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오피스 시장 동향 1. 경제 현황 2. 오피스 시장 주요지표 <GDP 성장율 추이>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M irae Asset Global Investments Emerging Market Experts Brazil Economy & Equity Strategy July 2011 For Financial Professional Use Only.
Advertisements

시장경제와 계획경제, 경제력 차이의 요인인가 ? 남한과 북한을 표본으로. 분단 60 년, 자유시장 지킨 한국의 경 제력은 계획경제 지킨 북한의 38 배 2013 년 북한의 주요 통계지표에 따르면 한국의 GNI 는 1279 조 5000 억원으로 북한의 33 조 4790.
오케이굿맨 비뇨기과 개원 사업계획서 오케이굿맨 비뇨기과 개원 사업계획서. 제 1 장 : 사업 개요제 2 장 : 병원 선정제 3 장 : 인력 계획제 4 장 : 진료 계획 제 5 장 : 마케팅 계획제 6 장 : 수익성 분석제 7 장 : 투자계획 및 자금계획.
세계 경제 패러다임의 변화 금융위기로 글로벌 성장 엔진의 붕괴 2000 년 닷컴 버블 이후 7 년간 글로벌 성장을 촉진시켰던 성장 엔진의 붕괴에 따른 새로운 글로벌 리스크 도래 AC B 과잉 생산 –Global 수요 감소에 따른 누적 재고는 부채로 전락 과도한.
BY 육학년 삼반 김호준, 변영석, 손현우. 투수 : 맥스 슈어져 기록 :21 승 3 패 삼진 설명 : 올해 사이영상을 탔고 다승왕도 탔다. 소속팀 디드로이트 타이거즈를 이끌어간 일 등 공신이다.
제 1 회 도전 ! 한글 골든벨 2014 년 7 월 12 일 ( 토 ) 주최 : 센다이 한국교육원 후원 : 駐仙台大韓民国総領事館 在日韓国民団宮城県地方本部 韓日觀光交流センター.
서양화과 전공 설명회 예일고등학교 정지윤 선생님 서양화 란 ? 1. 서양화과 소개 1-2. 서양화과의 교육목표 1-3. 서양화과의 교육과정 1-4. 국내 서양화과 설치 대학 2. 서양화과 졸업 후 진로 2-1. 졸업 후 진로 2-2. 생활 속 서양화과 졸업인.
2009 년 & 4/4 분기 건 설 정 보 실건 설 정 보 실. 2 목 차 1. 국민경제에서 건설업의 위치 1) 산업별 경제성장률 ) 산업별 경제성장 기여도 ) GDP 중 건설업 생산비중
위안화 절상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무 역 학 과 신재봉 무 역 학 과 이광호 사회복지학과 김성은 경 제 학 과 최영롱.
2009 년 세계경제의 여건 변화와 한국경제의 과제 2009 년 2 월 12 일현정택 한국경제학회 정기학술대회 Plenary Session.
0 동일제지에 투자하고픈 이유  골판지업종은 과점화 추세 및 공장가동율 93% 이상으로 가격경쟁 지양 가능성  내년에는 농산물 포장화로 매출 확대 가능성  동일제지 기업군은 골판지 분야에서 거대 세력화 및 점유율 점차 증대  영업이익율 동종업종내 최고  탁월한.
5 학년 6 반 김진석.  애니메이션은 라틴어의 아니마 에서 온 것이다. 아니마 는 생명 영혼 정신을 가르키는 것리다.  애니메이션의 원리는 그림을 움직이는 환등기로 만드는데, 환등기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눈의 잔상 을 이용해 만들어 졌다.  최초의 애니메이션 작품은.
서강대 경제대학원 경제성장 총요소생산성 (TFP) 총요소생산성 (TFP) 자본투입 노동투입 기술변화 기술적 효율성 배분적 효율성 규모의 경제 제약조건  에너지, 원자재 가격  자본축적  사회간접자본투자  서비스산업 성장  기술변화 신고전파 경제성장이론 : 요소투입.
국제경영학과 송은임 국제경영학과 신유진 국제경영학과 안미정.
