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4 장 팀 행동과 도구.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학교 자체평가의 실제 신 동 한. 목 차  표지 제목  학교 소개  평가위원회 구성  지표별 평가의 실제  학교 자체평가의 향후 반영 계획  설문지 처리.
Advertisements

주사위를 이용한 땅 따먹기 청솔초 영재학급 4 학년 장 택 민 목차 1. 제작 동기와 원리 2. 필요한 도구 3. 게임규칙 설명 4. 게임 분석 및 전략 1. 제작 동기와 원리 2. 필요한 도구 3. 게임규칙 설명 4. 게임 분석 및 전략.
통계학 강의 노트 제 2 장 0/10 기 초 통 계기 초 통 계 기 초 통 계기 초 통 계.
교육 프로그램의 분류 일반 직무능력 향상과정 3 P 계층별 역량 강화과정 109 P 경영혁신과정 150 P.
QC 신7가지 관리도구.
프로젝트관리.
제12장 프로젝트의 일정계획 1. 간트도에 의한 프로젝트의 일정계획 2. PERT/CPM
Copyright © 2012 Pearson Education, Inc. Publishing as Prentice Hall
금속의 종류와 액체의 성질에 따른 금속의 부식 창의적 산출물 연구 보고서 부명 초등 학교 임재윤 지도교사 노지은선생님
운동화 전문 매장 관리 시스템 - 시스템 개발 계획안 - 소프트웨어공학 4조 ‘04 조수민 ‘04 이준희 ‘04 최재원
공교육 정상화 및 선행학습 금지 학부모 연수 부천송일초등학교.
제2기(2011~2014) 경기도 지역사회복지계획(안)
Chapter 2 정보시스템 아키텍처 (IS Architecture)
프로젝트 관리.
제11장 공정관리와 프로젝트 관리 마스터 제목 스타일 편집 공업경영과 경제 마스터 텍스트 스타일을 편집합니다 둘째 수준
과제도출하기 액션러닝.
노동법 실무 교육 ( 강의교안 ) 강사: 공인노무사 이우태 공인노무사 정광일 공인노무사 정호석
SPOT 운영.
품질 분임조 활동 10 단계.
진단검사의학과 CQI (외부의뢰검사의 전산화)
2012년 8월 3차 부서 QI 및 지표 담당자 모임 - QI 도구 (QI Tools) 년 8월 24일(금) QI팀.
통계적 품질관리(SQC).
작업분석(Task Analysis) 숙명여자대학교 임순범.
창의적 사고(6) - 문제 해결.
Chapter 6. 프로젝트 시간관리 (Project Time Management)
프로젝트 관리(1) 및 보고서 작성 방법 [4] 이현우 공정관리 예산관리 품질관리
경영학원론 2008 Spring Kookmin University Namgyu Kim
Logic Tree 만들기.
대학생활을 위한 자기관리 프로그램 개발 제6강 Module 2.
건설관리학 강의슬라이드 8장. 품질관리.
어서 오세요~* (^-^)/ 4명씩 한 모둠으로 앉아주세요. 벽에 스티커 평가를 해주세요. 오늘의 버츄카드를 뽑아보세요.
프로젝트 계획과 관리 1.
소프트웨어 공학 (Software Engineering)
신QC 7가지 관리도구.
간호관리Ⅱ Chapter 6. 통제 동아인재대학교 장 광 심.
품질경영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통계적 기법 ISO/TS
제5~8강 경영의 관리적 활동 의 의 기업의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기업의 여러가지 활동
1. 6시그마의 개요.
의료의 질 관리 이론 및 질 향상 모델 김 민 경.
제4장 일정관리기법 시스템을 개발할 경우 경제적인 개발은 무엇보다도 중요한 관심사항
제거방안 수립 및 실시 Chart 일처리 5단계와 SUPEX 추구 경영혁신 SUPEX.
조직문화 혁신사례 P & C 컨설팅 LGENT의 비전과 전략 달성을 촉진하기 위한 P & C
6 주차 건설금융 및 공정관리.
영원한 복음.
프로젝트 관리 Project Management
1. 논리적이란? 논리적이지 못하다 말이나 글에 두서가 없다. 1. 논리적이란? 논리적이지 못하다 말이나 글에 두서가 없다.
고구려,백제,신라의 건국과 발전 Start!
ISO 9004 개 요.
프로젝트의 시간, 비용 및 기술적 제약조건을 충족시키도록
Introduction to Computers
중간보고회 제2기 전라남도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 전남발전연구원.
공정표 작성 이 승 현, Ph. D. 공정관리.
작업분석(Task Analysis) 숙명여자대학교 임순범.
치유정원 화훼디자인계열 가드닝전공 오현경.
ISO 9004 개 요.
6장 품질경영.
분임조원고 작성의 이해 임 헌 길.
발명교육 이론 -> 문제확인을 위한 사고 기법 6강 고광수, 고은식
식물의 성장조건 만 든 이 : 김지혁 지도교사 : 김경순선생님.
개발 설계 Value Methodology 과정 사내 교육 제안서
사업계획서 작성 이중언어세미나.
품질개선활동 본 강의 자료는 2003학년도 교육인적자원부·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지원에 의하여 개발된 것임.
팀 빌딩 (Team Building)이란? 신뢰할 수 있는 팀을 생성하는 작업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은, - 한 사람 한 사람의 자발성 - 내 옆의 사람과 일하고 싶다는 마음 - 서로에 대한 필요와 신뢰 - 원활한 의사소통.
CHAPTER 9 SCHEDULING: PROGRAM EVALUATION AND REVIEW
문제 해결 기법 (STEP-BY-STEP PROBLEM SOLVING;Richard Y.Chang 자료를 중심으로)
고등용 뉴스포츠와 아이디어 경매.
제 8 장 프로젝트 일정계획.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가톨릭 상지대 차호영
제2기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 추진 및 평가 사 례 발 표
Presentation transcript:

제 4 장 팀 행동과 도구

제4장 팀 행동과 도구 4.1 서론 공학설계 - 팀 활동  팀 안에서 효율적으로 하는 것 ▶ 팀의 중요한 이점 (1) 팀원들의 다양한 교육과 삶의 경험 → 창조적, 넓은 지적 기반 (2) 서로 다른 작업과 책임을 부여 받음 → 더욱 일찍 마무리 지을 수 있음 ▶ 팀 공동목표를 가지고 상호 보완적 기술을 가진 적은 숫자로 이루어진 사람들 1) 실제 작업하는 팀 2) 조언을 해주는 팀

4.2 효과적인 팀원의 의미 - 팀의 성공을 위해 책임감을 가짐 - 팀을 위해 헌신하는 사람 : 개인적인 일을 재정립 ▶ 팀 회의 중에서 공헌할 수 있는 방법 - 다른 사람이 말하는 것을 경청하라. - 자신의 의견을 크고 분명하게 전하라; 긍정적인 내용, 핵심에 집중 - 유용한 피드백을 배워라.

4.2 효과적인 팀원의 의미 ▶ 효과적인 팀의 특징 팀의 목적은 개인의 목적과 같이 중요하다. 팀의 목적을 이해하며, 그것을 달성하기 위해 헌신한다. 두려움 대신 신뢰가 있으며, 사람들이 위험을 감수하는 것을 편안히 느낀다. 존중, 협동, 열린 사고방식이 퍼져있다. 팀원들은 원활하게 의사소통을 한다. 결정은 만장일치에 의해 내려지고 팀원들의 수용과 지원을 받는다.

4.3 팀 역할 - 팀 후원자(team sponsor) ; 팀의 성과를 요구하는 사람, 필요한 자원 제공 - 팀 리더(team leader) ; 정해진 목표를 달성하도록 팀원을 격려하고 조정 - 촉진자(facilitator) ; 리더를 도움, 문제 해결도구, 데이터 수집 - 과정 관찰자(process observer) ; 회의의 과정과 진도를 관찰

4.4 팀의 역동성 ▶ 발전 단계 1. 오리엔테이션(구성기) ; 정보 교환 ▶ 시련기 검토사항 자유로운 의사소통 2. 불만(시련기) ; 서로 차이를 인식 3. 결의(안정기) ; 충돌 해결, 서로 돕기 4. 생산(활동기) ; 성과에 자부심 5. 종료(휴식기) ; 성과를 보고 ▶ 시련기 검토사항 자유로운 의사소통 동등한 참여가능성 개인 일과 팀 일의 균형 팀원 사이의 신뢰감  가이드 라인 구축 [ 참고 : 표 4.3 ]  We don’t want a general pattern. 한 달 동안 팀 리더를 교대함으로 시작

