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태론과 통사론에서의 위치부류(position class)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목성에 대해서 서동우 박민수. 목성 목성은 태양계의 5 번째 궤도를 돌고 있습니다. 또 한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으로 지구의 약 11 배 크기이며, 지름이 약 14 만 3,000km 이다. 목성은 태양계의 5 번째 궤도를 돌고 있습니다. 또 한.
Advertisements

1514 함신원 & 1515 현재환 & 1516 홍성훈. 언어란 ? 생각이나 느낌을 나타내거나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음성 · 문자 · 몸짓 등 의 수단 또는 그 사회관습적 체계 언어 [LANGUAGE, 言語 ] ( 두산백과 ) 언어란 ' 자의적인 음성기호의 체계 '
선행선행 죄 죄 구원구원 선행 ※ 경기 규칙 1. 윷놀이의 아래를 제외한 대부분의 규칙은 동일하다. 2. 이 윷놀이의 궁극적인 목적은 험한 세상을 지나 천국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3. 윷놀이를 하다가 앞서 가고 싶은 욕심 때문에 ‘ 죄 ’ 칸에 멈춰서면 반드시 목욕탕으로.
Numeral Agreement 1. Statistics ___ my favorite subject. (be) Statistics _____ that the population will be doubled in 10 years. (show) ★ 규칙 1 - 학문, 과목명은.
1 넷스팟 MAC ID 설정 방법 ( 서울캠퍼스 기준 ) 각종 스마트폰의 WiFi 를 이용시 각종 스마트폰의 WiFi 를 이용시 MAC ID 설정을 하는 방법 입니다. 아이폰의 경우는 별도의 설정없이 바로 사용이 가능하오니, 사용이 어려울 경우, 고객센터로 문의하시면 됩니다.
→ 「 too+ 형용사 [ 부사 ]+to 부정사」는 ‘ 너무 ~ 해서... 할 수 없다 ’ 라는 의미 로 이때의 to 부정사는 정도를 나타내는 부사적 용법으로 쓰였다. too ~ to 용법 A → 「 so+ 형용사 [ 부사 ]+that+ 주어 +cannot+ 동사원형」으로.
형용사와 부사 형용사의 용법 형용사의 종류 부사의 용법 부사의 위치. 형용사의 용법 (1)  보어 역할 : 명사나 대명사를 설명함. The book is very interesting.( 주격보어 )I I found the book interesting.( 목적격보어.
주제 – 식물에 자외 선차단제를 바르면 어떻게 될까 ? 주제선정이유 우리는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면 타지 않는데 식물은 어떤 반응을 나타낼까 궁금해서.
[인격형성 ] [고양이 인생의 최대위기] [인류의 기원] (목)
119 신고요령 경기도 남양주 소방서 1. 휴대전화보다 유선전화로 신고 2. 낯 선 거리에서는 상가 전화번호
재료수치해석 HW # 박재혁.
작도에 대하여 조사자 : 이준호 담당선생님 : 박문열 선생님.
(1.1 v) 엔트리교육연구소 엔트리 카드게임 설명서.
Entity Relationship Diagram
사랑 받고 살아 왔 - 는 데 - 사랑 받고 살고 있 - 는 데 - 1. 사랑 받고 2.사랑 인줄 3. 혼자인 듯
공차 및 끼워맞춤.
Samsung Electronics 5 forces
한국어 통사론의 기본 개념 통사론 기초
전기에 대해 알아보자 영화초등학교 조원석.
분석적 사고 (Analytical Thinking)
11장. 포인터 01_ 포인터의 기본 02_ 포인터와 Const.
1. 현대 생활과 응용 윤리의 필요성 2. 윤리 문제의 탐구와 실천 3.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별의 밝기와 거리[2] 밝다고 가까운 별은 아니야! 빛의 밝기와 거리와의 관계 별의 밝기 결정.