CEPA 체결 이후와 인도의 강점 부산상의 2010 년 6 월 1 일 주한 인도 대사 스칸드 알 타얄.
2. 세계 여러 지역의 자연과 문화 2) 육지가 넓고 인구가 많은 북반구.
사회보장론 제 4장 사회보험과 경제.
교회 소식.
“Ola, Me u nome e Brazil.” (올라, 메우 노미 에 브라질)
환영및광고.
CONTENTS Ⅰ. 사업 개요 Ⅱ . 사업추진 현황 Ⅲ. 사업타당성 검토 Ⅳ. 향후 추진계획 당진 정미지구 산업단지 개발사업
2007년 하반기 세계경제 전망 일 시: (금) 발표자: 조 사 국 해 외 조 사 실 안 상 준 과 장.
월 간 동 향 분 석 한국노총 동향분석팀.
목 차 Ⅰ. 2004년 경제전망 Ⅱ. 경제여건을 반영한 경제정책의 기조 Ⅲ. 2003년 추진된 주요 산업정책 과제
류현진 만든이:서주원.
01. 과업의 개요 공간적ㆍ시간적 범위 내용적 범위 과업의 기대효과
서울대학교 금융경제연구원 서울대학교 금융경제연구원
2007년 국내외 경제 전망 목 차 Ⅰ. 최근 경기 패턴 Ⅱ. 국내경제 전망 Ⅲ. 주요 Risk
S Capital 사업부 손익관리 사례.
중앙아시아와 아랍의 관문국가 터키 박솔지 이수지.
누벨바그 이후 현대 영화의 전개 뉴 이탈리안 시네마, 뉴 아메리칸 시네마, 뉴 저먼 시네마
한미 FTA체결 지원위원회
기술과 조직 위대한 탄생 우기웅 장가애 오영주.
중장기 국내외 경제 및 금융시장 전망과 자산배분 전략
서 론 금융소득종합과세제도 제 1 절 이자소득 제 2 절 배당소득
금창호(한국지방행정연구원, 자치행정연구실장)
자본시장통합법과 우리나라 자본시장 및 금융투자업 발전을 위한 과제
신개념 이동형 옥외광고 매체제안서.
김승연(사회복지학 박사, 서울복지시민연대 사회행동위원장)
日本郵政グループの株式上場とトール社の買収
한국경제학회 – KIF 공동주최 정책세미나 국내 거시경제환경과 주요 정책 이슈 장 민 한국금융연구원.
TOPS 아시아 자산배분 재간접투자신탁 1호 본 자료는 판매자의 상품이해를 돕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 어떠한 경우에도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수록된 기대수익률 등은 보장수익률을 의미하지 않으며 시장상황 및 운용여건 등에 따라 유동적이며.
제3장 증권시장의 구성과 운용.
사회 1학년 Ⅷ. 국민경제와 합리적 선택>1. 국민 소득과 경제 성장 > 1/16 첫화면 국민 소득 지표의 이해.
집념과 고집 : 한라산 등반 사고 골 절 탈 진 2016 염 좌 탈골 사망 조난
장애인복지 정책.
고농도 미세먼지 대응매뉴얼 안내 교 육 부.
구약의 맥 I (서론, 원역사) 2014 동안성결교회 수요신학강좌 정석규 LA 목회자 세미나.
DAEJEON SUNHWA PARADISE TOWN PROJECT
제3장 강점으로 리드하라.
인터넷 교육
뉴욕치즈케익 6,000 뉴욕치즈케익 6,000 뉴욕치즈케익 6,000 뉴욕치즈케익 6,000 뉴욕치즈케익 6,000
1 [1] 매체 자료의 표현 방식 02 괴물.
청년기업가의 사회적 책임 1. 비영리단체 2. 자선이란 무엇인가? 3. 나도 기여할 수 있다.
S Capital 사업부 손익관리 사례.
중국은 평평하지 않다 차이와 격차 알아야 중국 사업 성공한다
24시간후 사이다속 닭뼈 & 돼지뼈 하루 지난 사이다속 돼지뼈
제 7 강 농 업.
