실에서의 응급처치 조직의 구성 및 토론 계획수립, 교육, 평가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