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거푸집공사 5-1. 대형 거푸집(전용 거푸집)공법 Ⅱ. 목적 Ⅰ. 개요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Ⅲ.힘과 운동 2.여러 가지 운동. 도입 Ⅲ.힘과 운동 2. 여러 가지 운동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Advertisements

1)RACK 2)UPS 3)P D U 장치 4)Server Group 5)KVM Switch 7)UPS 를 위한 HUB 6) RACK Monitor.
1. 도형의 연결 상태 2. 꼭지점과 변으로 이루어진 도형 Ⅷ. 도형의 관찰 도형의 연결상태 연결상태가 같은 도형 단일폐곡선의 성질 연결상태가 같은 입체도형 뫼비우스의 띠.
Ⅱ 세포의 주기와 생명의 연속성 Ⅱ 세포의 주기와 생명의 연속성 - 1. 세포주기와 세포분열.
안전펜스 제품설명 제품설명 제품설명 안전펜스는 위험지역, 구동설비시설 주위의 접근금지 및 출입통제를 목적으로
Super Deck 공법소개 (철근트러스 상판공법).
자동창고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CLM ALLOYs BY SLM CO.,LTD (AL-10-19Mg) 합금
건축공사 거푸집 · 동바리 슬래브 붕괴 사례 및 개선 방안 삼성물산(주) 건설부문.
2015 학습성과발표회 포스터 ISA법을 이용한 MCFC 성능측정 지도교수 : 이충곤 교수님 이기정 화학공학과
설계도.
철골구조의 장점,단점 비내화적이다. 녹이 슨다. 고가이다 정밀한 가공 및 조립이 요구된다. 큰스팬의 구조물에 유리하다.
시 공 계 획 서 현장명 : 서울대학교 신양학술정보관3 공 종 : 노출콘크리트공사 금 웅 건 설 주 식 회 사.
공차 및 끼워맞춤.
시공 계획서 천안 자유무역지역 시설공사현장 2007년 1월 10일 성 실 건 업 주식회사
벽식 아파트 구조.
TARGET 운반 CASE 제품 소개서 OSUNG METAL
질의 사항 Yield Criteria (1) 소재가 평면응력상태에 놓였을 때(σ3=0), 최대전단응력조건과 전단변형에너지 조건은σ1 – σ2 평면에서 각각 어떤 식으로 표시되는가? (2) σ1 =σ2인 등이축인장에서 σ = Kεn로 주어지는 재료의 네킹시 변형율을 구하라.
제조공학 담당 교수 : 추광식 산업시스템공학과.
엔드밀 포장설비 제안서 자동화 사업부 ( ).
1. 초음파 가공의 구성 1. 초음파 가공 ◆ 초음파 가공기의 장치 구성
거 푸 집 ( F O R M ) 박진화 고유미.
Awning 구조해석 결과 보고서 (사) 전북대 TIC R&D사업단 선행기술팀
무대장치 SD-301 system(특허 ) 1. 유일성 : 기존의 목재및 철재 구조틀로 무대를 설치하는것을 조림 시스템(이동가능)으로 조립하는 공법으로 체육관, 대강당 시공시 무대에서 체육관 마루까지 조립 시스템으로 완벽한 마루틀을 형성할 수 있다.
浩山 엔지니어링주식회사 ENGINEERING & MANUFACTURE
Ⅱ. 지구의 변동과 역사 1. 지구의 변동 2. 지구의 역사 3. 우리나라의 지질.
Hydrogen Storage Alloys
구체 방수 혼화제 - 베스톤 유주현.
이프리 EPI Limited eFree 친환경 종이슬리브
Deck Plate 전혜빈 장은영.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1. 식량자원 3. 식품 안전성.
ECO-lex 아트판넬 PROPOSAL.
고경남 유용신.
Infusion pump (의약품 자동주입기)
반 : 4 번호 : 1 성명 : 권채윤 건설 시공 과정.
제5장 하수 관로 시설 (3) 관중심 접합 접속하는 관거의 내면 중심부가 일치되도록 접속 시키는 방법. 수위접합과
고체역학 2 - 기말고사 1. 단면이 정사각형이고 한번의 길이가 a 일 때, 최대굽힘응력과 최대전단응력의 비를 구하라(10).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P 등속 직선 운동 생각열기 – 자동차를 타고 고속도로를 달릴 때, 속력계 바늘이 일정한 눈금을 가리키며 움직이지 않을 때가 있다. 이 때 자동차의 속력은 어떠할까? ( 속력이 일정하다 .)
최고의 품질로 보답하는 친환경 샌드위치패널 생산업체
시대적인 발달 과정 기후 환경 문화 종교 정치.
목구조 분류 전주목조건축학원.
제5장 하수 관로 시설 3-6 받이 각 가정, 공장 등의 하수를 각각 배수설비를 통하여 집수 하는 것으로, 배수설비와 연결
1. TOP-DOWN 공법이란? TOP-DOWN 공법은 단어의 사전적 의미와 같이 구조물 시공시 위에서 아래로 진행하는 공법
발전기 기초 T/G PEDESTAL COLUMN 시공 향상 방안
1. TR&T 공 법 개요 TR&T 공법은 가. 지하구조물의 형상에 따라 대구경 강관을 압입하고 나.강관내부를 굴착한 다음
목구조 분류 전주목조건축학원.
Ⅱ. 기계 공업 기술 3. 기계제작 2. 기계제작이란 무엇인가 [ 소 성 가 공 법 ]
5m 차량차단기.
4.7 보 설계 보 설계과정 (a) 재료강도 결정 (b) 보 단면 산정 (c) 철근량 산정 (d) 최소 및 최대 철근비 확인
Gland Packing 과 Mechanical Seal의 비교
2장 변형률 변형률: 물체의 변형을 설명하고 나타내는 물리량 응력: 물체내의 내력을 설명하고 나타냄
교실용 SD-101 system (특허 ) 장선: 30x70x0.8t 지주: 주 장선 간격 : 900mm
(생각열기) 요리를 할 때 뚝배기로 하면 식탁에 올라온 후에도 오랫동 안 음식이 뜨거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이유는?
비열.
& 네이버 “철골난간대” 검색 철골공사 안전대부착설비의 문제점 & 네이버 “철골난간대” 검색.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절판구조 박유정 최혜지.
학습 주제 p 끓는점은 물질마다 다를까.
신소재 장비개발 [공기충전기] 하안119안전센터.
유체 속에서 움직이는 것들의 발전 진행하는 추진력에 따라 압력 차이에 의한 저항력을 가지게 된다. 그런데, 앞에서 받는 저항보다 뒤에서 받는 저항(흡인력)이 훨씬 더 크다. 유체 속에서 움직이는 것들은 흡인에 의한 저항력의 최소화를 위한 발전을 거듭한다. 그것들은, 유선형(Streamlined.
비교분석 보고서 Template 2015.
고체역학1 중간고사1 부정행위는 친구의 죽이기 위해서 자신의 영혼을 불태우는 행위이다! 학번 : 이름 :
건설업 안전보건관리10계명 1 6 작업 전 안전점검과 작업 중 정리 정돈 상태를 확인하여 위험을 사전에 제거 또는 통제한 후 작업 하는 것을 습관화해야 합니다. 감전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설전기의 접지상태 및 누전 차단기 작동여부 등을 확인하고 필요 시.
시료채취장치, 조립 및 취급.
콘크리트(산업)기사 실기 작업형 시험 대비 동영상포함
소화용수설비 김 종 희
캐비테이션(CAVITATION) 기포의 생성 파괴 기포의 발생
1 제조 기술의 세계 3 제품의 개발과 표준화 제품의 개발 표준화 금성출판사.
Presentation transcript:

2. 거푸집공사 5-1. 대형 거푸집(전용 거푸집)공법 Ⅱ. 목적 Ⅰ. 개요 ① 각 층의 평면이나 단면이 같고 반복성이 요구되어지는 구조물에 있어서 거푸집널, 장선, 멍에 등을 일체화ㆍunit화ㆍ대형화시킨 거푸집이다. ② 대형 거푸집은 건축물의 대형화 ㆍ고층화, 기능인력의 부족, 경제성, 작업능률 등에 의해 채택되어 앞으로도 사용이 늘어날 전망이다. Ⅱ. 목적 ① 성력화(省力化) ② 시공의 정밀도 향상 ③ 공기의 단축 ④ 자원절약 ⑤ 거푸집공사의 system화 ⑥ 관리의 용이

Ⅲ. 분류 대형 panel form Shuttering form=대형 패널+강지보공+shuttering beam 벽전용 거푸집 Gang form=대형 패널+강지보공 Shuttering form=대형 패널+강지보공+shuttering beam 바닥전용 거푸집 Table form : 수평이동 Flying shore form : 수평이동+수직이동 Mono shell form 벽+바닥 거푸집 tunnel form Twin shell form 수직이동-climbing form Sliding form 연 속 공 법 Slip form(단편형상 변화가능) 수평이동-traveling form Bow beam 무지주공법 Pecco beam(span 조정이 자유로움 Deck plate Half slab Waffle form 바닥판공법 - W식

Ⅳ. 개발방향 ① 설계의 표준화 ㆍ규격화 ㆍ단순화 노력 ② 재료의 고강도화 ㆍ경량화 ③ 대형 거푸집공법의 활성화 노력 ④ 설치작업의 robot화 개발

5-2. 대형 panel form Ⅰ. 개요 ① 시공능률 향상 ② 노동력 절감 및 공기단축 Ⅳ . 시공시 유의 사항 며, 재래식 공법에 비하여 경제성 및 안전성이 유리하다. Ⅱ. 벽전용 거푸집의 분류 ① 대형 panel form ② Gang form ③ Shuttering form Ⅲ . 특징 ① 시공능률 향상 ② 노동력 절감 및 공기단축 ③ 초기투자비가 재래식보다 높다. ④ 앙중장치를 필요로 하나 소형도 가능 ⑤ 제작장소 및 해제 후 보관장소 필요 Ⅳ . 시공시 유의 사항 ① 앙중장비를 고려한 panel 제작 ② 낙하 및 추락 방지를 위한 안전시설 점검 ③ 바람에 의한 안전성 검토 ④ 앙중, 이동시 변형되지 않도록 가성 확보

5-3. Gang form Ⅱ. 벽전용 거푸집의 분류 ① 대형 panel form Ⅰ. 개요 ① Gang form이란 넓은 의미에서 대형 거푸집 panel과 지보공을 unit화한 거푸집으로 로서 모든 대형 거푸집을 말하나 좁은 의미로는 벽체용 거푸집을 의미한다. ② 보통 gang form이란 고층아파트 등의 측벽 거푸집인 대형 panel form에 강지보 공 및 비계를 일체화(unit화)하여 외부의 마감을 별도의 비계 설치없이 마무리할 수 있게 한 공법이다. Ⅱ. 벽전용 거푸집의 분류 ① 대형 panel form ② Gang form ③ Shuttering form Ⅲ. 특징 ① 성력화(省力化)가 가능 ② 시공의 정밀도 향상 ③ 연속 반복작업으로 공기의 단축 ④ 외부마감공사를 동시에 할 수 있음. ⑤ 거푸집의 전용횟수가 늘어남. ⑥ 설치 및 해체품의 절감 ⑦ 대형 양중장비가 필요 ⑦ 외부마감공사의 timing이 중요

Ⅳ. 시공시 유의 사항 ① 박리제 도포계획을 철저히 이행 ② 장비 고장시 대비책 마련 ③ 낙하방지를 위한 안전시설 점검 ④ 가설비계가 없으므로 후속공정과의 관계를 철저히 검토 ⑤ 바람에 의한 안전성 검토 ⑥ 양주 등 이동시 변형되지 않도록 충분한 강성 확보

5-4. Shuttering form Ⅰ. 개요 Ⅱ . 벽전용 거푸집의 분류 ① 대형 panel form ② Gang form ① 대형 panel 거푸집을 보강하고자 shuttering beam을 덧붙여 강성을 높이고 강지 보공 및 비계를 unit화시킨 수직부재용 거푸집이 shuttering form이다. ② 근래 건축물의 고층화 및 시공의 기계화로 벽체용 거푸집으로는 대형 panel 공법 이 보편화되었으며, 점차적으로 개선되어 신공법으로 발전하고 있다. Ⅱ . 벽전용 거푸집의 분류 ① 대형 panel form ② Gang form ③ Shuttering form Ⅲ . 특징 ① 벽체 거푸집에 종방향 테두리의 강성을 높이고 연결개소를 최소화함. ② 작업의 안전성이 확보됨. ③ Unit화로 제품의 정밀성 향상 ④ 단순 반복작업으로 공기의 단축 ⑤ VㆍH 분리타설용 거푸집으로 이용

5-5. Table form Ⅰ. 개요 ① 바닥판 거푸집과 지보공을 unit화(일체화)하여 table 모양으로 만들어서 slab 콘 크리트 타설한 후 동일한 층의 다른 zone(구역)으로 수평이동시켜 반복적으로 전 용하는 거푸집을 의미한다. ② Slab의 형태가 동일한 병원 ㆍ 호텔 ㆍ A.P.T 등의 건축물에 많이 사용된다. Ⅱ. 바닥전용 대형 거푸집 ① Table form ② Flying shore form Ⅲ. 특징 ① 크기는 폭 1~6m, 길이 2.5~8m 정도임. ② 비교적 넓은 공간을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음. ③ 공기가 단축됨. ④ 재래공법에 비해 위험요소가 적음. ⑤ 지주의 하단에 바퀴(caster)를 달아 수평이동이 용이함.

