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3장 임상시험 관련 규정 및 윤리적 이슈 학습목표 1. 의학윤리와 관련된 공식적인 기구 또는 협약 설명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노인병 진료분야 현황 전남의대 박 종 춘. 노인병 진료분야 현황 내용 노인인구 노인병 실태 노인병 진료분야 노인복지시설 요양병원의 현황 노인의학 교육.
Advertisements

Personal improvement project Fall, 2015 Prof. Baekseo Seong.
영국, 미국, 한국의 줄기세포연 구에 관한 정책변동 비교분석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모 형의 적용.
KGCP 와 IRB 고대 구로병원 IRB 전문간사 종양내과 오상철. 연구자가 가지는 IRB 에 대한 오해 나보다 IRB 가 어떻게 protocol 을 더 잘 알 수 있나, 고로 나에게 수정하라고 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이 protocol 은 이미 이분야의 대가가 다.
제 8 장 이상반응 모니터링 학습목표 1. 이상반응과 관련된 용어 정의 2. 이상반응과 관련한 연구팀원의 역할 설명 3. 이상반응 발생시 신속히 보고 4. 이상반응과 시험약과의 인과관계 평가 기준 열거 5. 이상반응과 시험약과의 인과관계 제시 기준 열거.
Studies in Contemporary Global Issues (week3) Kim, Hyunjung
Hospital-Wide Solutions for point-of-care answers wherever, however, and whenever you need it.
인권과 개발의 통합 Integration of Human Rights into Development 경희사이버 목요 특강 2013 년 8 월 29 일 양영미
1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in Periosteal Apposition and Bone Loss during Aging Seeman E. N Engl J Med. 2003;349:320.
연구윤리와 연구노트 전 주 홍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임상관리 추진방향 식품의약품안전청 임상관리과 이 윤 제.
임상시험 육성 정책에 따른 관련 가이드라인 마련
ETHICAL ISSUES in the GLOBAL ARENA
목차 국가 R&D 기획ㆍ조정ㆍ평가 체계 국가 R&D 사업의 조사ㆍ분석 국가 R&D 예산 조정ㆍ배분 국가 R&D사업의 평가
고전에서 미래를 읽다(5) 영양괘각(羚羊掛角) 영양이 훌쩍 뛰어 나뭇가지에 뿔을 걸다
Background  In the Helsinki policemen Study Hyperinsulinemia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all-cause and CV mortality independent of other risk factors.
제1절 : 국제통상법의 개념.
노인병 진료분야 현황 전남의대 박 종 춘.
Journals & Conferences
신약의 시판허가와 생산 및 유통 홍 경 자.
한국중독정신의학회 중독치료지침서 개발위원회 보건복지부 알코올사업지원단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의정부성모병원 정신과 이해국
연구자 주도 임상시험의 이해와 관리 임상시험센터 CRC 백지선.
환경과 생활 김 병 철 LG
구도 – 1차목적 : 주제강조 ○ 3요소 : 선 · 형태 · 명암 ○ 구도 ▶ 가로,세로 프레임 ▶ 주제의 크기
국제관계론 제10강. 국제관계의 새로운 쟁점: 테러, 인권, 환경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사회의학연구소 의사 타무라 아키히코(田村昭彦)
FTA와 비즈니스 모델 옥우석 (인천대학교 무역학과)
CRC Beginner Course 10기 모집
의료기기 임상시험 연구자과정 -한국보건산업진흥원-
KOSA ‘2006 WEC’ 참 가 보 고 회 (화) (사)한국인재파견협회 HR비즈니스의 성공로드맵
A-7.벤치마킹(Benchmarking)
Clinical Research Associate (CRA)의 역할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공익인권법센터 국제인권법 강좌 이주민의 인권보호
연구 윤리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박문석.
REACH에 의한 안전보건관리 김정호 보건사무관 산업보건환경팀, 노동부
제 3장 우수 의약품제조관리기준 및 우수 의약품조제관리기준
신약 개발과 임상시험 Nov 27, 2002 Jaeyong Chung, M.D,. MRCPath
ICH-GCP, KGCP의 배경 및 기타 관련 규정
중앙대 명예교수 이경희 행복한 삶에 대한 이해 중앙대 명예교수 이경희 중앙대 이경희.
제약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임상시험 계약 체결 전략 사무팀 이선기. 제약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임상시험 계약 체결 전략 사무팀 이선기.
English Communication 1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과 표준화 작업 양용희 호서대 사회복지학과.
EU의 유럽공동체법과 회원국 산업재산권법과의 관계
Well-Being Lifestyle! Good Eating! Good Living !
임상시험 및 신약개발 과정 임상시험 관련자를 위한 기본교육 - CRA.
내부회계관리제도 성도회계법인 부대표 유재규.
이상반응 보고 및 안전성 모니터링 임상시험 관련자를 위한 기본교육 - CRA.
e-CASE (electronic-CRF system with Accuracy, Safety and Efficacy)
시험자(Investigator)의 역할
ISO SR 국제표준 어떤 것인가? (동향과 기업의 대응) 유한킴벌리 김종열.
INTRODUCTION TO WESTLAW NEXT V.1.0
TREC (Text Retrieval Conference) 소개
건강과 생활개념 Wellbeing: Well-being is most commonly used in philosophy to describe what is non-instrumentally or ultimately good for a person.
미국 화재폭발조사관(CFEI) 자격제도
의약품 사용량 억제정책에 대한 평가 -보험상환정책을 중심으로- 사공 진 (한양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BISCO International® 본 자료는 비서 및 사무 전문가들의 국제적인 협회인
국회의원 이 영 호 (해양(수산양식) 기술사/식품가공기사1급/ 수산제조기사1급/식품냉동기능사)
사회복지조사론 강의마무리 사회복지연구 다지선생 이정은.
의약품임상시험관련 정책동향 및 발전방안 식품의약품안전청.
구영모 Ph.D. CIP 울산의대 인문사회의학교실 고대구로병원 IRB #1
BMJ Best Practice - Your instant second opinion
Chapter 2 윤리와 가치에 대한 이해.
제 5장 국가경쟁력 1.국가경쟁력의 태동 2.국가경쟁력의 개념 3.국가경쟁력에 대한 찬반론 4.국가경쟁력의 정의
CRC Beginner Course 9기 모집
호손 실험 (Hawthorne Experiments)
제6강 임상진료지침과 진료계획표.
인권의 이해 세계인권선언을 중심으로 이 성 훈(국가인권위원회 정책본부장).
4.과학 기술과 생명 윤리 1.과학 기술과 생명 윤리 2.생명윤리적 이슈들:임상실험과 연구윤리.
SNUH_CTC 최정실, Oncology CRC
내 컴퓨터에 Lexicomp Online 바로가기 생성하기
Presentation transcript:

제 3장 임상시험 관련 규정 및 윤리적 이슈 학습목표 1. 의학윤리와 관련된 공식적인 기구 또는 협약 설명 제 3장 임상시험 관련 규정 및 윤리적 이슈 학습목표 1. 의학윤리와 관련된 공식적인 기구 또는 협약 설명 2. 임상시험에서 고려해야 할 윤리적인 사항 설명 3. 임상시험 수행 시 요구되는 임상시험관련 규정 준수

표. 3.1. 서양의 임상시험 관련규정의 발달 연구관련 윤리규정 관련 배경 연구관련 윤리규정  관련 배경 Presidents council on bioethics 2000 National bioethics advisory commission Advisory committee on human radiation experiments 1990 Gene transfer subject death Common rule CIOMS guidelines HHS/FDA human subject regulations 1980 Belmont report 1970 The Syphilis study(expose) Declaration of Helsinki Kefauver-harris Amendments 1960 The Beecher Article(NEJM) Milgram study The Thalidomide tradegy 1950 Nuremberg code 1940 Human radiation experiments(begin) The Nazi experiments 1930 The Syphilis study(begins)

뉘른베르그 강령Nuremberg Code 2차 세계대전시 나치 독일의 의사들에 의해 인체를 대상으로 자행된 생체실험에 대한 뉘른베르그 재판 이후 제기된 인체실험 시행의 적절한 기준에 관한 문제가 된 인체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 대한 윤리적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채택된 10개 조항

뉘른베르그 강령 내용(1) 인체실험 대상자의 자발적 동의는 절대적으로 필수적이다. 연구는 사회의 선을 위하여 다른 방법이나 수단으로는 얻을 수 없는 가치 있는 결과를 낼만한 것이어야 한다. 연구는 동물실험 결과와 질병의 자연경과 혹은 연구 중인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한 지식에 근거를 두고 계획되어야 한다.