4.5 효과적인 팀 회의[ 가이드 라인 ] 우리는 최대한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존중한다. 팀에서 도출된 정보는 비밀로 한다. 4.5 효과적인 팀 회의[ 가이드 라인 ] 우리는 최대한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존중한다. 팀에서 도출된 정보는 비밀로 한다. 우리는 개인 간의 차이를 존중한다. 우리는 다른 팀원의 아이디어를 존중한다. 우리는 비판적이기보다는 협력적이다. 우리는 적절한 시간에 피드백을 직접적 그리고 공개적으로 제공한다. 우리 모두는 팀에게 공헌해야 한다. 우리는 결석이 불가피하다면, 반드시 리더에게 알린다. 회의에 불참한 팀원에게도 최신의 정보를 반드시 알려 준다. 회의는 제 시간에 시작하고, 신속하게 회의를 진행한다. 우리는 개인간 갈등과 숨은 의도를 방지하며 우리의 목적에 집중할 것이다. 우리는 회의 도중에 전화나 방해작업을 하지 않는다. 우리는 회의에서 양심적이고 합당한 계획만을 세운다.

 회의장소 : 출입 편리, 휴식공간, 깔개 받침, 온도와 소음 2. 회의내용을 이메일로 알리고, 회의 참석 여부 확인 4.5.1 성공적인 회의를 위한 유용한 규칙 1. 정규 회의 장소를 정하고 바꾸지 않음  회의장소 : 출입 편리, 휴식공간, 깔개 받침, 온도와 소음 2. 회의내용을 이메일로 알리고, 회의 참석 여부 확인 3. 회의 전에 자료를 보낸 경우, 회의에 몇 부를 추가로 준비 4. 지정된 시간보다 5분 이상 늦지 않게 시작 5. 늦게 오거나, 미리 자리를 떠나거나, 참석하지 않은 사람을 알림 6. 시작할 때 안건을 나눠주고, 안건에 대한 팀의 동의를 구함 7. 말하지 않는 팀원들을 관찰하고, 발언 기회를 줌 8. 회의 마치기 전에 결론, 다음 회의의 일정과 과제를 요약 9. 회의에 참석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회의자료 발송  연락처 확보(메일주소, 이메일 주소, 이름, 전화번호)

4.6 팀에서 발생하는 문제점 ▶좋은 팀의 특징 ▪ 다른 팀원들을 존중 ▪ 팀원의 말을 귀담아 들음 ▶ 분열적인 팀원의 특징 ▪ 참여하나 지배하지 않음 ▪ 자신감이 있으나 독단적이지 않음 ▪ 의견이 다르지만 좋은 센스를 가짐 ▶ 분열적인 팀원의 특징 ▪ 다른 사람을 존중하지 않음 ▪ 항상 얘기하려 하고, 듣지 않음 ▪ 지배하고, 대립을 자극 ▪ 자신감이 넘쳐서 독단적임 ▪ 지나치게 비판적임

4.7 문제 해결 도구 ▶ 문제 해결을 위한 3단계 과정 ▪ 문제의 정의 ▪ 원인 파악 ▪ 해결안의 적용

예제 4.1 문제 정의 : 4학년 졸업과제에 학생들 중 5%만 선택하고 있다. 그 원인은 무엇이며, 더 많은 학생들의 참여를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원인파악 ▶ 브레인 스토밍 [brain storming] : 우호적인 분위기 속에서 최대한의 많은 대안을 만들어 내는 것 ▶ 브레인 스토밍의 4가지 기본 원칙 1. 비판하지 말 것 2. 제안된 아이디어들은 다른 구성원들에 의해 반드시 발전되도록 3. 참여자는 아무런 제약조건 없이 마음속의 아이디어를 내어야 4. 짧은 시간 내에 많은 아이디어를 내어 정리하는 것이 중요  유사성 분석 (affinity diagram) ▶ 브레인 라이팅 (brain writing): 주제가 논쟁의 여지가 있는 경우, 참여자들이 각자 4개 정도의 아이디어를 내고, 다시 거기에 다른 사람이 추가 아이디어를 내어서 많은 아이디어를 모으는 방법

유사성 분석도표 (affinity diagram) ▶ 유사성 규명 : 아이디어, 사실, 의견들을 가까운 것들 끼리 모음 1. 문제를 몇 개의 주요 이슈로 나눔[ 브레인 스토밍 며칠 후에 ]  관련성이 있는 내용을 세로로 모아서 정리, 제목을 붙임 2. 아이디어에 대하여 확실한 이해  아이디어를 다듬거나 합치는 과정에서 새 아이디어를 도출 예제 분석 : 졸업과제 참여율 낮음 - 시간적 제한 - 교수진 문제 - 관심의 부족 - 정보의 부족 - 기타

졸업과제 참여율 저조의 이유에 관한 유사성 분석표[점수 배분]

