水 文 學 (HYDROLOGY).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한국지엠㈜ 김양수 기본에 충실하자 연무대 공업고등학교 첫 만남 25 대한민국 48,508,972,238 / 49 북한 22,665,345 ♡ 70 억 명 : 1 ♡ 첫 인상 ♡ 처 음 ↔ 끝 ◆ 첫인상의 좋은점 나쁜점은 처음 30~40 초에 결정.
Advertisements

비즈쿨 - 정 성 욱 - - 금오공고 비즈쿨 - 정 성 욱 1. 나는 각 단원들의 활동들에 성실하게 참여 하겠습니다. 우리의 다짐 2. 나는 나와 전체의 발전을 위해 각 멘토들의 지도에 순종하겠습니다. 3. 나는 각 단원들을 숙지함으로써 비즈니스 마인드를 함양하고 자신의.
인 알고 보면 더 재미있는 권 여 행 국제앰네스티 인권교육 패키지. 어떻게 할까요? ① 4-6 명이 게임에 참여합니다. ② 액션키트에 있는 주사위와 자신의 말을 준비합니다. ③ 가위바위보로 게임 순서와 말을 정하세요. ④ 주사위를 굴려 나온 숫자만큼 자신의 말을 이용해.
국민이 바라는 미래 정부의 기 능과 거버넌스 : 환경변화, 정부기능, 역량 문명재 언더우드특훈교수 연세대학교 행정학과 2015 년 9 월 4 일.
1. 국제 환경의 변화 국제 사회가 공동으로 대처해야 할 범세계적, 초국 가적 문제 증대 - 테러, 핵 비확산, 기후 변화, 재해 및 재난, 금융위기, 마약 등 국가간의 상호 의존 심화와 함께 국내 문제와 국제 문제가 긴밀히 연결 - 세계화, 정보화로 국제 문제가 개인의.
국제사회의 이란제재 동향. UN, 안보리결의 1929호 EU, 일본, 캐나다 등 독자적 이란제제 미국, 행정명령 13590호 미국, 포괄적이란제재법 한국, 안보리결의 이행 관련 정부 발표 ‘10.6.9‘10.7.1‘10.7~9 ‘ ‘ 주요경과.
1 에너지관리공단 재 테 크 서춘수 조흥은행 팀장 2 자산 3 분법 유가증권부동산 예금 주식 : 채권비율 = 50 : 50 전통적인 자산포트폴리오.
지하수 수문학 담당교수명 : 서 영 민 연 락 처 :
HRD방침, 과제란? 1. 교육방침 교육방침은 니즈 분석을 통해 확정된 니즈를 바탕으로 HRD가 어느 방향으로 전개될 것인
UNESCO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5.18민주화운동기록물’.
ETHICAL ISSUES in the GLOBAL ARENA
1. 6·25전쟁 바로 알기 6·25전쟁이란 ? 광복 이후 38선을 경계로 남과 북에 서로 다른 정부 수립 이후
제3부 기업수준의 경영전략 제8장 기업의 다각화 전략 제9장 다각화된 기업의 관리 제10장 경영혁신.
중소기업 R&D, 무엇이 문제인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산업정보분석실 책임연구원 박 영 서.
1. 아동 권리 및 아동 학대의 이해.
The Building Hydrologic System
경안 초등학교 부설 영재학급 강지민,김민서,표지민,전혜정
강의 #2 소중한 만남 우리의 삶은 만남에서 시작됩니다.
식품과 식품산업에 대한 이해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원민정.
테마파크 베트남어과 김주현.
Evaluation of Green roofs from the Water-Energy-Food Nexus perspective
1 2 3.
국제관계론 제10강. 국제관계의 새로운 쟁점: 테러, 인권, 환경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공익인권법센터 국제인권법 강좌 이주민의 인권보호