뉘른베르그 강령 내용(2) 연구는 불필요한 모든 신체적, 정신적 고통과 상해를 피하도록 수행 되어야 한다. 사망이나 불구를 초래할 것이라고 예견할 만한 이유가 있는 실험의 경우에는 의료진 자신도 피험자로 참여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시행 되어서는 안 된다. 실험에서 무릅써야 할 위험의 정도가 그 실험으로 해결 될 수 있는 문제의 인도주의적 중요성보다 커서는 안 된다.

뉘른베르그 강령 내용(3) 손상과 장애, 사망 등 매우 적은 가능성까지를 대비해서 피험자를 보호 하기 위한 적절한 준비와 적합한 설비를 갖추어야 한다. 실험은 과학적으로 자격을 갖춘 사람만이 수행하여야 한다. 실험에 관련되어 있거나 직접 수행하는 사람은 실험의 모든 단계에 있어서 최고의 기술과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뉘른베르그 강령 내용(4) 실험을 하는 도중에 피험자는 자기가 육체적, 정신적 한계에 도달했기 때문에 더 이상 실험을 못하겠다는 생각이 들면 실험을 끝낼 자유를 가진다. 실험 과정에서, 실험을 주관하는 과학자는 자신에게 요청된 성실성, 우수한 기술과 주의 깊은 판단에 비추어, 실험을 계속하면 피험자에게 손상이나 불구, 또는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고 믿을 만한 이유가 있으면 어떤 단계에서든지 실험을 중단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헬싱키 선언 World Medical Association Declaration of Helsinki 표 3.2. 헬싱키 선언 제정 및 개정 연도 내용 -1964. 6 핀란드 헬싱키에서 개최된 제18회 WMA 총회에서 채택 -1975.10 일본 도쿄에서 개최된 제29회WMA 총회에서 개정 -1983.10  이태리 베니스에서 개최된 제35회 WMA 총회에서 개정 -1989. 9 홍콩에서 개최된 제 41회 WMA 총회에서 개정 -1996.10   남아프리카 공화국 소머셋 웨스트에서 개최된 제48회 WMA 총회에서 개정 -2000.10 스코틀랜드 애딘버러에서 개최된 제52회 WMA 총회에서 개정

헬싱키 선언 World Medical Association Declaration of Helsinki 최초의 국제적 연구윤리 강령으로서 뉘른베르그 강령은 아직도 유효하며 중요 한 역사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 총 32개항으로 이루어진 헬싱키 선언의 주요원칙은 14가지이며 채택 이후 의 학 연구자 및 생명과학연구자들은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전문 지침으로서 헬싱 키 선언을 준수하게 됨 특히 전문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하기 위해서는 헬싱키 선언의 원칙을 준수해야 하기 때문에 헬싱키 선언은 각 나라와 연구 기관에서 연구윤리 및 심의 지침을 만드는 주요 원칙 및 가이드라인으로 수용되고 있슴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armonisation of Technical Requirements for the Registration of Pharmaceutical for Human Use 1990 – ICH set up with government and pharmaceutical representiative from USA, EC and Japan Topic Quality, Safety, Efficacy, Multi-disiplinary, Regulatory

Definition - ICH An independent body( a review board or a committee, institutional, regional, national or supranation), constituted of medical/scientific professionals and non-medical/non-scientific members, whose responsibility it is to ensure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safety and well-being of human subject……

ICH GCP E6 – Guideline for Good Clinical Practice issued in May 1996 USA – published in Federal Register as guidelines Japan – produced new law to adopt this in April 1997 EU – adopted guideline in January 1997. Written into law in May 2001 as part of EU Clinical Trial Directive 2001/20/EC

ICH GCP Glossary of Items Principle of ICH Responsibilities of ethics committee/institutional review board (IEC/IRB) Responsibilities of the Investigator Responsibilities of the Sponsor Clinical Trial Protocol and Amendments Investigator Brochure Essential documents for the conduct of a clinical trial

