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장. 자아와 커뮤니케이션
생각해보기 1. 나는 나 자신을 어떤 사람이라고 생각하는가? 2. 다른 사람들은 나를 어떻다고 얘기하는가? 3. 나는 다른 사람들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자아개념(self-concept) 자신을 스스로 어떻게 느끼는가에 대한 것 ‘나 스스로 생각하는 나’를 포함해,‘나에게 중요한 타인이 생각하는 나’,‘일반인들이 생각하는 나’에 대한 개념 등이 모두 합쳐진 것 타인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형성됨 자아개념은 세 요소로 구성됨 1. 반사평가(reflected appraisals) 2. 사회적 비교(social comparisons) 3. 자아지각(self-perception)
스크립트 script: 우리가 타인을 위해 만들어내야 하는 구체적인 메시지 자아개념(self-concept) 1. 반사평가(reflected appraisals) ◈ 타인의 존재가 우리로 하여금 누구인지 알게끔 비추어 줌. ◈ 대부분의 반사평가는 타인이 우리에게 무슨 말을 하는가에서 비롯됨. 그리고 그러한 메시지가 우리의 자아개념을 형성함. 스크립트 script: 우리가 타인을 위해 만들어내야 하는 구체적인 메시지 ※ 긍정적인 반사평가/ 부정적인 반사평가 ◈ 자기충족적 예언 self-fulfilling prophecy = 피그말리온 효과 Pygmalion Effect - 자기가 사실이라고 믿는 대로 실현되어 나타나는 현상
자아개념(self-concept) 2. 사회적 비교(social comparisons) ◈‘우리 자신을 어떻게 타인과 비교하는가?’에 관한 것 - 외모나 학교 성적, 자동차와 같은 소유물 등이 비교대상이 됨 - ‘엄친아’가 왜 네티즌 사이에서 폭발적 반향을 일으켰을까? ◈ 모든 사회적 비교 결과가 한 사람의 자아개념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침. ◈ 매스미디어와 사회적 비교 - TV프로그램/ 광고
자아개념(self-concept) 3. 자아지각(self-perception) ◈ 나만의 방식으로 내 자신을 바라보게 되는 것 ◈ 자아지각은 경험으로부터 형성됨 - 긍정적인 경험/ 부정적인 경험 ◈ 사람은 나이를 먹어가면서 반사평가나 사회적 평가보다는 점점 자아지각에 더 많은 부분을 의존함. - 그간의 풍부한 경험을 통해 확신을 지니게 되었기 때문
자아개념(self-concept) ◈ 지각perception ◈ 지각의 과정(세 단계) 자아지각이 우리 자신의 모습을 바라보는 방식이라면, 지각은 우리 주변의 세상과 타인을 어떻게 바라보는가에 대한 것임 - 주변 사람이나 정보를 대응하는데 영향 미친다 - 매우 단순하게, 거의 자동적으로 일어나 - 이미 이와 관련한 기대와 준비가 있기 때문(기존에 습득된 무언가가 바탕이 됨. 편리성을 추구하는 인간의 본성과 관련) ◈ 지각의 과정(세 단계) 사람마다 정보를 지각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동일한 과정이 나타나지 않음 조직화 정보 수집 해석 과정
자아개념(self-concept) ◈ 지각의 불완전성 1. 삭제(deletion) 2. 왜곡(distortion) - 신체적 감각능력이 제한된 인간은 자신이 처한 상황에서 중요한 부분에만 초점을 맞추려 한다. 신념이 강할 때도 일어나는 현상 2. 왜곡(distortion) - 전체가 아닌 일부분을 주목하고 나머지 부분을 자신의 주관으로 채우기 때문에 발생. 자신의 신념과 가치를 지지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 왜곡을 일으키기도. 3. 일반화(generalization) - 어떤 특정한 사실이나 증거만을 바탕으로 ‘어떠어떠할 것’이라고 단정짓고 판단 하는 것. 일상생활에 요긴하지만 문제 소지 있다(삭제와 왜곡현상을 자연스럽게 불러옴) 4. 지각여과(perceptual filters) - 자신만의 렌즈로 세상을 바라보는 데서 발생. 자신이 지닌 관습과 가치, 지식, 신념, 예절, 언어, 종교적 믿음 등을 통해 세상을 바라보게 된다. 우리가 세상 자체를 그대로 바라보지 못하는 이유.
