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질환 심방세동 심근경색 협심증 심부전 심장판막 질환 심장질환 뇌졸중 자체 ⇒ 허혈성심근경색증 등의 심장병의 중요한 위험인자 상당수의 뇌졸중 환자 ⇒ 뇌졸중 발병후 심장병 으로 사망 심장병이 있는 경우는 뇌졸중의 예방에 관심을 두자!!! 뇌졸중이 있는 경우는.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흡연. 담배의 성분 담배의 성분 담배연기 속 약 4,000 여종이나 되는 많은 독성 화 학물질 존재한다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담배는 불에 탈 때 그 중심온도가 섭씨 900 도에 이 르게 됩니다. 고온에서 유기물질이 열분해, 열합성, 증류, 승화, 수소화, 산화, 탈수화.
Advertisements

“ 죽음을 방관하시겠습니까 ? ” 신체활동부족이 어떤 결과로 다가올까 ? 북구보건소 운동처방사 사영훈.
건강한 혈관을 지키기 위해 … 김 용 규 가톨릭대 성모병원 산업의학센터. 우리나라 사람들은 무슨 이유로 사망을 할까요 ?
어지럼증 이란 ? 어지럼증의 원인은 ? 노인에서 어지럼증이 많은 이유는 ? 어지럼증은 어떻게 진료를 받는가 ? 어지럼증의 치료는 ?
신체활동을 늘려야 건강. 중국의 세 살 소년 이 아이는 건강할까요 ? 이 사람은 건강할까요 ?
 덕정고등학교 보건교사 한희영 4 분의 기적 ! 심폐소생술  한해 심정지 환자수 : 2 만명  생존률 : 2.4% - 미국 : 8.4%, 일본 :10%  심정지 환자 목격률 : 40%  심폐소생술 시도율 : 1.4% 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 5 조 2.
틱장애 (TIC DISORDER) 권영신 전선옥. 목차 정의 원인 증상 경과 진단 검사 치료방법.
목차  소금과 나트륨  소금은 얼마나 먹어야 할까 ?  소금을 많이 먹으면 ?  음식에 들어있는 소금량  싱겁게 먹는 방법.
고지혈증과 식이 영문중학교 영양교사 최정숙. 고지혈증이란 ? 혈액 중에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이 높은상태.
Powerpoint Templates Page 1 고혈압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이종영. Powerpoint Templates Page 2 순위전 체전 체사망자 1 악성 신생물 ( 암 ) 73,759 2 심장질환 26,442 3 뇌혈관질환 25,744 4 자살 14,160.
뇌심혈관계질환 예방을 위한 기초질환관리 - 대사 증후군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보건대학원 정 혜 선.
뇌졸중예방 및 치료 신세계병원 김병기신경과과장.
2011 NEW 심폐소생술 수연특수아어린이집 강대건.
식생활지침 ..
1.1 만성질환의 개념 1) 만성질환(Chronic diseases) : 비감염성 질환 (1) 만성질환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3. 첨단 과학과 질병 치료 3. 생명을 위협하는 암.
뇌졸중 안창평,현주환,이승엽.
혈우병 발표자 : 조은아.
B형 간염 환자의 임상증례 . 안산자생한방병원 진단검사실 우성혜, 최정아.
관절염 용인 세브란스병원 정형외과 과장 김형식.
EDH vs. SDH.
뇌졸중 (stroke)의 영상적 접근 건국대 충주병원 방사선과 최영칠.
lung and massive intra abdominal lymphadenopathy.
뇌신경계 뇌혈류검사[Brain Perfusion SPECT]
뇌졸중 대상자 관리.
퇴행성 신경질환.
심근경색 Myocardial Infarction
두통의 방사선학적 접근 건국대학교 충주병원 방사선과 최 영 칠.
ER(응급실) CASE STUDY 서효혜.
7. 자극과 반응 7-2. 신경계 2. 신경계의 구성.
구강악안면외과 환자와 치과위생사.
수술 전/후 사진. 수술 전/후 사진 관절경 수술 적용 질환 7. 수술 후 처치 및 재활 치료 1) 수술 시 발생한 창상 부위(약 1cm 정도)는 감염의 예방을 위해 약 5~7일 정도 소독하며, 수술 후 다리는 누워있는 자세에서 무릎과 발목이 가슴보다 약간 위쪽에.
종양계 67Ga 검사 123I-MIBG 종양 검사 131I-MIBG 종양 검사 99mTc-MIBI 종양 검사
순환기계 TI-201 Myocardium SPECT 99mTc-MIBI 심근 검사 (99mTc-MIBI)
내분비계 99mTcO4- 갑상선 검사[Thyroid scan] 부갑상선 검사 요오드전신 검사
근관치료학 개요.
증 례 56세 남자환자 내원 6개월전에 골수 이형성 증후군 (Myelodysplastic syndrome)진단후 항암화학치료 받았으나 급성 골수구성 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으로 진행하여 입원.
♠ 비타민 비타민이란 ? * 지용성 비타민 : A,D,E,K * 수용성 비타민 : B군, C
피임이란?.
ECG (ElectroCardioGram)

