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ercise and Diabetes Mellitus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 죽음을 방관하시겠습니까 ? ” 신체활동부족이 어떤 결과로 다가올까 ? 북구보건소 운동처방사 사영훈.
Advertisements

Dept of food & Nutrition 2. 비만의 종류 1) 상체 비만형 : 복부 - 남성 ( 지방세포 큼 ) : 고혈압, 당뇨 발생가능성 높음 - 복부지방질은 효소활성이 큼 → 지방산 쉽게 유리 → 간으로 운반 → 콜레스테롤 원료 - 인슐린 수용체가 적어 사용되지.
건강관리 동인천중학교 구 자 춘 2001 학년도 창의적 재량활동 학습자료 학습목표 비만의 정의에 대해 안다 비만의 측정 방법에 대해 안다 비만의 원인에 대해 안다. 비만 치료 방법에 대해 안다.
신체활동을 늘려야 건강. 중국의 세 살 소년 이 아이는 건강할까요 ? 이 사람은 건강할까요 ?
고지혈증과 식이 영문중학교 영양교사 최정숙. 고지혈증이란 ? 혈액 중에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이 높은상태.
당 뇨 교 실 당뇨병에 대해 얼마나 알고 계십니까?
식품과 건강 비만과 영양. - 과다하게 섭취한 칼로리가 소비되지 않고 몸안에 지방으로 저장되어 체중이 늘어나는 것 - 피하에 있는 지방조직의 세포수가 이상적으로 증가 지방세포의 크기가 커지고, 온몸의 조직에 지방이 많이 쌓임 → 체중이 지나치게 증가 2. 비만의 피해.
뇌심혈관계질환 예방을 위한 기초질환관리 - 대사 증후군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보건대학원 정 혜 선.
Ⅱ운 동과 비만 관리 1.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3. 첨단 과학과 질병 치료 3. 생명을 위협하는 암.
소금의 긍정적/부정적 측면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신장내과 박정환.
Chapter 22 내분비 장애 대상자 간호 -당질 대사장애 : 당뇨병
무산소 운동과 유산소 운동 12조 사회체육학부 노민영, 박진규 김병규, 하정욱 안상돈, 정원준 김재헌.
고지혈증과 운동 임 백 빈.
제9장. 비만에서의 지방대사 이상 서론 다량 축적된 지방은 지방산화에 영향을 주어 탄수화물 대사와 인슐린 감수성에 영향을 준다. 에너지 부족시 중성지방은 분해되어 fatty cid+glycerol 로 방출된다. 지방의 합성과 분해는 호르몬에 의해 조절된다. 본장에서는 지방조직에서의.
목차 세포에서의 에너지 변환 에너지 대사 운동과 대사 에너지 기질 대사의 조절 에너지 평형 조절 Ⅰ Ⅱ Ⅲ Ⅳ Ⅴ.
α-Glucosidase Inhibitor
2 장 인체내부의 환경조절.
관절염 용인 세브란스병원 정형외과 과장 김형식.
5.우리의 식사 ① 균형 잡힌 식사하기.
퇴행성 신경질환.
심근경색 Myocardial Infarction
생 물 교 재 론 PRESENTATION 서울대학교 사범 대학 생물교육과 장지은.
제 6장 지질대사.
통계적 분석을 통한 Insulin의 정상참고치 설정
7. 자극과 반응 7-2. 신경계 2. 신경계의 구성.
내분비계 99mTcO4- 갑상선 검사[Thyroid scan] 부갑상선 검사 요오드전신 검사
Macromolecule analysis Ⅱ-① Lipid Extraction from tissues
