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대윤리 군대윤리 교육목적(敎育目的).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문창동 성당 국제 성지순례 – ~10.3. / 10 박 11 일. ● 일정 ▲ 방문과 순례 ♣ 중요참조 ● 일 : 피라미드 / 스핑크스 → 아기 예수님 피난성당 ( 꼽틱 정교회 ) → 모세 기념성당 → 박물관 → 카이로 한인성당 ( 미사 )
Advertisements

열왕기 상하는 중요하다 ! 왜 ? 시가 3 권 예언서 12 원 열왕기 상하는 중요하다 ! 대라느스 단겔학슥말.
구속사 시리즈 퀴즈대회 - 평강제일교회 청년 2 부 그루터기 선교회 제작 사회자 “ 구속사 시리즈 ” 다같이 “ 퀴즈대회 ” 해주세요 ~ 1.
인생을 어떻게 살 것 인가 ? 에레나 루즈벨트 여사 ( 사회사업가 ) ( 미국 32 대 프랭크린 루즈벨트 대통령 부인 )
주사위를 이용한 땅 따먹기 청솔초 영재학급 4 학년 장 택 민 목차 1. 제작 동기와 원리 2. 필요한 도구 3. 게임규칙 설명 4. 게임 분석 및 전략 1. 제작 동기와 원리 2. 필요한 도구 3. 게임규칙 설명 4. 게임 분석 및 전략.
채용 트렌드와 입사전략 인재개발팀. 1. 인재상 1. 기업의 인재상 조직구조 정형화, 경계분명 위계적, 내부지향적 정형화, 경계분명 위계적, 내부지향적 오랜경험 · 기술축적 농업적 근면성 우대 오랜경험 · 기술축적 농업적 근면성 우대 빠르고 정확한 의사결정 창의력과.
Let’s Go ! Fun English Camp!. ○ 캠프명 : Let’s Go! Fun English Camp! ○ 참가 대상 : 조합 임직원의 초 · 중등 자녀 및 기타 참가 희망자 ○ 참가 인원 : 40 명 내외 ○ 장소 : 충주 건설경영연수원 ( 충북 충주시.
목 차 1 Ⅰ. Ⅰ. 공무원 윤리  복무제도 Ⅱ. 공무원 근무제도 Ⅲ. 공무원 복무제도 Ⅳ. 새로이 도입된 공직 윤리 · 복무 제도.
`1. 비용편익 (B/C) 분석 개요  의사결정을 하는데 있어 사회적 비용과 사회적 편익을 따져 최적대안을 선정하는 기법  공공사업의 비용편익분석은 공동투자행위가 사회 총 후생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를 각각 평가, 측정하여 대 안의 비교를 수행하는 분석활동임.
일 시 : (목) 장 소 : 문산종합사회복지관장) 파주시문산종합사회복지관 기관안내.
심폐 소생술, 죽어가는 사람을 살리는 4분의 기적.
여성을 性으로 지배하려는 남성권력 정유아 양수희 배민지 황윤희
소하천 정비사업 추진방향 및 소하천정비법 설명
(2) 고대 국가의 성립  1) 고대 국가의 성격    ① 중앙 집권 체제      - 국왕의 지위 강화, 부족장 세력의 통합,
주제탐구학습발표대회 고구마를 어떻게 하면 잘 키울 수 있을까? 구름산초등학교 5학년 박희수.
보험의 본질과 생명보험 학기 전주대학교.
제가 소개할 인물은?? ^ㅡ^B1A4입^ㅡ^니다 5학년4반9번 이하민
금속의 종류와 액체의 성질에 따른 금속의 부식 창의적 산출물 연구 보고서 부명 초등 학교 임재윤 지도교사 노지은선생님
내 인생은 내가 결정한다 군산대 기계자동차공학부 특강 2015년11월25일 ㈜ 모비덴트 대표이사 문조영
공 감 애 드 CONSULTING A.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번지 KM빌딩 3층
2015 담당 강사 : 정세진 중국 명문 감상 2015 담당 강사 : 정세진
Ⅲ. 5S • 3정.
칭기스칸의 리더십.
2016학년 1학기 공학윤리 Ethics for Engineers.
사회윤리 Social Ethics.
시골의사의 부자경제학 독서모임 발표 - 성연호.
고색고등학교 Gosak High School 고색고등학교 Gosak High
유대력과 성서력 유대 절기.
교육철학 및 교육사 교육사 탐구의 의의 서양 고∙ 중세 교육사.
스포츠 철학 한양대학교 사회교육원 체육학과 김권택 교수.
예수님 탄생 목자.박사들 경배 (마2:1-12, 눅 2:1-7).
1.민족의 발전과 민족 문화 창달(4)주체적 문화교류의 자세
인류의 분산 언어의 대 혼잡시기 창조,타락 홍수 바벨탑사건 아브라함 모세 BC 고조선 하/은/주 (창 11:7,9) 『[7] 자, 우리가.
17c이전-18 보육사상 강정희 김희정 박미경 박민정
도덕 1학년 1학기 2. 개성신장과 인격 도야:인물학습 석가모니 인물학습 -석가모니.
수업활동 안내 1. 전시학습 2. 학습목표 3. 도입 4. 기초학습 5. 주제선택 6. 탐구활동 7. 정리 자기주도 학습
나의 꿈, 시간관리 코칭.
영원한 복음.
학교는 왜 철학을 가르치지 않을까? 김용택의 참교육이야기
누구에게는 주어진 하루 24시간 ! 하지만 쓰는 이에 따라 엄청나게 다릅니다..
성과주의 연봉제의 재설계 방안.
제3장 시장론 : 시장의 개념과 의의.
기독교 윤리학 개론 강의 목표 및 개요 : 기독교윤리학은 그때 그때의 현실관계들 속에서 기독교인들이 개인적으로, 집단적으로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를 다루는 학문이다. 기독교윤리학은 현실관계들에서 문제가 되는 것을 분석하고 판단할 뿐만 아니라 역사적인 제약조건들 아래서.
고대 그리스.
쿰란 쿰란 와디 항공촬영 .
보라 처녀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을 것이요 그 이름은 임마누엘이라 하리라 (이사야7:14)
진짜 사회복지사가 되고 싶습니까? 소개.
생명윤리 경복대학교 학기 유호연.
구약성서   2003년 가을학기 성서모임.
소개할내용 레슬링소개 레슬링의유래,레슬링 선수
The Development of Occupational Therapy Knowledge
[PC 전화 수〮 발신 / 고객별 통화이력 저장,확인]
[투팩] 메신저백 (TP-MB02) 수연대리님, 투팩 메신저백 상세페이지 요청 드립니다.
하나투어샵 메인 부분 리뉴얼 - 디자인 하나샵 단독 물량 확보! 필리핀 직송 골드 망고 최저가 보장! 37,900원!
요한 계시록 2:12~17 버가모 교회 : 예수님의 모습-좌우에 날썬 검을 가진자 13절-예수님께서 사는 곳을 아신다.
식물의 성장조건 만 든 이 : 김지혁 지도교사 : 김경순선생님.
전략적 사고 요약 발표.
The Selfish Gene 이재용 이수진 박우영 현수진
동양의 색채 1.인 도 인더스 강 유역에서 고대(B.C 2000 ~ 3000)의 청동기시대에 문화가 이미 발달하였고, 메소포타미아와 유사하고 이는 신에 관한 것이 많고, 도시계획이 이루어져 있었으며, 이 시대부터 모자이크 타일이나 돌에 의한 다채로운 재료가 사용되었다.
Self-Leadership 긍정의 힘 - Mind Power.
마늘 안다솜.
갈등관리 슈퍼 초 울트라 다이나믹 D조 club.cyworld.com/elwh.
1-4.
장화용한국사 역사송 10곡 (선사시대 – 대한민국) (사)한국역사문화협회.
2011년 12월 16 일 대강절 셋재주 주일낮예배.
2012년 9월 16일 바벨탑 사건과 셈의 후손들의 족보 ▣말씀:창세기 11:1-32 예 수 복 된 교 회.
Chapter 1 사회복지 윤리와 철학에 대한 개요
청렴체험프로그램 학습자 지도안 과정개발 및 내용전개를 위한 기초 설계 안 _
Presentation transcript:

