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장 출혈성 경향과 질환 1. 혈관기능장애에 의한 출혈성 질환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사회적기업 프로잭트 사회적기업 프로잭트 ( 일하는 기쁨과 함께 나누는 행복한 기업 ) 2008 년 10 월 ( 사단법인 ) 사회적기업 청람 Co. social enterprise cheong ram 영광종합병원 · 공립영광노인전문요양병원 의료법인 호연재단.
Advertisements

16. 혈액응고 * 혈액응고란 -- 혈장내의 응고인자 ( 비활성형 ) 가 효소적으로 활성화 되어 fibrinogen 을 fibrin 으로 바꾸는 현상 * 응고인자의 분류 ① contact proteins ② prothrombin proteins ③ fibrinogen(thrombin.
지혈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 (Drugs that affect hemostasis) 지혈 (hemostasis) 은 조직 손상시 자발적으로 일어나 는 과정으로 혈소판응집, 혈액응고, 섬유소용해라는 단계적 반응으로 이루어 진다. 이러한 반응들은 세포표면 및 혈액의 액체상 (fluid.
1월 월간업무보고 경 리 부.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3. 첨단 과학과 질병 치료 3. 생명을 위협하는 암.
Von Willebrand disease
혈우병 발표자 : 조은아.
B형 간염의 혈청학적 진단 안산자생한방병원 진단검사실 우성혜, 최정아.
ACL 9000 소개 혈액학계 권미정.
M.G. Macey et al., Cytometry, 1999
14. 거대핵세포계 및 혈소판 I. 거대핵세포계의 성숙 1. 거대핵모세포(megakaryoblast)
Knee & Spine Hospital, Seoul
뇌졸중 (stroke)의 영상적 접근 건국대 충주병원 방사선과 최영칠.
혈우병 및 기타 소아 혈액 응고장애.
제 16 장 혈액응고인자.
뇌신경계 뇌혈류검사[Brain Perfusion SPECT]
뇌졸중 대상자 관리.
퇴행성 신경질환.
심장의 위치와 일반적 구조 심장 : 인체의 혈관을 통해 지속적으로 혈액을 순환시 키는 운반계 펌프 역할.
I. 백혈구 증가증(Leukocytosis)
심근경색 Myocardial Infarction
Blood Coagulation Tests
14. 거대핵세포계 및 혈소판 I. 거대핵세포계의 성숙 1. 거대핵모세포(megakaryoblast)
제 16 장 혈액응고.
Blood Coagulation Tests
피부의 구조 및 기능 피부는 표층으로부터 표피(epidermis), 진피(dermis), 피부밑조직subcutaneous tissue) 피부부속기로는 털, 기름샘, 땀샘 등이 있다. 발생학적으로 피부는 외배엽과 중간엽에서 유래한다. 표피는 중층편평상피이고, 표층으로부터.
M4 ; Acute myelomonocytic
13. 조혈기 I. 골수(Bone marrow) 정의: 혈구의 생성이 이루어지는 장기
M10 통풍(Gout).
Chapter 20. 적혈구계 질환.
혈액학계 양 미숙 * 본과이외의 자료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S항원(HBsAg) - B형 간염바이러스 표면항원(hepatitis B surface antigen) - 양성: 급성 간염, 만성 간염, 간경변증 등의 간장질환 급성 B형 간염 감염시 가장 먼저 양성반응 표지자 감염 2~3개월 후 검출 가능 6개월 이상 양성 반응을 보이면.
08. 선천성 및 유소아 질환 1. 선천성 유전질환 1) 유전학적으로 본 병인의 분류
세브란스 병원에서의 최근 3년간 성분채집술의 경향( )
증 례 56세 남자환자 내원 6개월전에 골수 이형성 증후군 (Myelodysplastic syndrome)진단후 항암화학치료 받았으나 급성 골수구성 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으로 진행하여 입원.
질병분류(KCD) 사용지침 전신을 침해하는 질환군 (2개 항으로 분류) 전신병적 질환군 (2개 항으로 분류)
♠ 비타민 비타민이란 ? * 지용성 비타민 : A,D,E,K * 수용성 비타민 : B군, C
절주프로그램 1조 ⓒ 간호와 건강증진.
ECG (ElectroCardioGram)
전기진단검사 I.
수혈 부작용 응급검사실 신선옥.
6. 안면장애   1) 개념 : 안면부의 추상. 함몰. 비후 등의 변형 또는 기형과 면상반흔, 색소침착, 모발결손, 조직의 비후나 함몰 등으로 사회생활에 상당한 제한을 받는 사람. 2) 원인 : 화상. 사고. 화학약품. 질환. 산업재해. 선천성기형등. 3) 특징 : 대표적인.
병리학의 영역 박 주 완.
면역 장애 1 1.
-여러나라의 숫자와 수에 대해- 제주북초등학교 영재반 5학년 안희주
3조 : 손우리, 송문주, 신예림 안윤하, 양미진, 양진영 원데레사, 윤소연, 이경화, 이미선
복잡성 염색체 이상을 보인 아세포발증의 만성골수성백혈병 에서 STI571(Gleevec) 치료에 따른 혈액학적 검사소견   김영철, 전현배, 이영경, 박지영, 이경화, 조현찬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임상병리학교실 배경 Table 1. CBC profile of case.
혈액 생리 Chapter 4 발표 일자 10 / 10 / 05 과목 인체 생리학 교수명 노효련 교수님 학과 작업치료학과
03. 염증 1. 염증의 정의 2. 급성염증 염증 유발성 자극에 의해 발생한 손상에 대한 생체의 반응(혈관성 방어 반응)
요독성 뇌병증(uremic encephalopathy)에 의한 발작후 저환기 (postictal hypoventilation)
치과와 미생물.
마음이 아프세요? 무엇이 왜 우리 마음을 아프고 병들게 할까요?.
제 6장 세포주기 세포분열과 세포예정사 사이의 균형 세포 주기 세포주기의 조절 세포예정사 암 – 세포주기의 이상.
03. 염증 1. 염증의 정의 2. 급성염증 염증 유발성 자극에 의해 발생한 손상에 대한 생체의 반응(혈관성 방어 반응)
17. 응고억제 * 정의– 혈장내에서 응고인자의 활성을 억제시키는 인자
Automatic nerve system
운 동 과 고 혈 압 Exercise and Hypertension
15. 지 혈 * 지혈이란? - 출혈로 인한 혈액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혈관을 막는 것 인위적인 지혈(동맥, 큰 혈관)
제6장 비만과 체중부족.
폐암 이란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김 세 규.
Lecture 5 Platelet Production , Structure and Function Keohane EM et al. Rodak Hematology 5th Ed, 2016 Elaine M. Keohane, PhD, MLS(ASCP),SH
Osteochondral lesion of talus (OLT; 거골의 골연골 병변)
생물막 (Biofilm).
05. 순환장애 1. 체액의 순환장애 1) 부종(Edema) * 정의: 세포사이 혹은 체강에 체액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상태
Lecture 14: Laboratory Evaluation of Hemostasis(Coagulation)
Lecture 13 Hemostasis and Coagulation Keohane EM et al, 2016, Chapter 37 Elaine M. Keohane, PhD, MLS(ASCP),SH Rutgers-The.
전문운동처방연구소 웰 – 빙 Special Exercise Prescription Research Institute 봉 순 녕
피 그것이 알고 싶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 검사과정
Presentation transcript:

22장 출혈성 경향과 질환 1. 혈관기능장애에 의한 출혈성 질환 22장 출혈성 경향과 질환 * 출혈성 소인의 특징-- 1) 미미한 원인에 의한 출혈 2) 멍이 잘 들고 3) 자반이 잘 생기고 4) 지혈이 안 되는 것 * 분류: 1) 혈관장애성 -- 자색반병-- 점상출혈반점 2) 혈소판장애성 -- 자색반병-- 점상출혈반점 3) 응고장애성 -- 출혈-- 근육 내 출혈 4) 섬유소원(섬유소) 용해 장애 1. 혈관기능장애에 의한 출혈성 질환 증상: 혈관성 자색반병 검사소견: 모세혈관 저항시험(+), BT(연장), PT(정상), aPTT(정상) 1) 혈관벽 이상에 의한 자반병 특징: 모세혈관의 저항성(弱),

원인 및 분포: ① 단순성-- 젊은 여성(생리때 심함) ② 혈관주위 조직의 위축과 모세혈관 내피세포의 감소-- 노인성 ③ 괴혈병 ④ ACTH 장기투여자 ⑤ Cushing syndrome(비타민 C 결핍)-- 혈관 기저막이나 아교섬유에 hydroxyproline 유입장애 ⑥ 중배엽성 조직의 발육부전 ⑦ 혈관 및 주위 결합조직의 거침-- Ehlers-Danlos syndrom, Marfan syndrom ⑧ 유전성 출혈성 혈관 확장증-- Osler disease <참고> Marfan syndrom-- 결체조직 질환 - 골격계 침범, 상하지가 가늘고 길다. 피하지방(x) 근육발달 불량 ex) 링컨 * 3대 특징– 다발성모세혈관확장, 코점막출혈, 상염색체우성

