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가계산 및 분석실무
CONTENTS 제1장 원가회계의 기본개념 제2장 원가배분 제3장 연산품과 부산물 제4장 원가계산 제도 제1장 원가회계의 기본개념 제2장 원가배분 제3장 연산품과 부산물 제4장 원가계산 제도 제5장 실제 원가계산의 제반문제 제6장 원가-조업도-이익분석(CVP)
Part I 원가회계의 기본개념
I. 원가회계의 기본개념 가. 회계의 영역 옆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재무회계와 관리회계는 정보이용자의 성격에 따라 구분되지만 일정 부분은 서로 중복되고 있다. 즉 제품원가계산과정을 통해 제조원가, 매출원가 그리고 기말재고자산을 평가하는 작업은 재무제표 작성과정의 일부이므로 재무회계적 목적을 충족시키고 있으며 동시에 원가정보를 경영자의 의사결정에 제공하게 됨으로써 관리회계적 목적도 충족시킨다. 이런 분야를 협의의 원가회계라고 분류할 수 있다. 재무회계 원가계산 관리 회계
I. 원가회계의 기본개념 나. 원가회계와 관리회계의 관계 및 영역 원가정보(시스템) 제품원가계산 의사결정 성과평가 원가회계 원가정보는 손익보고 목적의 제품원가계산이 주 목적인 원가회계와 성과평가 및 의사결정이 주 목적인 관리회계로 구분된다. 최근 성과급의 일반화로 부서별 등의 성과평가를 위한 관리회계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
I. 원가회계의 기본개념 다. 원가관리회계의 목적 원가관리회계란 외부보고용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작업의 일부를 담당하는 한편 내부관리용 경영계획을 수 립 통제하며 관리적 의사결정과 경영자 및 조직구성원의 성과를 평가하는 데 필요한 각종 정보를 수집하고 요약․분석하여 보고하는 회계분야이다. 따라서 원가관리회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중심으로 그 목적을 요 약하면 다음과 같다. (1)재무회계적 목적의 일부를 수행 – 원가계산을 통한 손익계산서의 완성 원가관리회계는 일정기간 동안의 경영성과와 일정시점에서의 재무상태를 결정하는 데 필요한 원가정보를 제공한다. 즉 원가계산의 과정을 통하여 기말재고자산에 대한 평가작업이 이루어지고 동시에 당기의 매출 원가가 확정된다. (2)관리적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 제공 원가관리회계는 기업 내부의 관리적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영업․생산 및 재무활동에 관련 된 원가정보를 제공하여 가격결정, 투자, 구매, 인력계획 및 자금조달 등에 관련된 합리적 의사결정을 위한 기초가 된다. (3)원가통제를 위한 정보 제공 원가관리회계는 원가의 발생내용과 예산수치를 비교함으로써 그 차이의 원인을 분석하고 필요한 조치를 행하도록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원가통제를 위해서는 그 원가의 성격과 발생원인을 파악하여야 하며 예 산수치와의 비교를 통하여 효율적인 원가통제가 가능해진다.
I. 원가회계의 기본개념 제품원가 원가측정방법 원가집계방법 라. 원가회계 시스템 전부원가계산 변동원가계산 실제원가계산 (외부보고목적) (내부관리목적) 제품원가 전부원가계산 변동원가계산 원가측정방법 실제원가계산 정상원가계산 표준원가계산 원가집계방법 개별원가계산 종합원가계산 원가회계시스템이란 원가를 집계하고, 집계된 원가를 원가대상에 배분하는 일련의 절차를 말한다.
I. 원가회계의 기본개념 마. 원가의 3요소 원가관리회계란 외부보고용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작업의 일부를 담당하는 한편 내부관리용 비교를 통하여 효율적인 원가통제가 가능해진다. 제조기업이 제품을 완성하기까지에는 기본적으로 원재료와 노동력이 투입되고 기타 간접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비용들을 제조원가라고 하는데 이는 다시 직접재료원가, 직접노무원가, 제조간접원가로 나누어지며 원가의 3요소라고 이야기한다. (1) 재료비(Direct Material)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투입된 원료나 재료로서 특정 제품으로의 투입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원가를 말한다. 만약 물리적인 형태로 볼 때 재료에 해당하지만 추적이 불가능하다면 직접재료원가가 될 수 없으며 이때는 제조간접원가로 분류된다. (2) 노무비(Direct Labor) 생산직근로자에게 지급되는 임금 및 제수당 등을 말하며 직접재료원가와 마찬가지로 특정제품에 투입되었는지 여부를 추적할 수 있어야 한다. 공장에서 근무하는 모든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임금중 직접 생산현장에서 생산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종업원에 대한 지급액만 해당될 수 있다. 직접노무원가에서 제외되는 부분, 즉 공장내의 간접인원에 대한 급여등은 제조간접원가로 분류된다. (3) 경비 (Overhead Cost) 직접재료원가나 직접노무원가 이외의 모든 제조원가는 제조간접원가로 분류된다. 간접재료원가, 간접노무원가와 공장에서 발생하는 전기료, 수도광열비, 수선비 및 공장건물과 기계장치 등 고정자산에 대한 감가상각비 등도 이에 포함된다.
I. 원가회계의 기본개념 바. 원가의 3요소와 원가의 추적가능성 원가는 그 추적가능성에 따라 추적가능한 직접원가와 추적불가능한 간접원가로 분류될 수 있다. (1) 재료비 (Direct Material) 재료비는 추적가능성에 따라 직접재료비와 간접재료비로 구분된다. (2) 노무비 (Direct Labor) 노무비는 추적가능성에 따라 직접노무비와 간접노무비로 구분된다. (3) 경비 (제조경비, Overhead Cost) 경비는 추적가능성에 따라 직접경비와 간접경비로 구분된다. (4) 제조간접비 각 요소마다의 간접원가, 즉 간접재료비와 간접노무비 및 간접경비는 통칭 제조간접비로 명명된다.
I. 원가회계의 기본개념 사. 원가의 행태별 분류 원가행태란 조업도 수준의 변동에 따른 원가의 변동양상을 의미하며, 원가행태에 따라 변동원가와 고정원가 로 구분한다. 이러한 원가행태에 따른 분류는 성과 평가시 매우 중요하다. (1) 조업도 조업도란 원가회계에서는 생산량,판매량,직접노동시간,기계작업시간 등 원가의 발생과 가장 큰 상관관계를 갖는 원가요인을 의미한다. (2) 변동원가 (Variable Cost) 조업도, 즉 생산량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재료비, 노무비등의 원가를 의미한다. (3) 고정원가 (Fixed Cost) 조업도 수준과 상관없이 발생하는 임차료 등의 비용을 의미한다. 변동원가와 고정원가의 개념 및 구분은 관리회계의 핵심 개념으로서, 성과 및 업적평가와 손익예측 등 관리회계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이다.
I. 원가회계의 기본개념 아. 제조원가의 흐름 (1) 기초원가 (Prime Cost:기본원가, 직접원가) 직접재료원가와 직접노무원가는 특정제품에의 투입과정을 추적할 수 있으므로 생산을 위한 가장 기초적인 원가라는 의미에서 기초원가라고 한다. (2) 가공원가 (Conversion Cost:전환원가) 원재료가 제품이 되기까지의 가공과정에 투입한 원가를 의미하므로 직접노무원가와 제조간접원가를 가공 원가라고 한다. (3) 재공품 (Work-in-process:WIP) 생산공정에 투입되었지만 완성되지 않고 가공중인 상태의 제품에 부과된 원가를 기록하는 계정을 말한다. 제조원가는 모두 재공품 계정을 거치게 되어 있으므로 원가계산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계정과목이 바로 재 공품 계정이다. (4) 제품 (Finished Goods:FG) 생산공정이 완료되어 판매를 위해 보관하고 있는 제품에 부과된 원가를 기록하는 계정을 말한다.
당기총제조비용=직접재료원가+직접노무원가+제조간접원가 I. 원가회계의 기본개념 자. 제조원가의 흐름 (5) 당기총제조비용(Current Manufacturing Costs) 당기에 재공품계정으로 투입된, 즉 생산완료여부와는 무관하게 제조과정에 투입된 모든 제조원가를 의미 한다. 당기총제조비용=직접재료원가+직접노무원가+제조간접원가 (6) 당기제품제조원가 (Cost of Goods Manufactured) 착수시기와 무관하게 당기에 완성되어 제품으로 대체된 제품의 제조원가로서 당기총제조비용에서 기초와 기말의 재공품 재고액을 가감하여 계산한다. 당기제품제조원가=당기총제조비용+기초재공품재고액-기말재공품재고액 (7) 매출원가 (Cost of Goods Sold:CGS) 완성시기와 무관하게 당기에 판매된 제품의 제조원가로서 당기제품제조원가에서 기초와 기말의 제품재고 액을 가감하여 계산한다.