시.지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기능과 일상생활 활동 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전기진단검사 I.
운동처방론 우송대학교 스포츠건강재활학부 김 명 화.
활기찬 하루를 여는 “건강 박수 !!!”.
알칼리증(alkalosis)및 저혈당이 유산증(lactic acidosis)을 유발한 증례
Infusion pump (의약품 자동주입기)
비침습성양압환기(Non-invasive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하는 환자에게서 호기 기도 양압 올리는 경우 공기 삼킴증 (Aerophagia) 에 의한 횡격막 기능 부전위험성 있다.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소화기내과 강석진, 김현진
요독성 뇌병증(uremic encephalopathy)에 의한 발작후 저환기 (postictal hypoventilation)
청소년 흡연 원광중학교 이 정 란.
마음이 아프세요? 무엇이 왜 우리 마음을 아프고 병들게 할까요?.
인지활동을 병행한 운동훈련이 치매노인의 균형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골격계 전신 뼈 검사 뼈 삼상골 검사 뼈 단층 영상검사 [Whole body Bone scan]
스트레스와 건강.
장창숙 순환장애.
Automatic nerve system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제6장 비만과 체중부족.
폐암 이란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김 세 규.
의학전문대학원 신경생물학교실 원무호.
임상시험대상자 모집 공고 건강한 남성 자원자에서 rosuvastatin과 ezetimibe 각 약물의 단독투여 시와 rosuvastatin 및 ezetimibe 병용투여 시 약동학적 상호작용 및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임상시험   가천대 길병원 임상시험센터에서는 상기.
기체상태와 기체분자 운동론!!!.
근로자의 건강증진 활동.
몸도 마음도 청 춘 윤 금 노 인 요 양 원.
인간생명과 질병 생활응급 강원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과교실 문중범.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 (Autometed External Defibrillator)
13-1 전기적 위치에너지 / 전위 Prof. Seewhy Lee.
Presentation transcript:

심장질환 심방세동 심근경색 협심증 심부전 심장판막 질환

심장질환 뇌졸중 자체 ⇒ 허혈성심근경색증 등의 심장병의 중요한 위험인자 상당수의 뇌졸중 환자 ⇒ 뇌졸중 발병후 심장병 으로 사망 심장병이 있는 경우는 뇌졸중의 예방에 관심을 두자!!! 뇌졸중이 있는 경우는 심장에 대한 철저한 검사가 필요

비만 표준체중보다 20%이상 초과시 직접적인 위험인자라기 보다는 간접적인 위험인자-고혈압,당뇨병,고지혈증이 잘 생긴다. 그래서 체중감소는 뇌졸중 발생 감소

코골이 코골이를 하는 사람은 뇌경색 발생률이 약 2배로 증가합니다. Palomaki H. Snoring and the risk of ischemic brain infarction. Stroke 1991 Aug;22(8):1021-5

추운날씨 기온이 낮은 겨울철에는 특히 뇌출혈 발생률이 약 30%정도 증가합니다. D. Jakovljevic, V. Salomaa, J. Sivenius, M. Tamminen, C. Sarti, K. Salmi, E. Kaarsalo, V. Narva, P. Immonen-Raiha, J. Torppa, and J. Tuomilehto. Seasonal Variation in the Occurrence of Stroke in a Finnish Adult Population: The FINMONICA Stroke Register. Stroke, October 1, 1996; 27(10): 1774 - 1779.