2) 혈관염에 의한 자색반병 알레르기성 자반병(=Schonlein- Henoch 자색반병, anaphylactoid purpura) 류마티스성 자반병, Sendai 자반병-- 관절염 동반 Henoch 자반병-- 복통, 혈변 등 동반 SLE , 결절성동맥주위염 등-- 자가면역질환 3) 이상 단백혈증을 동반한 자색반병 Macroglobulinemia, cryoglobulinemia, myeloma 4) 죽상경화증과 관상동맥질환 분배동맥 벽에 cholesterol과 fat 등의 축적을 보이는 동맥질환 원인: 유전적, 환경적, 기회감염→ 혈관 비후, 섬유화, 석회화→ 혈전증 (1) 내피세포의 기능상실– 원인: 흡연, HSV, LDL, 당뇨, 고혈압 (2) 혈소판과 혈관벽 이상에 의한 죽상경화 과정: 내피세포상해→ vWF 노출→ vWF oligomae→ 죽종형성→ 혈소판 점착 → 죽상 플라그 형성→ 섬유소원과 결합→ 죽상(고형화) 원인: ① 환경적 요인(흡연, 지방식이, 클라미디어 감염) ② 유전적 소인 ③ 기회감염(폐렴클라미디아)

2. 혈소판 이상(양적, 질적)에 의한 출혈성 질환 (3) 허혈성뇌혈관 질환 중추신경계 출혈→ 혈소판 활성화→ 혈소판 점착→ 허혈성 병변 원인: ① 일과성허혈발작(죽상동맥에 섬유상 플라그 형성→ 동맥패쇄) ② 가역성허혈성신경계 결손 ③ 뇌졸증 2. 혈소판 이상(양적, 질적)에 의한 출혈성 질환 검사소견: BT(연장), 모세혈관 저항시험(CRT +), APTT(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정상~연장) clot retraction time(불량) 1) 혈소판 감소를 동반하는 질환 ( 표 22-3 참고 ) (1) 혈소판 생성저하 ① Aplastic anemia ② 유전성 혈소판감소증-- 혈소판기능장애 동반(Wiscott-Aldrich syndrome, Bernard-Soulier syndrome. 거대혈소판 출현) ③ Leukemia ④ 골수전이, 침윤(골수 거대핵세포 감소) ⑤ megaloblastic anemia

(2) 혈소판 파괴의 항진 ① 선천적면역성-- 신생아 혈소판 감소증, ITP, DIC ② 후천적면역성-- ITP (2) 혈소판 파괴의 항진 ① 선천적면역성-- 신생아 혈소판 감소증, ITP, DIC ② 후천적면역성-- ITP * 면역 혈소판감소자색반병(ITP) ① 감소– 혈소판 ② 정상-- Hb, WBC, diff, 혈구상 ③ 증가– 거대핵세포 * 혈전 혈소판감소자색반병(TTP) 분류-- 특발성-- 원인불명, 혈소판 감소, 점상출혈 이차성-- 세균, 바이러스 감염, 골수이식 등 혈액검사 소견: 심한 혈소판 감소, 분열적혈구, 용혈, 적혈모세포 증가 생화학적 성상: 혈청 LDH 상승, 간접빌리루빈 상승 등 2. 혈소판 증가를 수반하는 질환 정상: 15~40만개/㎕ 생리적: 운동, 출산, epinephrine 투여 후 병적: 골수증식질환 (표 22-4 참고) * 골수증식 질환-- 혈전(혈소판 혈증: 혈소판 증가 → 혈소판 기능항진 출혈(출혈성혈소판 혈증: 혈소판표면의 응집인자 흡착→ 혈소판 기능저하)

② collegen 점착이상 3. 혈소판 기능장애로 오는 질환 혈소판 수(정상), 질적이상(출혈) 선천적– 출혈(기능저하) 후천적– 출혈(기능저하), 혈전형성(기능항진) 1) 선천적 혈소판 기능 이상증-- 출혈소인 유발 * 혈관손상→ collagen 노출→ 혈소판 점착→ 방출(ADP, serotonin)→ 응집 (ADP, thrombin, epinephrine 방출)→ 응고인자 관여 * 혈관손상 → 아교섬유(collagen) 노출→ vWF + 아교원섬유의 microfibril(결 합)→ vWF+ GPIIb/ IIIa 결합→ 혈소판 점착→ 혈소판 활성화 (ADP, PF-3, thromboxane A2)→ 혈소판 응집(1차 지혈)   (1) 부착장애에 의한 이상 원인: ① 혈관내피하 조직에서 혈소판 점착의 불량 - Bernad- Soulier syndrom(GPIb/ IX 결핍. 상염색체 열성 유전 질환)→ 혈소판 감소, 거대혈소판 출현 ② collegen 점착이상 ③ 외인성 이상-- von Willebrand disease, Ehlers- Danols syndrom