10강. JSP 본격적으로 살펴보기-II 스크립트릿, 선언, 표현식 지시자 주석 Lecturer Kim Myoung-Ho
암 전이 억제 유전자 발굴 및 작동 기전 연구 (Nature지 4월 14일자 발표)
마인드 맵.
제7장 전치사 by before above over to after with under in on into of for
님비현상과 핌비현상.
ACL(Access Control List)
컴퓨터 프로그래밍 기초 - 10th : 포인터 및 구조체 -
PONIT 1 PONIT 2 PONIT 3 PONIT 4 영어의 수 구별 상호 복수 대표 단수 ‘s’가 있는 단수
정다면체, 다면체와 정다각형, 다각형의 관계 한림초등 학교 영제 6학년 5반 송명훈.
2012 PISA 한국 VS 핀란드.
Section 1. 음소와 최소 대립쌍 전다흰.
Frequency distributions and Graphic presentation of data
형판(template)에 대하여 Jeff Good (2011), The Typology of Templates Jeff Good (2003), Strong Linearity: Three Case Studies Towards a Theory of Morphosyntactic.
논문작성을 위한 연구모형 설정 양동훈.
접어의 정의 및 특징 박진현.
FAQ Chanyi’s English If any와 if ever의 차이 교 사 : 이 영 찬 슬라이드 작업자 : 더공
균형이진탐색트리 이진 탐색(binary search)과 이진 탐색 트리(binary search tree)와의 차이점
끓는점을 이용한 물질의 분리 (1) 열 받으면 누가 먼저 나올까? 증류.
제6장 형용사와 부사 형용사의 용법 형용사의 종류 부사의 용법 부사의 위치.
수학10-나 1학년 2학기 Ⅱ.부등식의 영역 1. 부등식의 영역(2/5) 부등식 영역 수업계획 수업활동.
하이브리드 문화 현상 11조 윤주성, 이호, 허성녕.
원고지 사용법.
예수님 처 럼 예쁜 마음을 가질 수는 없을까 1. 예수님처럼 예쁜 2. 예수님처럼 넓은 3. 말로만 하면 소용
Stump의 위치부류 이론 (Stump 1992, 1993, 1997) 한국어 형태론 발제 허인영.
약식 진리표를 이용한 타당성 증명 진리표 그리기 방법의 한계
김정숙 (고려대학교 2014년) 국어국문학과 한국어학 석사 1기 이 드미뜨리
물리 현상의 원리 TIME MACHINE.
Chapter 1 단위, 물리량, 벡터.
Word2Vec.
Support Vector Machine
Chapter 1 단위, 물리량, 벡터.
Part 2 개념적 데이터 모델 Copyright © 2006 by Ehan Publishing Co. All rights reserved.
사회과 서술형 평가 문항 자료집 -중학교 일반사회 영역 -.
비교분석 보고서 Template 2015.
의미론적 관점 * TV에서 ‘푸른 빛이 아닌 청자빛’이란 표현을 들었을 경우
상관계수.
우선 각 평면도에서 점선으로 강조한 직육면체 형상의 피처를 생성한다. 여기서 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 준비를
제 3장. Regular Languages 와 Regular Grammars
3장 (2) 구문과 의미론 순천향대학교 컴퓨터공학과 하상호.
1장 C 언어의 개요 C 언어의 역사와 기원 C 언어의 특징 프로그램 과정 C 프로그램 구조 C 프로그램 예제.
1. 강의 소개 컴퓨팅적 사고와 문제해결.
전류의 세기와 거리에 따른 도선 주변 자기장 세기 변화에 대한 실험적 고찰
형태소의 식별과 분류 :구조주의 언어학자 Harris(1942)와 Nida(1948)의 논의를 중심으로
중국 중산층 장기 해외여행자 증가 이유 언어정보학과 김예원.
얼마나 많은가? Lezhin.
알렌 인지 수준 판별검사와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판별검사의 상관관계
피보나치수열에 대하여 한림초 5학년 신동오.
Presentation transcript:

형태론과 통사론에서의 위치부류(position class) 형태론 집담회 / 한국어통사론연구회 2016. 2. 19. 박진호

위치부류란? 오래 전부터 position class, template morphology, slot-filler morphology 등으로 불려 온 현상이 있음. 주로 동사 형태법(verbal morphology)이나 명사 형태법(nominal morphology)에서 동사/명사 어근/어간의 앞이나 뒤에 일정한 순서로 배열된 자리 (position, slot)들이 있고 각 자리를 채워 줄 수 있는 요소가 있는데 같은 자리에 속한 요소들끼리는 상호 배타적이고 (공기 불가, 계열관계) 서로 다른 자리에 속한 요소들끼리는 공기 가능하나 항상 일정한 순서 로만 공기할 수 있음.

위치부류의 예시 한국어 동사 형태법 한국어 명사 형태법 임홍빈(1987) 목정수(1998, 2003 등) 어간 + p1 + p2 + p3 + p4 + p5 + p6 + p7 + p8 p1: 옵/사옵/사오/오 p2: 시 p3: 었 p4: 겠 p5: 습 p6: 더, 니, 디 p7: 다, 까 p8: 요, 마는 한국어 명사 형태법 명사 + p1 + p2 + p3 + p4 + p5 p1: 에, 에게, 로, 에게로, 와/과 p2: 부터, 까지, 대로, 만큼, 처럼, 같이 p3: 만, 뿐, 마저, 밖에, 보다, 조차 p4: 이/가, 을/를, 은/는, 도, (이)나 p5: 요, 말이야 임홍빈(1987) 목정수(1998, 2003 등)

본 발표의 목표 위치부류의 이상적 모습(canon, ideal) 및 이로부터의 여러 이탈 (deviation)의 양상을 정리한다. 특히 portmanteau position class의 한국어 문법 기술에서의 효용성을 강조한다. 위치부류의 개념이 형태론뿐 아니라 통사론의 영역에도 적용 가능한지 탐색한다. 결론: 통사론에도 적용 가능하다. 위치부류라는 형태론적 현상이 의미범주와 어느 정도의 상관관 계를 갖는지 검토한다. 결론: 상관관계가 있기는 하나 완전한 것은 아니다.

위치부류의 이상적 모습(canon, ideal) 핵심 속성 자리와 자리 사이의 순서는 항상 일정하다. 하나의 요소는 하나의 자리에만 나타날 수 있다. 같은 자리에 속한 요소들끼리는 공기할 수 없다. 부가적 속성 모든 자리가 다 채워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필수적인 자리도 있고, 수의적인 자리도 있다. 필수적인 자리에 아무 요소도 나타나지 않았다는 것이 유의미할 수 있 다(significative absence, zero element)

현대 표준 한국어 관형절의 위치부류적 기술 V + p1 + p2 + p3 p1은 수의적 위치. p2는 필수적 위치. 이 자리에 ‘-시-’가 안 나타났다고 해서, 그것이 significative absence라고 하기 어려움. zero element를 상정할 필요 없음. (ø를 무분별하게 상정하는 것은 경계해야 함) p2는 필수적 위치. 현대 한국어는 시제 언어이며, 주절뿐 아니라 관형절에서도 시제 표시가 필수적. 현재 표지 ‘-느-’, 과거 비완망 표지 ‘-더-’가 이 자리에 나타날 수 있으며 이 자리에 ‘-느-’도 ‘-더-’도 나타나지 않았다는 것은 significative absence임. 이 significative absence는 과거 완망을 나타냄. zero element 상정 가능. p3에 ‘-(으)ㄹ‘이 오면, p2가 출현할 수 없음. (대안적 기술은 후술)

canon으로부터의 일탈 1: portmanteau 위치부류 어떤 요소가 어느 한 위치의 요소와만 배타적인 것이 아니라 이 요소가 출현하면 인접한 둘 이상의 요소의 출현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음. 이런 요소들이 속한 위치부류는 보통의 둘 이상의 위치부류의 portmanteau에 해당함.

