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거시 경제학의 연구과제와 연구방법.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Energy Demand and Supply Outlook 2040 APERC. Business as Usual Scenario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총 에너지 수요는 2040 년까지 50% 증가할 것으로 예상 에너지 수요의 증가는 수송부문의 수요 증가에 기인. 수송용.
Advertisements

7 장 게임이론 제 1 절 소개 스포츠 게임, 온라인 게임, 두뇌 게임 전략적 상호의존성이 있는 경제 주체들이 상호작용하는 상황 게임에 참여하는 각 경제주체의 보수 ( 후생, 효용, 이윤 등 ) 는 그 자신의 행동뿐만 아니라 다른 주체의 행동에 의해서 결정. 또한 한 경제.
© 김경환, 김종석 제 31 장 총수요와 총공급. © 김경환, 김종석 경기변동의 세 가지 중요한 특징  경기변동은 불규칙적이고 예측하기 어렵다. -불경기와 호경기가 반복되지만, 그 지속기간에는 일정한 패턴이 없다.  대부분의 거시경제변수들은 함께 움직인다. -소득,
4D기술로 인한 책의 인터페이스 변화 : 디지로그북
제6장 가치평가.
제 10 장 전자화폐와 통화신용정책.
15 기술진보와 경제성장.
Ⅴ. 시장형태와 산업조직 완전경쟁시장 독점시장 독점적 경쟁시장 과점시장.
11 거시경제의 단기균형: 개방경제.
최현진 정경대학 정치외교학과 국제정치론 2014 가을학기 제1주(2) 최현진 정경대학 정치외교학과
생산비용.
1.화폐수요의 정의 2.화폐수량설 3.유동성선호설 4.신화폐수량설
제6장 상품 및 화폐시장 제1절 : 상품시장과 IS곡선 제2절 : 화폐시장과 LM곡선 제3절 : IS-LM곡선과 정책효과
제 18 장 생산요소시장 1.
10장 거시경제학의 개관.
거시경제학 강의 1 거시경제학에의 초대.
인플레이션, 총수요, 총공급 CHAPTER 28.
금융정책과 재정정책이 총수요에 미치는 효과.
개방경제의 거시경제 이론 © 2007 Thomson South-Western.
3 시장청산과 총공급곡선.
거시경제정책의 이론과 실제 CHAPTER 29.
국제금융론 무역학과 교수 한복연.
제 10 장 의사결정이란 의사결정은 선택이다.
재무회계의 개념체계 재무회계의 목적 회계의 기본가정 회계정보의 질적 특성 재무제표의 구성요소 회계원칙(회계기준) 제약조건
생산요소시장.
제 18 장 화폐공급과 화폐수요.
소비자, 생산자, 시장의 효율성 © 2007 Thomson South-Western.
12 안정화 정책.
제7장 생산량과 생산비 7-1 생산비용 7-3 단기비용함수 7-4 장기비용함수 7-5 결합생산물의 수입극대화조건
응용 : 조세의 경제적 비용 © 2007 Thomson South-Western.
환율에 대하여 예비 9기 조영완.
디플레이션의 정의 ☞ 물가수준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 종 류 ① 좋은 영향을 미치는 디플레이션
제 7 장 거시경제의 단기균형: 폐쇄경제.
6 거시경제의 장기균형:폐쇄경제.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제19장 솔로우 모형 제1절: 인구가 일정하고 기술진보가 없는 경우 제2절: 인구가 증가하는 경우
제20장 내생적 성장이론 제1절: 자본스톡의 재해석 제2절: 기술진보의 내생화 제3절: 맺음말.
제10장 단기총공급이론 제1절 케인즈학파의 단기총공급이론 제2절 합리적 기대론자들의 단기총공급 이론 제3절 장기총공급곡선
학과 : 국제개발 협력 대학원 과목명 : 국제 경영학과 담당 교수 : 백종희 학번 : 성명 : 샤르마 샤르원 발표 일 : 제 2 장 경제학 연구의 방법 경제학 들어가기
3조 경영학과 김대혁 경영학과 김종섭 경영학과 이진범 경영학과 신영재 중어학과 한송이
개방경제의 거시경제 이론.
제16장 투자 제1절 토빈의 q이론 제2절 옵션이론 제3절 건축투자 제4절 재고투자 제5절 맺음말.
제 17 장 재정정책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경 제 학 원 론 경제학원론 제9장 거시경제학 개관.
4 가격 경직성과 총공급곡선.
7.1 경기변동의 후생비용.
경제학원론 제 3 장 탄력성의 개념과 경제적의의 1.
제 33 장 총수요와 총공급.
3 시장청산과 총공급곡선.
제11장 실물경기변동이론 제1절 경기변동의 정형화된 사실 제2절 시장균형모형 제3절 기술충격과 실물경기변동이론 제4절 평가
무차별곡선의 도출 무차별곡선의 도출 학 과: 경제학과 학 번: 이 름: 양아란 학 과 : 경제학과
김정숙 (고려대학교 2014년) 국어국문학과 한국어학 석사 1기 이 드미뜨리
제 3 장 공급과 수요 (Supply and Demand)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자본주의란 무엇인가? 정치경제학이란 무엇인가?
6 거시경제의 장기균형:폐쇄경제.
1. 노동시장의 개념 “노동시장(labor market)이란 노동공급과 수요가 상호작용하여 임금과 고용이 결정되는 메커니즘”
제8장 개방거시경제이론 제1절 주요개념 제2절 먼델-플레밍 모형 제3절 고정환율제도와 소규모 개방경제
제 4 장 가격 경직성과 총공급곡선.
12. 디저트로 만나는 미국 경제학자들 10조 황정환 신현목 주성진
4 가격 경직성과 총공급곡선.
부분균형과 무역.
제 11 장 독점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총수요와 총공급.
경제학자처럼 생각하기.
팀명 : 도~마ㄹ미 작품명 : 도~마 도 팀원 : 정형수, 박인권, 유 빈
제 2 장 경제모형: 상충관계와 무역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9 총수요곡선: 개방경제.
경제학자처럼 생각하기.
중국 중산층 장기 해외여행자 증가 이유 언어정보학과 김예원.
CHAPTER 8 완전경쟁과 공급곡선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Presentation transcript:

2 거시 경제학의 연구과제와 연구방법

Chapter2 에서 다룰 내용은…. 거시경제학의 연구과제와 연구방법, 그리고 거시경제학의 두 학파에 대해 알아보자. 거시경제학의 연구방법 거시경제학의 학파들 제 2 장 거시 경제학의 연구과제와 연구방법 MACRO ECONOMICS

거시경제학의 연구과제 제 2 장 거시 경제학의 연구과제와 연구방법 MACRO ECONOMICS 거시경제학의 연구과제는 크게 경제성장과 경기변동이라고 할 수 있다. 경제성장이론(economic growth theory)에서는 장기적인 추세에 따른 GDP의 변화를 다루고 경기변동이론(business cycle theory)에서는 단기의 대내외적 충격에 따른 GDP의 변동에 대해 다룬다. 거시경제의 목표는 크게 완전고용, 물가안정 및 대외균형(external balance)이라 할 수 있다. 거시경제정책은 경제성장과 경기변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며 따라서 거시경제학의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이다. 제 2 장 거시 경제학의 연구과제와 연구방법 MACRO ECONOMICS

거시경제학의 연구방법 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이용해 관심 있는 거시경제의 변수나 현상을 설명하거나 미래를 예측한다. 거시경제의 모형의 구성 경제주체 내생변수와 외생변수 유량(flow)변수와 저량(stock)변수 가격의 경직성과 유연성 불확실성과 기대의 형성 시장의 형태와 균형 제 2 장 거시 경제학의 연구과제와 연구방법 MACRO ECONOMICS

거시경제학의 학파들 고전학파 케인즈 학파 통화주의 새케인즈 학파 새고전학파 실물경기변동이론 신고전학파 종합 새케인즈 학파 새고전학파 실물경기변동이론 공급중시 경제학 제 2 장 거시 경제학의 연구과제와 연구방법 MACRO ECONOMICS

거시경제의 학파들 (고전학파) 고전학파 vs 케인즈 학파 고전학파(Classical School) : 아담 스미스(Adam Smith)의 ‘국부론’ 자유시장경제와 임금과 가격의 신축성 + 개인의 사익추구를 가정 완전한 예측(perfect foresight) – 불확실성에 대한 이론이 미비 시장청산(market clearing): 완전고용이 항상 달성됨 공급측면 중시 – 경기변동의 원인으로 공급충격을 중시 정부의 최선의 정책은 (시장개입이 아닌) 자유방임 화폐(총수요의 일부)의 중립성 - 화폐수요이론: 화폐수량설 제 2 장 거시 경제학의 연구과제와 연구방법 MACRO ECONOMICS