우리가 선택한 것이 무엇이든 그것이 최선의 선택이라는 우리의 믿음이 흔들리지 않도록 그 생각을 지지하거나 강화하는 정보를 자아개념의 강화 ◈ 윌못(Wilmot)의 자아강화 방법 첫째, 나의 자아개념을 지지하는 사람들만 선별적으로 접한다 -‘유유상종’이 가능한 이유 둘째, 나의 행동이나 타인의 행동을 선별적으로 해석한다 -<이솝 우화> 가운데 ‘여우와 신포도’ 사례 셋째, 내가 달성하고 싶은 목적을 선별적으로 선택한다 -키가 작아서 농구부에 가입할 수 없다면, 대신 키와 상관없는 음악 활동을 한다 ‘선택적 노출(selective exposure)’ 우리가 선택한 것이 무엇이든 그것이 최선의 선택이라는 우리의 믿음이 흔들리지 않도록 그 생각을 지지하거나 강화하는 정보를 선별적으로 추구하는 경향
자아의 사회적 구성 ◈ 상징적 상호작용(Symbolic Interaction: SI) by 미드(Mead) ◈ 자아의 발전단계 인간 행위의 특징 가운데 상징적 행위를 가장 중요하게 부각시킴으로써 인간 심리의 사회성을 강조 ◈ 자아의 발전단계 ‘놀이단계’ 어린이들에게서 볼 수 있는 것처럼, 특정한 타인(부모 등)의 역할이나 태도를 배우기 시작 일반화된 타인의 역할을 취하게 됨. 이로 인해 일반화된 타인의 역할을 택할 수 있는 상징적 능력을 지니게 됨 ‘게임단계’ ‘me’ 특정한 반응을 요구하는 타인의 모든 태도를 가진 자아 ‘I’ 그에 대한 개인의 반응 ◈ 자아가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데 필요한 요소 1.자아의식 요소 2. 행위 요소 3. 자서전적 요소
자아표현 - 고프만의 이론 ◈ 인상관리(Impression Management) 이론 (= 연극학적 이론) <일상생활에서의 자기표현(The Presentation of Self in Everyday Life)> - 사회적 만남에서 자아는 ‘겉모습(front)’을 표현하는 경향을 지님 ‘겉모습’은 사람들이 항상 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인상을 창조하기 위해, 즉 자신의 인상을 관리하기 위해서 자신의 노력을 동원한 결과로 나타남 겉모습 = 세팅(setting) + 개인적 겉모습(personal front) ‘사회적 속기(social short- hand)’ 구실 ‘후면 영역(타인을 의식하지 않는 본연의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하는 행동)’ ‘전면 영역(타인 앞에서의 모습. 사회적 역할 개념에 이상적인 행동)’
자아노출(self-disclosure) ◈ 적절한 자아노출은 커뮤니케이션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 자아노출이 어떻게 이뤄질 때 커뮤니케이션이 확대되는지 보여줌 조해리의 창(Johari’s window) 자신에게 알려진 자신이 모르는 타인에게 알려진 열린자아 (open-self) 눈먼자아 (blind-self) 타인이 모르는 숨겨진자아 (hidden-self) 모르는자아 (unknown-self) ◈ 열린 자아(open-self: 따로 노출하지 않아도 사람들이 쉽게 알 수 있는 부분.) ◈ 숨겨진 자아(hidden-self: 본인 스스로 공개를 꺼리고 비밀에 부치는 부분) ◈ 눈먼 자아(blind-self: 상대방은 알고 있으나 정작 자신은 모르는 부분) ◈ 모르는 자아(unknown-self: 자신은 물론 남들도 알 수 없는 미지의 부분)
올바른 자기 감시(self-monitoring)의 자세 필요 자아노출(self-disclosure) 눈먼 자아 눈먼자아 열린자아 열린자아 모르는자아 숨겨진자아 모르는자아 숨겨진자아 <그림 2-3 >자아노출로 인한변화 <그림 2-4> 피드백으로 인한변화 열린자아 눈먼 자아 눈먼자아 열린자아 숨겨진자아 모르는자아 모르는자아 숨겨진자아 <그림 2-5 > 자아노출과 피드백으로 인한 변화 <그림 2-6 > 자아노출의 실패 적정 수준의 자아노출을 위해 올바른 자기 감시(self-monitoring)의 자세 필요
성(性)과 자아의 사회적 구성 ◈ 관점 이론(Standpoint Theory) • 개인이 처한 사회적 환경이 세상을 이해하고 구성하는 데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것 • 남성과 여성 사이에 중요한 차이가 있음을 주목 - 우드는 자율성과 관계성이라는 두 가지 개념을 동원해 이를 설명 - 남성은 자율성을 보다 원하는 반면, 여성은 관계성을 좀더 원한다고 주장 하딩은 사회 비주류인 여성적 관점에 주목한 결과, 권력관계가 강/약으로 나뉘는 구조에서는 권력이 약한 여성의 관점이 보다 객관적이라는 사실을 밝혀냄 ◈ 비전형(非典型) 이론(Queer Theory) • 동성애와 같은 비전형적인 성 정체성이 자아의 자발성과 선택에 의한 것이라는 점에 주목 • 버틀러는 성 정체성은 질서 유지를 위해 사회가 구성한 것이지 생물학적 으로 정의되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 하위문화 형성
연습문제 1. 자아개념의 형성에 커뮤니케이션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2. 반사평가와 사회적 비교, 그리고 자아지각에 대해 설명해보시오. 3. 자기충족적 예언은 무엇이고, 그것은 어떻게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가? 4. 지각은 왜 사람마다 달리 일어나는가? 또 삭제와 왜곡, 일반화는 지각에 어떠한 현상을 초래하는가? 5. 고프만의 인상관리 이론이 말하는 바는 무엇인가? 6. ‘조해리의 창’에 대해 설명하시오. 7. 여성과 남성의 자아는 어떻게 달리 구성되는가? 관점 이론을 바탕으로 설명해보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