군대윤리 군대윤리 교육목적(敎育目的)

삶의 만족 = 행복? ● 내 인생의 목표? ● 내 인생의 가치? ● 어떤 인생을 살 것인가? ● 행복한 삶이란 무엇인가? ● 행복한 삶을 위하여 어떻게 사고하고 행동 할 것인가? ※ 행복은 성적순 ?

국가 수호자, 조직 관리자/리더, 전쟁 수행자, 무력(武力) 관리자 군대윤리 교육목적 軍人에게 倫理 敎育이 왜 필요한가 ? 국가 수호자, 조직 관리자/리더, 전쟁 수행자, 무력(武力) 관리자 판단력과 통찰력 배양, 도덕적 가치관 정립

군대윤리 교육목적 軍隊의 存在 目的과 價値 : 戰爭 수행 전쟁 意志가 확고할 때 진정한 平和가 도달 국민의 생명과 재산보호, 국토방위, 전쟁억제 / 평화수호 전쟁 意志가 확고할 때 진정한 平和가 도달 군대에 道德性과 倫理意識 강조 軍人이기 以前에 한 人間 “내가 왜 적과 생명을 바쳐 싸워야 하는가?” “그 싸움은 과연 정당한가?” “나는 군인으로서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 윤리적 갈등상황 극복 위한 判斷力과 洞察力 배양 군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도덕적 價値觀 정립 國家觀, 軍隊觀, 人生觀, 對適觀, 死生觀, 職業觀 등 군대,군인: 국가수호의 숭고한 도덕적 가치 추구 주체 인식

현상 인식 전∙평시 군인과 軍隊에 높은 도덕성과 윤리의식 요구 군대 / 병영문화 진단 잦은 군 관련 사고로 국민 신뢰 저하 가치관 및 의식의 변화 법·제도 및 규범의 변화 행동과 생활양식의 변화 생활기반 및 환경의 변화 잦은 군 관련 사고로 국민 신뢰 저하 병영 내 악성사고, 구타·가혹행위, 군 기강 해이, 방산비리 등 사례 : 윤일병/임병장 총기난사사건(2014), 방산비리사건(2015) 육군 협약대학 군사학과 필수과목 요구 대학생+장교후보생이 갖추어야 할 인성, 윤리교육 필요 장병 인권 보장 및 인성 함양, 초급간부의 리더십 강화, 병영생활의 폐쇄성 극복 및 안전한 병영환경 조성 요구

가치관 및 의식의 변화 민주주의의 발전, 학력 수준의 향상, 전문기술인력의 증가와 같은 우리 사회의 변화 → 군 구성원 가치관/의식 변화 1990년대 이후 군의 병영문화 개선 노력은 병영 내 인권의식과 합리적인 리더십을 점진적으로 확산시키는 계기 ‘계급과 권위 중심의 지휘’는‘ 솔선수범과 인격 존중의 지휘통솔, 소통·공감·자율성을 중시하는 리더십’으로, ‘절대복종’을 강요하던 문화는‘ 법과 규정에 근거한 합법적인 지시와 명령’의 병영문화로 변화. 그러나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작전 기강 유지를 위해 인권은 무시될 수도 있다’는 잘못된 인식이 잔존해 왔으며, 유사 악성사고를 반복적으로 발생시키는 병영 내 뿌리 깊은 악습과 군 기강 해이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문제.