참고 : 원가의 분류 자산과의 관련성에 따른 분류 (1) 미소멸원가 (Unexpired Cost)=자산(Assets):과거의 거래나 사건의 결과로 획득되어 미래에 경제적 효 익을 제공할 수 있는 원가 (2) 소멸원가(Expired Cost)=원가(Costs):용역잠재력이 소멸되어 미래에 더 이상 경제적 효익을 획득할 수 없으리라 예상되는 원가 2. 시점에 따른 분류 원가는 그 발생시점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1) 역사적 원가(Historical Costs)=실제원가(Actual Costs) (2) 예정원가(Predetermined Costs)=미래원가(Future Costs) 3. 추적가능성에 따른 분류 원가는 그 발생경로를 최종제품으로까지 추적하여 해당제품별로 집계할 수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다음과 같 이 분류한다. (1) 직접원가(Direct Costs)=추적가능원가 예)직접재료원가, 직접노무원가 (2) 간접원가(Indirect Costs)=추적불능원가=공통원가 예)개별추적이 어려운 제조간접원가
참고 : 원가의 분류 4. 원가행태에 따른 분류 원가는 조업도 등에 따라 증감하는 행태를 구분하여 변동원가와 고정원가로 분류한다. (1)변동원가(Variable Costs) :조업도의 변동에 따라 직접적으로 비례하여 증감하는 원가, 순수변동원가, 준변동원가(혼합원가) (2)고정원가(Fixed Costs) :조업도의 변동과 무관하게 일정하게 발생하는 원가. 순수고정원가, 준고정원가 5. 제조활동과의 관련성에 따른 분류 원가는 제조활동과의 관련성에 따라 제조원가와 비제조원가로 나눈다. (1)제조원가: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 소요되는 모든 원가 -직접재료원가, 직접노무원가, 제조간접원가 (2)비제조원가:제품생산과는 직접적 관련이 없이 판매활동이나 관리부문에서 발생하는 원가 -판매비와 관리비 6. 자산화 가능성에 따른 분류 원가는 재고자산가액을 구성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제품원가나 기간원가로 분류하기도 한다. (1)제품원가(Product Costs)=재고가능원가 :판매목적으로 제조하거나 취득한 제품에 부담시킬 수 있는 원가 (2)기간원가(Period Costs)=재고불능원가 :제품원가 이외의 모든 원가로서 원가가 발생한 기간에 비용으로 처리되는 원가
참고 : 원가의 분류 7. 통제가능성에 의한 분류 통제가능성에 의한 분류방법은 관리회계적 관점에서 특정 경영자의 통제가능여부에 따라 판단하는 방법이 다. (1)통제가능원가(Controllable Costs) 절대적 기준이 아닌 특정경영자의 관점에서 통제가능 여부를 판단함. (2) 통제불능원가(Uncontrollable Costs) 고정원가의 통제가능성에 의한 분류 기초고정원가-기초적인 고정자산을 보유함으로써 발생하는 고정원가 재량고정원가-조업도 수준과는 인과관계가 없으며 그 총액이 경영자의 재량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원가 8. 의사결정과의 관련성에 따른 분류 원가자료가 의사결정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가에 따라 원가개념은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1)차액원가(Differential Costs)=증분원가=회피가능원가: 특정 대안과 다른 대안간의 사이에 차이가 발 생하는 원가 (2)기발생원가=매몰원가(Sunk Costs)=회피불능원가: 이미 발생한 원가로서 대안간에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 원가. 주로 장부가액이 이에 해당 (3)기회원가(Opportunity Costs)=부가원가: 이미 선택된 대안 이외의 다른 대안중 최선의 대안을 선택했 더라면 얻을 수 있는 최대이익 또는 최소의 비용
Part II 원가배분
II. 원가배분 1. 원가배분 가. 배분의 개념 K대학 회계학과에서 야유회를 주최하였다. K대학 회계학과의 정원은 100명이다. 이 중 50명이 1인당 ₩10,000의 참가비를 부담하고 참여하였다. 그런데 참가자중 10명만이 너무 즐거운 나머지 밤새도록 ₩100,000의 술값을 지출하였기에 실제 경비가 ₩600,000 으로 예상경비 ₩500,000을 초과해 버렸다. 급한 나머지 총무가 이를 대신 지불하였다. 학교로 돌아와 학과인원 모두가 참여한 회의 에서 초과 지출한 경비를 해결하기 위해 토론이 벌어졌고, 이 때 몇 가지 방안이 다음과 같이 제시되었다. 제1안 : 추가부담 없이 적립된 학과예금 구좌에서 인출하는 방법 제2안 : 회계학과 인원 100명이 ₩1,000씩 부담하는 방법 제3안 : 야유회에 참여한 50명이 ₩2,000씩 부담하는 방법 제4안 : 흥분한 10명이 ₩10,000씩 부담하는 방법 제5안 : 관리를 소홀히 한 과대표 및 총무등이 책임지는 방법 위 다섯 가지의 방안 중에서 어떤 것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하는가?
II. 원가배분 나. 원가배분의 목적 다. 원가배분의 기준 - 공정성과 공평성(fairness and equity) 재무회계적 목적 : 제품원가 계산 관리회계적 목적 : 합리적 의사결정, 동기부여 및 성과평가, 가격결정 다. 원가배분의 기준 - 공정성과 공평성(fairness and equity) - 인과관계(cause and effect)기준 : 발생원가의 원인을 추적하여 제공된 서비스에 비례 하여 원가를 배분. 이상적인 기준인 인과관계의 파악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실무적으로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 몇 가지 대체적인 기준을 사용 - 부담능력기준 : 원가대상의 부담능력(ability to bear)에 비례하여 원가를 배분하는 방법으로 각 부문의 매출액이나 이익을 기준. - 수혜기준(benefits received) : 원가발생내역의 수혜자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원가를 배분. 사용량기준, 수익자부담원칙
II. 원가배분 라. 일반적인 원가배분방법의 검토 (1) 가장 단순한 원가배분방법 제조간접원가 발생액(또는 예정배부액)을 복잡한 절차를 생략하고 최종 원가집적대상에 바로 배분하는 방법. 절차는 간단하지만 인과관계가 거의 고려되지 않아 최종 집계된 단위원가의 정확성이 부족하므로 의사결정시의 유용성이 적다. (2) 일반형태의 원가배분방법 제조간접원가 발생액(또는 예정배부액) 을 ①~③의 절차를 거쳐 원가배분 대상에 배분하는 방법이다. 절차를 간단히 하기 위해서 ①, ②의 절차를 하나로, 즉 부문공통원가를 보조부문은 무시하고 제조부문에 바로 배부할 수도 있다. 순서 배분대상원가 원가배분대상 ① 부문공통원가 각부문 제조부문 보조부문 ② 보조부문원가 ③ 제조간접원가 각제품
II. 원가배분 1. 원가배분 예제 원가배분기준의 설정 예제 원가배분기준의 설정 산호병원은 산부인과, 소아과, 성형 외과와 치과의 4개 의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진료과목별로 순이익을 산정하여 성과를 배분한다. 다음은 각 진료과목에 공통으로 발생한 월평균 원가내역 이다. 병원건물 임차료(총 500㎡) 경비요원 급여 고객 주차장 임차료 주차 관리요원 급여 전기료 \2,000,000 600,000 800,000 400,000 200,000 합계 \4,000,000 2001년까지 공통경비를 4개의 의원이 균등 부담하는 방식을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원칙에 대해 일부 의원에서 불만을 제기한 바 있어 2002년부터는 새로운 배분기준을 설정하고자 한다. 다음은 원가배분을 위한 자료이다. 내역 산부인과 소아과 성형외과 치과 계 월평균매출 부문직접경비 사용면적 전력사용량 일평균환자수 의료장비투자액 \6,000,000 4,500,000 200㎡ 300KW 60명 3,000,000 50㎡ 150KW 100명 \2,000,000 \7,000,000 3,500,000 60㎡ 150KW 10명 \3,000,000 2,000,000 90㎡ 400KW 80명 \10,000,000 \20,000,000 13,000,000 400㎡ 1,000KW 250명
II. 원가배분 1. 원가배분 요구사항 1. 공통원가를 배분하는 기준으로 매출액 기준을 사용할 때 각 의원에 배분되는 원가는? 또한 이렇게 변경되었을 때 나타날 상황을 예상하여 논평하라. 2. 공통원가 배분기준을 다음과 같이 세분화하기로 하였다. 병원건물임차료 ― 사용면적 경비요원 급여 ― 의료장비투자액 고객 주차장 임차료 ― 일 평균 환자수 주차관리요원 급여 ― 일 평균 환자수 전기료 ― 전력 사용량 위 기준에 따라 각 의원에 배분할 공통원가를 계산하라.