<정 트리오> <멤버> 정명화<첼로> 첫째 딸 정경화<바이올린>둘째 딸
2015년 2학년 1반.
미세먼지 실험 성동초등학교 이도은.
교육행정 및 경영 제13장 교육재정 (화) 안 봉 직.
15 향 소 제 소사고 제15회 일시|` (목) 9:00~17:00 장소|소사고등학교 교정 th
2018년 외래관광객 실태조사 3분기 주요 결과 (‘18년 3분기 7月-9月)
다가올 미래는 신흥시장의 시대.
정부 PR에 대한 이해 신 호 석.
세부담 증가의 사례연구 1 기본가정 변동사항 목적 금융소득의 구성은 다음과 같음 1. 금융소득 중 배당소득은 비상장 법인
Part6 개혁개방 박서 아.
베트남 1.
Korea Animal Health Products Association
Presentation transcript:

미국 오피스 시장 동향 1. 경제 현황 2. 오피스 시장 주요지표 <GDP 성장율 추이> (LA, 워싱턴, 뉴욕, 시카고 중심으로) PM사업부 홍순만 차장 1. 경제 현황 <GDP 성장율 추이> (단위: 전기대비 %) GDP 성장율 2002 2003 2004 2005 (추정치) 1/4 2/4 3/4 4/4 연간 2.4 3.0 4.5 3.3 4.0 3.1 4.4 3.5 자료:Bureau of Economic Analysis. ■ 장기간의 쌍둥이 적자(재정, 무역)로 인해 침체국면을 벗어나지 못하던 미국은 2005년을 기점으로 정부의 강력 한 경제정책으로 경기 회복을 노리고 있으나, 달러가치의 하락, 고유가, 인플레이션 우려 등은 경기불안 요소로 상 존하고 있음. 2005년 GDP성장율은 작년보다 1%가량 낮은 3.5%로 추정되며, 이러한 불확실한 경제상황 속에서 미 국의 오피스 시장 역시 유동성을 보일 수 밖에 없는 상황임. 2005년의 경기회복 여부가 공회전 상태에 있는 오피스 시장의 분기점이 될 것임. 2. 오피스 시장 주요지표 (면적단위: Square Feet, 임대가: US$PSF) 연도 공급 신규공급 공실율 임대가 1999 1,240,819,000 12,211,404 8.6% 36.81 2000 1,253,030,404 14,951,000 7.5% 42.83 2001 1,267,981,404 10,004,000 11.9% 38.1 2002 1,277,985,404 23,215,000 14.5% 33.2 2003 1,301,200,404 19,440,000 15.1% 32 2004 1,320,640,404 11,684,000 14.6% 33.25 (전국 Class A 빌딩 기준) ■ 총공급량: 1999년 이후 미국 신규 오피스 공급량은 1,000만sf 이상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왔으며, 2002년에는 최 대 2,321만sf가 신규 공급되었음. 2005년의 신규공급은 2004년과 동일한 수준 으로 예상됨. ■ 공실율: 불황이 가속화 되던 2001년을 기점으로 공실율이 상승 하였으며, 2002년부터 공실율이 15%내외로 머 물고 있음. ■ 임대가: 공실율이 급상승했던 2001년 임대가 역시 US$42.83psf 에서 US$38.10psf로 하강국면에 접어듦. 2002년 이후 공실율과 더불어 보합세를 보이고 있음.