거시경제의 학파들 (케인즈 학파) 제 2 장 거시 경제학의 연구과제와 연구방법 MACRO ECONOMICS 케인즈 학파(Keynesian School) : 대공황 시 케인즈의 ‘일반이론’ 고전학파 이론이 대공황을 설명하지 못하여 등장 시장에 여러 가지 마찰요인이 존재 – 시장청산이 일어나지 못함, 시장균형의 불안정성을 강조 - 대표적으로 단기에 임금과 가격의 경직성 - 실업이 존재 기대(expectations)의 중요성을 강조 – 불확실성 연구의 전기 – 동물적 영감(animal spirit), 화폐환상의 가능성 (임금과 가격의 경직성에 따라) 수량조정이 시장균형의 기제로 작용 – 케인즈의 교차점모형(Keynesian cross) - 다중균형과 조정의 실패(coordination failure) 정부지출을 통한 시장개입을 강조 - 수요측면 중시 - 경기변동의 원인으로 수요충격 중시 (시장의 마찰요인에 따른) 화폐의 비중립성 - 화폐수요이론: 유동성선호설 - 통화정책의 상대적인 비효율성이 강조됨: 유동성함정 제 2 장 거시 경제학의 연구과제와 연구방법 MACRO ECONOMICS

거시경제의 학파들 (신고전학파의 종합) 제 2 장 거시 경제학의 연구과제와 연구방법 MACRO ECONOMICS 신고전학파의 종합(neoclassical synthesis): 케인즈 학파에 대한 동조자와 비판자들 사이의 의견 일치 거시경제이론을 재화시장, 화폐시장, 노동시장 및 채권시장의 4개시장에서의 일반균형이론으로 나타냄 고전학파와 케인즈 학파의 이론을 통합된 이론으로 설명하고자 함 케인즈 학파 모형을 일반균형이론의 특수한 경우로 설명 제 2 장 거시 경제학의 연구과제와 연구방법 MACRO ECONOMICS

거시경제의 학파들 (통화주의) 제 2 장 거시 경제학의 연구과제와 연구방법 MACRO ECONOMICS 통화주의(monetarism) : 화폐공급의 중요성을 강조 1960년대 후반 이후 정책의 효과에 대한 의구심이 발생(인플레이션 유발, 국제수지 불균형 등) 1970년대 월남전 , 유가파동 후의 스테그플레이션의 설명에 유효 고전학파 화폐수요이론인 화폐수량설에 대한 프리드먼(M. Friedman)의 재해석(신화폐수량설)에 바탕을 둠: 화폐시장의 중요성을 강조 명목소득의 결정요인으로서의 통화량의 역할을 강조 통화정책은 이자율보다 통화량을 통해 시행 통화증가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정책을 선호 필립스 곡선에 대한 회의: 가속론자의 가설 – Friedman(1968) 제 2 장 거시 경제학의 연구과제와 연구방법 MACRO ECONOMICS

거시경제의 학파들 (새고전 학파) 제 2 장 거시 경제학의 연구과제와 연구방법 MACRO ECONOMICS 새고전학파(New classical School) : 합리적 기대를 고전학파 이론의 전개에 이용함(루카스 혁명) John Muth (1961), Robert E. Lucas, Jr. (1971, 1972) 합리적 기대(rational expectations) : 경제주체들이 자기에게 주어진 모든 정보를 이용해 미래에 대한 기대를 형성 - 정보: 이용 가능한 모든 데이터, 나아가 시장의 구조와 정부의 정책 등과 같은 모형의 구조도 포함 - 체계적인 오류(systematic error)를 범하지 않음(기대오차를 정보가 더 이상 설명할 수 없어야 함) 새고전학파는 합리적 기대와 함께 시장청산을 가정 새고전학파의 경기변동이론 - 루카스의 섬모형(Lucas island model) - 또는 오인모형(misperception model) - 정보의 불완전성을 가정 제 2 장 거시 경제학의 연구과제와 연구방법 MACRO ECONOMICS

거시경제의 학파들 (새고전학파) - 합리적 기대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 아님(시장청산+합리적 기대) 불완전 정보(incomplete information) 불완전 정보 : 각각의 시장참여자가 자기가 참여하는 시장의 정보는 가지고 있으나 다른 시장에서 발생한 사건에 대한 정보는 갖지 못함을 가정 - 추론(inference)의 필요성 등장: 시그널 추출이론의 활용 - 실물충격과 화폐충격의 변동성의 상대적 크기가 중요 시장청산의 경우에도 화폐(수요)충격에 따른 경기변동과 실업을 설명할 수 있게 됨 고전학파와 같이 정부의 개입을 비판하고 자유방임을 주장 - 화폐충격의 변동성이 실물충격의 변동성보다 클 경우에 정책효과 - 통화정책이 시장의 교란요인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문제 정책의 무력성정리 경제주체들이 총수요관리정책을 예상한(알고 있는) 경우 그들의 의사결정에 미리 반영하기 때문에 정책은 아무런 효과가 없음 - 합리적 기대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 아님(시장청산+합리적 기대) 제 2 장 거시 경제학의 연구과제와 연구방법 MACRO ECONOMICS