졸업과제 참여율 저조의 원인에 관한 유사성 분석표[가중치 부여]

졸업과제 참여율 저조의 원인에 관한 분석 1) 문제의 정의 졸업과제 과목의 낮은 참여율 2) 원인 분석 - 조사 : 4학년 학생 100명 a) Pareto chart - 원인과 문제점의 우선순위 도표  80/20의 법칙 적용

졸업과제 참여율 저조의 원인에 관한 분석 b) 인과관계 도표 [Cause-and-Effect Diagram] 물고기뼈[fish-bone] 도표, Ishikawa도표 : 문제의 원인 요소 규명

졸업과제 참여율 저조의 원인에 관한 분석 c) Why-Why Diagram 근본 원인을 깊이 조사 “왜 이 문제가 생겼는가?”  반복되어 나타나는 원인들이 근본 원인

졸업과제 참여율 저조의 원인에 관한 분석 d) 연관관계도 (Interrelationship Digraph] 인과 관계를 조사하여 근본 원인을 규명하는 도구 : 가장 많은 화살표가 나오는 것이 근본 원인

졸업과제 참여율 저조에 대한 해결책 3) 해 만들기와 실천 ( Solution Planning and Implementation ) 정확한 문제와 근본 원인들을 파악  근본 원인을 제거할 수 있는 최상의 해결책 모색  브레인 스토밍, 복수 투표 개념 선택방법 a) How-How 도표 “우리가 그것을 어떻게 하지?”

졸업과제 참여율 저조에 대한 해결책 b) 역장 분석 (Force Field Analysis) - 원동력과 방해하려는 힘 양쪽의 힘을 파악하는 기술

졸업과제 참여율 저조에 대한 해결책 c) 실행 계획 수립 (Implementation Plan) 맺는 말 [Epilogue)

4.7.1 설계에 문제 해결 도구를 적용하는 법 ▷ [예제 4.2] SKX-7 게임박스 1) 문제 정의 - 납땜부 불량 - 램프와 연결된 전선의 불량 - 느슨해진 소켓 - 램프 필라멘트에 과도한 전류

4.7.1 설계에 문제 해결 도구를 적용하는 법 2) 원인분석 : 파레토 도표

2) 원인분석 : 흐름도 (Flowchart)

2) 원인분석 : 물고기뼈 도표

2) 원인분석 : 상호관계도

3) 해의 발견과 실행 : How-How Diagram

4.8 시간 관리 효과적 : 꼭 해야 할 일을 하는 것 효율적 : 가능한 짧은 시간 안에 올바른 방법으로 일을 하는 것 효과적 : 꼭 해야 할 일을 하는 것 효율적 : 가능한 짧은 시간 안에 올바른 방법으로 일을 하는 것 ▶ 시간 관리를 위한 지침 - 적당한 장소를 확보하라 : 전문성과 관련된 도구들이 준비된 장소 - 일에 대한 일정을 잡아라 : 1) 주요 일정을 월간 달력에 기록 2) 매일 한 일에 대해서 노트에 기록 3) 수행할 일 목록 작성 : 2주 이내 할일, 2주 후에 할 일을 구분  중요한 일과 사소한 일을 빨리 구분해야  80/20법칙을 기억해야 : 20%의 활동에서 80%의 좋은 결과가 나옴 - 거절하는 법 배우기 : 사소한 일에 나서지 말 것 - 중요 시간대의 활용 : 효율 높은 시간대에 힘들거나 도전적인 일 처리

4.9 계획과 일정관리 젊은 엔지니어 - 설계의 기술적 완성도에 너무 집착하여 정해진 시간에 마치는 것을 소홀히 함  ‘시간은 돈이다.’ - 계획 : 프로젝트 수행에 필요한 중요 실행 지침과 이들의 순서가 명시되어 있어야 함 - 일정 : 계획을 달력의 시간표 속에 계획을 짜 넣는 것 프로젝트 전체 주기에서 중요한 결정 성능 : 성능시험을 위한 충분한 사양을 반드시 만들 것 시간 :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일정을 수립 비용 : 실현가능성을 결정하는 중요 요소 위험 : 성능, 시간, 비용 측면에서 수용할 수 있는 위험 수준을 미리 정할 것