II. 원가배분 1. 원가배분 해답 산부인과 소아과 성형외과 치과 계 월평균매출액 구성비율 공통경비 배분액 균등 배분액 증감액 1.매출액 기준 공통경비 배분액 산부인과 소아과 성형외과 치과 계 월평균매출액 구성비율 공통경비 배분액 균등 배분액 \6,000,000 30% \1,200,000 1,000,000 20% \800,000 \7,000,000 35% \1,400,000 \3,000,000 15% \600,000 \20,000,000 100% \4,000,000 4,000,000 증감액 \200,000 △200,000 \400,000 △400,000 ο 원가배분기준의 변경을 통해 산부인과와 성형외과는 더 많은 원가를 부담하게 되며 소아과와 치과는 부담원가가 감소한다. 따라서 소아과와 치과는 이러한 변경을 적극 지지할 것이며 산부인과와 성형외과는 매출액 기준을 선호하지 않을 것이다. 2.세분화된 배분방법 산부인과 소아과 성형외과 치과 계 병원건물 임차료 경비요원 급여 주차장 임차료 및 급여 전기료 \1,000,000 180,000 288,000 60,000 \250,000 60,000 480,000 30,000 \300,000 60,000 48,000 \450,000 300,000 384,000 80,000 \2,000,000 600,000 1,200,000 200,000 \1,528,000 \820,000 \438,000 \1,214,000 \4,000,000
II. 원가배분 2. 원가배분의 절차 가.원가배분의 과정 제조기업은 직접재료원가와 직접노무원가를 집계하고 제조간접원가를 배부하는 일련의 원가계산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는 기업이 어떤 종류의 원가계산방법을 선택하더라도 공통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사항이다. 원가배분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어 원가계산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살펴보자. 가.원가배분의 과정 부문공통원가의 배분 : 공통적으로 사용하여 발생한 원가를 회사의 각 부문에 배부하는 과정 ↓ 보조부문원가의 배분 : 보조부문에 집계되거나 보조부문이 배분받은 공통원가를 다른 제조부문에 배분하는 과정 제조간접원가의 배분 : 제조부문에 집계된 원가를 각 제품별로 배분하는 과정 제 품 원 가 계 산 : 제품별로 집계된 제조원가를 기초로 매출원가와 재고자산을 확정하는 과정
II. 원가배분 나. 부문공통원가의 배분 제조간접원가를 각 제품에 배분하는 절차 중 가장 첫번째 단계의 배분과정이 바로 부문공통 원가의 배분이다. 제조간접원가는 보통 개별제품으로 추적하기 어려운 원가이므로 각 세부 계정과목별로 일정한 배분기준을 설정하여 공장내의 여러 부문으로 배분한다. 이 때 제조부문과 보조부문이 모두 공통원가를 배분받게 된다. 단순한 배분방법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보조부문을 제외하고 배분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는 보조부문원가의 배분과정도 불필요해지며 원가배분과정이 상당히 단축되는 반면 원가계산의 정확성이 감소하게 된다. 부문공통원가 각 부문 (제조부문․ 보조부문) 원가배분기준: 각 세부계정과목별 적정한 기준 예) 복리후생비:종업원수 비례 전 화 료:전화대수비례 건물보험료:건물점유면적 비례
II. 원가배분 예제 부문공통원가의 배분 대흥공업사의 부문공통원가의 배분기준과 관련된 자료는 다음과 같다. 예제 부문공통원가의 배분 대흥공업사의 부문공통원가의 배분기준과 관련된 자료는 다음과 같다. 대흥공업사의 20×1년 7월중 원가자료는 다음과 같을 때 부문공통원가를 배분하시오.
II. 원가배분
II. 원가배분 해답 부문공통원가의 배분 원가배분기준 : 복리후생비 - 종업원수 건물보험료 - 점유면적 해답 부문공통원가의 배분 원가배분기준 : 복리후생비 - 종업원수 건물보험료 - 점유면적 전 력 비 - 전력소비율 전 화 료 - 전화대수 기계감가상각비 - 기계가액
II. 원가배분 다. 보조부문원가의 배분 보조부문에서 발생한 원가는 어떤 형태로든지 제조부문으로 배분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보조부문은 최종생산물을 산출하는 부문이 아니기 때문에 발생한 원가를 부담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지 못한다. 따라서 보조부문의 원가는 최종생산물(제품)이 산출되는 제조부문이 부담해 줄 수 밖에 없다. 앞서 설명한 부문공통원가의 배분과정과 부문개별원가의 집계 과정을 통하여 보조부문의 원가가 확정되면 이를 제조부문에 나누어 배분해야 하는데 보조부문이 각 제조부문에 제공한 서비스의 물량을 알 수 있다면 그러한 물량비율을 고려하여 배분한다. 보조부문이 제조부문에만 용역을 제공하고 있다면 물량비율을 고려하여 배분하는 것은 간단하게 처리될 수 있으나 보조부문들간에 서비스를 주고받는 상황이라면 이를 어떻게 고려할 것인가가 문제가 될 수 있다. 보조부문원가 각 부문 (제조부문․ 보조부문) 원가배분방법 직접배부법, 단계배부법, 상호배부법
II. 원가배분 원가 배분의 경우 사례 보조부문 S1 구내식당 제조부문 P1 보조부문 S2 창 고 제조부문 P2 위에서 볼 수 있듯이 보조부문은 제조부문에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다른 보조부문에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창고관리직원들도 구내식당에서 식사를 할 수 있으며 구내식당에서 필요한 식품이나 식기를 창고에 보관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부문간의 의존도를 어떻게 고려하여 보조부문의 원가를 제조부문에 배분하는가에 따라 다음에 서술하는 세가지 방법이 있다. 원가배분방법 직접배부법, 단계배부법, 상호배부법
II. 원가배분 (1) 직접배부법(Direct Method) 보조부문 S1 구내식당 제조부문 P1 보조부문 S2 창 고 각 제조부문이 사용한 보조부문용역의 상대적 비율에 따라 보조부문의 원가를 제조부문에만 직접 배부하는 방법. 즉 보조부문의 발생원가를 타 보조부문에는 전혀 배분하지 않고 제조부문에만 원가를 배분한다. 배분절차가 간단하나 보조부문간 상호관련성이 전혀 무시되므로 보조부문들간의 용역제공량 비율이 높을 경우 원가배분이 왜곡되어 이루어진다.
II. 원가배분 (2) 단계배부법(Step Method) 보조부문 S1 구내식당 제조부문 P1 보조부문 S2 창 고 제조부문 보조부문간의 배분순위에 따라 보조부문의 원가를 단계적으로 타 보조부문 및 제조부문에 배분하는 방법으로 직접배부법의 약점을 다소 보완한다. 그러나 특정 보조부문원가의 배분이 종료되면 다음 부문의 원가배분시 앞서 종료된 부문에는 배분이 되지 않으므로 상호원가관련성을 완전히 인식하지는 못한다. 배분절차가 비교적 간단하나 보조부문간 상호관련성이 다소 무시된다. 단계배부법에서는 보조부문간의 의존도를 일방적으로만 고려하기 때문에 어떤 보조부문의 원가를 먼저 배 분하는가에 따라 최종적으로 제조부문에 배분되는 원가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배분순위를 어떻게 결정 하는가는 단계배부법의 핵심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한 방법은 대체로 다음과 같다. ⓐ타 보조부문에 대한 용역제공비율이 큰 보조부문 ⓑ용역을 제공받는 상대부문의 수가 많은 보조부문 ⓒ보조부문원가의 금액이 큰 부문
II. 원가배분 (3) 상호배부법(Reciprocal Method) 보조부문 S1 구내식당 제조부문 P1 보조부문 S2 창 고 보조부문간 또는 보조부문과 제조부문간의 상호원가관련성을 방정식이나 행렬을 이용하여 완전인식하여 보조부문의 원가를 제조부문으로 배분하는 방법으로서 이론적으로 가장 타당한 원가배분방법이다. 상호배부법은 보조부문간의 의존도를 완전히 인식하여 정확한 원가배분을 할 수 있으며 단계배분법과 같이 배분순서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배분절차가 복잡하여 시간과 노력이 크게 소요된다. 상호배부법을 이용한 결과가 직접배부법이나 단계배부법을 사용한 결과와 크게 다르지 않다면 실무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지 않을 것이다. 결국 상호배부법은 보조부문간의 상호관련성이 높은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호배부법은 방정식을 이용하는 방법과 행렬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보조부문의 수가 2-3개 정도라면 연립방정식을 풀이하는 방법이 간단하지만 보통 보조부문의 수가 4개 이상이라면 행렬식을 이용한다.