군대의 역할 軍隊 국토 방위 국제평화 유지에 공헌 국민생명 재산보호 ·

NO! 현 실태(사회적 인식) 국민의 52.2% 대군 신뢰도 조사결과(KIDA, ’14년 9월) 軍을 얼마나 신뢰하나 ? 신뢰하지 않음 ! · NO! 국민의 52.2%

현 실태(사회적 인식) 군(軍)을 신뢰하지 않는 이유 군 내 윤리의식 부족으로 인한 사고들이 군 불신의 주요인 1위 2위 3위 방산비리 기강해이 68.8% 간부들의 부도덕성 18.4% · 교육훈련 미흡 12.7% 군 내 윤리의식 부족으로 인한 사고들이 군 불신의 주요인 http://news.kbs.co.kr/news/view.do?ref=A&ncd=2935622

현 실태(사회적 인식) 군 복무 부적응 원인 ·

사회현상-반인륜적 범죄(사례) 하루가 멀다 않고 매스컴에 오르내리는 반인륜적 사건사고들 ! 부천여중생사건

병영 내 악성사고(사례)

병영 내 악성사고(사례) < 군 인 성범죄 > ▶ 성범죄로 300만원 이상 벌금형 확정시 군 간부 임용 금지(‘16.4.20자 시행) ▶ 현역복무부적합조사 대상 기준 강화로 자질 부족 군 간부 조기 퇴출(‘16.3.2자 시행) - 현역복무부적합조사* 대상 기준을 동일계급에서 2회 이상 보직 해임 및 경징계 처분에서 전체 복무기간 중 2회 이상으로 강화 * 현역복무부적합조사는 능력부족, 성격상 결함, 불성실한 직무수행 등에 해당되는 군인을 현역에서 퇴출하는 제도 군 성범죄 '솜방망이 처벌'…83건 중 실형은 고작 3건 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0744575

防衛産業 非理 事例

防衛事業 非理 事例

윤리학 체계 윤리학(倫理學, ethics) 인간의 행위에 대한 도덕적인 가치판단과 규범을 연구하는 학문 일반적인 주제 : 선(善), 의무(義務), 덕(德) 도덕철학(道德哲學, moral philosophy)이라고도 불리며. 영어의 ‘ethics’는 ‘ethos’, ‘moral’은 ‘mores’라는 희랍어에서 유래 (“관행, 준칙, 집단행동 준칙“) 서양의 윤리학은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여 이론적으로 체계화되었으나, 이미 소크라테스(Socrates)와 플라톤(Platon)에 의하여 철학의 중요한 연구과제로 정착

윤리학 체계 소크라테스는 모든 악은 무지 때문, 철학(philosophy)의 목표는 덕(arete)을 목표, 지덕동일설의 주장도 유래. 또한 유덕한 자만이 행복을 누릴 수 있다는 의미에서 복덕동일설의 주장, 소크라테스에 있어서 지혜와 행복과 덕은 삼위일체. 서양의 윤리학설은 칸트(Kant)에 이르러 정점을 이루며 후세의 윤리학에 지대한 공헌. 칸트 이후 많은 윤리학자들에 의해 발전 동양의 윤리학은 중국에서 체계적 학문으로 이어져 오지 못했지만 인간이 마땅히 지켜야 할 도덕규범을 제시 중국의 윤리학은 공자에서 시작하여 맹자에서 거의 완성 공자: 중심사상(성악설,예와 인), 맹자:중심사상(성선설, 측은(側隱), 수오(壽惡), 사양(辭讓), 시비(是非)-4단(四端) /인의예지) 삼강오강(三綱五綱) : 君爲臣綱(군위신강), 父爲子綱(부위자강), 夫爲婦綱(부위부강)/부자유친,군신유의,부부유별,장유유서,붕우유신

윤리학 체계 우리나라의 윤리학 세종 13(1413) 집현전 부재학 설수 등이 왕명에 따라 삼강(三綱)의 모범이 될 만한 충신, 효자, 열녀를 35명씩 모두 105명을 뽑아 그 행적을 그림과 글로 칭송하는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를 편찬 1511년(중종6)과 명종·선조·영조 때 각각 증간되어 도덕서로 지정 삼강: 군위신강(君爲臣綱),부위자강(父爲子綱),부위부강(夫爲婦鋼) 오륜: 유교의 도덕을 실천하는 데에 기본을 이루는 다섯 가지 강목. 즉 부자유친(父子有親), 군신유의(君臣有義), 부부유별(夫婦有別), 장유유서(長幼有序), 붕우유신(朋友有信) 줄여서 오상-친(親)·의(義)·별(別)·서(序)·신(信) ※ 서울의 4대문: 숭례문(남대문), 흥인지문(동대문), 홍지문(서대문) 돈의문→ 仁,義,禮,智에서 유래

윤리학 체계 윤리 조직윤리 기술계윤리 전문윤리 문화계윤리 순수윤리 (보편윤리) 각론윤리 응용윤리 -사업윤리 직업윤리 -기업윤리 -노동윤리 -공무원윤리 -군대윤리 기술계윤리 -정보윤리 -생명윤리 -환경윤리 -의료윤리 전문윤리 문화계윤리 -정치윤리 -교육윤리 -법무윤리 -경영윤리

윤리학 체계 윤리학 이론(倫理學 理論) 절대적 윤리: 윤리적으로 옳은 것은 절대적으로 하나밖에 없다 맹자의 인의예지에 의한 성선설, 플라톤의 이데아, 칸트의 의무론적 윤리설, 절대적 윤리의 원리와 법칙을 초경험적·초현실적 세계관에 근거하여 연구. 절대론적 윤리설 : 목적론과 법칙론으로 대별 목적론: 삶의 궁극적 목적은 인간이 마음대로 정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이미 선천적으로 주어진 절대적인 것 법칙론 : 인간에게는 누구나 지켜야 할 행위 법칙이 주어져 있다 상대적 윤리:윤리적으로 옳은 것은 상황에 따라 다르다는 것. 순자의 성악설, 소피스트, 쾌락주의의 윤리설, 공리주의 등이 여기에 해당. 현대에 이르러 상대론적 윤리설이 크게 대두