Ⅳ. 시공시 유의 사항 ① Slab의 하중에 희한 처짐(비교적 장span이므로) 등에 유의 ② 큰 panel을 사용할 경우는 장선을 철재 또는 truss의 장선을 사용 ③ 중량물이므로 crane, winch 등을 이용하여 수평이동시킬 것.

5-6. Flying form(flying shore form) Ⅰ. 개요 거푸집ㆍ 장선 ㆍ 멍에 ㆍ 지주(支柱)를 일체화하여 수평 및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바닥 전용의 대형 거푸집공법이다. Ⅱ. 바닥전용 대형 거푸집의 분류 ① Table form ② Flying shore form Ⅲ. 특징 ① 가설발판 설치공정이 없어 공기단축 ② 전용횟수가 많아 경제적 ③ 형상의 변화가 많으면 적용 곤란 ④ 거푸집의 중량이 큼. Ⅳ. 수직이동방식 분류 ① 내부 이동방식 ② 외부이동방식

Ⅴ. 시공시 flow chart Ⅵ .시공시 유의사항 준비 Form 설치 및 level 조정 Con’c 타설 탈형 Form 수평 및 수직 이동 Ⅵ .시공시 유의사항 ① 조립ㆍ조정ㆍ고정 ㆍ해체가 편리 하도록 제작 ② 거푸집 중량 및 양중장비의 용량파악 ③ 시공계획시 이동방식 선정 ④ 중량물의 이동에 따른 이동화중고려 ⑤ 수평이동이 용이하도록 바닥 평활도 유지

5-7. Tennel form Ⅲ. 종류별 특성 Ⅰ. 개요 ① 벽체와 바닥거푸집을 장선 ㆍ멍에 ㆍ동바리와 함계 일체화(unit화)하여 해체 및 조 립공정을 줄임으로써 공사비 절감 효과가 큰 공법이다. ② 층고 ㆍ벽체간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구조물에도 적용 가능하며, 종류로는 mono shell form과 twin shell form이 있다. Ⅱ. 적용대상 ① 공동주택, 병원, 호텔 객실, 교도소 등 같은 크기의 공간이 계속되는 구조 ② 보가 없는 벽식 구조 ③ Open된 평면구조 ④ 토목공사의 암거, 기타 통신 ㆍ 전기 등 지하 매설물 구조체 Ⅲ. 종류별 특성 1) Mono shell form ① 설계된 건물의 unit에 맞춰 형으로 (1개)제작, 사용 ② Jack 조정으로 수평을 잡고, 수평가새를 조절하여 벽 거푸집의 간격을 유지 ③ 설치 ㆍ 해체 ㆍ 이동이 용이하나 joint가 발생

Ⅳ. 시공시 유의사항 ① Twin shell form의 joint부의 응력 확보 Ⅳ. 시공시 유의사항 ① Twin shell form의 joint부의 응력 확보 ② 양중장비의 용량, 거푸집이 형상 및 중량, 양중조건 등 파악 ③ 양중시 거푸집의 변형에 유의 ④ Joint부의 cement paste 유출방지 ⑤ 콘크리트 양생 방법 ㆍ 기간 검토

5-8. Climbing form Ⅰ. 개요 ① Climbing form에는 sliding form과 slip form이 있으며, 두 공법의 공통접은 수 직으로 상승하며 연속 Con’c 타설함으로써 joint의 발생이 거의 없고 공기가 단축 된다. ② Sliding form은 단면의 변화가 전혀 없는 구조물에 사용되며, slip form은 단면의 형상에 변화가 있는 구조물에 많이 적용된다. Ⅱ. 연속공법의 대형 거푸집 분류 ① 수직 : climbing form(sliding form, slip form) ② 수평 : travelling form Ⅲ. 목적 ① 공기단축 ② 연속타설로 Con’c 수밀성 확보 ③ 자재 및 노무의 절감

Ⅳ. 공법별 특성 1) Sliding form ① 단면의 변화가 없는 구조물에 적용 ② 거푸집의 높이 1~1.2m 정도 Ⅳ. 공법별 특성 1) Sliding form ① 단면의 변화가 없는 구조물에 적용 ② 거푸집의 높이 1~1.2m 정도 ③ 1일 상승높이는 5~8m 정도 ④ 주야 연속작업으로 여유인원 확보 ⑤ Con’c의 연속 공급 ⑥ 야간작업, 고속작업으로 인한 안전 확보 ⑦ 빌딩의 core 부분, silo, 교각 등에 적용 2) Slip form ① 단면의 형상에 변화가 있는 구조물에 적용 ② 거푸집의 높이 0.9~1.2m 정도 ③ 1일 3~5회 정도 반복 타설 ④ 시공시 안전성, 정밀도 고려 주간에만 작업 ⑤ 최상부 slab Con’c 타설시 안전 확보 ⑥ 급수탑, 수신탑, 전망대 등에 적용

5-9. 슬라이딩 폼(sliding form) 공법 Ⅰ. 개요 일정한 평면을 가진 구조물에 적용되며 연속하여 Con’c 를 타설하므로 joint가 발생하지 않 는 수직활동 거푸집공법이다. Ⅱ. 연속공법의 대형 거푸집 분류 ① 수직 : climbing form(sliding form, slip form) ② 수평 : traverlling form Ⅲ. 목적 ① 공기단축 ② 연속타설로 Con’c의 수밀성 확보 ③ 자재 및 노무의 절약 Ⅳ. 특성 ① 단면의 변화가 없는 구조물에 적용 ② 거푸집의 높이 1~1.2m 정도 ③ 1일 상승높이 5~8m 정도 ④ Con’c 연속타설로 joint 발생 감소