II. 원가배분 예제 보조부문원가의 배분 (주) 윤발은 두개의 제조부문 A, B와 보조부문 S1, S2를 두고 있다. 당년도 6월중에 각 보조부문에서 생산한 보조용역의 사용비율은 다음과 같다. S1 부문과 S2 부문에서 당월중 발생한 변동비는 ₩200,000과 ₩300,000이었으며 고정비는 없다. •요구사항• 1.보조부문의 원가를 직접배부법에 의해 배분하라. 2.보조부문의 원가를 단계배부법에 의해 배분하라. 3.보조부문의 원가를 상호배부법에 의해 배분하라.
II. 원가배분 해답 보조부문원가의 배분 1.직접배부법 2.단계배부법 해답 보조부문원가의 배분 1.직접배부법 2.단계배부법 (배분순서 S1→ S2 ∵S1의 경우 다른 보조부문(S2)의 사용량이 0.4로서 S2의 0.2보다 큼)
II. 원가배분 해답 보조부문원가의 배분 3. 상호배부법 1) 방정식을 세운다. 해설 참조 해답 보조부문원가의 배분 3. 상호배부법 1) 방정식을 세운다. 해설 참조 S1=200,000+0.2S2……(식 1) S2=300,000+0.4S1……(식 2) 2)(식 1)을 (식 2)에 대입하면 S2=300,000+0.4(200,000+0.2S2) =300,000+80,000+0.08S2 0.92S2=380,000 S2=413,043 S1=282,609 S1은 자기부문원가 ₩200,000 이외에 S2의 서비스를 0.2만큼 제공받고 있으므로 S1=₩200,000+0.2S2……(식 1) S2는 자기부문원가 ₩300,000 이외에 S1의 서비스를 0.4만큼 제공받고 있으므로 S2=₩300,000+0.4S1……(식 2) (식 1)과 (식 2)를 연립하면 연립방정식이 세워지고 식이 2개이며 미지수가 2개이므로 S1, S2를 구해낼 수 있게 된다. 만약 보조부문이 3개 이상이라면 보조부문의 수 만큼 방정식이 세워져야 한다.
Part III 연산품과 부산물
III. 연산품과 부산물 1. 개 념 가. 연산품과 부산물 나. 결합원가와 분리점 1. 개 념 가. 연산품과 부산물 우리는 수많은 제품을 보고 듣고 사용하며 살고 있다. 다양한 종류의 제품이 다양한 생산방법으로 만들어지고 다양한 경로를 통해 소비자에게 전달된다. 그 중에서는 하나의 공정에서 동시에 여러가지의 제품이 생산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정유공장에서는 추출된 원유를 가공하여 휘발유, 등유, 경유와 나프타 등을 동시에 생산한다.또 우유를 원재료로 하여 버터와 치즈를 생산한다. 이렇듯 동일공정에서 동일한 원재료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제품을 생산하는 경우 이러한 제품을 연산품(Joint Products) 또는 결합제품이라고 한다. 결합제품 가운데는 동시에 생산되는 여러 제품 중 상대적인 판매가치에 큰 차이가 나는 경우도 있다. 이 때 가치가 큰 제품을 주산품(Major Products)이라 하고, 상대적으로 가치가 작은 제품을 부산물(By-products)이라고 한다. 결합제품의 가치가 유사할 경우 결합제품의 가치에 크게 차이가 날 경우 주 산 품 A 연 산 품 B 부산물 나. 결합원가와 분리점 결합원가 : 분리점 이전에 발생한 원가, 추가가공원가 : 분리점 이후에 발생한 원가
III. 연산품과 부산물 2. 결합원가의 배분방법 가. 상대적 판매가치법(Ralative Sales Value Method) 분리점에서의 개별제품의 상대적 판매가치를 기준으로 결합원가를 배분하는 방법으로서 원가의 부담 능력을 고려하는 방법으로는 가장 이론적으로 타당하다. 그러나 최종 완성되지 않은 중간제품은 시장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경우가 많아 분리점에서의 판매가치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 실무적으로 어렵다. 나. 순실현가치법 (Net Realizable Value Method) 연산품의 순실현가치를 기준으로 결합원가를 배분하는 방법으로서 원가의 부담능력에 따른 배분방법중 하나이며 원칙적으로는 상대적 판매가치를 추정하기 곤란한 경우에 대안으로 적용하는 방법이다. 분리점에서의 상대적 판매가치를 적절하게 추정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순실현가치법을 적용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순실현가치(Net Realizable Value)는 개별제품의 최종판매가격에서 추가가공원가와 판매비용을 차감하여 계산한다. 다. 물량기준법(Physical Measure Method) 결합제품의 수량이나 면적, 부피, 중량 등과 같은 물리적 단위를 기준으로 결합원가를 배분하는 방법. 물량기준법은 사용자부담기준. 동일공정에서 생산된 결합제품이 결합원가로부터 동시에 효익을 제공 받았다면 물리적 단위를 기준으로 원가가 배분되는 것도 합리적일 수 있다. 또한 부담능력을 기준으로 한 두 가지 방법이 시장상황에 따라 가변적인 매가(賣價)를 토대로 하지만 물량기준법은 내부적인 물량정보만에 의존하기 때문에 실무적으로는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라. 균등이익률법(Constant Gross-Margin Percentage NRV Method) 균등이익률법은 개별제품의 매출총이익률이 모두 동일하도록 결합원가를 배분하는 방법으로서 불변매출 총이익률 NRV법이라고도 한다.
III. 연산품과 부산물 예제 원가배분기준의 설정 예제 원가배분기준의 설정 20×1년 8월에 (주) 대관령은 1,000리터의 우유를 가공하여 딸기우유 400리터와 바나나우유 600리터를 생산하였다. 딸기우유는 분리점에서 리터당 1,150원에, 바나나우유는 리터당 900원에 처분할 수 있다. 결합공정에서 발생한 원가는 다음과 같다. 직접재료원가 ₩300,000 가공원가 450,000 ₩750,000 한편 딸기우유와 바나나우유는 향료를 추가로 투입하는 공정을 가지고 있으며 월중 발생한 원가는 각각 ₩216,000과 ₩384,000이다. 가공이 끝난 완제품은 리터당 딸기우유가 2,100원에, 바나나우유가 1,600원에 판매된다. •요구사항• 상대적 판매가치법에 따라 결합원가를 배분하라. 순실현가치법에 따라 결합원가를 배분하라. 단, 중간제품의 판매가격은 알 수 없는 것으로 가정한다. 물량기준법을 이용하여 결합원가를 배분하라.
III. 연산품과 부산물 해답 1.상대적 판매가치법 2.순실현가치법 3.물량기준법
III. 연산품과 부산물 3. 복수의 분리점이 있는 경우 예제 복수의 분리점이 있는 경우 결합제품을 생산하는 경우 생산과정상 2개 이상의 분리점이 존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순실현가치법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다소 복잡한 배분과정을 거치게 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순서로 결합원가를 배분한다. ① 물량의 흐름 파악:물량흐름도 작성 ② 마지막 분리점부터 최초분리점까지 역방향으로 순실현가치를 구한다. ③ 순실현가치를 기준으로 결합원가를 배분하되 마지막공정의 결합원가부터 배분한다. 예제 복수의 분리점이 있는 경우 (주) 윤발은 우유를 원료로 하여 치즈와 아이스크림과 우유탄산음료를 생산하고 있다. 부문 A에서는 우유 2,000㏄를 가지고서 치즈를 7단위 생산하며 중간제품 M을 10단위 생산한다. 치즈는 더 이상 가공없이 판매되며 부문 B에서는 중간제품 M을 1단위 가지고 냉동실에 넣어 아이스크림 2단위와 우유탄산음료 1단위를 생산한다. 치즈, 아이스크림과 우유탄산음료의 판매가격은 각각 ₩300, ₩120, ₩360이다. 7월의 우유사용량은 200,000㏄이며 각 부문별 원가는 다음과 같으며 기타 다른 원가는 없다. •요구사항• 순실현가치법에 의해 결합원가를 배분하라.
III. 연산품과 부산물 해답 순실현가치법 복수의 분리점이 있는 경우 순실현가치법으로 원가를 배분할 때 마지막 공정부터 처음 공정의 순서로 거슬러 올라가며 결합원가를 배분한다. 예제에서 보는 바와 같이 2차 분리점에서 발생한 결합원가를 아이스크림과 우유탄산음료에 순실현가치를 기준으로 하여 안분하고 이 때 1차 분리점에서 나누어진 제품 ‘치즈’는 전혀 고려되지 않는다. 이후 1차 분리점에서 발생한 결합원가를 배분하게 되는데 이미 배분된 2차 결합원가와 추가가공원가는 분리점이후의 원가로 동일하게 취급하며 1차분리점에서의 순실현가치를 계산하게 된다.