윤리학 체계 상대적 윤리설 : 공리주의, 응용윤리학, 분석윤리학, 실존주의 윤리학 상대적 윤리설 : 공리주의, 응용윤리학, 분석윤리학, 실존주의 윤리학 공리주의는 공공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하는 것을 윤리의 기준. 응용윤리학은 환경윤리학 또는 생태학적 윤리학, 의료윤리학 또는 생의학적 윤리학, 생명윤리학, 사회윤리학, 경제 및 기업윤리학, 법 윤리학, 과학 및 기술윤리학, 정보통신윤리학, 평화윤리학, 직업윤리학, 정치윤리학, 여성윤리학 등과 같이 실제 생활에 적용하여 응용할 수 있는 것을 목적 분석윤리학(메타윤리학)은 언어의 논리적 분석을 철학의 방법으로 채용하고 있는 분석철학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상대주의에 빠져 있다 실존주의적 윤리학은 윤리의 기초를 형이상학에 두는 것을 거부하고 보편타당성을 부인하는 점에 있어서는 분석철학자들과 동조하나, 분석철학자들의 형식적인 언어분석에는 대단한 반감

윤리의 정의 / 어원 윤리(倫理) ‘도덕적’(道德的) ‘윤(倫)’자에는 무리[類]·또래[輩]·질서 등의 뜻 ‘리(理)’자에는 이치·이법(理法)·도리(道理)의 뜻. 물리(物理)가 사물의 이치인 것처럼, 윤리는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 즉 인간관계의 이법(理法). ‘도덕적’(道德的) 이 말은 두 가지 뜻. 우선 이 말은 옳은 것과 그른 것, 좋은 것과 나쁜 것에 관한 판단, 즉 가치판단을 하는 인간의 능력을 뜻함. 또 윤리적인 기준과 일치하는 행동을 가리킴

윤리의 정의 / 어원 유교:부자(父子)·군신(君臣)·부부(夫婦)·장유(長幼)·붕우(朋友)의 오륜(五倫)을 인간관계의 기본, 실천덕목으로서친(親)·의(義)·별(別) ·서(序)·신(信)의 오상(五常)을 강조. 오륜오상의 유교윤리는 인간관계의 이법으로서 윤리의 본질을 잘 나타냄. 윤리학이라는 말에 해당되는 독일어의 ‘Ethik’나 영어의 ‘ethics’는 그리스어 에토스(ethos)에서 유래. 에토스: 원래 동물이 서식하는 장소, 우리[畜舍], 집을 뜻하는 말, 나중에 사회의 풍습, 풍조, 개인의 관습 또는 품성을 의미. 독일어의 윤리(Sittlichkeit)라는 말도 풍습(Sitte)이라는 말에서유래. 윤리라는 말과 풍습은 서로 밀접한 관계.

윤리 관련 주요 용어 • 선(善):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선은 행복이면서 영혼의 활동. • 덕(德): 덕에는 예지적인 덕과 윤리적인 덕. 이것은 각각 영혼의 이성적인 부분과 비이성적인 부분에 해당. 예지적인 덕은 배워서 얻을 수 있고 윤리적인 덕은 습관에서 얻을 수 있다. • 양심(良心): 자기 자신의 태도·행동이 윤리적으로 선인가, 악인가, 윤리적 당위에 적합한가, 적합하지 않은가에 관한 의식 또는 소질. • 가언 명령(hypothetische imperativ)과 무상 명령(der kategorischer imperativ) - 가언 명령 : 보편타당성이 있으면서도 동시에 일정한 조건이 따르는 명제 - 정언명령 : 보편성과 무제한의 타당성을 동시에 지니는 명제 (무조건 명령 내지 단언 명령, 무상 명령 이라고도 함.)

윤리 관련 주요 용어 • 예(禮)와 인(仁): 예는 외형적 구속에 의한 사회질서이며 또한 개인생활에도 강한 외형적 구속력을 가진 일종의 기본 형식. 인이란 공자에 의하면 인(仁)은 인(人)이다. 즉 사람다움에 있다고 해석한다면 이것은 인간의 도덕성의 존재를 믿고 있는 것. • 오륜: 유교의 도덕을 실천하는 데에 기본을 이루는 다섯 가지 강목이다. 부자유친(父子有親), 군신유의(君臣有義), 부부유별(夫婦有別), 장유유서(長幼有序), 붕우유신(朋友有信)인데 줄여서 친(親)·의(義)·별(別)·서(序)·신(信)이라고도 함(실천덕목-오상).

윤리 관련 주요 용어 • 개인윤리(個人倫理) 개인윤리는 대부분 행위의 주체를 개인의 양심이나 개인의 덕목에 둠. 개인 윤리에서 관심을 가져야 할 부분은 인간의 행동에 대해 이성의 법칙에 따라서 행동하라는 언명과 인간 내부에 내제하는 절대적인 도덕적 법칙에 따라 행동하라는 명제(윤리적, 도덕적 책임 : 개인) • 사회윤리(社會倫理) 사회의 기본 구조, 질서, 사회제도 틀의 정당성과 윤리성을 강조. 사회윤리는 사회문제를 개인의 양심과 의식에서 찾는 것이 아니고 사회의 제도, 구조, 도덕성에서 찾는다.(윤리적 책임 : 사회)

윤리의 정의 / 중요성 ◈ 일반적인 윤리(倫理)의 정의 ○ 좋은 것과 나쁜 것, 옳은 것과 그른 것의 판별 척도 ○ 개인생활의 측면에서 ‘인간의 규범적인 행위의 원리' ○ 사회생활에서 인간이 더불어 살아가는데 필요한 규율 ◈ 윤리(倫理)의 중요성 ○ 윤리적 사고. 행동이 부족하면…..? ·의사 → 환자, 생명 위독 ·상인 → 고객, 금전적 손해 ·군인 → 군대, 군에 대한 불신, 전투력 저하, 국가위기