Ⅴ. 시공순서 flow chart Ⅵ. 시공시 유의사항 중단없이 연속시공 준비 form 제작 현장조립 상승용 jack 설치 철근배근 상승 및 교정 검사 Con’c타설 Ⅵ. 시공시 유의사항 ① 거푸집 제작시 내 ㆍ 외벽 마감작업 발판설치 ② 주야간 연속작업으로 충분한 기능공 확보 ③ Con’c의 연속공급 및 문제발생시 대처방안 ④ 연직상태를 수시로 점검 ⑤ Jack의 여유용량 및 rod에 가해지는 하중계산 ⑥ 야간작업 및 고소작업이므로 안전대비 철저

Ⅲ. 목적 5-10. Travelling form Ⅰ. 개요 수평으로 이동이 가능한 대형 system화된 거푸집으로서 연속하여 Con’c 타설시 가능하도 록 기계적 장치(이동용 비계, rall, caster 등)를 이용하여 이동한다. Ⅱ. 연속공법의 대형 거푸집 분류 ① 수직 : climbing form(sliding form, slip form) ② 수평 : traverlling form Ⅲ. 목적 ① 거푸집의 합리화 ② 성력화(省力化) ③ 전용화 ④ 시공의 정밀도 향상

Ⅳ. 적용공사 Ⅴ. 특징 Ⅵ. 사용되는 기구에 따른 분류 ① 최소한 일량으로 최대한 거푸집 사용 ② 숙련도를 요하지 않음. Ⅳ. 적용공사 ① 건축공사 : shell ㆍ arch ㆍ dome 등의 구조 ② 토목공사 : 터널공사, 대형 수로공사, 지하철공사 등 Ⅴ. 특징 ① 최소한 일량으로 최대한 거푸집 사용 ② 숙련도를 요하지 않음. ③ 연속 시공으로 공기단축 ④ 대량생산 체제가 가능 ⑤ 부재수가 많음. Ⅵ. 사용되는 기구에 따른 분류 ① 이동기계 : rall 방식, caster 방식, 무(無)궤도방식 등 ② 이동동력 : 수동식, 견인방식(winch ㆍ hoist ㆍ 동력차 등) ③ 거푸집 착탈방식 : 기계 jack ㆍ 유압 jack ㆍ 쐐기 ㆍ roller 등

5-11. Bow beam과 pecco beam Ⅰ. 개요 Ⅲ. 무지주공법의 종류별 특성 설보를 설치하여 바닥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법이다. ② Pecco beam은 bow beam과 같이 하층의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무지주공법 이나 안보가 있어 span의 조절이 자유로운 공법이다. Ⅱ. 목적 ① 하층의 작업공간 확보 ② 기능인력의 절감효과 ③ 노무비 절감효과 ④ 연속 반복작업으로 공기단축 Ⅲ. 무지주공법의 종류별 특성 1) Bow beam 2) Pecco beam ① 층고가 높고 큰 span에 유리 ① 안보가 있어 span의 조정이 자유로움 ② 하층의 작업공간 확보에 유리 ② 전용횟수가 100회 이상 ③ 구조적으로 안전성 확보 ③ 최대허용모멘트는 1.5t ㆍm ④ Span이 일정한 경우만 적용 ④ 4.7~6.4m까지 span 조정이 가능

5-12. Deck plate Ⅰ. 개요 Ⅲ. Deck plate 공법의 종류별 특성 S조 또는 S.R.C조 건축물에서 철골보에 deck plate를 걸쳐대고 철근 배근한 후 콘크리트 타설하는 공법으로서 동바리가 없기 때문에 하층의 작업이 용이하며, 거푸집의 해체공정이 줄 어들어 노무절감 및 공기단축을 기대할 수 있다. Ⅱ. 바닥판공법의 분류 ① Deck plate ② Half slab ③ Waffle form ④ W식 Ⅲ. Deck plate 공법의 종류별 특성 1) Deck plate 밑창거푸집공법 ① Deck plate를 거푸집 대용으로만 사용하며, 하중은 상부 Con’c와 그 속의 보강철 근이 부담하는 공법 ② 거푸집이 매설되므로 거푸집 해체공정이 생략됨. ③ 작업이 간략화되어 현장이 깨끗해짐.

Ⅳ. 시공시 유의사항 2) Deck plate 구조체 공법 ① 자중 및 작업하중을 고려한 단면설계 및 바닥중앙의 휨보강 검토 ① Deck plate를 구조체의 일부로 보고, 그 위에 타설하는 Con’c와 강도적으로 일체 가 되도록 하는 공법 ② Deck plate가 구조체의 일부가 되므로 slab 철근이 줄어듬. ③ Deck plate와 콘크리트의 일체화하기 위한 조치 및 바닥 내화피복공사가 필요 Ⅳ. 시공시 유의사항 ① 자중 및 작업하중을 고려한 단면설계 및 바닥중앙의 휨보강 검토 ② 양중 및 설치시 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것. ③ 보와 접합되는 단부에는 콘크리트 흐름방지를 위함 마구리막이를 설치

5-13. Waffle form Ⅰ. 개요 거푸집의 모양이 waffle 과자같이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작은보가 없이 큰 span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층고를 낮출 수 있으며, 격자모양으로 미관상 유리한 공법이다. Ⅱ. 바닥판공법의 분류 ① Deck plate ② Half slab ③ Waffle form ④ W식 Ⅲ. 특징 ① Deck plate에 비해 큰 span(8~9m) 확보가능 ② 보가 없으므로 층고를 낮출 수 있음. ③ 미관상 유리(격자모양) ③ 특수형태의 거푸집이므로 전용성이 적음. ⑤ 철근배근이 용이

Ⅳ. 재료 및 규격 Ⅴ. 시공시 유의사항 재료는 철판재와 합성수지판재가 쓰이며, 규격은 다음과 같다. ① 600mmx600mmx200mm ② 900mmx900mmx250mm ③ 900mmx900mmx275mm Ⅴ. 시공시 유의사항 ① Waffle form의 해체는 중앙에 작은 구멍으로 압착공기를 불어넣어 함. ② Waffle의 나누기는 의장 및 구조상 중요하므로 설계단계에서부터 계획 ③ 적재하중에 대한 안정성 검토 ④ 해체의 용이를 위해 박리제 도포 ⑤ 압축공기 주입구의 고무캡이 콘크리트에 의해 잠식되지 않도록 할 것.