Aly I. El-Kadi University of Hawaii
국제기구 공무원 : 현황과 진출전략 2005년 12월 6일 이 규 영 교수   (서강대 국제대학원)
NGO와 글로벌 거버넌스 글 로 벌 거버넌스 U.N 기 업 정 부 국제NGO 지역NGO.
OECD Cluster Focus Group
가뭄.
국제개발협력과 진로탐색 - 오리엔테이션.
지구촌 생태계 ECOSYSTEM.
기후변화와 자연재해관리 제 2장 기후변화와 기후변동.
한국콜마 ODM 전략 INVESTOR RELATIONS Ⅰ. 들어가며 Ⅱ. 한국콜마 소개
NetLibrary eBook 이용안내 인포넷그룹㈜.
영업인의 관리와 경영활동 경영혁신 팀..
전산 수문학 및 실습 Part 1 담당교수명 : 서 영 민 연 락 처 :
2015 신입생 수강지도 및 학사안내.
인사, 조직, 전략 연구의 분화와 통합 송 계 충 (충남대학교 경영학부) 년 8월21일 도입사례 (3분)
Ⅰ운동과 건강 관리 01 건강 관리와 삶의 질 향상 02 건강과 운동의 관계 이해 03 건강 생활과 운동 환경의 책임 의식.
연구용 도플러 기상레이더 운영현황 서 애 숙 기상연구소 원격탐사연구실.
2014 유엔글로벌콤팩트 이행보고서 UN Global Compact Communication on Progress
칼빈의 생애와 개혁자로의 변모 사학과 김종식.
노인 자원봉사 학 과 명 : 사회복지과 교 과 명 : 자원봉사론 담당 교수 : 한경리교수님
13. 생태계의 원리 생태계의 물질과 에너지.
HACCP 개요 및 필요성 ㈜엘비씨 수의학박사 이 오 형.
1. 개정 배경 학생의 체력 저하 및 건강 문제 해소 등 체육과 교육에 국가ㆍ사회적 요구 반영
OECD 국제성인역량(PIAAC) 분야별 순위 및 점수
삼안 인트라넷 메뉴얼.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일어나 새벽을 깨우리라 지금 우리는 마음을 합하여 진정으로 찬양 할 때니 un.
세계정세 및 국제체제주체분석.
최현진 정경대학 정치외교학과 국제정치론 2015 가을학기 제15주(2) 최현진 정경대학 정치외교학과
제주대학교 컴퓨터교육과 제주워터 개요 -지하수 중심- 제주대학교 컴퓨터교육과
김 병 구 국제관계의 이해(3) UN 국제기구 소개 김 병 구
공중보건학 제1강.
Chapter 2. 수문기상론 (Hydrometeorology) 2.1 서론(Introduction)
시스템 분석 및 디자인 SDLC 시스템 조사 시스템 분석 시스템 설계.
강과 바다 바다와 인간 강의 자료 정익교.
신체활동 동아리조직화 전략과 협업사례 박평문 제1기 국민건강을 위한 신체활동사업과정
DR.DREAM 대광 여자고등학교 0학년 0반 00번
(사) 글로벌교육선교회·글로벌선진학교 채용 계획안내.
한국전기초자의 경영혁신 Wisdom21 Management Consulting
제6강, 선교커뮤니케이션 허정 교수.
전환교육 (3/19) 중등특수교육과 강혜경.
사회적 경제(Social Economy)와 협동조합의 역할 전망
건강의 개념.
물류(Logistics)의 개념 한국생산성본부.
Chapter 1 인간행동의 이해와 사회복지실천
Ch.1 지구의 역사와 지구환경 Ch.2 환경오염기초
수 도 작 2013학년 1학기 담당교수 : 김 제 규 한경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Presentation transcript:

水 文 學 (HYDROLOGY)

Chapter 1. 물의 순환과 수문학 ( Hydrologic Cycle & Hydrology ) 1.1 서론 (Introduction) 1.2 물의 순환 시스템(Hydrologic Cycle System) 1.3 가뭄과 홍수 (Drought & Flood) 1.4 수문학의 Vision (Vision of Hydrology) 1.5 수자원 (Water Resources)

1.1 서론 (Introduction) (1/10) 수문학 2) 물의 순환 3) 수문학의 주요관심 분야

1.1 서론 (Introduction) (2/10) 1) 수문학의 정의 ※ UNESCO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는 국제 수문 10년 계획(International Hydrological Decade, 1965~1974) 발족의 前年(1964년)에 수문학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Hydrology is the science which deals with the waters of the earth, their occurrence, circulation and distribution on the planet, their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and their interactions with the physical and biological environment, including their responses to human activity.  Hydrology is a field which covers the entire history of the cycle of water on the earth."  ⇒ 수문학 = 물과 관련된 모든 것을 포함하는 학문

1.1 서론 (Introduction) (3/10) ▷ 1975년 IHD →IHP(International Hydrological Programme) ▷ 1965년부터 발족된 IHD에 참가한 유엔 기구    FAO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IAEA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WMO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 1977년 국제연합 수자원회의에서 ‘국제 음용수 및 공중위생’ 10개년(The International Decade on Drinking Water Supply and Sanitation, 1981~1991) 선포 ➜ 2003년 UN총회에서 ‘생명을 위한 물’ 행동 10개년(International Decade for Action, 'Water for Life', 2005~2015) 선포

1.1 서론 (Introduction) (4/10) 년 도 주 제 2003 미래를 위한 물 (Water for Future) 표. UN이 정한 세계 물의 날 주제 (1992년 12월 UN은 총회에서 날로 심각해지는 물 부족과 수질오염을 방지하고 물의 소중함을 되새기기 위해 매년 3월 22일을 세계 물의 날로 제정 선포함) 년 도 주 제 2003  미래를 위한 물 (Water for Future) 2002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물 (Water for Development) 2001  물과 건강 (Water and Health) 2000  21세기를 위한 물 (Water for Twenty-First Century) 1999  누구나 하류에 살고 있다(Everyone Lives Downstream) 1998  지하수, 보이지 않는 자원  (Groundwater, the Invisible Resource) 1997  물자원의 평가(Water Resources Assessment) 1996  목마른 도시를 위한 물(Water for Thirsty Cities) 1995  여성과 물 (Women and Water) 1994  물을 돌봄은 우리 모두의 일(Caring for water resources is everyone's business)

1.1 서론 (Introduction) (4/10) 년 도 주 제 2011 2010 표. UN이 정한 세계 물의 날 주제 (1992년 12월 UN은 총회에서 날로 심각해지는 물 부족과 수질오염을 방지하고 물의 소중함을 되새기기 위해 매년 3월 22일을 세계 물의 날로 제정 선포함) 년 도 주 제 2011 2010 건강한 세계를 위하여 깨끗한 물을(Clean Water for a Healthy World) 2009 공유하는 물-공유하는 기회(Shared Water-Shared Opportunities) 2008 물과 위생(Sanitation Matters) 2007   지구촌의 물부족 극복(Coping with Water Scarcity) 2006  물과 문화 (Water and Culture) 2005  생명을 위한 물 (Water for Life) 2004  물과 재해 (Water and Disasters)

1.1 서론 (Introduction) (5/10) 수문학의 분류 (1) 대상에 의한 분류 ① 지표수 - 지표수수문학(Surface Hydrology) ② 지하수 - 지하수수문학(Groundwater Hydrology) ③ 기상 - 수문기상학(Hydrometeorology) ④ 하천 - 하천학(Potamology) ⑤ 호소 - 호소학(Limnology) ⑥ 해양 - 해양학(Oceanography) ⑦ 토양수 - 토양수문학(Soil water Hydrology) ⑧ 눈과 얼음 - 설빙학(Cryology), 빙하학(Glaciology)

1.1 서론 (Introduction) (6/10) 수문학의 분류 (2) 지역의 규모에 의한 분류 ① 지구수문학(Global Hydrology) ② 지역수문학(Regional Hydrology) ③ 유역수문학(Basin Hydrology) ④ 사면수문학(Hillslope Hydrology)

1.1 서론 (Introduction) (7/10) 수문학의 분류 (3) 수법에 의한 분류 ① 推計수문학(Stochastic Hydrology) ② 결정론적 수문학(Deterministic Hydrology)

1.1 서론 (Introduction) (8/10) 2) 물의 순환 (Hydrologic Cycle) ※ 물순환과 수문학의 대상영역

1.1 서론 (Introduction) (9/10) 2) 물의 순환 (Hydrologic Cycle) - 증발(Evaporation) → 응축(Condensation) → 이송(Transport) → 강수(Precipitation) → 유출(Runoff) 또는 침투(Infiltration) → 증발(Evaporation) 물의 순환과정 Hydrologic Cycle