3. 주요 도시별 오피스 지표 4. 주요 도시의 연도별 오피스 공급면적 총공급 공실율 임대가 Gross 뉴욕 (면적단위: Square Feet, 임대가: US$PSF) 총공급 공실율 임대가 Gross 뉴욕 220,730,000 9.50% 59.1 시카고 66,373,000 17.60% 32.3 LA 14,707,000 19.90% 25.7 워싱턴 41,804,000 7.50% 40 ■ 오피스 규모 면에서 보면 뉴욕이 220,730,000sf, 시카고가 66,373,000sf로 뒤를 잇고 있음. 향후 도시별 산업구조의 큰 변화가 없을 경우 매년 오피스 신규공급량도 현재 수준으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됨. ■ 반면 오피스 임대가는 미국의 대표적인 도시인 뉴욕이US$ 59.1로 가장높으며, 워싱턴이 US$ 40로 뒤를 잇고 있음. ■ 공실율은 뉴욕과 워싱턴이 미국 전체 평균공실율인 15%보다 낮은 수준인 10%내외선에 머물고 있음. 그러나 LA가 19.9% ,시카고가 17.6%를 보이며 평균공실율을 상회하고 있음 . 4. 주요 도시의 연도별 오피스 공급면적 공급량(SF) ■ 도시 별로 매년 오피스 공급은 편차를 보이는 가운데 워싱턴은 꾸준한 대규모의 오피스 공급이 이루어 지고 있으며, 시카고와 뉴욕 역시 2003년 이후로 공급상황이 양호한 상황임. 그러나 LA의 경우 Down Town 지역에서는 주목할 만한 Class A 빌딩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 지지 않고 있는 반면, 교외지역은 상대적으로 1~3Million sf가량 공급이 이루어 지고 있음.

6. 주요 도시의 연도별 임대가(Gross기준)현황 5. 주요 도시의 연도별 공실율 현황 공실율(%) ■ 공실율 지표: 1999년을 기준으로 볼때 전반적으로 공실율이 상승하였으며, 2002년을 기준으로 보합세를 보이고 있음. 주요도시 공실율 지표를 보면 LA가 20%에 육박하며 가장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시카고가 2002년 공실율 급상승이후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음. 반면, 뉴욕과 워싱턴은 최근 공실율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음. 각 도시별로 살펴보면 LA : 전분기 대비 소폭의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나, 미미한 수준임. 그러나 Southern California 를 중심으로 금융 업종의 오피스 수요가 부쩍 늘며 공실율 하락을 이끌것으로 보임. 시카고 : 경기상황의 악화로 공실율이 상승한 것이라기 보다 타도시 대비 경기가 살아나면서 수요증가 현상에 따른 공급면적의 일시적 초과현상이 원인으로 분석됨. 따라서 시카고 경기의 회복세가 계속될 경우 결국 미국 평균 공실율 이하로 떨어질 가능성이 짙음. 뉴욕 : 전분기 보다 공실율은 1% 하락세를 보이고 있지만 JP Morgan이 712,000sf를 sublease(전대)시장에 공급함 과 동시에 주요 금융회사들의 합병바람에 이은 여파로 공실율 상승여지가 있음. 워싱턴 : 미국 평균공실율(15%)을 훨씬 밑도는 7.5%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으로 보임. 꾸준한 수요로 인 해 타도시와 비교하여 오피스 시장 전망은 밝음. 6. 주요 도시의 연도별 임대가(Gross기준)현황

■ 임대가 지표: 2000년을 기점으로 하락세를 보이던 임대가는 2002년을 기점으로 도시별로 편차를 보임 ■ 임대가 지표: 2000년을 기점으로 하락세를 보이던 임대가는 2002년을 기점으로 도시별로 편차를 보임. 2005년 1Q 현재 미국의 대표적인 도시인 뉴욕이 US$59.1 psf로 절대적으로 높은 임대가를 보이고 있으며, 워싱턴이 US$40 psf, 시카고와 LA가 각각 US$ 32.3psf, US$ 25.7psf 를 보이고 있음. 전반적으로 임대가는 주요도시 중심으로 경기회복 심리를 반영한 소폭 상승세가 기대됨. LA : 타 주요 도시와 달리 Down town 지역이 교외지역보다 침체되어 경기회복이 상대적으로 더딘상태임. 그러나 1사분기 오피스 시장이 살아나면서 임대가의 소폭상승이 실현됨. 