한국어 명사 형태법에서의 portmanteau 위치부류 p1 (JC) p2 (JP) p3 (JQ) p4 (JD) p5 (JE) 에 에게|한테 께 (으)로 서 써 다|다가 부터 까지 더러 대로 만치|만큼 처럼 같이 만 뿐 뿐만 마저 밖에 보다 조차 가|이 ㄴ|는|은 ㄴ|는|은커녕 (이)나 도 ㄹ|를|을 (이)라도 말이에요 |말이야 |말이죠 |말이지 |말입니다 요 야 (이)고 과|와|(이)랑|하고 없이, 치고 깨나, (이)란, 커녕 아, (이)시여, (이)여 마다 (이)야, (이)야말로 들 의 목정수 교수의 조사 분류 체계를 바탕으 로 수정/보완한 것. 5개 부류 어느 하나 에 깔끔하게 속한다 기보다 둘 이상의 부 류에 걸쳐 있는 조사 들이 있음. ‘의’: p4~5 ‘치고’: p1~3 ‘(이)란‘: p1~4 호격조사: p1~5

한국어 동사 형태법에서의 portmanteau 위치부류 주절 어간 + p1 + p2 + p3 + p4 + p5 + p6 + p7 + p8 + p9 p1: 옵/사옵/사오/오 p2: 시 p3: 었 p4: 겠 p5: 습 p6: 더, 느 p6~7: 니, 디 p7: 이 *역사적으로도 ‘니‘는 ‘느이’, ‘디’는 ‘더이‘의 융합 p8: 다, 까, 냐 p9: 요, 마는 관형절에서 ‘-(으)ㄹ‘이 나타나면 ‘-느-’, ‘-더-’ 등의 p2 요소가 나 타날 수 없음을 고려하여, ‘-(으)ㄹ‘을 p2~3의 portmanteau 위 치부류에 속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음.

canon으로부터의 일탈 2: reversible 위치부류 다른 여러 기준에 입각해서 수립된 위치부류가 특정 조건 하에 서 순서가 뒤집힐 수 있음. 순서가 뒤집혀도, 각 위치부류에 속한 요소들은 그대로임.

한국어 명사/동사 형태법에서의 reversible 위치부류 도구격 조사 ‘-로‘는 p1, [한정, 단독, only]의 ‘-만’은 p3이나, ‘-로만‘의 순서뿐 아니라 ‘-만으로‘의 순서도 가능 ‘-로만‘이 현대 한국어의 전반적인 공시적 질서에 부합되는 순서이고 ‘-만으로’는 이전 시기에 ‘-만‘의 명사로서의 지위를 반영하는 흔적 중세 한국어: ‘-더시-’ ~ ‘-시더-’; ‘-거시-’, ‘-시거-’ 통시적 변화의 과도기에서 구형과 신형의 공존 ‘-옵시-’ ~ ‘-시옵-’; ‘-오시-’ ~ ‘-시오-’ ‘-옵/오-’의 기능 변화에 따른 순서 관계의 변화를 반영 통시적 변화와 관련된 순서 관계의 유동성인 경우 외에, 안정된(stable) 체계에서도 reversible 위치부류가 어느 정도로 광범위하게 나타나는지 조사가 필요함.

통사론에서의 위치부류 선적 순서(linear order)에 대한 제약이 통사법보다 형태법에서 더 강한 경향이 있기는 하나 형태법에서도 뒤집히는 일이 있는 것을 감안하면 이것은 정도의 문제인 듯. 그렇다면 문장 구성요소들 사이의 순서에 대한 강한 제약이 있는 언어 의 경우 통사법에서의 위치부류(position class in syntax)도 생각할 수 있음. 실제로 여러 언어의 전통적인 문법 기술이 (위치부류라는 용어는 사용 하지 않았더라도) 사실상 위치부류와 비슷한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음. Pattern Grammar, 구문문법의 발상법과도 맥이 통함.