5-14. W식 Ⅰ. 개요 Ⅲ. 장점 ① 바닥판 거푸집공법의 일종으로서 W식 truss 위에 작은 물결형 아연도철판을 설치 하여 바닥거푸집으로 사용한 공법이다. ② W식 truss는 일반적으로 전용되지 않고 철골조의 보에 용접하여 고정되며 주로 철골조 ㆍ 철골철근콘크리트조를 대상으로 하는 공법이다. Ⅱ. 바닥공판의 분류 ① Deck plate ② Half slab ③ Waffle form ④ W식 Ⅲ. 장점 ① 최대 span은 8~9m까지 가능하며 작은보의 설치없이 시공가능 ② 층고가 높은 건축물에도 적용가능 ③ Slab hunch, slab 단차에 truss 설치가 자유로움. ④ Deck plate에 비해 넓은 공간확보로 하층의 작업공간이 여유로워짐.

Ⅳ. 단점 Ⅴ. 시공시 유의사항 ① 일반적으로 전용되지 않고 철골보 등에 고정 ② W식 트러스의 높이만큼 천장높이의 손실이 있음. ③ Slab hunch, slab 단차에 truss 설치가 자유로움. ④ Deck plate에 비해 넓은 공간확보로 하층의 작업공간이 여유로워짐. Ⅴ. 시공시 유의사항 ① Truss의 제작 및 설치는 용접으로 고정하고 check하여야 한다. ② 가 설치시의 각종 하중에 대한 횡좌굴 check가 필요하다. ③ 운반 및 설치시 유해한 휨 등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5-15. Metal form Ⅰ. 개요 ① 기계적으로 만든 강철제 형틀에 맞추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으로써 거푸집의 전용성을 높이고, 공기단축 및 시공의 정확성을 높인 거푸집공법이다. ② 구조체의 형상이 단순하고 반복성이 높은 토목공사에 많이 작용되고 있었으나, 최 근 들어서는 건축공사에서 평면의 형상이 단순한 곳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Ⅱ. 거푸집의 분류 1) 재료별 ① 철제 metal form ② 알루미늄제 metal form 2) 사용 형태별 ① Corner용 metal form ② 곡면형 metal form ③ Dam용 metal form ④ Road용 metal form Ⅲ. 특징 ① 내구성 우수 ② 콘크리트 타설 정밀도 우수 ③ 수밀성 우수 ④ 조립 및 해체 용이 ⑤ 제치장 Con’c에 유리 ⑥ 거푸집의 전용횟수 증가 ⑦ 중량이므로 취급이 곤란함. ⑧ 평면의 형상이 복잡하면 불리

Ⅳ. 개발방향 ① 성력화(省力化 : labour saving) ② 고강도의 경량 재료 개발 ③ 거푸집 작업의 system화 ④ 거푸집의 정밀성 향상

5-16. Euro form Ⅰ. 개요 ① 콘크리트 거푸집용 코팅합판과 강재틀로 구성된 규격화된 거푸집을 말한다. modular form이라 하여 규격화된 표준타입의 건축물에 적용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전용횟수를 증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Ⅱ. 분류 알루미늄판 재료별 합금판 분류 코팅합판(일면, 양면) 폭 : 300mm, 450mm, 600mm 규격별 길이 : 900mm, 1,200mm, 1,500mm, 1,800mm

Ⅲ. 장점 Ⅳ. 단점 ① 목재 거푸집에 비하여 전용횟수가 크다(20회 이상) ① 목재에 비하여 무게가 무겁다. ② 조립 및 해체가 간단하다. ③ 공기단축 및 노무절감 효과가 있다. ④ 숙련도를 요하지 않는다. ⑤ 목재 거푸집과의 혼용이 가능하다. Ⅳ. 단점 ① 목재에 비하여 무게가 무겁다. ② 인력을 이용하여 운반할 경우 인력소모가 크다. ③ 장비를 사용할 경우 초기투자비가 크다.

5-17. Ferro deck Ⅰ. 개요 Ⅲ. 시공순서 flow chart ① 공장에서 일체화된 바닥구성재(거푸집 대용 아연도강판+slab용 철근주근)를 현 장에서는 배력근 ㆍ연결근만 시공함으로써 철근과 거푸집공사를 동시에 pre-fah 화한 공법이다. ② 철근작업을 공장에서 대신하고 현장에서는 설치작업만 하므로 노무절감 및 공기단 축을 할 수 있는 공법이다. Ⅱ. 특징 ① 시공의 정밀도 향상 ② 공기단축(생산성 향상) ③ 공사비 절감 ④ 시공이 단순 ⑤ 안전성이 높음 ⑥ 설계범위가 넒음. Ⅲ. 시공순서 flow chart 자재반입 및 양중 설치 단부 못질 또는 용접 철근연결(배력근ㆍ연결근 등) 콘크리트 타설

Ⅳ. 적용대상 구조 ① 철근콘크리트구조의 바닥판 ② 철골철근콘크리트의 바닥판 Ⅴ. 재료 ① 철근콘크리트구조의 바닥판 ② 철골철근콘크리트의 바닥판 ③ 철골구조의 바닥판 ④ P.C 구조의 바닥판 Ⅴ. 재료 ① 상 ㆍ하현 주근 : D13 또는 D10 ② Lattice bar : Φ6 ③ Latch bar : φ4 ④ 연결근 ㆍ 배력근 ㆍ 보강근 : D13 또는 D10 ⑤ 강판 : 용융아연도강판 0.4~0.5mm

5-18. Textile form(특수거푸집) Ⅱ. 목적 Ⅰ. 개요 ① 종래의 거푸집에 직경 3~5mm, 간격 5~10mm의 작은 구멍을 뚫고, 그 위에 특수 직포를 부착시켜 통기 ㆍ 투수성을 갖도록 만든 것을 textile form이라 한다. ② 특수직포는 polyester계 섬유를 사용하며, 콘크리트면에 접하여 잉여수나 공기를 배출하는 반면 시멘트입자는 차단시키는 필터기능을 가지고 있다. Ⅱ. 목적 ① Bleeding, laitance 방지 ② 화학적 작용(염해 ㆍ중성화 등)에 대한 저항력 증대 ③ 표층부의 미관 호가보 및 품질(강도 ㆍ내구성 등 ) 향상

Ⅲ. 공법의 효과 ① 통기효과로 인한 bleeding 감소 및 잉여수의 배출로 미관이 좋아짐. Ⅳ. 시공시 유의사항 ② 탈수표과로 표면강도가 증대되어 28일 강도가 종래 공법의 2배 이상 높아짐. ③ 중성화 깊이 1 / 4 , 염분 침투깊이 1/ 5 , 동결융해 깊이 1/0 정도로 각각 감소 ④ 별도의 마감공사가 필요없음. (제치장 콘크리트에 유리) ⑤ 필터는 5~10회 정도 사용가능 Ⅳ. 시공시 유의사항 ① 못 ㆍ 철근 등에 의해 직포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한다. ② 배수된 물의 처리는 거푸집 하단에 홈통을 설치하여 집수한다. ③ 종래 거푸집에 비해 접착력 좋아지므로 장선 및 지보공의 설치를 충분히 한다.