군대윤리 의 정의 군대윤리는 일종의 응용윤리(applied ethics) 응용윤리로서의 군대윤리 군대윤리의 세가지 원리 군대윤리=직업윤리(직무수행과정, 전투행위간 도덕적 문제) 도덕적문제로서 생명윤리, 환경윤리, 정보윤리→응용윤리 분야 응용윤리로서의 군대윤리 군인 혹은 군대가 직무를 수행하는 과정이나 구성원들간의 관계 에서 마땅히 따라야 하는 행위원리, 지켜야 할 도리 군대윤리의 세가지 원리 군 임무수행간에 부딪히는 윤리적 갈등상황에서 옳고 그름을 판단하게 해 줄 수 있는 준거(準據) 군인의 규범적인 행위의 원리 군대 공동생활의 원리

군대윤리 의 특성 응용윤리로서 군대윤리의 4가지 핵심 주제 1. 군대윤리는 내용면에서 전쟁윤리를 기본내용으로 다룸 전쟁윤리, 군인의 가치관과 덕목, 직업윤리, 리더윤리 1. 군대윤리는 내용면에서 전쟁윤리를 기본내용으로 다룸 전쟁 자체의 도덕적 정당성 전쟁의 과정에서 제기되는 전쟁수단, 군인 행위에 대한 도덕성 2. 군인이나 군대가 지녀야 할 가치와 덕목을 다룬다 민간인에 요구되는 가치/덕목 : 자애, 청렴, 배려, 봉사, 존중 군인에 요구되는 가치/덕목 : 충성, 용기, 명예, 책임, 정의 3. 군대윤리는 전문 직업윤리로서 관련된 주제를 다룬다 4. 군대윤리는 도덕적 리더십에 관한 주제를 다룬다

군대윤리 일편단심(一片丹心)의 국가관(國家觀)

직업군인의 국가관(國家觀) 우리는 조국 대한민국을 위한 한 없는 사랑(愛國愛族)과 투철한 충성심(忠誠心)을 바탕으로 민족의 역량에 대한 자부심을 가지고 자유민주주의의 수호와 발전을 위해 헌신, 봉사(奉仕)하는 자세를 견지한다.

국가를 어떻게 볼 것인가? 사냥꾼에서 국민으로 동양의 국가관 서양의 국가관 약 1만년 전부터 원시적인 형태의 국가들이 형성 국가관(國家觀) : 한 국가의 국민이 그 자신이 속해 있는 국가에 대한 일정한 인식 다양한 국가관이 존재하는 이유 역사와 문화가 다른 수많은 형태의 국가 통칭 용어 각 개인의 사회적 위치와 경험에 따라 다양한 국가관 동양의 국가관 도가(道家), 법가(法家), 유가(儒家)의 국가관 서양의 국가관 고대적, 중세 봉건사회적, 근세 / 현대적 국가관

국가를 어떻게 볼 것인가? 직업군인의 국가관(國家觀) 두 가지 차원의 관점에서 본 국가관 국가라는 존재 자체에 대한 인식 직업과 같은 ‘자신의 사회적 위치와 국가와의 관계설정’ 직업군인으로서 올바른 국가관 정립: 두 가지 차원의 관점을 군인 직업이 가지는 정체성에 적합하도록 설정 국가는 인간 본성의 결과물로 탄생 국가는 인간행복의 현재적 결론 국가는 인류의 가장 최근의 발명품 국가를 대체할 만한 조직은 아직 발명되지 않았다. 직업군인과 국가의 관계(타 직업과 다른 특징) 국가는 군이 존재하는 전제조건, 군 임무수행의 최종적 목표 국가로부터 보호받기보다 그것을 보호하고, 지켜야 하는 직업

대한민국이라는 이름의 배 선택하지 않은 승선 공동운명선(共同運命船) 민족사에 대한 긍지와 자부심 견지 필요 민족성, 민족의 역량에 대한 자신감이 중요 자유민주주의 체제에 대한 확신-민족통일-번영과 발전-인류공헌을 위한 통일 평화적 통일, 자유민주주의 체제로의 통일 공동운명선(共同運命船) 유조선,화물선, 노예선, 유람선, 해적선 / 공동운명선(가장 이상적인 국가) 국가가 나를 위해 무엇을 해주기를 기대하는 존재가 아니라, 주인으로서 국가를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를 생각하는 존재 직업군인의 생명 : 국가와 운명을 같이하는 운명공동체

국가를 위한 가치덕목(價値德目) 애국애족(愛國愛族) 충성(忠誠) 봉사(奉仕) 조국에 대한 사랑, 민족에 대한 사랑 애국심의 기원과 질적 변화 그리고 애국애족이 없었던 용병 충성(忠誠) 가운데의 마음/신뢰와 믿음, 말을 이룬다/진실 자기자신에 대한 충성, 신념과 직업적 규범에 대한 충성, 상관에 대한 충성, 국가에 대한 충성 ※ 군복 입은 시민(독일) 충성 서약식(매년 7.20) 봉사(奉仕) 남의 뜻을 받들어 섬긴다, 자발성, 기쁨과 자부심 동반 속성 군대는 최고의 봉사집단, 군인은 가장 명예로운 봉사자 군인 : 국가, 부대, 사회, 타인에게 봉사하는 숭고한 직업

조국을 향한 한 없는 사랑 위기에 처한 조국을 부둥켜안고(관련사례) 조국을 끝까지 지켜내야 하는 것이 직업군인의 당연한 태도 테르모필레의 비문(BC480, 페르시아/그리스, 스파르타인 300 마사다의 비극 두문불출(杜門不出) 더 이상 물러설 곳은 없다(다부동지구 전투) 9.11테러와 미국민들의 애국심 독일국민에 고함(피히테) 위국헌신 군인본분(爲國獻身軍人本分) 오직 이스라엘의 독립만 약속해 주시오(카임 와이즈만) 맨손으로 총칼 앞에 서다(3.1독립운동) 억천만 죽더라도 원수 쳐보세(독립군가)

조국을 향한 한 없는 사랑 작은 실천이 곧 애국(관련사례) 어느 노교수의 동상 청소( 성균관대 행정학과 장기붕 교수) 수상과 시계 수리공(싱가포르 리콴유 수상과 아버지) 당신은 어디로 갔소(노산 이은상 선생과 최용덕 장군) 애국은 전선에만 있는 게 아니다(간호장교 출신 조금임 할머니)

군대윤리 멸사봉공(滅私奉公)의 직업관(職業觀)

직업군인의 직업관(職業觀) 우리는 나라와 겨레를 위해 스스로 선택한 군인의 길이 천직(天職)이라는 소명의식을 바탕으로, 도덕적 품성(品性)을 갖추어 청렴(淸廉)한 생활태도를 유지하고, 부여된 책임(責任)을 창의적(創意的)으로 완수하는 자세를 견지한다.