III. 연산품과 부산물 4. 판매 - 추가가공의 의사결정 예제 판매-추가가공의 의사결정 해답 분리점을 통과한 결합제품은 그 시점에서 시장이 존재할 경우 그대로 판매할 수도 있고 또는 추가가공하여 완제품의 상태로 판매할 수도 있다. 이 때 회사는 어떤 방법을 선택할지 결정해야 하는데 이러한 상황을 판매-추가가공의 의사 결정이라고 한다. 과거에 이미 발생한 결합원가의 배분액의 크기는 의사결정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정보이다. 따라서 의사결정은 추가가공을 통해 얻어지는 증분수익(최종제품 판매가액-중간제품의 판매가액)과 증분원가(추가 가공원가 및 추가판매비용)를 비교하는 것으로 결정된다. 추가가공이 유리한 경우 : 분리점이후의 증분수익>증분원가(추가가공원가 및 판매비용) 예제 판매-추가가공의 의사결정 (주) 덕화는 결합제품 A와 B를 생산한다. 제품 A의 차기 예상생산량은 1,000단위이며, 결합원가배분액은 총결합원가 ₩900,000 중 ₩412,500이 될 것이다. 제품 A는 분리점에서 단위당 ₩135에 판매될 수도 있고, 추가가공원가 ₩55,000을 투입하여 단위당 ₩225에 판매 될 수도 있다. 제품 A를 추가가공 후에 판매하면 회사는 추가가공 이전에 비해 순이익이 어떻게 달라지는가? 해답 증분수익: (₩225-₩135)×1,000단위= ₩90,000 증분원가 55,000 증분이익 ₩35,000
III. 연산품과 부산물 5. 부산물의 회계처리 가. 부산물의 개념 나. 부산물의 회계처리 하나의 결합공정에서 주산품과 함께 생산하는 제품으로서 주산품과 비교시 가치나 수량면에서 상대적으로 중요성이 적은 제품을 부산물(By-products)이라고 한다. 부산물을 판단하는 절대적 기준은 없고 임의적인 판단에 의존하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감하는 결합제품들의 상대적인 시장가치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한편 생산에 사용된 원재료 중 남아 있는 조각이나 찌거기를 작업폐물(scrap)이라고 하는데 이것이 부산물과 다른 점은 판매가치가 판매비용에 미달하는 정도로 작은 점이다. 나. 부산물의 회계처리 부산물을 회계처리하는 방법은 그 인식시점에 따라 판매기준법과 생산기준법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이 두 가지 방법은 인식되는 계정과목을 어떻게 적용하는가에 따라 <표>와 같이 분류될 수 있다. 이 중 판매기준-잡이익법과 생산기준-원가차감법이 대표적이다.
Part IV 원가계산제도
IV. 원가계산제도 1. 원가계산제도의 분류 제품원가계산제도는 개별기업이 수행하는 생산활동의 형태에 따라 개별원가계산과 종합원가 계산으로 분류된다. 정유업, 섬유업, 자동차 제조업 등 동종의 제품을 연속적 으로 생산하는 기업은 종합원가계산으로 원가계산을 하겠지만 조선업, 건설업 등 여러 가지 제품을 개별주문 등의 형태에 따라 생산하는 기업은 개별원가계산 방법이 적절하다. 이렇듯 원가계산시스템은 개별기업의 상황에 따라 또는 원가정보의 이용목적에 따라 유형별 분류가 가능하다. 가. 개별원가계산과 종합원가계산 기업이 어떤 형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생산활동을 수행하는가에 따라 위와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주의할 점은 개별기업이 개별원가계산과 종합원가계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상황이 아니고 생산방법의 형태에 따라 적절한 원가계산방법이 어떤 것인지 거의 자동적 으로 결정되는 것이라는 점이다.
IV. 원가계산제도 예제 원가계산방법의 선택 해답 예제 원가계산방법의 선택 대장장이 스미드씨는 마을 주민들에게 일상생활에 필요한 쇠로 만든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스미드씨가 만드는 물건은 식칼, 말발굽, 문고리 등인데 고객의 주문에 따라 제품의 크기와 모양을 다르게 제조해 왔다. 최근 스미드씨가 거주하는 마을에 인구가 급증하여 일감이 무척 많아졌다. 따라서 스미드씨는 대단히 바빠 졌는데 식칼과 말발굽, 문고리로 구성된 주요제품은 거의 비슷한 형태로 제작된다. 스미드씨는 과거 고객의 주문에 따라 일일이 크기와 모양을 다르게 했지만 종류별 로는 큰 차이가 없으므로 생산의 효율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주민들이 가장 많이 요구하는 모양의 제품을 한꺼번에 여러 개를 만들기로 하였다. 스미드씨가 원가계산을 한다면 과거와 현재에 각각 어떠한 원가계산방법을 사용할 것인가? 스미드씨는 과거 주문생산방식으로 판매를 하였으므로 생산형태에 맞는 개별원가 계산제도를 적용하였을 것이다. 그러나 현재에는 동종의 제품을 한꺼번에 여러 개를 제조하고 있으므로 종합원가계산제도를 사용할 것이다. 해답
IV. 원가계산제도 나. 실제원가계산, 평준화원가계산과 표준원가계산 원가계산과정을 통해 회계장부에 재고자산과 매출원가가 기록되는데 이때 기록하는 금액이 실제발생원가인지 아니면 미리 추정하여 둔 예산(표준)금액인지에 따라 실제원가계산, 평준화원가계산, 표준원가계산으로 분류한다. 실제원가계산은 모든 원가를 글자 그대로 실제발생원가를 기준으로 계산하는 원가계산의 기본적 형태이다. 따라서 평준화원가계산이나 표준원가계산을 이용한다는 설명이 없다면 당연히 실제원가계산을 의미하는 것이며 이는 원가․관리회계 전체분야에서 통용되는 개념이다. 평준화원가계산은 직접재료원가와 직접노무원가, 즉 직접적으로 개별제품으로의 추적이 가능하다고 여겨지는 두 가지 원가요소는 실제발생원가로 집계하지만 제조간접원가의 경우 회계연도 개시전에 예상되는 원가를 예상되는 예정배부기준에 따라 산출한 제조간접원가 예정배부율을 이용하여 제품원가계산을 수행한다. 또한 표준원가계산은 제조간접원가는 물론 추적이 가능한 직접재료원가와 직접노무원가도 미리 설정해 놓은 표준원가를 이용하여 원가계산을 한다.
IV. 원가계산제도 다. 전부원가계산과 변동원가계산 제품제조원가는 직접재료원가와 직접노무원가 그리고 제조간접원가로 구성되는데 제조간접원가는 크게 변동제조간접원가와 고정제조간접원가로 나눌 수 있다. 전부원가계산은 제조간접원가 중 변동제조간접원가와 고정제조간접원가를 모두 제품제조원가로 보는 반면 변동원가계산은 고정제조간접원가를 제품제조원가로 보지 않고 판매비와 관리비 등과 같이 기간비용으로 처리하는 원가계산방법이다. 그러나 원가관리회계 전체분야에서는 전통적인 분류방식인 전부원가계산방법을 기초로 설명하고 있다. <표 2:원가계산방법의 분류>
IV. 원가계산제도 2. 개별원가계산제도 가.개별원가계산의 의의 개별작업(job)별로 작업원가표(job cost sheet)에 의해 원가를 집계하여 계산하는 방법. 작업(job)을 수행하는데 투입하는 노력이 개별작업별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를 서로 구분하여 인식하고자 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음. 즉 작업(job)이 제각각의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모든 주문이 동일한 공정을 거치는 것이 아니라는 가정. 각 개별작업에 직접재료원가, 직접노무원가 및 제조간접원가를 정확하게 관련시킴으로써 수익과 비용을 적절히 대응시켜 경영자의 관리계획과 의사결정에 유용한 원가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 (예) 조선업, 건설업, 항공기 제조업, 인쇄업, 가구 제조업 등 주로 다품종 소량 주문생산을 하고 있는 기업과 제조기업이 아닌 서비스업의 경우 작업의 단위가 명확하게 구분되는 엔지니어링, 법률사무소는 물론 회계법인 등의 경우.