5-19. Sismo공법 Ⅱ. 특징 Ⅲ. 내부 panel의 module Ⅰ. 개요 ① 아연도금 철선으로 입방체의 격자를 형성하고, 그 속에 내부 panel재를 넣어 form 을 형성한 뒤에 중공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법이다. ② 거푸집의 해체가 필요없고, 양생기간이 지나면 바로 panel면에 마감공사를 실시할 수 있으며, 수평분리(V.H 분리)타설 공법이 가능하다. Ⅱ. 특징 ① 거푸집 해체품 감소 ② 공정이 줄어 공기단축 가능 ③ 경량으로 취급 및 운반 편리 ④ 성력화 가능 ⑤ 국내에서는 적용 실적이 저조하고 실용화가 미흡 Ⅲ. 내부 panel의 module ① (W)10cmX (H)15cmX(T)1cm ② (W)10cmX(H)15cmX(T)4cm ③ (W)10cmX(H)15cmX(T)8cm

Ⅳ. Form의 구성 ① 격자철망 ㉮ 아연도금된 철선(φ202mm, 인장강도 700~800n/mm2)을 사용 ㉯ 이 속에 내부 panel이 들어감. ② 내부 panel Polystyrene재ㆍ압면 ㆍ판지ㆍ기성 cement재 ㆍcement재 ㆍhard board ㆍcork 등 ③ 구조재 ㉮ 내부 panel 사이의 중공부를 Con’c(저농도 또는 고농도)로 채움한다. ㉯ 철근을 보강하기도 한다.

5-20. Micco-slab 공법 Ⅰ. 개요 ① Micco-slab 공법은 형장타설 Con’c 및 가설재의 중량을 micco-truss가 부담하 게 함으로써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하게 한 공법으로 상부의 slab 철근은 용접 철망(welded steel wire fabric)이 주로 사용된다. ② 하단 목판과 coffer form(우물반자모양 : 재질은 plastic)을 사용하는 무지보 바 닥판 거푸집공법으로 Con’c 양생 후 목판과 coffer form은 해체한다. Ⅱ. 특성 ① 아래층의 바닥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작업성 양호하다. ② 무지보가 가능한 span은 5.5m 이다. ③ 작업이 단순하며 공기가 단축된다. ④ 콘크리트의 타설중에 truss의 변형조정이 가능하다. ⑤ 숙련공을 필요치 않는다. ⑥ 국내에서는 적용 실적이 미비하다.

Ⅲ. 시공시 유의사항 ① 상부철근은 용접철망을 사용한다. ② Truss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coffer form의 이동이 발생하므로 유의한다. ③ Truss의 부상량을 미리 파악하여 시공시 check한다. ④ 콘크리트 타설시 truss의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구속을 철저히 한다.

5-21. 거푸집의 측압 기둥 벽 Ⅱ. 측압(lateral pressure) Ⅰ. 개요 ① 미경화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면 거푸집의 수직부재(거푸집널 등)는 유동성을 가 진 콘크리트의 수평방향 압력을 받게 되는데 이것을 측압이라 한다. ② 측압은 미경화 콘크리트의 윗면으로부터 거리(m)와 단위용적 중량(t/m3)의 곱으 로 표시하며, 단위는 t/m2 이다. Ⅱ. 측압(lateral pressure) 1) Concrete head ① 콘크리트 타설 윗면에서부터 최대측압이 생기는 지점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② 콘크리트의 타설된 높이에 따라 측압이 증가되다가 일정한 높이에 도달하면 측압 은 오히려 감소하게 된다. 2) 측압 측압(t/㎡) ① Concrete head의 최대값 ㉮ 벽 : 0.5m ㉯ 기둥 : 1.0m ② 콘크리트의 최대측압 ㉮ 벽 : 0.5mX2.3t/㎥≒1.0t/㎡ ㉯ 기둥 : 1.0mX2.3t/㎥≒2.5t/㎡ 타설높이(m) <최대측압 및 concrete head> 2.5 기둥 2.0 1.5 1.0 벽 0.5 0.5 1.0 1.5 2.0

Ⅲ. 측압의 표준치 (단위 : t/㎡) Ⅳ. 측압에 영향을 주는 요인(큰 경우) ① Form의 간격이 넓을 경우 ② Form의 표면이 평활할수록 ③ 콘크리트의 slump차가 클수록 ④ 콘크리트의 시공연도가 좋을수록 ⑤ 철골 ㆍ철근량이 적을수록 ⑥ 외기의 온 ㆍ습도가 낮을수록 ⑦ 부배합일수록 ⑧ 타설속도가 빠를수록 ⑨ 다짐이 충분할수록 ⑩ 상부에 직접 낙하할 경우 분 류 기 둥 벽 내무 진동기 사용 3 2 외부 진동기 4

5-22. Concrete head Ⅱ. Concrete head와 측압의 관계 Ⅰ. 개요 거푸집 Concrete head 타 설 높 이 타 설 높 이 최대측압 Concrete head 최대측압 ①타설시작 ② Concrete head 도날 ③ Concrete head 초과

Ⅲ. 최대값 측압(t/㎡) 기둥 벽 ① Concrete head의 최대값 ㉮ 벽 : 0.5m ㉯ 기둥 : 1.0m ② 콘크리트의 최대측압 ㉮ 벽 : 0.5mX2.3t/㎥≒1.0t/㎡ ㉯ 기둥 : 1.0mX2.3t/㎥≒2.5t/㎡ Ⅳ. 구조계산에 의한 concrete head 및 측압계산 H : concrete head의 높이(m)(측압을 구하고자 하는 지점의 타설높이), W : 단위용적 중량(t/㎥) 예) 타설속도 10~20m/h, concrete head의 높이 4.0m, 기둥측압은? (단, 콘크리트 중량 2.3t/㎥) 답 2.0X2.3t/㎥+0.8X2.3t/㎥X(4.0m-2.0)=8.44t/㎡ 측압(t/㎡) 2.5 기둥 2.0 1.5 1.0 벽 0.5 타설높이(m) 0.5 1.0 1.5 2.0 <최대측압 및 concrete head> 타설속도(m/h) Concrete head(m)구분 10 이하 10 초과~20 이하 20 초과 1.5이하 1.5초과~4.0이하 2.0 이하 2.0초과~4.0이하 4.0 이하 기 둥 WㆍH 1.5W+0.6W x(H-1.5) 2.0W+0.8W x(H-2.0) 벽 높이3m 이하 1.5W+0.2W 2.0W+0.4W 높이3m 초과 1.5W 2.0W