무엇을 하며 살 것인가? 직업(職業)의 의의(意義) 직업(職業) 사회의 변화와 직업의 종류 / 변화 : 50년대/2천, 6/70년대/만개 한국:14,881 등록 미국:3만여 종류, 일본:2만3천여 종류 이색 직업, 사라진 직업, 없어질 직업, 새로 생겨날 직업 직업의 두 가지 측면 개인적 생계수단 사회적 직분 직업(職業) 직(職) :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맡아야 할 역할 업(業) : 벌이의 수단 Occupation : 생업과 사회적 참여라는 직분의 측면을 동시 의미 / 소질과 상황에 따라 임무 분담함으로써 전체의 사명에 공헌

무엇을 하며 살 것인가? 직업인(職業人)과 직업윤리 직업관의 의의 직업윤리를 체질화하고 있는 사람은 일에 대한 전문성과 함께 자기 기술에 대한 자신을 갖고, 자기가 담당하는 업무에 충실히 최선을 다함으로써 국가와 사회에 공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직업관의 의의 직업을 단순한 삶의 수단이 아니라 인생을 윤택하게 하는 과정으로 승화할 필요가 있다

무엇을 하며 살 것인가? 추구하는 목적에 따른 직업관들 생존수단으로서의 직업관 물질적 행복의 수단으로서의 직업관 성공수단으로서의 직업관 자기발전 수단으로서의 직업관 소명으로서의 직업관 지향점 : 직업을 통해 자기발전 추구, 사명 수행

무엇을 하며 살 것인가? 동양의 직업관 공자의 직업관 맹자의 직업관 순자의 직업관 서양의 직업관 루터의 직업소명설 칼뱅의 금욕론 베버의 천직론 우리나라의 직업관 : 근면과 성실 바탕으로, 상부상조하는 협동성 강조

무엇을 하며 살 것인가? 바람직한 직업관 직업목표 사회기여(사회적 책임성), 자아실현 직업정신 장인정신, 주인정신, 봉사정신, 청렴성 사고력 적극, 긍정적 사고 업무수행 성실, 근면, 책임, 창의, 자발성, 변화에 대응 협동성 협조, 양보, 타협, 절제 기타 예절의 준수, 원만한 인간관계

내가 선택한 직업군인 직업군인의 의미 직업군인 : 하나의 직업으로서 군대에 복무하는 사람 기원(起源) : 18세기, 근세 국민국가 시대 1808.8.6 프러시아 정부의 장교임명에 관 법령 공포 장교에 임명되는 유일한 조건은 평시에 있어선 교육과 전문적 지식이며 전시엔 탁월한 이해와 용기 직업군인의 상(像) 인간(제복 입은 민주시민) 공직자(‘안보’라는 공공재의 생산 주체) 무력관리와 행사의 전문가로서 국민에게는 존경과 신뢰의 표상, 적에게는 전율과 공포의 대상 비전과 낭만의 상징(비전소유, 자기발전적, 미래지향적 존재) 다른 직업과 구별되는 독특한 임무 수행자

군인의 바람직한 직업관(소명의식에 바탕한 전문직업주의) 내가 선택한 직업군인 직업군인의 특수성 유일한 ‘합법적 폭력관리 집단’ 유사시 목숨까지 담보하는 강한 책임성 명령의 절대성과 엄격한 위계질서의 요구 사회적 책임성 전문성 군인의 바람직한 직업관(소명의식에 바탕한 전문직업주의) 막중한 책임감과 희생을 감내하는 헌신적 도덕성 필요 일반직업론 : 경제적인 보수 획득 목적의 단순 직업 전문직업론(헌팅턴) : 전문기술, 책임성, 단체성 전문성과 직업성의 조화, 내면적 소명의식이 중시되는 참된 군인, 직장주의 의 극복 →전문 직업군을 위한 제도적 뒷받침

부대를 위한 가치덕목 책임 : 공로는 부하에게, 명예는 상관에게, 책임은 나에게 부대를 위한 가치덕목 책임 : 공로는 부하에게, 명예는 상관에게, 책임은 나에게 군인의 책임 : 국가의 안전확보, 국민의 생명과 재산보호 계급과 직책에 따른 명확한 책임 연대책임의식 개인의 희생과 헌신이 요구 책임의 두 가지 측면 적극적 책임과 소극적 책임 책임의 세 가지 책임 : 자신, 부하, 임무에 대한 책임 자신에 대한 책임 부하에 대한 책임(진정한 리더십) 임무에 대한 책임(군의 존재목적에 대한 책임)-군기, 사기, 단결 등의 집단적 정신전력의 구성요소 등 제 가치 필요

청렴과 검소 : 부패한 군대가 전쟁에서 승리한 예는 없다 부대를 위한 가치덕목 청렴과 검소 : 부패한 군대가 전쟁에서 승리한 예는 없다 국제투명성기구 발표 부패인식지수(CPI) : 4.3 / 순위 50위 청렴 : 성품이 고결, 공 과 사가 분명, 욕심이 없음 검소 : 사치나 낭비, 향락을 자제하는 꾸밈없는 결백함 군인이 물욕에 눈을 뜨면 위국헌신의 본분에서 멀어짐 참된 군인의 길은 험하고 외로운 한편 보람되고 명예로운 길 전문과 창의 : 무엇이 문제, 어떻게 할 것인가 지식정보화시대의 도래 창의 바탕, 도전과 응전은 개인/인류역사 발전의 원동력 사고하고 끊임없이 배우며 창조하는 군인 잠자던 영국, 프랑스와 끊임없이 사고하고 창조했던 독일