기타 * 환절기 성격:안절부절못하고, 화를 잘 내고, 남을 오래 기다리지 못하고, 말을 급하게 빨리 하며, 남이 자신을 인정해 주길 원하는 성격 스트레스 및 정신적 충격 주로 많이 앉아서 보내는 경우 유전; 뇌경색, 뇌출혈보다 지주막하 출혈, 모야모야병에서 유전경향이 강하다.

뇌졸중을 촉발시키는 것 다음과 같은 상황은 조심해야 한다. 과도한 음주 갑작스럽게 추운 곳에 노출 심한 스트레스 지나치게 심한 운동, 과로, 흥분 탈수상태 감기나 감염

뇌졸중발생시 행동 요령 옷을 느슨하게 해서 호흡이 잘 되도록 하고 토하는 경우 고개를 옆으로 돌려 이물질이 기도를 막지 않게 조치한 후 빨리 병원으로 후송. 혈전용해제(첫 3시간이내) cf) 의사에 진찰 받기까지의 평균시간: 6 -24시간 손가락을 따기도 하고, 혈압약, 우황청심환 등을 입에 넣기도 하는데 삼키는 기능이 마비된 환자에게 음식이나 약을 복용케 하는 것은 기도를 막아 질식 시킬 수 있으므로 매우 위험

뇌졸중 환자가 병원에 빨리 와야 하는 이유 적절한 응급치료가 환자의 생명을 좌우할 수 있다(혈압조절,뇌압조절,기도유지 등) 혈전 용해 치료를 할 수 있다(3시간이내), 시간이 지나면 출혈가능성만 높아지고 뇌세포를 소생시킬 수 없다. 증상이 가벼울 때 원인을 빨리 조사하여 재발을 막을 수 있다. 지주막하 출혈인 경우 재출혈의 위험이 크므로 빨리 병원에 와서 수술을 받아야 한다.

뇌졸중의 진단 병력청취-현병력,과거력,가족력 내과적 진찰 –심장청진,심전도 신경과적 진찰 CT, MRI(뇌안의 구조 검사) MRA, 뇌혈관 조영술, 초음파(혈류 및 혈관 검사) 핵의학적 검사(SPECT,PET)-뇌기능검사

신경학적 검사

심전도 검사

심장 초음파 검사

단일광자 방출 전산촬영술 (SPECT) 정상 뇌경색

뇌 혈관 촬영술 내경동맥 협착 (95%) 내경동맥 완전 폐색 정상 경동맥

뇌혈관 조영술

뇌혈류 검사(TCD)

뇌졸중과 감별해야할 병은? 만성 두통 전정 기관 질환 안면신경마비 뇌종양 노인성 치매 파킨슨씨 병 (알쯔하이머 병) 본태성 진전증 간질(경련) 안면신경마비 노인성 치매 (알쯔하이머 병) 말초신경 장애 신경증

뇌세포의 특성 실험적으론 6시간 이내에 막힌 혈관을 열어 주지 않으면 소생시킬 수 없다. 뇌세포는 다른 조직과 달리 출생 시 이미 분화가 끝난 상태로 한번 손상되면 다시 소생하지 않는다. 실험적으론 6시간 이내에 막힌 혈관을 열어 주지 않으면 소생시킬 수 없다.