4.9.1 작업 분할 구성 - 작업의 세부 내용을 충분히 숙지  과제를 관리할 수 있는 세부 단위로 나누는 하나의 도구 - 실행되어야 할 일들이 목록화  실현 가능한 성과 중심으로 표현 ▶ 작업 분할구성의 3개의 수준별 발전 (1) 전반적인 과제 목적 (2) 설계 과제 단계별 분할 (3) 각 단계별 설계 과정에서의 예상되는 성과물 ▶ 작업의 범위 ▶ 참여자들의 업무를 주간 단위로 표현

4.9.2 간트 차트 - 일정 수립에 주로 사용 단점 : 이전의 과업과 앞으로의 과업 사이에 연계성이 분명하지 않음

예제 4.3 과제의 목적 : 기존 튜브 내에 새로운 튜브를 설치하여 테스트

예제 4.3 과제의 목적 : 기존 튜브 내에 새로운 튜브를 설치하여 테스트 네트워크 임계 경로( network critical path )

예제 4.3 과제의 목적 : 기존 튜브 내에 새로운 튜브를 설치하여 테스트

4.9.3 임계 경로 방법 CPM (Critical Path Method) 4.9.3 임계 경로 방법 CPM (Critical Path Method) - 병목 현상을 찾기 위해 활용되는 네트워크 다이어그램 ▶ 용어와 규칙 활동 : 프로젝트의 일부, 꼭 수행되어야 하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업무 화살표 위에 표시 화살표는 과제 진행방향 사건 : 한 활동이 끝나고 다른 활동이 시작되는 것 의사결정을 해야 하거나 한 업무의 종료 동그라미로 사건을 표시 모든 활동은 2개의 사건으로 분리됨

4.9.3 임계 경로 방법 ▶ 논리적 제한 1. 활동은 이전 사건이 일어나기 전에는 시작할 수 없다. 2. 사건은 사건으로 향하는 모든 활동이 완료되어야만 성립한다.

4.9.3 임계 경로 방법 ▶ 논리적 제한 3. 두 개의 사건이 한 개의 활동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지만, 한 개의 사건이 앞선 다른 사건에 종속되어 있는 경우  점선 화살표( ∙∙∙> ) 로 표시되는 가상활동을 도입 활동 D 전에 활동 A,B는 동시에 끝이 나야 한다. 그러나 활동 C는 오로지 활동 A에 종속되며, 활동 B와는 독립적이다. 활동 A는 B와 C에 앞서서 진행되어야 한다. B는 D와 E에 앞서서 진행되어야 한다. C는 E에 앞서서 진행되어야 하며, D와 E는 F에 앞서서 진행되어야 한다.

4.9.3 임계 경로 방법 ▶ CPM 관련 변수 정의 기간 (D : Duration) : 활동을 완수하는데 걸리는 시간 제일 빠른 시작 (ES : Earliest start) : 활동을 시작할 수 있는 제일 빠른 시간 제일 늦은 시작 (LS : Latest start) : 활동을 시작할 수 있는 가장 늦은 시간 가장 일찍 종료되는 시간 (EF : Earliest finish time) : EF=ES+D 제일 늦게 종료되는 시간 (LF : Latest finish time) : LF=LS+D 총 유동 시간 (TF : Total float) : TF = LS-ES (임계경로인 경우 TF는 0이다.)

4.9.3 임계 경로 방법 ▷ 예제 4.4 네트워크 다이어그램 -> CPM 네트워크

4.9.3 임계 경로 방법 CPM (Critical path method) : A-D-G-H-J-K PERT (program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ue) : 시간대신 한 개의 활동을 완수하는 데 걸리는 시간의 확률적 값 고려

4.10 요약 ▶팀 내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 ▶ 마음 가짐 ▪ 맡겨진 임무와 납기의 중요성 ▪ 회의, 비교 검증 등 준비의 중요성 ▪ 피드백을 주고, 피드백으로 배우는 자세 ▪ 문제를 푸는 체계적 방법의 중요성 ▪ 시간 관리의 중요성 ▶ 기술적 내용 ▶ 팀 운용 ▪ 팀 운영 규칙 ▪ 회의 규칙

▶ 문제 해결도구 ▪ 브레인 스토밍 (Brain storming) ▪ 유사성 분석도 (Affinity diagram) ▪ 복수 투표 (Multivoting) ▪ 파레토 도표 (Pareto chart) ▪ 원인-영향분석도 (Cause-and-effect diagram) ▪ Why-why diagram ▪ 상호관계도 (Interrelationship digraph) ▪ How-how diagram ▪ 역장분석 (Force field analysis) ▪ 실행 계획 (Implementation plan) ▶ 일정 잡기 도구 ▪ 간트차트 (Gantt chart) ▪ 임계경로방법 (CPM : Critical path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