(2) 방출장애에 의한 이상 원인: ① 스트레스 ② ADP와 ATP의 저장결핍-- Wiscott-Aldrich syndrom, Hermansky-Pudlak syndrom ③ 방출기구 불량 (3) ADP 응집장애에 의한 이상 원인: 내인성-- 혈소판 무력증 외인성-- 무 fibrinogen 혈증(Glanzmann`s thrombasthenia) BT(연장), CRT(연장), Ristocetin(정상) 2) 후천성 혈소판 기능 이상증-- 출혈, 혈전성 질환 동반 (1) 요독증 피부점막 출혈 검사소견: BT(연장), clot retraction(불량), 감소-- 모세혈관 저항능, prothrombin 소비시험, adhesion, aggregation, PF-3이용률

(2) 골수증식질환 정의: 골수내에서 생성되는 조혈모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골수증식성 질환) 종류: acute leukemia, MDS ① 본태혈소판 증가증-- 거핵구의 암성 증식 결과: 혈소판 기능 저하→ 출혈(epinephrin 응집능 검사-- 저하) ② 진성적혈구증가증-- 적혈구 수 증가→ 혈전증 유발 치료: 반복채혈→ 철분결핍, EPo 감소 ③ 골수섬유증-- 골수의 섬유화→ 골수외 조혈 결과: 혈소판 제 3인자의 기능저하 (3) 이상 단백혈증 원인: 혈소판 방출기능 저하 (4) 만성 백혈병 결과: 혈소판 감소 및 응집능, 제 3인자의 기능 저하 혈소판내 저장물질 결핍 방출기구 이상 (5) 약제에 의한 혈소판 장애( 교재 표 22-5 참고 ) (6) 혈소판 기능 항진증( 교재 표 22-6 참고 )

III. 응고장애에 의한 출혈질환 증상: 출혈성 경향 검사소견: 혈소판 수, BT, 모세관 저항시험-- 정상 Prothrombin time(PT), Partial thromboplastin time(PTT)-- 연장 1. 선천응고병에 의한 출혈질환 1) 혈우병 A 원인: Factor VIII 결핍 반성열성 유전형식, 남자에게 발생 임상증상-- 반복출혈(피부, 관절강내, 근육내) → 수축관절장애 → 골절 검사소견: CT-- 연장. Recalcification clotting time-- 연장. aPTT– 연장 * 후천성혈우병(비혈우병) 원인–- 갑자기, 자가면역질환, 악성종양, 임신 또는 분만 증상-– 중증(유전자 역위), 중등도 이하(과오돌연변이)

2) 혈우병 B 원인: Factor IX 결핍 반성열성 유전형식 3) von Wilebrand 병 원인: 내피세포에 있는 vWF 결핍 검사소견: BT-- 연장. 혈소판 수-- 정상, 점착능– 저하 VIIIR:AG(VIII 인자 관련 황원)–- 저하 cf. 혈우병 A(정상) VIIIR:WF–- 저하 cf. 혈우병 A(정상) VIII:C(VIII 인자 응고활성)–- 저하 cf. 혈우병 A(저하) 4) 기타 유사 혈우병 질환 상염색체 열성 또는 불완전 열성유전 (1) 선천성 제 XII 인자 결핍증 검사소견: aPTT, CT– 연장/ 외상이나 수술 후 출혈 (2) 선천성 제 XI 인자 결핍증 鼻(비)출혈. 혈우병 C (3) 선천성 Fletcher trait (prekallikrein) 검사소견: aPTT– 연장/ PT-- 정상 TGT(thromboplastin generation test, 형성시험) 검사-- ?