멋있는 군인 듬직한 군대:직업관 사례 책임완수 관련사례 청렴과 검소 관련사례 그리스 조각가 피디아스(Phidias), 나와 역사는 안다 트루먼 대통령, 책임은 여기서 멎는다 1852,2.27 버큰헤드호 472명의 군인과 162명의 부녀자 1950.7.6 충주 동락리 전투 6사단 김종수 소령 1898년 스페인과 미국전쟁시 가르시아장군에게 보내는 편지 청렴과 검소 관련사례 장개석 총통,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이 맑다 백결선생, 명심보감:만족할 줄 아는 사람은 가난해도 즐겁다 두 사람의 석공 : 생각을 통한 즐거움 다산 정약용 : 청렴은 천하의 큰 장사 조선시대 정봉 : 난 백성을 위해 있는 것이다

멋있는 군인 듬직한 군대:직업관 사례 창의와 전문성 관련사례 준비된 자만이 성공을 쟁취할 수 있다 사마법 天下雖安 忘戰必危, 이이의 10만 양병설 챔피언의 몰락(2002, 프랑스 우러드컵 조 최하위기록 탈락) 15년을 준비한 걸프전쟁(맥카페리 소장) 2002년 우러드컵 4강, 함께만드는 신화 명량대첩의 비밀 : 이순신의 전략. 전술 이것이 프로 근성이다(레슨프로와 대기업회장) 징기스칸-유목민(nomad)에게 배우는 교훈 제로섬(zero-sum)게임의 땅 한사람의 꿈은 꿈이지만 만인의 꿈은 현실이다 길을 닦는 사람들, 성을 쌓는 사람들 평생 동지-태어난 곳은 달라도 죽는 곳은 같다(4준마,4맹견) 속도 숭배주의자들, 눈과 귀를 열어라

군대윤리 일사보국(一死報國)의 사생관(死生觀)

직업군인의 사생관(死生觀) 우리는 선열의 호국정신을 계승하여 일신의 안위와 생명까지도 기꺼이 희생(犧牲)활 수 있는 진정한 용기(勇氣)와 군인으로서의 명예(名譽)로운 삶을 소중하게 생각하는 자세를 견지한다.

어떤 삶을 살 것인가? 가치 있는 삶 올바른 인생관의 의미 죽음을 각오한 의연한 삶과 일신의 안일을 추구한 구차한 삶 인생관 (view of life): 인생에 대한 전체적, 통일적, 직관적인 사고방법(철학대사전), 인생의 목적, 의의, 가치 및 그가 갖는 의미를 해석, 평가하는 전체적인 사고방법(국어대사전) 인생관의 유형 낙천주의 그리고 비관주의(반쯤 담긴물 과 아프리카 신발) 동양인과 서양인이 생각한 인생(大義/실존주의, 실용주의) 한국인의 인생관(죽음이라는 단어를 잘 쓴다) 올바른 인생관의 의미 : 삶과 죽음의 균형잡기 올바른 인생관의 중요성 : 바라보는 방식의 변화

어떤 삶을 살 것인가? 내 인생의 주인으로 무언가 흔적을 남겨야 원효(사상), 퇴계(저술), 이 충무공(애국심) 내 인생은 나의 몫 생의 순간순간 최선을 다하는 자세를 인간의 가치는 그 살아온 시간의 길이에 있지 않고 어떻게 살아왔는가 하는 삶의 내용에 있다. Yesterday is history. Tomorrow is mistery. Today is a gift. That is why we call it present.

어둠을 밝히는 등불이 되어 死生觀 확립은 軍人의 基本哲學 바람직한 군인 사생관의 모습 사생관 정립은 ‘삶의 목표’ 인식으로부터 삶의 목표의 다른 표현, 사명감 우리 군의 사명 : 국가 방위 군인의 삶과 죽음 : 사명완수 와 희생이 요구되는 삶 바람직한 군인 사생관의 모습 사생관 : 삶과 죽음에 대한 자기 나름대로의 생각과 태도 사생관은 인생관의 다른 표현으로 동전의 양면과 같다 사생관의 진정한 의미 : 必死卽永生 군인의 사생관은 다른 직업의 그것과는 구별되는 특징 군인 사생관의 기능 필승을 담보(必生卽死 必死卽生) 지휘통솔의 일차적 요소

어둠을 밝히는 등불이 되어 현대군의 사생관 현대군과 사생관의 딜레마 평화가 오래 지속되면서 사생관에 대한 관심과 주의 소홀 군대의 역할을 둘러싼 논쟁 (민군관계) 헌팅턴 학파 : 절대적 군인(천직의식), 고립감내 야노비츠 학파 : 실용적 군인(일반직업의식), 밀접한 관계 딜레마의 극복 : 개인적 가치의 희생 요구는 군인직업의 특수성에 비롯 부단한 자기경계와 수양 매 순간 최선을 다하는 삶

어둠을 밝히는 등불이 되어 군대의 역할에 관한 두 가지 이론 구분 헌팅턴학파 야노비츠학파 상대적 초점 전시/현대군 평시/미래군 군의 이념형 전투군 국가경찰군 대표적 저술 군인과 국가 직업군인 국방의 목표 적군대의격파(전쟁수행), 소극적 안정화 전쟁승리 군대사명 적 국가의 무력화(전쟁억제) 적극적 안정화 군대의 사명은 안정, 활력 있는 국제관계 구축 군대의 역할 폭력의 관리(장교) / 행사(부사관) 전투역할과 동등한 비전투역할 민 군 관계 역할분담 군인들만이 공유하는 정신구조 국민은 군대의 고용주인 동시에 고객 사회의 가치공유