Macromolecule analysis Ⅱ-① Lipid Extraction from tissues
♠ 비타민 비타민이란 ? * 지용성 비타민 : A,D,E,K * 수용성 비타민 : B군, C
전기진단검사 I.
생체전기 방사선과 2학년 김경대.
알칼리증(alkalosis)및 저혈당이 유산증(lactic acidosis)을 유발한 증례
내분비.
Loading 생명의 시작.
General Summary of DM, with Medications (part I, Summary)
Prof. Seewhy Lee Presents
병리학의 영역 박 주 완.
식품에 존재하는 물 결합수(bound water): 탄수화물이나 단백질과 같은 식품의 구성성분과 단단히 결합되어 자유로운 이동이 불가능한 형태 자유수(free water): 식품의 조직 안에 물리적으로 갇혀 있는 상태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형태.
호르몬의 조절 작용(1) 항상 일정하게! 신경계와 호르몬의 조절 작용 혈당량 조절 모의 실험.
1. 이 자료는 우리나라 사망원인의 상위를 차지하고
지식회고 소장전막 내분비기관 화학 조절 미량 체액
운동처방론 우송대학교 스포츠건강재활학부 김 명 화.
운동처방론 우송대학교 스포츠건강재활학부 김 명 화.
식물의 광합성 식물은 어떻게 영양분을 만들까요? 김 수 기.
과목명 : 과학 1학년 2학기 소화와 순환 > 영양소 [ 1 / 12 ] 영양소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당뇨병 (Diabetes Mellitus)
당뇨병에서의 C-peptide와 Insulin, Glucagon의 ratio 상관성
요독성 뇌병증(uremic encephalopathy)에 의한 발작후 저환기 (postictal hypoventilation)
인지활동을 병행한 운동훈련이 치매노인의 균형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골격계 전신 뼈 검사 뼈 삼상골 검사 뼈 단층 영상검사 [Whole body Bone scan]
영양소 섭취와 에너지 소비 -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제6주 살이 찌는 운동처방법 건강생활.
스트레스와 건강.
1 영양소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영양소 탄수화물 단백질.
운 동 과 고 혈 압 Exercise and Hypertension
내분비계 건강문제 - 학령기 아동의 조절장애 1 1.
당 뇨 병 의 이 해.
제6장 비만과 체중부족.
P 양분의 전환과 이용.
임상시험대상자 모집 공고 건강한 남성 자원자에서 rosuvastatin과 ezetimibe 각 약물의 단독투여 시와 rosuvastatin 및 ezetimibe 병용투여 시 약동학적 상호작용 및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임상시험   가천대 길병원 임상시험센터에서는 상기.
Osteochondral lesion of talus (OLT; 거골의 골연골 병변)
근로자의 건강증진 활동.
몸도 마음도 청 춘 윤 금 노 인 요 양 원.
고등학교 공통과학 수업을 위한 자료입니다. 프리젠테이션을 할 때는 큰 화면을 이용하세요!!!
Ⅱ. 운동의 효과 (The Effects of Exercise)
내분비샘과 호르몬.
Pharmacy, Inje University Paik Hospital
B올바른 약사용_복용법_노인환자.
Presentation transcript:

Exercise and Diabetes Mellitus 운 동 과 당 뇨 Exercise and Diabetes Mellitus 목 원 대 학 교 김 일 곤

당뇨의 개념 ㅇ 체내의 수분과 당이 체외로 빈번하게 배출 ㅇ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의 양의 부족 ㅇ 인슐린의 기능 부족 ㅇ 체내의 수분과 당이 체외로 빈번하게 배출 ㅇ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의 양의 부족 ㅇ 인슐린의 기능 부족 ㅇ 다뇨(polyuria), 다식(polyphagia), 다갈(polydipsia)

당뇨의 역사 1865년 췌장의 랑게르한스섬 세포에서 병변 보고 1889년 본 메링과 민커스키가 당뇨병과 췌장과의 관계 증명 1865년 췌장의 랑게르한스섬 세포에서 병변 보고 1889년 본 메링과 민커스키가 당뇨병과 췌장과의 관계 증명 13세기 고려 중엽 고종 때 향약구급방에서 ‘소갈’로 기록 우리 나라 당뇨의 유병률은 2-3%. 65세 이상에서 1/100명이 당뇨로 사망

Pancreas and secretions 1.  세포  Insulin 분비 2.  세포  Glucagon 분비 3. 소화효소 분비

Insulin의 기능 1. Glucose를 세포내로 유입 2. 세포내 Amino acid를 Protein으로 합성 3. Fat의 분해 억제

세포 내 인슐린 유입

Exercise and Insulin

당뇨의 원인 유 전 연령증가 : Insulin 합성이 감소하고 receptor의 퇴행성 변화로 유 전 연령증가 : Insulin 합성이 감소하고 receptor의 퇴행성 변화로 당대사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 성 별 : 25세 이후에는 여성의 경우 많이 발생 비 만 : Insulin 민감도를 감소 -> 세포내 당대사 저하 -> 인슐린 분비를 증가 -> 고인슐린혈증(hyperinsulinemia) 스트레스 : 스트레스는 당대사를 감소시키는 호르몬 분비 glucagon, ACTH, epinephrine, thyroxine, growth hormon 약 물 : 부신피질호르몬제, 고혈압치료제중 이뇨제

당뇨의 증상 병리적 증상 ㅇ 저혈당증 : 인슐린 쇼크 ㅇ 케톤산증 : 소변에 케톤체가 보임 ㅇ 췌장이나 내분비계 손상 ㅇ 고혈당증 ㅇ 저혈당증 : 인슐린 쇼크 ㅇ 케톤산증 : 소변에 케톤체가 보임 ㅇ 췌장이나 내분비계 손상

일반적 증상 혈당에 의한 증상 합병증에 의한 증상 · 소변을 자주본다. · 신경 : 발의 감각이상·신경통·성기능 감퇴 혈당에 의한 증상 합병증에 의한 증상 · 소변을 자주본다. · 신경 : 발의 감각이상·신경통·성기능 감퇴 · 물을 자주마신다. · 눈 : 뿌옇게 보임·시력장애 · 허기를 느낀다. · 피부 : 피부염이 잘 생김·가려움증 · 음식을 많이 먹는다. · 감염 : 여자의 경우 질염이 잘생김 · 체중이 준다. · 심혈관계 : 고혈압·동맥경화·협심증·중풍 · 쉽게 피곤하다. · 신장 : 부종 · 의욕이 감퇴된다.

당뇨의 분류 Type I. Insulin Dependent Diadetes Mellitus, IDDM 유년기(15-17세) 발병 당뇨병 환자의 5-10%에 해당 랑게르한스섬의 파괴로 인슐린 분비 기능 감소 · 상실 경구혈당제 및 인슐린 투여 필요

Type II. NonInsulin Dependent Diadetes Mellitus, NIDDM 대부분 40세 이후 발생하는 성인형 당뇨병 유전적인 영향이 있다. 비만, 과식, 운동부족, 스트레스 등이 원인 근, 지방조직, 말초조직에서 인슐린에 대한 감수성 둔화 로 당대사 장애 환자의 90%는 비만에서 옴.

지방과 인슐린 ☞ 복강내 지방 분해로 인슐린 수용체 친화력도 낮음. 지방과 인슐린 ☞ 복강내 지방 분해로 FFA(유리지방산)이 간으로 유입  당대사가 떨어짐  인슐린 저항으로 간 세포막의 인슐린 수용체 (receptor)와 인슐린의 결합이 억제  고인슐린혈증이 유발 ☞ 비만자의 세포는 인슐린 수용체 수가 적음. 인슐린 수용체 친화력도 낮음. 세포내 포도당 수송자 (glucose transporter) 의 수도 적음.

IDDM & NIDDM의 특징 I. 요 인 IDDM NIDDM 연 령 유년기, 청소년기 40세 이후 발병형태 급격히 발생 요 인 IDDM NIDDM 연 령 유년기, 청소년기 40세 이후 발병형태 급격히 발생 서서히 발생 유 전 높 음 매우 높음 체 중 정상, 저체중 과체중, 비만 증 상 다뇨, 다갈, 다식 뇨당, 고혈당 혈장 인슐린 0 -- 극소량 적절량, 과량