5-23 거푸집 존치기간 Ⅰ. 개요 ① 거푸집 및 동바리의 존치기간이란 Con’c 타설 후 소요강도가 확보될 때까지 외력 또는 자중에 영향이 없도록 존치하는 기간을 말한다. ② 거푸집의 해체 고려시 시멘트의 종류 ㆍ천후 ㆍ기온 ㆍ 보양 등의 여러 조건을 충분히 검토한 후 결정한다. Ⅱ. 존치기간 ① 기초 ㆍ보 ㆍ 기둥 및 벽의 거푸집널 존치기간은 콘크리트 압축강도 50㎏/㎠ 이상 에 도달될 때까지로 한다. 다만, 거푸집널 존치기간중의 평균기온이 10℃ 이상의 경우는 다음 표의 일수(日數) 이상일 경우는 압축강도시험 없이 해체할 수 있다. <콘크리트의 재령(일)> 시멘트의 종류 평균기온 조강 포틀랜드 시 멘 트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고로 슬래그 시멘트 특급 포틀랜드 포졸란 시멘트 A종 플라이 애시 시멘트 A종 고로 슬래그 시멘트 급 포틀랜드 포졸란 시멘트 B종 플라이 애시 시멘트 B종 20℃ 이상 2 4 5 10℃ 이상 3 6 8

Ⅲ. 해체시 유의사항 ⑤ 숙련고에 의한 작업이 실시되어야 안전사고가 예방됨. ② 바닥슬래브밑, 지붕슬래브밑 및 보밑의 거푸집널은 원칙적으로 동바리를 해체한 후에 떼어낸다. ③ 동바리의 존치기간은 슬래브밑, 보밑 모두 설계기준강도의 100% 이상 압축강도가 확인된 때까지로 한다. ④ 동바리 바꾸어 세우기는 원칙적으로 하지 않는다. Ⅲ. 해체시 유의사항 ① 거푸집의 강성은 해체시까지 유지할 것. ② Con’c의 양생에 지장이 없도록 진동 ㆍ추격 등에 유의할 것. ③ 해체의 순서는 조립의 역순으로 실시할 것. ④ 공법의 선정시 해체가 용이하고 안전한 공법을 채택할 것. ⑤ 숙련고에 의한 작업이 실시되어야 안전사고가 예방됨. ⑥ 안전사고방지를 위한 사전교육실시 및 해체시 감시자를 둘 것. ⑦ 상부층의 콘크리트 타설 후 하부층의 동바리 해체를 실시할 것.

5-24. 거푸집공사의 안전성 검토 휨강도 처짐 전단강도 처짐각 Ⅱ. 안전성 검토 flow chart Ⅰ. 개요 ① 거푸집은 컬근콘크리트 구조체를 설계도의 형상대로 만들기 위한 가설 공작물로서 거푸집널 ㆍ 동바리 ㆍ 체결철물 등으로 이루어졌다. ② 거푸집은 콘크리트 타설시 발생하는 각종 하중(Con’c 중량 ㆍ작업하중 ㆍ충격하중 ㆍ측압 등)으로부터 안전한 구조이어야 한다. Ⅱ. 안전성 검토 flow chart 하중계산 검토 강도계산 검토 처짐계산 검토 생 Con’c 중량 휨강도 처짐 작업하중 전단강도 처짐각 충격하중 생 Con’c 중량

Ⅲ. 안전성 검토 측압(t/㎡) 기둥 벽 1) 하중(외력)계산 검토 ① 생(生 : fresh) Con’c 중량 ② 작업하중(바닥판 ㆍ 보밑 거푸집만 고려 ) 강도계산용은 360㎏/㎡, 처짐계산용은 180㎏/㎡ ③ 충격하중(바닥판 ㆍ 보밑 거푸집만 고려) ㉮ 강도계산용은 1,150㎏/㎡(Con’c 중량의 ½) ㉯ 처짐계산용은 575㎏/㎡(Con’c 중량의 ¼) ④ 생(生 : fresh) Con’c 측압력 Con’c 측압의 최대값 ㉮ 벽 = 1.0t/㎡(0.5mX2.3t/㎥ = 약 1.0t/㎡) ㉯ 기둥 = 2.5t/㎡(1.0mX2.3t/㎥ = 약 2.5t/㎡) 2) 강도계산 검토 ① 휨강도 검토 ② 전단강도 검토 3) 처짐계산 검토 ① 처짐 검토 ② 처짐각 검토 측압(t/㎡) 2.5 기둥 2.0 1.5 1.0 벽 0.5 타설높이(m) 0.5 1.0 1.5 2.0 <최대측압 및 concrete head>

5-25. 거푸집의 합리화 방안 Ⅱ. 문제점 Ⅲ. 합리화를 위한 공법 Ⅰ. 개요 ① 거푸집공사는 철근콘크리트 공사비의 20~30% 정도를 차지하며, 마감작업의 바 탕인 구조체의 품질에 영향이 크므로 합리적인 재료 및 공법선정이 필요하다. ② 합리적인 시공계획을 위해서는 재료 ㆍ장비 ㆍ공법에 대한 충분한 지식과 풍부한 경 험이 필요하며, 시공계획을 수행할 능력이 있는 기능인력의 확보가 중요하다. Ⅱ. 문제점 ① 기능인력 확보 및 양성노력 부족 ② 전용횟수의 부족 ③ 시공오차가 크고 대량생산의 어려움 ④ 기업체의 신공법 기피현상 Ⅲ. 합리화를 위한 공법 ① 벽전용 거푸집 : 대형 panel form, gang form, shuttering form ② 바닥전용 거푸집 : table form, flying shore form ③ 벽 ㆍ 바닥 전용거푸집 : tunnel form(mono shell, twin shell)

Ⅳ. 합리화 방안 ⑤ 모듈화(moduld化) ④ 연속공법 ㉮ 수직 : climbing form(sliding form, slip form) ㉯ 수평 : traveling form ⑤ 무지주공법 : bow beam, pecco beam ⑥ 바닥판공법 : deck plate, half slab, waffle form, W식 Ⅳ. 합리화 방안 ① 성력화 대형 system 거푸집의 사용으로 인력절감 ② 업체의 의식개혁 전문기능인력 양성노력과 전문하도급업체 육성 ③ 공법의 개발 부재의 공업화 ㆍ 재료의 건식화 ㆍ 시공의 기계화 ④ 합리적인 현장품질관리 경험 ㆍ 직감에서 탈피하여 과정을 중시하는 합리적인 사고의 정착 ⑤ 모듈화(moduld化) 모듈화된 치수의 사용으로 전용횟수 증가 및 재료의 손실 감소