개인의 가치덕목 직업군인 가치관의 세 차원 A : 가치관 미정립 B :부대차원 높고, 개인차원 낮음(용병) B : 참 군인 D : 전문성 부족(의병) D 국가적차원 C 강 강 개인적차원 A B 약 강 부대적차원

개인의 가치덕목 사생관을 구성하는 가치 사생관 (개인) 용기 필승신념 희생 멸사봉공, 선공후사 명예 자율, 의무, 준법

개인의 가치덕목 희생 : 군인의 희생은 나라를 살리는 희생 노쓰 아삼 묘지 : 사람들에게 일러주어라. 우리는 그들의 내일을 위하여 우리의 오늘을 죽였다. 로마군인의 희생정신 희생정신은 타를 위한 완전한 헌신이며 자기 것의 포기이고 아낌없이 주는 정신 군인과 희생정신 4가지 유형의 인간상 : 이기주의자, 개인주의자, 이해타산자, 봉사주의자 직업군인의 희생정신은 국가의 운명을 좌우하는 주요한 요소 희생정신의 한 유형 : 노블레스 오블리주 우리 역사에도 국가 위기시에 책임을 다하는 사회지도층이 있었고 수많은 애국선열과 호국영령이 있었다

개인의 가치덕목 용기 : 목숨을 건 용기가 전쟁의 승패를 좌우 전장에서는 소수의 용기있는 자들에 의해 승리가 좌우, 화랑 관창 용기란 정신적 인내력이지만 그 지향하는 바가 결코 개인적이거나 올바르지 못한 이익을 위한 것이어서는 안된다 진정한 용기란 ‘정의를 위한 분별력있는 인내심’ 용기는 군인정신의 정화로서 시련과 난관에 부딪혔을때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원동력 진정한 용기의 특성 : 두렵지만 자기임무를 수행하는용기, 꼭 필요한 상황에서 발휘되는 용기, 생명과 규율의 지배하에서 발휘되는 용기, 죽음을 무릅쓰고 책임을 완수하는 용기 용기의 정수, 도덕적 용기 육체적 용기보다 도덕적 용기가 중시되어야 한다

명예 : 군인에게 명예는 모든 것을 잃어도 잃을 수 없는 것 개인의 가치덕목 명예 : 군인에게 명예는 모든 것을 잃어도 잃을 수 없는 것 목숨보다 더 큰 명예 : 1996.5 미 해군참모총장 버다제독, 자살(브이메달-전투에 직접 참가자 만이 걸고 다님) 군인의 명예심 : 외적 존경 그리고 내적 보람 명예심은 매슬로우가 제시한 인간의 욕구 중 자기실현의 욕구 명예의 내적 차원이 몰각될 때 : 출세주의의 병폐 국민들의 기대에 어긋나지 않도록 국가를 위한 일에 자신의 명예를 죽음으로라도 지킨다는 결연한 의지

영원한 삶을 위하여:사생관 관련사례 동양 : 관우의 사당에서 가미가제 특공대까지 동양 군인의 상징적 이미지 삼국지 등장 영웅호걸 덕성은 충성과 의리 무경칠서(武經七書) 장수의 자질(육도/논장편): 용지인신충(勇智仁信忠) 가미카제 특공대 : 일본 자살특공대 임무로 죽은 청년의 수가 3500여명(1941년-1944년 투입) 일본 사무라이 정신(무사도정신):12-19세기, 명치유신 2차대전 동양 군인의 상징적 이미지 구분 상징적 이미지 덕목 중국의전통 인의의 덕치주의, 군자형 인간 손자:지신인용엄 오자:엄덕인용 육도:용지인신충 일본군 사무라이와 무사도(옥쇄/할복), 가미카제 자위관의 마음가짐 충성, 무용, 염치 충절, 예절, 무용, 신의, 검소 사명완수, 자아실현 책임, 규율, 단결

영원한 삶을 위하여:사생관 관련사례 서양 : 기사도 그리고 신사도 서양 군인의 상징적 이미지 기사도는 게르만민족 고유의 상무정신에서 출발 웰링턴 장군, 넬슨에게 있어 의무(Duty)가 신과 더불어 영국풍 군인 사생관의 중심 미국 : 반군사적 문화와 강력한 상무정신 미국군대의 정신요소는 전투수칙에 집약 독일 : 상무정신, 사고하는 군인 그리고 제복입은 시민 이스라엘 : 선민의식을 승화시킨 강력한 정신전력 덕분 서양 군인의 상징적 이미지 구분 상징적 이미지 덕목 미국군 청교도정신과 개척정신 민주시민으로서의 군인 신사로서의 장교 용기, 겸손, 진실성 정의, 충성, 이타심 의무, 명예, 조국 독일군 상무정신과 단합정신 사고하는 군인(군사적 천재) 제복입은 시민 상무, 단결, 명예 탁월한 통솔력, 지략

영원한 삶을 위하여:사생관 관련사례 기타 관련사례 우리나라 ; 임전무퇴(화랑도)↔ 위국헌신 폼페이의 보초병 눈, 팔, 온몸을 차례로 바친 넬슨 나폴레옹 군대의 병사 우리나라 ; 임전무퇴(화랑도)↔ 위국헌신 화랑도 한 사람의 묘인데 봉분이 3개인 묘(신숭겸) 동래부사 송상현 이순신 따라잡기 개성 송악산 육탄 10용사 서해 연평해전의 영웅들 무명용사

영원한 삶을 위하여:사생관 관련사례 한국의 전통적 군인상 구분 사상적 배경 군인의 자질과 덕목 삼국이전 홍익인간 문무겸비 풍부한 군사지식 인의에 의거한 부대지휘 가부장적 권위와 능력 구비 위국헌신, 충절 고매한 인격 신언서판(身言書判)의 겸비 삼국 고구려 상무정신 백제 충절정신 신라 화랑도정신 고려 항몽정신 조선 의병정신 일제치하 자주독립 (독립/광복군) 해방이후 위국헌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