영어 명사구 구조의 위치부류적 記述 p1 + p2 + p3 + N p3: p3-1 + p3-2 + p3-3 + p3-4 p1: both, all p2: the, a/an (관사); this, that (지시사); every, each, some, any, many, much, several (양화사) p3: 형용사 p3-1: few, little, numerous (수량) p3-2: big, small, large (크기) p3-3: 대다수의 성상 형용사 p3-4: American, economic, historical (관계 형용사)

중국어 이동 동사구의 위치부류적 기술 V + p1 + p2 + p3 + p4 p2와 p3+p4는 reversible 위치부류 p1 요소는 V 뒤에 오거나 V+p3 뒤에 옴. V+p1+p2: 拿了一本书 V+p3+p1+p2: 拿出了一本书

canon으로부터의 일탈 3: ambifixal 위치부류 대개의 위치부류는 prefixal인지(어근/어간 앞에 옴) suffixal인지 (어근/어간 뒤에 옴)가 확고히 정해져 있음. 그러나 간혹 이 점에 대해 유동적인 위치부류가 있음.

중세한국어 否定 동사구의 위치부류적 기술 N + V: 부정소 + 동사 V + N: 동사 + 부정소 N: 아니, 몯 (ambifixal 위치부류) N 위치에 오는 ‘아니‘, ‘몯’의 단어부류 지위(품사)는 부사 N이 V 앞에 올 때는 별도의 부가 조치 불필요. N이 V 뒤에 올 때는 V에 ‘-디‘를 붙이고 N 뒤에 dummy verb ‘-’를 넣 는 등의 부가 조치 필요. N 위치에 오는 ‘아니‘, ‘몯’의 형태·음운론적 지위는 일종의 접어(clitic) final, before, pro-clitic 기준요소(host)가 domain의 끝에 있고 (final) host 앞에 오고 (before) 뒤 요소에 음운론적으로 의존함 (pro-clitic) domain 끝 요소가 합성동사일 때 host를 무엇으로 할지에 대해 방언간 변이 있음: 못 따라가- vs. 따라 못 가-

자리와 의미 범주의 상관관계 같은 자리에 나타날 수 있는 요소들은 모두 같은 의미범주에 속하는가? 논거를 명시적으로 제시하지 않고서 당연히 그럴 것이라고 전제하는 경 우가 많으나, 항상 그런 것은 아님. 하나의 위치에 의미상 이질적인 것들이 공존하기도 하고 의미상 비슷한 것들이 여러 위치에 흩어져 있을 수도 있음.

자리와 의미 범주의 상관관계 앞에서 살펴본 영어 명사구의 경우 p2 위치에 ‘the, a/an’ 등의 관사, ‘this, that’ 등의 지시사, ‘every, each, some, any, many, much, several’ 등의 양 화사가 공존함. 이들은 의미상 이질적임이 분명하며 다른 언어에서는 이들이 별도의 위치부류를 형성하기도 함. The Atlas of Pidgin and Creole Language Structures (APiCS) 31 Co-occurrence of demonstrative and definite article

Stump (1993: 138-139)의 언급 (13) Traditional assumptions about members of the same position class: a. they are in complementary distribution (so that the appearance of one in a given form excludes the appearance of the others in that same form); b. they stand in the same hierarchical relationship to other affixes in the same word; c. they appear in the same linear order with respect to other affixes in the same word. In addition to the properties in (13), there is a fourth property which members of the same position class exhibit frequently (though not invariably): (14) Members of the same position class realize alternative specifications of the same morphosyntactic feature(s). Although affixes belonging to the same position class frequently exhibit all four of the properties in (13) and (14), it is well known that (14) is not actually a necessary property of such affixes.

