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케이션 핵심이론> 14장. 배양 이론.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조문수 최성현 정장일 최봉건 청소년 성착취.
Advertisements

노인복지론 담당교수 : 최 병태 교수님 학과 : 보건복지경영학과 학번 : 이름 : 김 태인 날짜 :
 사 회  4 학년 2 학기  2. 가정 생활과 여가 생활 > 2. 여가 생활의 변화 ( 7-8 /13 ) 윷놀이와 컴퓨터 게임.
인권 ( 人權 ) 을 통한 사회복지실천 정 수 홍 Through the Human Rights.
경기케어센터 산재의료관리원 강원케어센터 진폐장해인을 위한 전문복지시설 강원케어센터. 경기케어센터 순서 강원케어센터 강원케어센터 소개 1 시설현황 2 이용안내 3 입소절차 4 주요서비스 5.
북한기도제목 1 월 1 주 (1/1-1/7). 1. 북한정치 - 북한의 대남정책 전반을 관장하는 김양건 북한 노동당 비서 겸 통일전선부장이 교통사 고로 지난 29 일 사망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30 일 보도했습니다. 한편 김양건 노동당 비 서의 죽음이 의도적인 암살 가능성이.
파리바게트의 기업이미지 주요 타겟 라이벌 기업 광고 방법 광고 INDEX 1. 파리바게트의 기업이미지 파리바게트 의 기 업이미 지 신선한 원료로 갓 만든 “ 건강한 빵 ” 프랑스의 지명 ’ 파리 ’ + 전통 빵 ’ 바게트 ’ 가 합쳐진 브랜드명 그 대로 유럽전통 베이커리에서.
Ⅲ 스포츠 축제 문화 3. 스포츠 미디어와 스포츠 산업. 스포츠 미디어의 종류 : 인쇄 매체, 방송 매체, 디지털 매체 - 인쇄 매체 : 종이에 단어와 이미지를 담아 의사를 전달하는 신문이나 잡지, 책이나 카탈로그 등을 포함하는 활자 중심의 매체 - 방송 매체 : 영상과.
정부의 전통시장 지원사업 전략및조직관리 이미진. INDEX. 1. 전통시장이란 3.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2. 정부의 전통시장 지원사업.
GMO 이해와 대응. 1. GMO 란 ? 2. GMO 의 세계적, 국내적 현 황 3. GMO 의 문제점 & 이슈 4. 우리 삶 속에 미치는 영향 6. 그렇다면 우리는 ?
1. 사고사항 2. 배상책임 유무 동 사고는 음식물을 공급한 우리김밥의 음식물 하자로 인하여 발생한 사고이므로 피해자에게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으며, 피해자의 음식물 관리상의 하자는 없다고 판단되므로 피해자 과실 없음 3. 피해자 인적사항 및 예상손해 사항 4. 합의사항.
5월 교육 일정표 교육 일정 일 월 화 수 목 금 토 교육 준비 및 기획
표어 : 온 집으로 더불어 하나님을 경외하자(행10:2)
朝鲜语视听(一) 辽宁省教育软件大赛参赛作品.
초등학생들이 좋아하는 웹툰 우리반학생들이 많이보는 웹툰.
일 시 : (목) 장 소 : 1층 도서관 대 상 : 3학년 4반 (36명) 지도교사 : 박 병 진
금호타이어 광고에 대한 오류. 항만물류학부 물류운영정보전공 박기훈.
사회의 사람들을 이어주는 망과같은역할을 하는 서비스를 SNS라고 한다.
상품 제안서 ■ 상 품 명 : ■ 협력사명 : 이노비즈협회 (주)공영홈쇼핑.
안식일을 기억하여 거룩한 날로 지켜라 출애굽기 20장 8절 말씀 -아멘-.
4월 부모교육 - 유 아 기 - 00초등학교병설유치원.
익명성으로 인해 개인적 정체감 약화 몰개성화 LeBon의 군중심리에서 유래
사회심리학 2006/07/11 김덕원.
Perceptual Process (지각과정)
특허제목 :위치기반 상점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
장애인의 소득보장 서비스 1.
재난 안전.
목차 INDEX 1. 회원가입 및 로그인 2. 업체정보 3. 제조검사 신청 4. 인보이스 5. 검사진행현황(현장검사 신청)