뇌졸중의 내과적 치료 응급 치료 (응급 처치, 혈압 치료, 뇌압 조절) 뇌경색 환자에서의 약물 치료 - 혈전 용해제 (혈관을 뚫는 약) - 항응고제 (헤파린, 와파린(쿠마딘)) - 항혈소판제 뇌출혈의 치료 - 혈압 조절, 뇌압 조절, 필요시 수술

혈전용해치료

혈전 용해제 동맥을 통한 혈전 용해제의 투여 정맥을 통한 혈전 용해제의 투여 장점: 효과가 더 크다고 볼 수 있다. 단점: 장비와 인력 (대형병원), 뇌출혈의 부작용, 뇌졸중 발생 6시간 이내에 약물이 투입돼야 한다. 정맥을 통한 혈전 용해제의 투여 장점: 편리하다. 단점: 3시간 이내에 약물이 투여돼야 한다. 출혈의 부작용

항응고제 피가 굳지 않도록 하는 약물 주의 사항 헤파린 : 급성기 쿠마딘 (와파린) : 급성기가 지난 후 출혈의 위험성 정기적 피검사(PT/INR,PTT)

항혈소판제 혈소판의 작용을 방해하여 혈전이 생기는 것을 막는다. 주의 사항 아스피린, 티클로피딘, 트리플루잘 항응고제에 비해 약물 부작용은 적다. 위장 장애, 간기능 장애

약물치료(항혈소판제, 항응고제)는언제까지 시행하는가? 뇌졸중에 한 번 걸리면 증상이 좋아졌다 해도 뇌혈관이 손상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재발하기 쉽다. 따라서 지속적인 위험인자의 조절 과 함께 평생동안 약물을 복용해야 한다.

뇌졸중의 외과적치료 뇌출혈의 양이 많은 경우 뇌동맥의 폐색이 심한 경우 소뇌경색증의 부종이 심한 경우 지주막하 출혈 : 혈관확장술 소뇌경색증의 부종이 심한 경우 : 감압술 지주막하 출혈

풍선 혈관 확장술 풍선을 확장하여 좁아진 부위를 넓힘 좁아진 부위에 도자 삽입

혈관 내 스텐트 시술 CT 혈관촬영 뇌 혈관촬영 내경동맥 협착 스텐트 시술 후

경동맥 내막 절제술

뇌졸중의 치료경과 뇌졸중3-4일 이내에는 상태의 변화가 심하며(뇌부종,합병증,기존질환의 악화) 대개 1-2주일 후 안정화되어 회복기에 접어든다. 초기 3-6개월까지 회복이 빠르고 이후는 느리다. 2년후까지 남은 증세는 영구적 장애로 남는다. 조기의 적절한 재활치료는 회복을 빠르게 한다. 뇌졸중 환자의 약 70-80% 정도는 독립적인 생활이 가능하다.

뇌졸중의 흔한 합병증 우울증 욕창 관절 경직 폐염 요로감염 심장병 뇌졸중 급성기에는 페염이라든지 요로감염증이 잘 동반되는데, 뇌졸중의 흔한 합병증 폐염 요로감염 심장병 우울증 욕창 관절 경직 뇌졸중 급성기에는 페염이라든지 요로감염증이 잘 동반되는데, 뇌졸종 급성기에 사망원인의 대부분을 차지 하게 되지요. 또 대부분 심장병이 동반되어 있기때문에 심장병이 악화되기도 하구요. 의식이 또렷한 환자분들에서는 몸이 말을 듣지 않기 때문에 심한 우울증에 빠지게 되지요. 또 오랫동안 누워 움직이지 못하기때문에 욕창이 생기고 마비된 팔 다리의 관절이 굳게 되지요. 따라서 급성기에는 입원를 통해 이와같은 합병증에 대한 치료를 철저히 받아야 하구요. 가능한한 빨리 물리치료를 시작해서 관절의 경지햔상을 막아야 하지요.

일반적인 치료 및 재활,간호 1.안정 -초기에 절대 안정,주위를 가능한 조용하게 2.자세 바꾸기(욕창예방) -2시간마다 환자의 자세를 좌우로 바꾸고 눌렸던 부위를 잘 말리고 마사지를 한다. -공기침대를 사용

3.의식이 나쁘거나 삼키는 기능이 떨어진 환자에게 약물이나 음식물을 입안에 넣은 것은 매우 위험하다-폐렴 유발 4.관절운동 -관절이 굳고 근육이 위축되는 것을 방지 5.재활 치료 - 재활치료는 환자의 회복을 빠르게 한다.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선택을 한다. -운동장애,균형장애,언어장애 등에 대한 재활치료

-자극적인 것, 기름진 음식, 짠 음식, 단 음식은 가급적 피하고 채소류나 과일을 먹자. -위험인자에 따라 식단을 달리하자!! 6.식이조절에 대해 -특별히 가려야 할 음식은 없다. -자극적인 것, 기름진 음식, 짠 음식, 단 음식은 가급적 피하고 채소류나 과일을 먹자. -위험인자에 따라 식단을 달리하자!! -커피 : 하루 4-5잔 이상은 혈압이 오를 수 있고 심장병의 위험도 증가한다. .