거시경제의 학파들 (공급중시 경제학) 제 2 장 거시 경제학의 연구과제와 연구방법 MACRO ECONOMICS 공급중시 경제학(supply side economics) : 공급능력을 변화시켜 완전고용수준의 산출량을 증대시키는 것을 중시 공급능력을 증대시키는 정책 주장- 조세감면을 정책제안의 핵심으로 삼았다.(Reagonomics) 미국의 세율이 높아 소득세율을 낮추면 오히려 조세수입이 증가한다고 주장 래퍼 곡선(Laffer curve) C 점의 위치에 있으므로 세율을 낮춰 B점에서 조세수입을 극대화 하고자 함 하지만, 당시 미국은 C점이 아닌 A점에 있던 상황으로 세율을 오히려 높여야 하는 상황이었다. 제 2 장 거시 경제학의 연구과제와 연구방법 MACRO ECONOMICS

거시경제의 학파들 (실물경기변동이론) 제 2 장 거시 경제학의 연구과제와 연구방법 MACRO ECONOMICS 실물경기변동이론(Real Business Cycle Theory): : 고전학파 경제학의 또 다른 전개형태 : 키들랜드(Finn E. Kydland)와 프레스캇 (Edward C. Prescott) 등이 주창 실물경기변동이론의 특성 동태적으로 효용을 극대화하는 대표적 경제주체를 가정 경기변동을 일으키는 최초 충격(impulse)이 생산요소의 생산성에 주어지는 충격에 의한다고 가정 (현재는 여러 가지 수요충격과 경직성 또한 도입되어 있음) 저축과 자본축적이 매우 중요하며, 자본축적은 현재의 충격의 효과가 미래로 전파되는 가장 중요한 경로 (전파경로, propagation mechanism) 모형의 검증: 모형으로부터 도출된 데이터와 실제 경제의 데이터를 직접 비교하는 방법을 따름 실물경기변동이론은 거시경제학의 중요한 패러다임 가운데 하나로 자리함. 제 2 장 거시 경제학의 연구과제와 연구방법 MACRO ECONOMICS

거시경제의 학파들 (새케인즈 학파) 제 2 장 거시 경제학의 연구과제와 연구방법 MACRO ECONOMICS 새케인즈학파(New Keynesian School) : - 합리적 기대 가설을 케인즈 학파 모형에 도입 - 시장의 마찰요인에 대한 미시적 기초(micro foundation)를 확립 시장의 마찰요인(임금 및 가격 경직성)의 미시경제적 기초에 관한 연구 메뉴비용 : 가격 조정에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경직성이 나타남 명시적 또는 암묵적 임금계약 독점적 경쟁 (불완전경쟁) – 가격설정자의 존재 효율임금 이론: 임금이 상승할 때 노동자들의 생산성이 증가하므로 고용자는 임금을 시장청산 수준 보다 높게 유지할 유인이 생김 조정의 실패 : 다중균형과 열등한 균형의 달성(죄수의 딜레마와 같은 상황) 임금이나 가격 설정 시 기업들이 경쟁기업에 대한 기대에 따라 두 기업 모두 손해를 보는 결과가 초래 정보의 불완전성에 따른 신용할당(credit rationing) 제 2 장 거시 경제학의 연구과제와 연구방법 MACRO ECONOMICS

경제성장 이론의 전개 (헤롯-도마 모형) 람지(F. Ramsey)의 경제성장 모형 헤롯-도마 모형 현대적인 최적경제성장모형의 효시 가계의 기간간 최적화문제로부터 저축을 위한 최적화 조건을 처음 도출 시간분리형 효용함수(time separable preference) 를 처음 이용 헤롯-도마 모형 경제성장모형에 케인즈적인 요소를 이용한 모형: - 투자의 두 가지 효과: 생산능력의 증대 + 수요의 증대 레온티에프 생산함수를 가정함 - 생산요소의 대체가 불가능 불안정한 균형: - 칼날 성장경로(razor’s edge)가 나타남 제 2 장 거시 경제학의 연구과제와 연구방법 MACRO ECONOMICS