대안교육과 대안학교 [ 공 연 의 상 학 과 ] 고은경 김남희 송예민 이초희 장혜경.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이해하는 마음 갖기
(생각열기) 비가 그칠 때 생기는 무지개는 몇 가지 색이 나타나는가? 그 원인은??
과거,미래,현재의 아동관 -아동 학대- (4조).
무역과 마케팅 전략 국제마케팅의 의의와 유형 국제마케팅 전략.
1. 영유아 수학교육의 개념 및 중요성.
경찰조직관리론.
나의 커리어플랜 6학년3반 최 은 진.
노인의 건강사정 학습목표 -노인의 건강 사정 요소를 인식.
예수회 정신과 사회 사도직 현장의 연결 박문수 2013년11월2일 사회 사도직 확대 모임.
과학적 관리론 과 목 명 :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교 수 명 : 홍성훈 교수님 학 과 : 유아교육과 학 번 :
샤를의 법칙 과학 1 학년 1 학기 5.분자의 운동 >풍선도 추우면 움추러드나(4/4) ) 단원명
1) 화가 이중섭 (작품 세계) 국어 중학교 1학년/2학기 1.능동적으로 읽기> 1)화가 이중섭 (2/6) [화면 소개]
비만에 관하여 장 덕 고 등 학 교.
구두 광내기 교수 설계론 1차 보고서 – 박 소 연.
강의 자료 교육행정이론의 발달과정.
강의 프레젠테이션 현대 사회와 미디어 11강. 매스 미디어와 정치.
강의 프레젠테이션 현대 사회와 미디어 12강. 미디어 문화.
사회복지행정론 총정리(1).
절복은 왜 하는가 ◑ 안녕하세요. 입니다. 오늘은 절복은 왜 하는가에 대해서 여러분과 함께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지부 지구.
제2부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이해 제7장 지역사회복지실천기술 Ⅰ
제 1 장 조직행동 의미와 역사적 흐름.
수 업 계 획 1. 단원지도계획 2. 수업설계서 3. 학습지 4. 형성평가지 5. 참고자료 6. 참고사이트 7. 제작자
(1) 자아의 발견과 실현 도 덕 1학년 1학기삶과 도덕 Ⅰ. 삶과 도덕 2. 개성신장과 인격도야 [제작의도] [활용방법]
하나님의 말씀은 나를 변화 시켜요!! 스가랴 9장9절 말씀 -아멘- 보라! 네 왕이 임하 나니 그는 겸손 하여서 나귀를 타나니
아내 학대와 사회복지 실천 안종회.
01. ‘한글뷰어’ 설치 전 준비사항.
도 덕 1학년 1학기 1. 삶의 의미와 도덕 (2) 양심과 도덕 양심과 도덕 첫화면.
한 학기 한 권 읽기 - 책을 읽고 생각을 나누어요 - 4-2학기 독서단원
하나님의 말씀은 나를 변화 시켜요 죄와 사망의 성령의 법이 법에서 여러분을 해방 시켜 주었습니다 로마서 8장2절 말씀 –아멘-
12장 문화와 사회계층 작성자: 이학식, 안광호, 하영원.
스마트 에듀모아 News Letter_10월을 마치며
파동의 굴절 알아보기 과 학 1 학년 ⅩⅡ. 파동 > 3. 파동의 전달 ( 8/8 ) [초기 화면]
과목명: 고전문학 특강 학번: , 이름: 황인대, 윤정아 담당교수: 변승구 교수님
책을 읽읍시다  탈향 진지하게 설명해드림 1303 김소희 1309박지호 1315이지수.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의사소통.
기술가정 1학년 1. 나와 가족의 이해 > 1. 청소년의 특징 ( 5 / 6 ) 청소년기 사회적 발달 수업계획 수업활동.
2) 숨쉬는 영정 국어 중학교 1학년/2학기 6.문학과 독자 > 2) 숨쉬는 영정 (4/6) [화면 소개]
2016년 제1차 운영위원회 평택시건강가정 ∙다문화가족지원센터
+ Red Circle 심뇌혈관질환의 정의 ‘건강한 혈관’ 건강한 혈관을 지키는 레드써클 캠페인!
소리의 발생과 전달 과 학 1 학년 ⅩⅡ. 파동 > 2. 소리와 파동 ( 4/8 ) [초기 화면]
건강증진 행위 개론 -건강증진의 개념
Presentation transcript:

<커뮤니케이션 핵심이론> 14장. 배양 이론

생각해보기 1. 하루에 TV를 보는 시간이 어느 정도인가? 옆사람과 비교해보고 평균이상인지 이하인지 알아보자. 2. 여러분은 자신의 안전문제에 대해 관심이 많은 편인가? 3. 여러분이 폭력사건에 연루되거나 폭력의 희생물이 될 위험이 있다고 생각하는가? 4. 여러분이 생각하기에 주위의 사람들이 믿을만하다고 보는가?

배양 이론의 개념과 전제 ◈ 배양이론 ◈ 배양이론의 전제 ◈ 배양이론 1970년대와 1980년대 거브너(G.Gerbner) 교수에 의해 개발된 중범위 이론의 하나로서 ‘문화계발효과이론’ 또는 ‘문화규범이론(cultural norm theory)’이라고도 불림. - 대중 매체의 현실구성 효과를 설명하는 이론임. ◈ 배양이론의 전제 ① TV는 미국 사회의 가장 중심적인 문화무기이다. ② TV는 많은 시간동안 다양한 이야기를 전달하는 가족의 주요 구성원이 되었다. ③ 4시간 이상 중시청자는 TV를 통해 정보, 지식, 기타 의식의 원천들을 포섭당한다. ④ 동일 메시지에 대한 노출은 계발 효과를 가지거나 보편적 세계관, 보편적 가치관을 생산한다.

배양 이론의 개념과 전제 ◈ 배양이론의 장점 거시적인 이론과 미시적인 이론을 결합하였다. ◈ 배양이론의 장점 거시적인 이론과 미시적인 이론을 결합하였다. TV만의 독특한 역할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하고 있다. 실증적 연구를 광범위한 인본적 가정에 적용시켰다. 효과(effect)라는 개념을 관찰 가능한 행동 변화 이상으로 재정의했다. 광범위한 효과 이슈에 이론을 적용할 수 있다. 사회 변화에 대한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 ◈ 배양이론의 단점 방법론적으로 다소 문제가 있다. TV 내용이 모두 동질적이라고 가정하고 있다. TV 중시청자에게 초점을 맞추고 있다. TV만큼 많이 이용하지 않는 미디어에 적용하기는 어렵다.

미디어의 배양 효과에 대한 연구 과정과 배경 ◈ 미디어의 문화적 효과 연구 ◈ 미디어의 문화적 효과 연구 1920년대와 1930년대에 미국의 페인재단(Payne Fund)에서 영화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폭력 효과 연구에 재정지원 1950년대에는 만화책의 영향 1960년대에는 담배와 알콜의 TV 광고 효과 드플로(Melvin DeFleur)에 의해 문화규범 이론(cultural norms theory)이라는 이름 하에 연구가 가속화 1967~1968년, 미국 폭력원인예방위원회(National commission on the Causes and Prevention of Violence) 조직 배양 이론의 주창자거브너가 참여 1972년, TV와 사회적 행동에 대한 보건성과학조사연구위원회 (Surgeon General’s Scientific Advisory Committee on Televi -sion and Social Behavior)를 구성

거브너의 폭력 효과 연구 ◈ TV 프로그램의 폭력지수(violence index) 폭력지수 산출 과정 ① 폭력 일반성의 측정치: 분석 대상으로 표집된 모든 프로그램들 중에서 폭력적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프로그램의 백분율 ② 폭력적 에피소드들의 빈도와 비율: 프로그램의 분석단위들 및 시간적 단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 폭력적 행위들의 빈도와 비율 ③ 폭력자, 희생자 또는 폭력자 겸 희생자의 배역을 맡고 있는 인물들 수 : 프로그램에서 폭력을 가하는 폭력자, 폭력을 당하는 희생자 또는 폭력을 가하는 동시에 당하는 배역을 맡고 있는 인물들의 수 또는 백분율 거브너의 연구결과 네트워크 프로그램의 80%에서 폭력적 행동을 발견 미국 내에서 발생하는 범죄 중에서 살인, 강간, 약탈 등과 같은 폭력범죄는 실제는 10%였으나, TV는 77%로 나타남.

거브너의 폭력 효과 연구 ◈ 배양 효과 폭력물이 수용자에게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수용자 조사 질문 ◈ 배양 효과 폭력물이 수용자에게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수용자 조사 질문 ① 폭력에의 관여 기회 ② 밤에 혼자 걷는 것에 대한 공포 ③ 경찰행위에 대한 인지 ④ 사람들에 대한 일반적 불신 ◈ 연구 결과 각각의 질문에 대한 응답은 텔레비전에서 마찬가지로 실제와 매우 다른 비율을 보임. 중시청자와 경시청자가 서로 다른 전형적인 대답을 하는 경향이 나타남. 거브너의 결론: 폭력행동의 잦은 묘사는 시청자들에게 실세계의 폭력발생 에 대해 과대평가하게 하게 만든다

거브너의 폭력 효과 연구 ◈ 주류와 공명 거브너는 배양 효과가 실제적으로 어떤 과정을 거쳐 나타나는가를 ◈ 주류와 공명 거브너는 배양 효과가 실제적으로 어떤 과정을 거쳐 나타나는가를 주류화(mainstreaming)와 공명(resonance)이라는 개념으로 설명 주류화 (mainstreaming) - TV가 계발시키는 경향이 있는 모습의 상대적 공통성을 말함 - TV의 3B(blurring, blending, bending) 과정을 통해 일어난다고 주장 즉 중시청자들은 경계의 흐림, 혼합, 왜곡 과정을 거쳐 TV의 세계를 실세계인양 받아들이게 된다는 것 공명 (resonance) TV에서 보던 것들이 실세계에서 동일하게 일어났을 때 TV 매체의 영향력, 즉 계발 효과는 더욱 커진다는 것