IV. 원가계산제도 조선소 작업장 유 조 선 상 선 잠 수 함 잠 수 함 Job #1 Job #2 Job #3 상 선 잠 수 함 잠 수 함 Job #1 Job #2 Job #3 위 조선소 작업장에서는 유조선, 상선과 잠수함의 제조가 진행되고 있다. 여기서 잠수함의 경우 같은 형태의 2척을 일괄주문 받았다면 잠수함 2척은 하나의 작업 단위로 분류. 조선소에서 발생한 직접재료원가와 직접노무원가는 개별작업단위별로 추적이 가능하다. 따라서 발생원가를 원인별로 집계하는 것은 큰 무리가 없다. 그러나 제조간접원가는 조선소 작업장 내외에서 제조와 관련하여 공통적으로 발생한 비용 이므로 이를 각 작업단위별로 어떻게 부담하도록 하는가에 원가배분(Cost Allocation)의 문제가 발생.
IV. 원가계산제도 발 생 원 가 원가집적대상 직접재료원가 Job #1 유조선 직접노무원가 제조원가 Job #2 상 선 제조간접원가 Job #3 잠수함 발 생 원 가 원가집적대상 <표 3 : 원가의 집계와 배분>
IV. 원가계산제도 나. 개별원가계산의 절차 (1) 문서의 흐름 (2) 작업 원가표 (Job Cost Sheet) 개별원가계산제도에서는 고객의 주문에 따라 생산할 제품의 형태와 수량 그리고 사양 등이 결정되므로 이에 따라 제조방법이 확정된다. 먼저 영업부서에서 고객의 요구에 따라 작성한 판매지시서를 생산관리부서로 보내면 이를 기초로 구체적인 제조지시서(Job Order)를 완성하여 생산현장으로 통보한다. 현장에서는 제조지시서의 내용에 따라 각 공정에서 필요한 재료를 투입하고 노동력을 사용 하여 제품을 완성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투입되는 재료는 재료청구서로, 노동력은 현장 근로자들의 작업시간표(Time Report)를 기초로 추적하여 각 주문별 직접원가 발생액을 집계한다. 이러한 집계과정은 주문단위별로 구분되는 작업 원가표(Job Cost Sheet)에 의해 이루어 지게 된다. 또한 인위적인 방법으로 배분해야 할 제조간접원가의 배부액도 작업 원가표에 기재되어 각 주문별 발생원가의 합계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2) 작업 원가표 (Job Cost Sheet) 개별원가계산제도 하에서 원가계산의 가장 기본이 되는 절차는 작업원가표의 작성이다. 각 주문단위별로 사용한 재료, 노동력을 기록하여 집계하고 제조간접원가 배부액을 합산 하여 제조원가를 확정하는 일련의 작업이 모두 기록되는 문서이기 때문이다.
IV. 원가계산제도 (3)재료청구서 (Material Requisition Slip) No. 128 담당 대리 과장 부장 번호 생산현장에서 사용하는 원재료는 일반적으로 원자재창고에서 보관하며 보통 자재부나 물류부 등에 소속된 직원이 관리한다. 현장에서는 일정기간단위별(예:일별, 주간단위)로 필요한 품목과 수량을 재료청구서에 기재하여 내부승인을 얻은 후 창고에 출고를 요청한다. No. 128 담당 대리 과장 부장 번호 Job No. 내용 품목 CODE 수량 부서 1 2 3 4 5 A00325 유조선 제작 볼트 너트 철판 01235 01236 03245 100개 5ton 조립 1팀 계 청구인 부서장 창고장
IV. 원가계산제도 (4)작업시간표 (Time Report) 생산현장에서 작업에 투입되는 직접노무원가는 작업시간을 기초로 집계한다. 현장 근로자의 작업시간당 임률은 근로자의 경력이나 숙련도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일정기간(주간, 또는 격주간, 월간)을 주기로 하여 작성된 개인별 작업시간표(Time Report)를 근거로 산출하게 된다.
IV. 원가계산제도 (5)제조간접원가 배부표 특정부분에 배부되는 제조간접원가 제조간접원가는 제품별 또는 주문단위나 작업별로 그 사용내역을 추적하기가 곤란한 원가이다. 따라서 제조간접원가를 미리 설정한 원가배분기준에 따라 제품별 또는 주문 단위나 작업별로 할당하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를 원가배분(Cost Allocation) 이라고 한다. 직접재료원가와 직접노무원가는 발생원인이나 사용내역이 재료청구서나 작업시간표의 기록을 토대로 추적이 가능하기 때문에 발생 즉시 집계되지만 제조간접원가는 이러한 집계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인위적 방법으로 각 제품 또는 주문단위에 원가를 부담시켜야 하는데 이러한 인위적인 원가부담을 ‘배분’(Allocation)의 과정이라고 한다. 제조간접원가 원가배분기준 제조간접원가 배부율 = 특정부분에 배부되는 제조간접원가 = 제조간접원가배부율 × 특정부문의 원가배분기준 사용량
IV. 원가계산제도 예제 제조간접원가 배부액 해답 예제 제조간접원가 배부액 8월중에 실제로 발생한 총원가 및 제조지시서 No. 288의 제조에 실제로 발생한 원가는 다음과 같다. 총원가 제조지시서 No. 288 직접재료원가 ₩6,000,000 ₩350,000 직접노무원가 10,000,000 530,000 제조간접원가 3,200,000 당월 중 실제직접노동시간은 1,000시간이었으며, 이 중 제조지시서 No. 288의 제조에 투입된 시간은 52시간이었다. 회사가 제조간접원가를 직접노동시간에 기준하여 실제배부 하는 경우, 제조지시서 No. 288에 배부되는 제조간접원가는 얼마인가? 해답 제조간접원가 배부율=₩3,200/직접노동시간 No.288에 배부되는 제조간접원가:52시간×₩3,200=₩166,400
IV. 원가계산제도 3. 평준화원가계산 가. 평준화원가계산의 의의 원가발생요소인 직접재료원가, 직접노무원가, 제조간접원가를 모두 실제발생액을 기초로 집계하고 배분하는 원가계산을 실제원가계산이라고 한다. 반면 평준화원가계산제도는 실제원가계산제도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제도로서 제조간접원가 배부율을 구할 때 회계연도가 시작되기 전에 미리 추정한 예산액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평준화원가계산은 예정원가계산이나 정상원가계산(Normal Costing)이라고도 한다. 평준화 원가계산의 필요성 ㆍ 제품원가 정보의 신속성 확보 ㆍ 제품단위당 원가의 안정성 확보
제조간접원가 예정배부율 = --------------------- IV. 원가계산제도 나. 제조간접원가 예정 배부율 제조간접원가를 예정배부 하기 위해 회계연도 개시 전에 미리 예측한 수치를 기초로 다음과 같이 예정 배부율을 확정한다. 제조간접원가 예산 제조간접원가 예정배부율 = --------------------- 예정배부기준(예정조업도) (1)제조간접원가 예산 연간 발생할 제조간접원가에 대한 추정치를 제조간접원가예산이라고 한다. 제조간접원가 예산은 과거의 제조간접원가 발생액을 기초로 추정하는데 어느 방법이건 간에 원가를 변동제조간접원가와 고정제조간접원가로 분류하는 것이 보통이다. 변동제조간접원가는 조업도의 크기에 따라 원가총액이 비례하여 변동하는 원가이며 고정제조간접원가는 조업도의 변동과 무관하게 원가총액이 고정적으로 나타나는 원가를 말한다. 제조간접원가예산=변동제조간접원가예산+고정제조간접원가예산 =단위당변동제조간접원가예산×예정조업도+고정제조간접원가예산
IV. 원가계산제도 (2) 예정조업도 조업도(Capacity)는 생산량, 판매량, 직접노동시간, 기계가동시간 등으로 측정된다. 조업도는 원가의 크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이며 회사가 원가배분을 위해 조업도의 측정치로 생산량이나 직접노동시간 등에서 가장 합리적인 기준을 선택하는 것이다. 따라서 예정조업도는 회사가 선택한 측정치의 연간 예상사용량을 의미한다. ①이론적 최대조업도 :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생산설비와 노동력을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최대로 가동할 경우의 조업도 ②실제적 최대조업도 : 이론적 최대조업도에서 공휴일이나 일시적 작업중단 등 현실적인 조업도 감소분을 고려한 조업도 ③정상조업도 : 과거의 정상조업도를 감안하여 예상할 수 있는 평균적인 조업도
IV. 원가계산제도 4. 종합원가계산 가. 종합원가계산의 의의 종합원가계산의 특징 종합원가계산은 같은 종류, 같은 품질의 제품을 연속적으로 대량 생산하는 경우에 적절한 회계처리방법. 각 부문이나 공정별로 원가를 집계한 후 각 공정별로 완성품과 미완성품에 배분하여 당기제품제조원가와 기말재공품원가를 산출. 생산흐름에 따라 공정별로 원가계산이 진행된다는 점에서 공정별 원가계산이라고도 한다. (예) 일정한 생산공정을 따라 동일한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형태의 제조기업, 즉 정유업, 방직업, 식품가공업 등의 분야에서 널리 이용. 종합원가계산의 특징 장 점 : 원가계산의 간소화에 따른 비용절감 전제조건 : 각 제품이 서로 동질적이어야 한다.