IDDM & NIDDM의 특징 II. 요인 IDDM NIDDM 혈당치 혈당 변동 크다. 인슐린 양에 좌우 케토시스 흔하다 드물다. 혈관합병증 드물다. 흔하다. 식사요법 불충분 가능 인슐린투여 필 요 20--30%만 필요 구강혈당강하제 적절하지 않음 효과적

그 밖의 당뇨 증상 이차성 당뇨병(Diabetes Secondary to Other Condition) 그 밖의 당뇨 증상 이차성 당뇨병(Diabetes Secondary to Other Condition) 내분비의 질환 다른 질환에 의하여 투여된 약물에 의하여 오는 당뇨병 인슐린 수용체의 이상이나 유전적 질환에 의한 당뇨 포함 영양실조형 당뇨병(Malnutrition-related Diabetes Mellitus) 영양실조로 췌장의 기능이 저하되어 오는 당뇨 15∼35세 사이에서 많이 옴. 단백질 섭취부족으로 표준체중의 90%이하일 경우 인슐린 투여 필요

손상된 당내성(Impaired glucose tolerance, IGT) 공복시 혈당치가 115∼140mmg/㎗ 당뇨병 환자중 15∼20% 65세 이상의 노인중 10∼30% 준임상적 당뇨병이라 부름. 임신성 당뇨병(Gestational Diabetes) 임신에 의하여 발생된 당뇨 모체의 말초조직에서 인슐린 저항이 생겨 발생

당뇨의 진단 뇨 검사 비중 : 정상치(1.008∼1.030)보다 더 높다. 비중 : 정상치(1.008∼1.030)보다 더 높다. 소변량 : 하루의 정상치(1.2∼2L)에 비하여 많다(3∼10L). 뇨 당 : 정상치(5∼10g)에 비하여 높다. 식후에 검사 뇨의 케톤체: 하루의 정상치(3∼15mg)에 비하여 많다.

경구내당성검사(Oral Glucose Tolerance Test, GTT) 혈당검사 식사 12시간 후에 검사 식사직 후 정상치 170mg/㎗ 정상인 혈당량 70∼100mg/㎗ 경구내당성검사(Oral Glucose Tolerance Test, GTT) 일정량의 포도당을 체내에 투여 후 신체적응능력을 검사 12시간 공복상태에서 혈당을 측정하고 포도당 투여 성인 75g, 어린이 1.75g/kg 투여 후 시간별로 검사

☞ 혈당에 의한 당뇨의 분류 초기 당뇨병 : 공복 시 140mg/㎗ 경증 당뇨병 : 공복 시 140∼300mg/㎗ ☞ 혈당에 의한 당뇨의 분류 초기 당뇨병 : 공복 시 140mg/㎗ 경증 당뇨병 : 공복 시 140∼300mg/㎗ 중증 당뇨병 : 공복 시 300mg/㎗ 이상

당뇨의 대사 당질대사 환 자 : 식사 후 180mg/㎗ 이상 정상인 : 식사 후 120∼130mg/㎗ 신세뇨관에서 포도당 재흡수 불능으로 당뇨 발생 소변으로 포도당을 상실할 때 물과 Na의 배설량은 증가

신장의 혈당 역치 정 상 : 혈당 100mg/㎗ 역치 160mg/㎗ 당뇨병 : 혈당 200mg/㎗ 역치 160mg/㎗

Insulin and Gulcose

1. 중성지방은 지단백(chylomicron)의 형태로 지방조직과 간으로 운반 지질대사 1. 중성지방은 지단백(chylomicron)의 형태로 지방조직과 간으로 운반 혈중 지단백 분해효소에 의하여 중성지방 유리 2. 간에서 합성된 지방조직은 VLDL 형태로 지방조직으로 운반되어 저장 혈중 지단백과 유리지방산의 농도 상승으로 고지혈증화 3. 간내에서 콜레스테롤 합성이 증가 혈중 콜레스테롤 상승으로 동맥경화 4. 당뇨의 경우 인슐린 부족으로 혈중 LDL의 활성저하 lipase 활성화 되어 혈중 유리지방산 증가 따라서 aceton과 ketosis가 증가 5. ketosis는 식욕감퇴, 메스꺼움, 피로, 호흡곤란과 혈액의 산성화를 가져와 신장기능 장애, 순환부전으로 당뇨성 혼수에 빠짐. 6. 식사 2시간후 120mg/㎗ 이하 7. 식사 3∼4시간후 70∼100mg/㎗ 이하