배양 효과 이론에 대한 비판과 논란 ◈ 방법론적인 측면의 문제 첫째, 시청량에 따라 시청자를 구분하는 문제 ◈ 방법론적인 측면의 문제 첫째, 시청량에 따라 시청자를 구분하는 문제 둘째, 제3의 변인에 대한 통제 문제 셋째, 종속변인의 처리 문제 ◈ 배양효과 이론에 대한 비판 허쉬(Paul Hirsch): 만약 동시에 다른 변인 모두를 통제한다면 TV에 의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는 잔여 효과는 매우 작다고 주장 루빈 등(Rubin, Perse & Taylor, 1988): 특정 프로그램별로 TV 시청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고 주장 두브와 맥도널드(Doob & Macdonald): 시청자들의 거주지를 통제하였을 때 TV 시청량과 범죄피해에 대한 공포감 사이에 유의적인 관계가 없다고 주장 텔레비전이 미국 사회에서 핵심적 에이전시라는 가정은 문화를 너무 단순하게 여기는 것이며, 더구나 중시청자와 경시청자 간의 개념상의 차이만을 내세워서, 텔레비전의 배양효과를 주장하는 것은 대단히 무리라는 비판

배양 효과에 대한 새로운 연구 ◈ 배양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를 측정해야 한다고 주장 ◈ 배양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를 측정해야 한다고 주장 하나는 응답자의 실세계에서 보여지는 폭력의 정도, 다른 하나는 평일 TV 노출 시간, 또는 적어도 한 시간 이상 밤에 TV를 보는 날의 수 등 젊은이들은 TV를 ‘마법의 창(magic window)’으로 보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젊은 사람들이 TV현실에 더 경도된다고 주장 유용성(utility) 차원의 TV시청에서 정체성(identity) 차원으로 이동 ◈ 1차원적 믿음과 2차원적 믿음에 대한 효과를 구별해야 한다는 주장 1차원적 믿음은 실제 세계의 다양한 사실에 관한 믿음이며, 2차원적 믿음은 1차적 믿음에서 오는 세계에 대한 일반적 기대감 혹은 정향성인데, 이들은 항상 상관관계를 가지지 않음.

배양 효과에 대한 새로운 연구 ◈ 뉴스 굴절 가설 ① 본래의 배양 효과 가설 : 전반적 TV 시청은 범죄율에 대한 인식과 상관관계 가 있다. ② 수정된 배양 효과 가설: 허구의 범죄 프로그램 시청은 범죄율에 대한 인식과 관련이 있다. ③ 뉴스 굴절 가설(news refraction hypothesis): 지역 뉴스 내용에 대한 노출이 메시지의 높은 사실성과 내용에 대한 공간적 근접성 때문에 범죄와 같은 문제들에 대한 인식에 강한 영향을 줄 수 있다. ◈ 배양 이론의 문화·제도적 모델 가장 많은 수용자를 끌어들이기 위한 경제적 동기가 동질적인 인기 있는 프로그램을 양산, 재생산한다고 주장

폭력물의 효과에 대한 기타 이론 ◈ 폭력물에 의한 직접적 행동 변화를 설명하는 이론 ◈ 폭력물에 의한 직접적 행동 변화를 설명하는 이론 ① 긍정론: TV폭력물은 시청자의 공격 성향을 억제시킨다. ② 무관론: TV폭력물은 시청자의 공격 성향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 정화 이론(Catharsis Theory) ③ 부정론: TV폭력물이 자극제가 되어 더욱 공격적이 된다. → 관찰학습 이론(Social Learning Theory), 보강 이론, 배양효과 이론 ◈ 리셋(reset) 증후군 현실 세계를 컴퓨터 게임을 하다 리셋 버튼을 누르면 처음부터 모든 것이 다시 시작되는 것처럼 착각하는 상태 - 현실을 게임이나 영화의 한 장면으로 착각, 아무런 죄책감 없이 범죄를 저지른다 게임 무관론

연습문제 1. 거브너와 맥루한의 미디어관이 가지는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2. 거브너는 TV의 폭력이 어떤 과정을 통해 배양 효과를 가져온다고 설명하고 있는가? 3. 거브너가 배양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한 연구방법은 무엇인가? 4. 여러분이 보는 TV 드라마에서는 어떤 유형의 인물이 과소 표현되고 또 어떤 유형의 인물들이 과대평가되고 있는가? 상징적 폭력의 희생자는 누구라고 생각되는가? 5. 인터넷의 반사회적 콘텐츠물에 대한 효과를 배양 효과 이론을 이용하여 설명하시오. 6. 박스 기사에서 보듯이 한 의사가 나서서 TV의 8대 해악을 나열하며 TV 시청량을 줄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8가지 항목 각각에 대해 여러분의 찬반의견을 서술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