중세 한국어 시상 표지: ‘, 더, 거’ 중세 한국어 시제-상에 대한 논의에서, ‘, 더, 거’가 같은 위치부류에 속하므 로 동일한 의미 범주에 속할 것이라는 생각이 흔히 있음. ‘, 더, ø’는 ‘현재 : 과거비완망 : 과거완망’이라는 유명한 3원적 시상 체계를 이룬다는 것이 분명하나 ‘거’의 지위는 이 셋과 상당히 다름. ‘거‘에는 완료상(perfect) 용법과 양태/서법 용법이 있으며 사용 빈도, 필수성에 있어서 위의 셋보다 훨씬 떨어짐. 상 체계에서 완망상(perfective, aorist) 대 비완망상(imperfective, imperfect)의 대립도 가지고 이와 별도로 완료상도 가지는 언어들이 꽤 있는데 대개 완망상, 비완망상은 문법화의 정도가 매우 높고 사용 빈도와 필수성이 높은 반면에 완료상은 이에 비해 사용 빈도, 필수성이 낮은 것이 보통임. 요컨대, 같은 위치부류에 속하는 요소라고 해서 지위가 대등할 것이라고 속단 해서는 안 됨.

한국어 명사 형태법에서의 위치부류와 의미범주 목정수 교수가 설정한 5가지 조사 부류는 위치부류의 측면에서 타당함. 목정수 교수는 하나의 위치부류에 속하는 조사들이 모두 같은 의미범주 에 속할 것이라고 (뚜렷한 논증 없이) 가정하는 듯한데 이 가정이 타당한지에 대해서는 별도의 논증이 필요함. 함께 p4에 속하는 ‘이/가‘, ‘을/를‘과 ‘은/는‘, ‘도‘가 같은 위치부류에 속한 다는 사실을 보임으로써 이들이 하나의 의미범주를 형성한다는 결론으 로 곧장 넘어갈 수 있는 것이 아님. 이들이 정보구조와 관련된 기능을 한다는 공통점이 있기는 하나 ‘이/가‘, ‘을/를‘은 격 기능도 함께 수행하고 ‘도‘의 기능은 주로 세로 초점(亦同)과 관련되는 반면에, ‘이/가‘는 가로 초점과 관련되고, ‘은/는’는 세로 초점과 관련된 용법(대조)과 가로 관계 에서의 화제 표시 용법이 있다는 차이점도 있음. 하나의 위치부류 내 요소들이 의미의 측면에서 어떻게 조직되어 있는지 에 대해, (naïve한 가정이 아니라) 본격적인 검토가 필요함.

참고문헌 Good, Jeff (2003), Strong Linearity: Three Case Studies Towards a Theory of Morphosyntactic Templatic Constructions, UC, Berkeley Ph.D. Dissertation. Good, Jeff (2011), The Typology of Templates, In: Language and Linguistics Compass 5(10), pp. 731-747. Good, Jeff (2016), The Linguistic Typology of Templat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Inkelas, Sharon (1993), Nimboran Position Class Morphology, In: Natural Language and Linguistic Theory 11, pp. 559-624. Kari, J. (1989), Affix Positions and Zones in the Athapaskan Verb Complex: Ahtna and Navajo, In: International Journal of American Linguistics 55-4, pp. 424-454. McDonough, Joyce (2000), Athabaskan redux: Against the position class as a morphological category, In: W. U. Dressler et als. (eds.), Morphological Analysis in Comparison,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pp. 155-178. Manova, Stela and Mark Aronoff (2010), Modeling affix order, In: Morphology 20, pp. 109-131. Manova, Stela (ed.) (2015), Affix Ordering Across Languages and Frameworks, Oxford University Press. Nordlinger, Rachel (2010), Verbal morphology in Murrinh-Patha: evidence for templates, In: Morphology 20-2, pp. 321-341. Simpson, J. and M. Withgott (1986), Pronominal Clitic Clusters and Templates, In: Hagit Borer (ed.), Syntax and Semantics 19: The Syntax of Pronominal Clitics, Academic Press, Inc., pp. 149-174. Stump, Gregory T. (1991), On the Theoretical Status of Position Class Restrictions on Inflectional Affixes, In: Yearbook of Morphology 1991, pp. 211-241. Stump, Gregory T. (1993), Position classes and morphological theory, In: Yearbook of Morphology 1992, pp. 129-180. Stump, Gregory T. (1997), Template morphology and inflectional morphology, In: Yearbook of Morphology 1996, pp. 217–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