KGCP 제정 및 개정 1983년 GCP 도입방안을 정책개발사업으로 추진 시작 1987년 12월 ‘의약품 임상시험관리기준’ 제정 공포 1995년 10월 1일 전면 시행(복지부고시 제1995-39호) 2000년 1월 4일 개정안 공고 (2001.1.1 시행) 국제기준(ICH)과의 조화로 피험자 인권보호 : 임상시험관련자의 임무를 명확히 구분 IRB 의 기능 강화 임상시험신뢰성 확보 안전성 관련정보 보고체계 정비

KGCP의 구성 및 내용 (1) 제 1장 총칙(4조) KGCP의 목적 및 KGCP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에 대한 정의, 기본원칙 및 KGCP의 적용범위에 대해 명시되어 있다. 제 2장 임상시험의 계약 및 시험기관(2조) 임상시험 수행에 필요한 적절한 설비 및 사무절차 등을 완벽히 갖추고, 의뢰자의 모니터링,점검 및 식품의약품 안전청의 실태조사에 응하며, 관련문서의 보관기간 (해당품목 허가일로부터 5년) 등에 대하여 명시하고 있다.

KGCP의 구성 및 내용 (2) 제 3장 임상시험심사위원회(3조) 임상시험심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는 계획서 또는 변경계획 서, 피험자로부터 서면동의를 얻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이나 제공되는 정보를 검 토하고 지속적으로 이를 확인함으로써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피험자의 권리·안전· 복지를 보호하기 위해 시험기관 내에 독립적으로 설치한 상설위원회를 말한다. 이 장에서는 심사위원회의 임무, 구성 및 기능, 운영방법에 대하여 명시하고 있다.

KGCP의 구성 및 내용 (3) 제 4장 시험자(13조) 시험자(Investigator)는 시험책임자, 시험담당자, 임상시험조정자를 말한다. 시험자는 임상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 적합한 자격요건을 갖추고 있어야 하며, 임상시험계획서 및 GCP를 숙지하고 이에 따라 윤리적이고 과학적으로 임상시험 을 수행하여야 한다. 제 4장에는 시험자의 자격요건과 피험자의 보호, IRB와의 의사소통, 안전성 관련 정보의 보고 등을 명시하고 있다.

KGCP의 구성 및 내용 (4) 제 5장 의뢰자(25조) 의뢰자가 임상시험 계획 및 수행 중 반드시 수행해야 할 책임 및 역할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Patient Protection Informed Consent Independent review of the protocol

Purpose of the Ethic Committee To ensure that the investigator complies with the protocol To demonstrate that the trial is necessary and that the risk benefit ratio is acceptable To review key trial documents to ensure that the subjects rights and well-being are protected

IEC/IRB Responsibilities Safeguard rights, safety and well-being of subjects Review and document view on trial documents Review investigator’s qualifications Review payments to ensure no coercion or undue influence Conduct continuing review at intervals appropriate to risk – at least once per year

IRB의 위원 구성 조항 1) 적어도 5인 이상, 1개 분야 이상의 전문가로 구성할 것. 2) 남녀 혼성으로 할 것, 3) 의․치․약계 전문가가 아닌 위원을 1인 이상 포함할 것, 4) 해당기관에 종사하지 않는 위원을 1인 이상 포함할 것, 5) 심사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위원 외에 자문위원을 활용할 것 등을 규정하고 있다.

IRB가 승인 검토 시 고려해야 할 사항 1) 피험자의 위험을 최소화하고 있는가 2) 피험자가 노출되는 위험성의 정도가 기대되는 이익의 정도에 비추어 합리적인가 3) 피험자 선정이 공정 한가 4) 동의의 주체가 피험자인가 법정대리인 인가 5) 피험자의 동의를 올바른 방식으로 얻는 가 6) 안전을 보장하는 모니터링 장치가 적절 한가 7) 프라이버시 보호의 장치가 적절 한가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목 적 급격히 발전하고 있는 생명과학기술에 있어서의 생명윤리 및 안전을 확보하여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보장하고, 국민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생명 과학기술을 질병치료 및 예방 등을 위하여 개발, 이용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려는 것이다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국내) 부록 Ⅴ-1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시행규칙 부록 Ⅴ-2.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부록 Ⅴ-3.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시행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