시카고 : 실업률 감소와 더불어 고용지수의 상승과 같은 긍정적인 경기지표에도 불구 임대가는 약보합세 수준에 머물고 있음.대규모의 오피스 공급물량이 2005년에도 예정되어 있어 일부 신규 프라임 빌딩을 제외하고 전체적인 오피스 시장의 임대가 상승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태임. 뉴욕 : 경기의 영향에 상대적으로 부침이 덜한 대기업들의 경기호조속에 오피스 시장 임대가 역시 상승세를 보이 고 있음.특히 ,중심가인 Mid Town의 오피스 시장은 2001년의 슬럼프를 극복하고 임대가 상승세를 주도하 고 있음. 워싱턴 : 2004년과 마찬가지로 Class A 빌딩의 임대가는 약보합세를 보이고 있으나, 미국에서 가장 양호한 오피스 시장이라고 할수 있을 정도로 워싱턴의 현재 분위기는 밝음. 금년 하반기 또는 내년초에 임대가의 상승세 가 예상됨. 7. 주요 임대차 활동 도시 임차인 면적(sf) 빌딩(지역) L A Mattel 160,000 EL segundo THQ,inc 103,394 Afoura Hills 시카고 Refco Group LLC 162,000 550 west Jackson Boulevard Lehman Brothers 110,155 190 South Lasalle 뉴욕 Morgan Stanley 447,000 I Newyork Plaza Bank of America 335,000 50 Rocke Feller Plaza 워싱턴 Piper Rudnick 230,000 505 9th street Chemonics 253,000 1717 H street 8. 향후 전망 ■ 경기상황이 좀처럼 나아질 기미가 없는 현재로써는 오피스 시장 역시 향배를 가늠하기 힘든 상황임.그러나 뉴욕이나 워싱턴등 미국의 대표적인 오피스 타운의 도시들은 중소형 도시보다 단기적인 경기부침에 민감하게 반응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이며, 향후 1~2년 동안은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됨. 단, 쌍둥이 적자(재정,무역)와 고유가 등의 악재가 지속 될 경우 오피스 시장이 2001년과 같은 마이너스 성장이 예상됨.

9. 오피스 시장 한  미 비교 ■ 내용 분석 항 목 미국(주요도시) 한국(서울) 매년 신규 공급량 1-1.5% 3-4% (기존 공급량 대비) 공실율 15% 내외 전용율 70% 내외 55% 내외 임대료 부과방식 보증부월세 전월세 및 보증부월세 혼용 임대차계약기간 10-15년(장기계약) 2-3년 주차방식 자주식 주차 자주식+기계식 혼용 주차장운영 100% 유료 무료 및 유료 혼용 건폐율 80-90% 60% 미만 내부 마감 주체 임차인 임대인 ■ 내용 분석 1. 매년 오피스 시장의 성장성은 미국대비 한국(서울)이 높은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공실률 역시 한국 (서울)이 자연 공실률 수준인 5% 미만을 유지하고 있어 미국(주요도시) 보다 오피스 시장이 안정되어 있다고 판단됨. 2. 전용율부분에 있어 미국의 주요 도시내 오피스는 주차공간을 임대면적에 미포함된 상태로 임대를 하고 있으나, 한국에선 도심권역 일부 빌딩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임대면적에 포함하여 임대를 하고 있어 미국 대비 전용율이 낮게 나타나고 있음.  3. 미국 내 주요 빌딩의 임대료 부과방식은 보증부월세 위주로 임대를 하고 있으며, 부지가 넓어 대부분 주차공간은 자주식주차로 운영되고 있음. 4. 빌딩신축 후 임차인 유치시 내부공간의 마감상태를 볼때 미국은 임차인이 입주시 내부공간을 임차인의 NEEDS에 맞게 마감(벽, 바닥, 공조 등)을 하여 입주를 함. 5. 빌딩내 주차공간을 볼때 한국(서울)은 대부분 지하층에 공급이 되고 있으나, 미국은 지하층 또는 지상층에 혼용 하여 공급하는 사례가 많고, 복합빌딩(상가+오피스+아파트)내 일부층에 오피스 공급과 1층 Lobby의 넓은 호텔 식 공간 그리고 조경시설의 배치는 빌딩의 품격을 한단계 높이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9.11 사건이후 보안시설이 강화된 것이 한국 오피스와 큰 차이점 중의 하나라고 판단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