IV. 원가계산제도 나. 종합원가계산과 개별원가계산의 비교 구분 개별원가계산 종합원가계산 생 산 형 태 다품종 소량 주문생산 동종제품의 대량생산 적 용 업 종 인쇄업, 건설업, 조선업, 회계법인, 법무법인 화학품 제조업, 식품가공업, 방직업, 정유업 원가계산비용 상세한 기록이 필요하므로 원가계산비용이 크다 상대적으로 덜 복잡하므로 경제적이다. 정확성 정확한 원가계산이 가능 상대적으로 정확성 결여 원가계산방법 작업지시서별 원가계산 핵심과제 제조간접원가의 배부 제품에 대한 추적가능성 중시 완성품 환산량 계산 원가의 변형과정 중시 기말재공품 원가계산 미완성된 제조지시서에 집계된 모든 원가(기말재공품의 평가절차가 불필요함) 기말재공품의 완성품 환산량× 완성품 환산량 단위당 원가(개발원가계산과는 달리 기말재공품 평가문제가 발생
IV. 원가계산제도 다. 종합원가계산의 절차 순서 절차 내용 1 물량의 흐름 파악 각 공정별로 기초수량과 당기착수량, 차공정대체수량과 기밀수량을 파악한다 2 완성품 환산량 계산 각 공정별로 원가요소별 당월 완성량 및 기말재공품의 완성정도를 감안하여 계산한다. 3 각 원가요소별 원가파악 각 원가요소별로 발생한 원가를 집계한다. 4 완성품 환산량 단위당원가 각 원가요소별로 발생한 원가를 완성품 환산량으로 나누어 단위당 원가를 산출한다. 5 총원가의 회계처리 단위당 원가에 물량을 고려하여 차공정 또는 제품계정 대체원가외 기말재공품원가를 확정하여 회계처리 한다.
IV. 원가계산제도 라. 종합원가계산방법 마. 공손품 회계 종합원가계산은 회사가 공정내의 물량흐름을 어떤 형태로 파악하고 있는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만일 생산공정이 항상 먼저 투입된 물량이 먼저 완성되는 구조라면 선입선출법이 적절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평균법을 가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재무회계에서 소개되는 후입선출법이나 이동평균법은 원가계산 목적으로는 그다지 적절하지 않다. 가. 선입선출법 (First in - First out, Fifo) 나. 평균법(Weighted Average Method) 마. 공손품 회계 대다수 제조기업에서는 제조과정에서 불량품이 발생하고 있다. 이는 결국 제품원가를 증가 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많은 기업이 불량품 발생을 낮추고자 노력한다. 이러한 문제는 회계처리상에도 나타난다. 정상이 아닌 제품을 과연 어떻게 취급을 하고 해당원가를 어떻게 처리하여야 하는가를 결정해야 한다. (1) 공손품과 합리적 의사결정
IV. 원가계산제도 (2) 공손의 회계처리방법 (3) 정상공손과 비정상공손 완전 무인식법 - 공손수량을 완성품 환산량 계산시 제외 정상 인식법 정상공손수량-제품제조원가에 포함 비정상공손수량-영업외비용으로 처리 (3) 정상공손과 비정상공손 (가) 정상공손(Normal Spoilage) 매기간 거의 동일한 비율로 제조과정상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공손으로서 회사 내에서 사전에 결정한 비율, 즉 허용수준이내를 의미한다. 따라서 정상공손수량에 해당하는 원가는 정상제품의 제조원가로 회계처리 된다. 공손품에 투입되어 집계된 원가를 다른 정상품이 나누어 부담하도록 회계 처리한다. (나) 비정상공손(Abnormal Spoilage) 제조과정의 비효율성, 비경상적 사건으로 인하여 허용수준을 초과하여 발생하는 공손 수량을 말한다. 비정상공손품에 해당되는 원가는 정상제품의 제조원가로 처리하지 않고 기간원가(영업외비용 또는 특별손실)로 처리된다.
IV. 원가계산제도 5. 표준원가계산 가.표준원가의 개념 나. 표준원가의 적용 표준원가의 적용 단계 특정제품을 생산하는데 발생할 원가를 사전에 신중하게 과학적으로 분석한 자료를 근거로 가격과 수량의 표준을 설정하여 놓은 원가로서 대개 단위당 원가로 표시된다. 표준원가는 일반적으로 원가요소별로 가격표준과 수량표준의 결합으로 산정된다. 나. 표준원가의 적용 표준원가는 실제 생산시 발생할 원가를 예측하고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주며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로서 역할을 한다. 따라서 기업이 표준원가를 이용하여 회계처리까지 하게 되는 것을 표준원가계산제도라고 하며 회계처리는 실제원가계산을 사용하고 내부 관리의 목적으로만 표준원가를 이용할 수도 있다. 표준원가의 적용 단계 초 기 단 계 : 표준원가와 실제원가를 비교하여 내부 관리적 목적으로 사용 발전된 단계 : 표준원가를 이용하여 회계처리하고 그에 따라 회계장부 유지 다. 표준원가의 유용성 (1) 예산편성이 용이 (2)기업의 목표를 조직전체가 인지하는데 도움이 됨 (3)회계처리가 간편하고 신속함
IV. 원가계산제도 라. 표준원가의 설정 (1) 직접재료원가의 표준 표준원가를 경영활동에서 이용하고자 하거나 표준원가계산제도를 도입하여 회계 처리 하고자 하는 경우 우선 표준원가를 설정해야 한다. 표준원가는 제품 1단위에 투입되는 원가를 의미하며 원가요소별로 설정한다. 이는 사전에 신중하게 과학적인 방법으로 검토 되어 설정하는 것이지만 과거의 원가자료를 이용하여 계산되기도 한다. 표준원가는 개별기업이 각자의 상황에 따라 경영활동의 방향에 비추어 설정하는 것이므로 정답을 말하는 것은 어렵다. 다만 표준원가는 현실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정도를 가정하여 설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1) 직접재료원가의 표준 직접재료원가의 표준은 제품 1단위에 투입되는 원재료의 표준수량을 결정한 후 이 원재료의 표준구입가격을 산출하여 결정된다. 제품 1단위당 투입되는 원재료의 표준수량을 결정할 때에는 질량이나 무게, 부피 등을 고려하는 것은 물론 제조과정상의 정상공손이나 감손량 등을 감안해야 한다. 원재료 1단위당 표준가격은 원재료의 구매가격을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의 예측치 등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IV. 원가계산제도 (2) 직접노무원가의 표준 (3) 제조간접원가의 표준 직접노무원가의 표준은 제품 1단위당 투입되는 직접노동시간의 표준을 결정한 후 직접 노동시간당 표준임률을 산출하여 설정한다. 제품 1단위에 투입되는 표준직접노동시간은 단순히 과거의 원가발생액을 과거의 생산량으로 나누어 결정하는 것은 아니며 산업공학적 접근방법에 따라 생산에 소요되는 시간을 산출한다. (3) 제조간접원가의 표준 제조간접원가는 직접재료원가나 직접노무원가와는 달리 정확한 추적이 어려운 간접비 이므로 개별항목에 대한 과학적 접근에 의한 표준원가의 설정이 용이하지 않다. 제조간접원가를 변동원가와 고정원가로 분류하여 제각기 표준원가를 결정하는데, 변동제조간접원가는 조업도에 따라 변동하는 원가이므로 조업도 1단위의 표준 배부율을 구하고 제품 1단위의 표준조업도를 곱하여 결정하는데, 여기서 조업도는 일반적으로 직접노무원가의 경우처럼 직접노동시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제품 1단위당 표준변동제조간접원가 =제품 1단위당 표준조업도 * 조업도 1단위당 표준배부율 제품 1단위당 표준고정제조간접원가 =제품 1단위당 표준조업도 * 조업도 1단위당 예정배부율
Part V 실제원가계산의 제반문제
V. 실제 원가계산의 제반문제 1. 실제 원가계산의 제반문제 가. 원재료비 1) 원재료의 수불이 정확히 수행되지 않는다. 1. 실제 원가계산의 제반문제 가. 원재료비 1) 원재료의 수불이 정확히 수행되지 않는다. - 원가계산의 가장 큰 핵심은 원재료비의 제품별 집계이다. 표준원가계산제도를 사용하지 않는 한, 대부분의 기업은 원재료수불부를 작성하게 되는데, 이 때 원재료의 수불결과 원재료는 최대 다음과 같이 분리되어 계상 될 수 있다. 가) 제품원가 나) 상품원가 다) 개발비 라) 경상개발비 마) 용역원가 바) 유형자산 사) 수선비 또는 제품보증비 등 - 원재료의 수불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합리적이고, 논리적인 원가계산은 결코 이루어질 수 없다. 따라서 반드시 원재료의 수불은 이루어져야 한다.