경제성장 이론의 전개 (솔로-스완 모형) 솔로-스완(Solow-Swan) 모형 솔로-스완 모형의 문제점 순전히 공급측면에 기초한 모형: 생산함수가 규모에 대한 수익불변 각각의 생산요소에 대해 수확체감하며, 대체의 가능성을 가정 일정한 저축률, 저축과 투자가 동일하다는 조건을 통해 자본축적의 관계식 도출 조건부 수렴 : 경제환경이 비슷한 나라들에서는 1인당 국민 소득이 장기적으로 수렴한다. 솔로-스완 모형의 문제점 생산기술의 진보가 없으면 1인당 소득의 성장이 멈춘다. - 수확체감 하는 생산함수의 가정 때문 - 경제성장은 모형 밖에서 외생적으로 주어지는 기술진보에 기인한다. 1인당 자본이 과다 축적되는 정상상태균형을 배제할 수 없다. - 정상상태의 효용이 극대화되지 않는 균형이 존재할 가능성 - 동태적 비효율성 (저축률이 외생적으로 주어져있기 때문) 제 2 장 거시 경제학의 연구과제와 연구방법 MACRO ECONOMICS

경제성장 이론의 전개 (최적성장모형) 최적성장(optimal growth theory) 모형 캐스(David Cass)와 쿠프만스(Tjalling C. Koopmans)에 의해 전개됨 효용과 이윤을 극대화하는 경제주체를 도입(저축률이 내생적으로 결정됨) 솔로-스완 모형에서 나타나는 자본의 과다축적문제는 일어나지 않음 장기의 경제성장이 공급부문에 의하여 결정되기 때문에 솔로-스완 모형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경제적 함의. 최적성장모형의 문제점 - 솔로-스완 모형에서와 한 가지 같은 문제를 안고 있음 : 경제성장은 모형 밖에서 외생적으로 주어지는 기술진보에 기인 제 2 장 거시 경제학의 연구과제와 연구방법 MACRO ECONOMICS

경제성장 이론의 전개 (내생적 성장모형) 내생적 성장이론 Paul Romer (1986), Rober E. Lucas, Jr. (1988)이 주창 축적이 가능한 생산요소에 대해 수확체감하지 않는 생산함수를 가정 요소의 축적이 계속되어 경제성장이 지속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수확 체감 하지 않는 생산함수의 요인 지식의 외부효과(externality) 인적 자본(human capital) 학습효과(learning by doing) 연구와 개발(R&D) 창조적 파괴 개방화 새로운 제품의 개발 기존의 상품의 품질 개선 등 제 2 장 거시 경제학의 연구과제와 연구방법 MACRO ECONOMICS

경제성장 이론의 전개 (불확실성하에서의 성장) 불확실성 하에서의 최적성장 Brock and Mirman (1972) 모형에 생산요소의 생산성이 확률적으로 변동하는 형태로 불확실성을 도입 실물경기변동이론의 기초가 되었으며 지금은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음 제 2 장 거시 경제학의 연구과제와 연구방법 MACRO ECONOMICS

2006년 시행 행정고등고시 거시경제현상을 보는 시각은 고전학파와 케인즈학파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IS-LM 분석틀은 특정적(ad-hoc)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최근의 새고전학파와 새케인즈학파는 이러한 비판을 극복하는 새로운 연구방법으로 미시적 기초를 둔 일반균형적 접근방법(AD-AS 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틀을 염두에 두고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총 40점) 거시경제를 분석하는 모형설정에 있어서 고전학파와 케인즈학파의 기본가정 의 차이를 설명하시오. (10점) 2) 확대재정정책이 소득, 물가, 이자율, 고용에 미치는 효과를 IS-LM 모형과 일반 균형모형으로 분석하고 양자의 차이를 비교 설명하시오. (20점) 3) 최근 한국경제에서 증세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만약 정부가 소득세 누진율을 상승시키기로 했다면 어떠한 경제적 효과를 예상할 수 있겠 는가? 케인즈학파와 공급중시 경제학파 간의 견해 차이를 비교 설명하시오. (10점) 제 7 장 거시경제의 단기균형: 폐쇄경제 MACRO ECONOMICS

제 2 장 거시 경제학의 연구과제와 연구방법 MACRO ECONOMICS

제 2 장 거시 경제학의 연구과제와 연구방법 MACRO ECONOMICS

제 2 장 거시 경제학의 연구과제와 연구방법 MACRO ECONOM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