5-26 긴결재(緊結材) 및 격리재(隔離材 ;separator) Ⅱ. 긴결재(緊結材) Ⅰ. 개요 ①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의 변형 ㆍ 터짐 등을 방지하고, 거푸집 설치시 형상 그대로 를 유지하기 위한 재료를 말한다. ② 거푸집의 공간(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재료이다. Ⅱ. 긴결재(緊結材) ① Form tie(form tie bolt, form tie rod, 긴장재) ㉮ Form tie는 벽체와 기둥의 거푸집이 굳지 않은 콘크리트 측압에 저항할 수 있 도록 최종적으로 잡아주는 부재이다. ㉯ 관통형(through type), 매입형(embedded type), flat tie bar 등이 있음. ② 철선(steel wire) ㉮ 철선은 form tie 등이 사용될 수 없는 곳 및 기타 보조역할로 사용된다. ㉯ #8,#10 철선이 주로 사용되며, 철선 인장강도 40%를 허용하중으로 계산한다. ③ Wire rope 및 turn buckle ㉮ 수평하중에 저항하는 부재로서 거푸집에 버팀대를 설치하기 어려운 곳에 설치 하여 인장저항하는 긴결재이다. ㉯ 구성부재로는 wire rope ㆍturn buckle ㆍturn buckle bolt ㆍ shackle 등이 있다. ④ Column babd ㉮ 기둥 체결재로서 기둥의 측압에 저항하는 역할을 한다. ㉯ 종류에는 평형(flat bar type), 각형(angle bar type) 찬넬형(channel type)이 있다.

Ⅲ. 격리재(隔離材; separator) ① 철근 및 철판제 철선과 같이 주고 사용되며 철선에 의해 긴장한 거푸집이 소정의 간격 이하로 변 형하는 것을 방지한다. ② Pipe제 주로 form tie와 같이 사용되며 form tie에 의해 긴장된 거푸집이 소정의 간격 이 하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③ 모르타르제 주로 기성제가 많이 사용되며 콘크리트 구조체와 재료의 특성이 같아 유리하다.

5-27 박리제(剝離劑 : form oill) Ⅱ. 분류 Ⅰ. 개요 ① 박리제란 거푸집과 콘크리트의 부착을 감소시켜 탈형을 쉽게 하고, 거푸집의 전용 률을 높이기 위한 거푸집 도포제를 말한다. ② 거푸집의 종류, 콘크리트의 종류, 콘크리트 타설방법, 마무리공사의 시방 등의 조건 을 충분히 고려하여 선정하여야 한다. Ⅱ. 분류 ① 비눗물 ㆍ 지방산유제(脂肪酸乳劑) ② 유성계(油性系) :광물유(鑛物有)에 각종의 첨가제 배합 ③ 폐유(廢油)ㆍ경우(輕油) : 지방유(脂肪猷) 첨가 ④ 합성수지 : 우레탄(urethane), 에폭시(epoxy), 스티렌(styrene), 알키드(alkyd)계 ⑤ 왁스(wax) : 파라핀(paraffin), 천연왁스 Ⅲ. 요구성능 1) 목제 거푸집(생목, 합판) ① 흡수를 방지하고, 거푸집의 치수변화를 방지 ② 마감공사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 2) 금속제 거푸집(강제, 아연제, 알루미늄제) ① 방청효과가 있을 것. ② 아연 ㆍ 알루미늄은 양성(兩性) 금속이므로 내알카리성과 피막성이 높을 것.

Ⅳ. 효과 ① 거푸집의 탈형을 용이하게 함. ② 거푸집의 전용횟수를 증가시킴. ① 거푸집의 탈형을 용이하게 함. ② 거푸집의 전용횟수를 증가시킴. ③ 콘크리트의 경화불량 방지 ④ 수분흡수방지 및 방청효과 Ⅴ. 시공시 유의사항 ① 거푸집 종류에 상응한 박리제를 선택 사용 ② 박리제의 도포 전에 거푸집면의 청소철저 ③ 균일하며 적정략의 박리제 도포 ④ 금속제 거푸집의 방청제가 굳어지면서 건조피막이 형성되지 않도록 유의 ⑤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의 온도, 탈형시간 준수 ⑥ 철근에 묻지 않도록 유의(부착강도 저하) ⑦ 콘크리트 색조에 영향이 없는지를 시험 사용한다.

5-28 Camber Ⅰ. 개요 ① Camber란 거푸집의 동바리 또는 흙막이공사의 버팀대(strut)를 조정하기 위한 쐐 기모양의 나무조각 또는 철판 등을 말한다. ② P.C조 ㆍR.C조 ㆍ S조 ㆍS.R.C조 등의 수평부재(slab, girder 등) 의 만곡(처짐예상) 제작 및 교량 girder ㆍ도로면 치켜올림 등을 말하기도 한다. Ⅱ. 적용대상 1) 건축공사 ① 흙막이공사 ② 거푸집공사 2) 구조별 ① P.C조 ② R.C조 ③ S조 ④ S.R.C조 3) 토목공사 ① 교량공사

Ⅲ. 분류 ① 쐐기모양 버팀대(sturt) 및 동바리를 조정 ② 수평부재 P.C조 ㆍR.C조 ㆍ S조 ㆍS.R.C조 등의 수평부재(slab, girder 등)의 만곡(처짐예상) 제작 ③ 기타 ㉮ 교량 girder의 만곡(처지예상) 제작 ㉯ 도로면의 장기처짐을 예상하여 소정의 높이보다 더 높여(치켜올림) 시공

5-29 거푸집공사 관련용어 1) 와이어 클립퍼(wrie cliper) 2) 요크(york) 3) 클램프(clamp) 거푸집 긴장철선을 콘크리트 강화 후 전달하는 절단기 2) 요크(york) 슬라이딩 폼 공법에서 거푸집을 수직으로 끌어올리는 장비 3) 클램프(clamp) ① 강재로서 나무구조의 이음 ㆍ접합 등의 보강에 사용되는 철물 ② 강관비계의 조립에 사용되는 파이프 상호를 결합하는 철물 4) 스페이서(spacer) 철근과 거푸집의 간격유지로 피복두께 확보하는 간격제(굄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