< 물의 순환 (Hydrologic Cycle)> 1.1 서론 (Introduction) (10/10) 3) 수문학의 주요 관심 분야 - 강수 (Precipitation) - 증발과 증산 (Evaporation & Transpiration) - 침투와 침루 (Infiltration & Percolation) - 지표수 유출 (Surface Runoff) - 지하수 유출 (Groundwater Runoff) < 물의 순환 (Hydrologic Cycle)>

1.2 물의 순환 시스템(Hydrologic Cycle System) (1/2) 강수(Precipitation) 증발산(Evapotraspiration) 침투(Infiltration)와 침루(Percolation) 유출(Runoff) 1) 강수 (Precipitation) ① 강수의 정의 - 구름이 응축(Condensation)되어 지상으로 떨어지는 모든 형태의 수분 ② 강수의 유형 • 강우 : 비(rain), 부슬비(drizzle) ⇒ 강수의 97%를 차지 • 강설 : 눈(snow) • 기타 : 우박(hail), 이슬(dew), 서리(frost) 등 2) 증발산 (Evapotranspiration) ① 증발산의 정의 - 액체 또는 고체상태의 물이 열에너지를 얻어 기체상태로 변화하는 과정 ② 증발산의 유형 • 지면 증발 • 수면 증발 • 엽면 증발 ⇒ 증산 (Transpiration) 증발 (Evaporation)

1.2 물의 순환 시스템(Hydrologic Cycle System) (2/2) ③ 증산의 정의 - 증발의 한 형태로 물분자가 식물의 엽면을 통해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현상 ⇒ 전체 증발량의 약 10%를 차지 3) 침투 (Infiltration)와 침루 (Percolation) ① 침투의 정의 - 물이 지표를 통해 토양 속으로 스며드는 현상 ② 침루의 정의 - 물이 중력의 영향으로 지하까지 흘러서 도달하는 현상 4) 유출 (Runoff) ① 유출의 정의 - 유역에서 집수 또는 저류된 물이 하천을 따라 흘러나오는 과정 ② 유출의 유형 • 지표유출 (Surface Runoff) • 중간유출 (Interflow) 또는 지표하 유출 (Subsurface Runoff) • 지하수유출 (Groundwater Runoff)

1.3 가뭄과 홍수 (Drought & Flood) (1/4) ① 가뭄의 정의 - 어느 지역의 인간생활 및 사회경제활동 또는 동식물 생육 등에 피해를 가져올 정도로 강수량 부족이 장기화되는 비정상적인 기상수문적 현상 ⇒ 물의 극한적 과소현상 ② 가뭄의 관점 • 기상·기후 측면의 가뭄 - 강수량이 평년 값과 비교하여 작은 경우 • 농업 측면의 가뭄 - 농작물의 성장 단계에 따라 필요한 수분량이 부족한 경우 • 수문 측면의 가뭄 - 강수의 부족으로 지표수 및 지하수 양이 줄어든 경우 • 사회경제 측면의 가뭄 - 물부족으로 인해 용수 및 전력공급에 차질이 발생하여 인간의 경제활동에 피해를 주는 경우

1.3 가뭄과 홍수 (Drought & Flood) (2/5)

1.3 가뭄과 홍수 (Drought & Flood) (2/4) ③ 가뭄의 원인 • 기상이변 현상 ⇒ 지구온난화 • 이상 기압배치의 영향 ⇒ 북태평양 고기압이 크게 발달하거나 오호츠크해 고기압 세력이 강하여, 장마기간이 짧거나 늦어져 초여름철과 여름철 강수량이 부족할 때 많이 발생 ④ 가뭄의 피해 • 1차적 피해 ⇒ 농작물의 피해 • 2차적 피해 ⇒ 생활상·상업상의 불이익 ⑤ 가뭄의 대책 • 구조적인 방법 ⇒ 저수지 및 하구둑 건설, 지하수 개발 등 • 비구조적인 방법 ⇒ 법적 대책, 행정적 대책, 경제적 대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