당뇨의 치료 I. 식이요법 II. 약물요법 III. 운동요법 경구용 혈당강하제 3대 영양소를 고루 섭취 적당한 열량 섭취 3대 영양소를 고루 섭취 적당한 열량 섭취 비타민과 무기질 섭취 II. 약물요법 경구용 혈당강하제 인슐린 주사요법 III. 운동요법

III. 운동요법 운동참여 전 I형 환자의 저혈당 방지를 위하여 고려해야 할 사항 · 운동 전 혈당 체크 · 운동 전 혈당 체크 · 운동 전 인슐린 투여를 감소, 탄수화물(30분 운동 시 10∼15g)을 증가 · 운동 중 활동하지 않는 복부와 같은 부위에 인슐린 주사 · 인슐린 활동이 최고에 달했을 경우에 운동을 피한다. · 운동 전, 중에 탄수화물이 많이 함유된 간식 복용 · 저녁 운동을 피하라 · 단시간 작용하는 인슐린의 주사부위 근육은 운동을 1시간 피하라

저혈당의 증상

운동 이후 혈당 감소 및 I형 당뇨의 개선 효과 ▶ 운동중 저혈당 증세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음 ▶ 운동전, 중, 후 일정량의 당을 투여 ▶ HRmax의 60% 이하 강도로 10분정도 실시 후 휴식을 갖고 재 실시 ☞ 1980년 이전에는 운동참여가 적었음. 비활동성 생활로 근력을 비롯한 모든 체력이 떨어져 오히려 다른 질병과 감염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경구용 혈당투여와 인슐린 주사요법과 같이 운동요법을 병행

운동 이후 혈당 감소 및 II 형 당뇨의 개선 효과 ▶ 인슐린 표적세포(receptor) 반응이 민감 ▶ 운동을 통한 근의 수축력 증가는 글루코스의 막 투과성 증가 ▶ 원형질 내 글루코스의 전달자 수의 증가 ▶ I형 환자의 관상동맥질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1. 운동 전 혈당치가 250mg/㎗ 이상이며 케톤체 발견 운동유형 1. 유산소성 운동으로 HRmax 6070% 이하 2. 걷기, 등산, 수영, 자전거타기, 달리기, 배드민턴 3. 트레이닝 원리에 근거한 16주 운동프로그램 운동 금기 사항 1. 운동 전 혈당치가 250mg/㎗ 이상이며 케톤체 발견 2. 운동 전 혈당치가 300mg/㎗ 이상 3. 몹시 갈증이 날 때 4. 강한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5. 너무 덥고, 추울 떄 장시간의 걸친 혈당의 상승 -> 세뇨관 이상과 신경질환 -> 말초순환의 손상과 무한증(발한기전의 부전) -> 그러므로 신발의 선택과 발 위생에 관심 6. 비만형 당뇨환자 : 정형외과적 위험을 극소화 때문에 웨이트 트레이닝을 삼가

NIDDM의 운동 중 잠재적 문제점

운동 중 저혈당 증세 ▶ 시야가 흐려질 때 ▶ 식은 땀이 나고 손이 떨릴 때 ▶ 몸에 힘이 쭉 빠질 때 운동 중 저혈당 증세 ▶ 정신이 멍해질 때 ▶ 시야가 흐려질 때 ▶ 식은 땀이 나고 손이 떨릴 때 ▶ 몸에 힘이 쭉 빠질 때 ☞ 운동 중단하고 휴식과 함께 당분 섭취

운동과 혈중인슐린

운동과 당뇨환자의 발생 1주당 운동시간과 NIDDM 발생 수 주당 운동 횟수와 신체 질량(근육)

Leisure physical activity and Diabe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