(4) 선천성 Fitzgerald trait (HMWK) 검사소견: aPTT-- 연장 (5) 선천성 제 X 인자 결핍증 검사소견: PT, 사독시험, aPTT-- 연장 (6) 선천성 제 VII 인자 결핍증 피하출혈, 점막출혈 검사소견: aPTT, 사독시험, TGT-- 정상. PT-- 연장 (7) 선천성 제 V 인자 결핍증 검사소견: PT, aPTT, 사독시험-– 연장 (8) 선천성 제 II 인자 결핍증 (9) 선천성 무 fibrinogen 혈증 및 이상증 (10) 선천성 제 XIII 인자 결핍증

2. 후천응고병과 출혈질환 분류: 응고인자 생성의 저하-- 비타민 K 결핍증, 간장장애, 항응혈제 투여 응고저지 물질의 증가-- 요독증, SLE, heparin 투여 응고인자의 소비나 분해 증가-- DIC, 섬유소 용해계 항진 1) 비타민 K 결핍증 II, VII, IX, X 합성 저하 검사소견: PT(II, VII, X)-- 연장. thrombo test(II, VII, IX, X)–- 연장/ aPTT(IX)--연장 BaSO4, Al(OH)3에 흡착 제거 Hepaplastin test-- II, VII, X 인자의 변동능 측정-- 간 기능검사로 이용 2) 간장애 II, VII, IX, X / I, V, XI, XII, XIII, AT-III, α2-plasmin inhibitor(PI) 민감도–- VII > IX > X > II 3) 요독증 원인-- 혈관벽 장애-- by 순환장애 응고인자 결핍-- VII, V, X 인자의 결핍 혈소판의 이상-- 主 원인

4) 순환 항응고인자의 증가 AT-III, α2-macroglobulin, Protein C aPTT, PT-- 연장 5) 항응혈제에 의한 저응고 상태 Heparin(DIC 치료용), 경구항응혈제(warfarin) 6) 탈섬유소 증후군 * 파종성 혈관내 응고 증후군 원인–- 조직인자의 혈중 유입, 내인계 응고인자 활성화 발생질병– 급성전골수세포백혈병, 악성종양, 자궁내태아사망, 패혈증 검사소견-– FDP(증가),D-dimer(증가) 진단: AT-III & α2-PI--저하, FDP, 혈소판 수, fibrinogen 양 추가검사항목-- PT, aPTT, thrombin time 7) 혈전증 조절인자: ① anti-thrombin-- thrombin, IX, X, XI, XII 활성억제 ② Protein C-- Va, VIIIa 활성억제 ③ TFPI– VII, X 활성억제 ④ 섬유소용해계 이상

원인: 발병원인: 3가지(교재) (1) 정맥혈전증과 동맥혈전증 원인: 정맥-- 혈류속도 완만, 응고항진 동맥-- 죽상경화증(혈소판 점착) (2) 혈전형성 인자들 ① 혈관내피세포의 손상 혈관내피세포, 내독소, thrombin, IL-1, TNF-α, 저산소증, 스트레스-- 항혈전작용 약화 endothelin, plostagladin, NO-- 혈류속도에 영향 PAI-1-- 섬유소 용해능 저하 혈소판 대량 침착-- 응고인자 활성화 ② 혈액응고인자의 활성화-- TF ③ 혈류속도의 지연 (3) 혈소판과 혈전증 8) 깊은정맥혈전증 혈전억제계 = 섬유소 용해계 원인: 진단: D-dimer 측정

V. 혈소판의 기능 1. 혈소판 점착작용(Platelet adhesion)     1. 혈소판 점착작용(Platelet adhesion)    혈관 상해→ 혈관내피세포 탈락→ 교원섬유 노출→ 교원섬유+VIII(complex 형성)→ 교원섬유+VIII complex-vWF 가 결합→ vWF + GPIb/IX-GPIIb/IIIa complex 결합→ 교원섬유에 혈소판이 점착                           2. 혈소판의 응집작용(Platelet aggregation)     혈소판 점착 후→  혈소판 모양의 변화,  혈소판내 물질(ADP, thromboxane A2) thrombin ↓ 방출 → 혈소판의 접촉용이 → 혈소판 응집(1차 지혈, 가역적) → finrin 망 형성 (2차지혈, 비가역적)

섬유소 용해 항진인자–- 다량의 섬유소용해계 활성제, 운동, stress, 산소부족, 아드레날린 주사 IV. 섬유소와 섬유소원 용해 항진 응고 == 섬유소 용해. Anti-plasmin 상태(생리적) 섬유소 용해 항진인자–- 다량의 섬유소용해계 활성제, 운동, stress, 산소부족, 아드레날린 주사 * 1차 섬유소원 용해-- plasmin이 fibrinogen 분해(출혈)-- 섬유소원 용해 성 자색반병 치료: anti-plasmin 투여 2차 섬유소원 용해-- anti-plasmin 투여(X) * 선천성 α2–plasminogen 억제제 결핍→ 섬유소와 섬유소원 용해항진 * Fibrinogen 용해와 Fibrin 용해의 차이점(표 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