뇌졸중을 막으려면 1.정기적인 신체검진 2.고혈압,당뇨병,고지혈증 등의 철저한 관리 3.금연, 과음안하기 4.적절한 운동을 규칙적으로 5.건강한 식생활 6.심장병이 있다면 뇌졸중 예방에 대하여 의사와 상의. 7.뇌졸중을 한번 겪는 환자는 재발을 막기 위해 치료를 중단해서는 안 된다.(rebound 현상)

가장 이상적인 뇌졸중의 치료 예 방

■ 뇌졸중 발생률 계산(남자) 예제1) - 70세 남자, - 수축기혈압 : 180mmHg - 고혈압치료 중 - 당뇨(+) - 흡연(+) * 나이 5점, 수축기혈압 7점, 고혈압치료 2점, 당뇨 2점, 흡연 3점 (총 19 점)

■ 뇌졸중 발생률 계산(남자) 예제1) - 19점에 해당하는 10년 뇌졸중발생률은 32.9%임. - 70세 남자의 평균 10년 뇌졸중발생률이 13.7%이므로, 이 사람의 10년 뇌졸중발생률은 평균에 비해 2.4배임. * 연령별 10년 뇌졸중발생률

■ 뇌졸중 발생률 계산(여자) 예제2) - 65세 여자, - 수축기혈압 : 150mmHg - 고혈압치료 중 - 심방세동(+) * 고혈압치료중인 여자의 위험점수는 수축기혈압에 따라 다릅니다.(뒤)

■ 뇌졸중 발생률 계산(여자) 예제2) - 나이 3점, - 수축기혈압 5점, - 고혈압치료 3점, - 심방세동 6점 고혈압치료 중고혈압치료 중 수축기혈압 : 150mmHg => 3점 - 나이 3점, - 수축기혈압 5점, - 고혈압치료 3점, - 심방세동 6점 ( 총 17점 )

■ 뇌졸중 발생률 계산(여자) 예제2) 17점에 해당하는 10년 뇌졸중발생률은 22.8%임. 65세 여자의 평균 10년 뇌졸중발생률이 7.2% 이므로, 이 사람의 10년 뇌졸중발생률은 평균에 비해 3.2배임. * 연령별 10년 뇌졸중발생률

이제부터 어떻게 해야 할까요?

뇌졸중 예방 지침 (2001, 미국뇌졸중학회) 성인남녀의 경우 적어도 2년에 한번 이상 혈압을 측정해야 한다. 고혈압이 있는 경우 적절한 치료를 통하여 140/90 미만으로 혈압을 유지해야 한다. 모든 흡연자들에게 금연을 권고한다. 당뇨병 환자의 경우 혈당 조절과 함께 동반되는 고혈압에 대한 철저한 조절이 요구된다. 심한 경동맥 협착이 있는 경우 예방적 수술을 고려할 수 있으나 신중해야 한다. 심방세동이 있는 경우 연령 및 다른 위험 인자를 고려하여 아스피린이나 항응고제 중 하나를 선택하여 투여해야 한다.

뇌졸중 예방 지침 (2001, 미국뇌졸중학회) 고지혈증은 관상동맥질환과 다른 위험 인자를 고려하여 치료한다. 비만한 경우 체중을 줄일 것을 권고한다. 매일 30분 이상 적절한 강도의 운동을 하라. 매일 적당량의 과일과 채소를 섭취하라. 남자는 매일 두잔, 여자는 매일 한잔 이하로 음주를 제한하라. 매일 일정량의 엽산 (400g) 및 비타민 B6 (1.7mg) 와 B12 (2.4 g )를 채소/과일/육류/생선/곡식의 형태로 섭취할 것을 권고한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