V. 실제 원가계산의 제반문제 1) 원재료의 수불이 정확히 수행되지 않는다. (계속) - 생산현장에서의 원재료 이동 또는 제품의 이동에 관한 집계가 올바르지 않을 경우, 회사차원의 전사적 노력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올바른 원가계산이 이루어질 수 없다면 현재 이익구조에 대한 정확한 파악조차 힘들기 때문이다. - 원재료의 수불이 불가능한 경우 적정한 BOM을 작성하고, 이에 따라 표준원가계산제도를 사용할 것을 검토하여야 한다. 그러나 원재료가 경상개발비 또는 개발비로도 배분되는 경우 이 또한 어려움. 또 기말 원가 차이가 크게 발생하는 경우 표준원가계산의 의미가 퇴색된다. - 노무비 또는 제조경비와 같은 가공비의 경우 배분이 가능하나, 원재료비는 배분이 불가능하며 대부분의 기업 또한 원재료는 수불부를 작성하여, 원가계산하고 있음. - 또한 원재료의 수불은 임직원에 의한 원재료의 누출 등을 막기 위한 유일한 방법이다.
V. 실제 원가계산의 제반문제 2) 원재료 등 재고자산의 실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 재고자산 실사의 기본 전제는 물론 계속기록법에 의한 수불부의 작성과 수불부에 의한 실사일 현재의 재고자산 리스트이다. 동 리스트와 실제 재고자산 실사액과의 차액 규명이 핵심이다. - 재고자산 실사의 시스템이 올바른가를 평가하여야 한다. -> 재고자산 명세와 Tag의 작성 및 부착 3) 재고자산평가방법의 적성성을 평가한다. - 대다수 기업이 법인세법상 신고한 평가방법과 실제 재고자산 평가방법이 차이가 발생함. 예) 신고방법은 선입선출법이나, 실제는 총평균법 또는 이동평균법을 사용 - 기업의 상황과 재고자산 평가방법 (1) 이동평균법 : 실무상 사용하는 기업이 거의 없음. (2) 총평균법 :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임. 다만 월별결산을 하는 기업의 경우 월별 총평균법을 사용하기도 함. (3) 선입선출법 : 제품의 회전율이 높아 생산 즉시 판매되는 경우 선입선출법을 사용하는 것도 무방함. 실제 사용기업은 많지 않은 것으로 판단됨. (4) 매가환원법 : 제품의 종류가 너무 많은 기업에서 주로 사용.
V. 실제 원가계산의 제반문제 * 참고 – 부재료비 4) 원재료 관련 부대비용 등의 회계처리의 적정성 - 운반비와 사용 전까지 발생하는 부대비용 등이 모두 원재료 취득원가에 적정히 포함되었는지 확인 - 원재료 수입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관세환급금은 매출원가에서 차감하는 형식으로 표시한다. - 원재료가 상품 등으로 전용되는 경우 타계정대체 등 제조원가명세서상의 표시 적정성을 검토한다. * 참고 – 부재료비 - 일반적으로 부재료의 경우 재고자산 규모, 금액적 중요성 등을 고려하여 원가처리함. - 재고자산의 규모가 크지 않고 금액적 중요성이 많지 않은 경우, 매입시 전액 원가처리함. - 재고자산의 규모가 크고, 금액적 중요성이 있는 경우 원재료와 동일하게 수불을 관리하여 원가처리 하거나, 기말 재고자산만을 실사하여 동 매입원가를 재고자산으로 계상하고, 나머지를 원가처리함.
V. 실제 원가계산의 제반문제 나. 노무비 1) 노무비 집계 및 배분의 문제 - 원칙적으로 노무비는 모든 생산인원별로 작업시간표(Man –hour)를 작성하여 각 제품별로 집계하여야 함. - 작업시간표의 집계 및 배부가 어려운 경우 각 제품당 투입 시간을 계측하여, 이를 표준시간으로 정하고 동 표준시간에 단위당 노무비를 고려하여 제품별로 노무비를 집계할 수 있음. - 일반적으로 중소기업의 경우 노무비는 제품별 원재료비 등 적정한 기준으로 설정하여 배분하는 기업이 많음. - 노무비 또한 제품원가 외에 경상개발비, 개발비등으로 배분될 수 있으므로 각 과목별 배분 및 원가에 배분된 노무비의 제품별 배분까지 일관되고 논리적인 배부기준이 필요함.
V. 실제 원가계산의 제반문제 다. 제조간접비 1) 제조간접비의 집계 및 배분 - 경비의 경우 기중에 경상개발비,개발비,판관비, 제조간접비 등 대구분하여 집계하여야 함. - 기업에 따라서 판관비 등에 일괄 구분하고, 기말에 일시 원가대체하는 경우도 많음. - 일단 대구분하여 집계된 제조간접비는 기업별로, 또 각 과목별로 여러가지 기준에 의하여 제품에 배부됨. 이 때의 배부기준은 역시 논리성(상관관계)과 일관성이 중요함. - 일반적으로 중소기업의 경우 노무비는 제품별 원재료비 등 적정한 기준으로 설정하여 배분하는 기업이 많음.
V. 실제 원가계산의 제반문제 2) 실무상 많이 사용되는 제조간접비의 집계 및 배분 2) 실무상 많이 사용되는 제조간접비의 집계 및 배분 - (표준)원재료비 기준 배부법 – 원재료비와 간접비의 상관관계가 높은 경우 - 노무비 기준 배부법 – 노무비와 간접비의 상관관계가 높은 경우 - 투입시간 또는 표준투입시간 기준 배부법 – 노동시간과 간접비의 상관관계가 높은 경우 - 과목별 배부기준법 – 상기 기준을 혼합하여 과목별로 사용하는 경우
V. 실제 원가계산의 제반문제 3) 과목별 배부기준법 과 목 배부기준 과 목 복리후생비 소모품비 여비교통비 지급수수료 통신비 과 목 배부기준 과 목 복리후생비 소모품비 여비교통비 지급수수료 통신비 무형자산상각비 접대비 리스료 수도광열비 외주가공비 전력비 잡비 세금과공과 임차료 보험료 차량유지비 경상개발비 운반비 교육훈련비 도서인쇄비 사무용품비
Part VI 원가-조업도-이익 (CVP) 분석
VI. 원가-조업도-이익(CVP) 분석 1. 원가-조업도-이익분석 가. 기본개념 나. CVP분석의 가정 1. 원가-조업도-이익분석 가. 기본개념 원가-조업도-이익분석은 통상 CVP분석으로 통칭되며, 관리회계의 핵심 주제 중 하나이다. 매년 예산 편성시 예상 손익계산서를 작성하거나, 판매가격의 설정등 관리회계의 여러 영역에 활용되고 있다. CVP분석은 손익분기점 분석(BEP 분석)보다 광의의 개념이다. 나. CVP분석의 가정 CVP분석은 일정한 가정하에 설정된 모형이다. (1) 모든 원가(비용)은 변동비와 고정비로 분류할 수 있다. – 단기적 분석 (2) 원가 및 수익형태는 모두 선형이다 – 선형성 (3) 생산량은 모두 같은 기간 중 판매된다 – 생산과 판매의 동시성 (4) 조업도만이 원가에 영향을 미치는 유일한 요인이다.
VI. 원가-조업도-이익(CVP) 분석 다. 공헌이익 CVP분석의 가정 핵심개념은 공헌이익 (contribution margin)이다. 공헌이익 = 매출액 – 변동비 = 고정비 + 이익 단위당 공헌이익 = 공헌이익 / 조업도(생산량=판매량) 변동비 = 변동제조원가 + 변동판매관리비등 변동비율 = 변동비 / 매출액 공헌이익율 = 공헌이익 / 매출액 = (매출액 – 변동비) / 매출액 = 1- 변동비율 BEP매출액 = <매출액 – 변동비 = 공헌이익 = 고정비>를 만족하는 매출액 = 이익이 0인 매출액
VI. 원가-조업도-이익(CVP) 분석 라. 민감도분석 CVP분석모형에서 이익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들, 즉 판매량, 판매가격, 변동비,고정비 등이 변동하는 경우 이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는데, 이를 CVP분석 모형에 의한 민감도분석이라 한다. CVP분석모형에서는 주로 다음의 변수들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한다. (1) 조업도의 변화 – 판매량 또는 매출액 (2) 판매가격의 변화 (3) 변동비의 변화 (4) 고정비의 변화
THANK YOU www.kiti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