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과 실업의 상충관계 © 2007 Thomson South-Western.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경제 경영 이야기 -9 기준금리 Call 금리. 기준금리 Official Bank Rate 한국은행이 금융회사와 거래하는 금리로 월부터 금융통화위원회가 발표하는 정 책금리를 기준금리로 바꾸고 대표적인 기준금 리인 RP 금리를 정례적으로 발표. 미국의 정책금리.
Advertisements

정부의 역할 – 재정정책과 통화정책. POD&mid=tvh&oid=422&aid=
© 김경환, 김종석 제 31 장 총수요와 총공급. © 김경환, 김종석 경기변동의 세 가지 중요한 특징  경기변동은 불규칙적이고 예측하기 어렵다. -불경기와 호경기가 반복되지만, 그 지속기간에는 일정한 패턴이 없다.  대부분의 거시경제변수들은 함께 움직인다. -소득,
4D기술로 인한 책의 인터페이스 변화 : 디지로그북
사회적 비용&외부효과 이별희 최미니.
고장률 failure rate 어떤 시점까지 동작하여 온 품목이 계속되는 단위기간내에 고장을 일으키는 비율(횟수). 고장률은 확률이 아니며 따라서 1 보다 커도 상관없다. 고장이 발생하기 쉬운 정도를 표시하는 척도. 일반으로 고장률은 순간고장률과 평균고장률을 사용하고 있지만.
완전경쟁시장.
경쟁시장 © 2007 Thomson South-Western.
Samsung Electronics 5 forces
Ⅴ. 시장형태와 산업조직 완전경쟁시장 독점시장 독점적 경쟁시장 과점시장.
통화량 증가와 인플레이션.
생산비용.
제 18 장 생산요소시장 1.
거시경제학 강의 1 거시경제학에의 초대.
제 7 장 공급곡선의 이면: 투입과 비용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제 7 장 생산비용.
인플레이션, 총수요, 총공급 CHAPTER 28.
제25장 거시경제문제 : 실업과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과 실업의 상충관계.
금융정책과 재정정책이 총수요에 미치는 효과.
개방경제의 거시경제 이론 © 2007 Thomson South-Western.
[예제] 의사결정나무 현재의 공장을 기술적 진부화에 대비하여 현대화하는 문제를 고려 중인 상태에서,
거시경제정책의 이론과 실제 CHAPTER 29.
생산요소시장.
제 18 장 화폐공급과 화폐수요.
소비자, 생산자, 시장의 효율성 © 2007 Thomson South-Western.
14-1 명목 및 실질 이자율 화폐단위로 나타낸 이자율을 명목이자율(nominal interest rates)라 한다.
17-1 기대와 결정: 기대, 소비 및 투자 결정 Figure 기대와 지출채널
제 16 장 총공급과 총수요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제V편 실업과 인플레이션 제17장 필립스 곡선 1.필립스 곡선(Phillips Curve)의 의미와 발전
제7장 생산량과 생산비 7-1 생산비용 7-3 단기비용함수 7-4 장기비용함수 7-5 결합생산물의 수입극대화조건
응용 : 조세의 경제적 비용 © 2007 Thomson South-Western.
제 7 장 거시경제의 단기균형: 폐쇄경제.
6 거시경제의 장기균형:폐쇄경제.
제19장 솔로우 모형 제1절: 인구가 일정하고 기술진보가 없는 경우 제2절: 인구가 증가하는 경우
P 등속 직선 운동 생각열기 – 자동차를 타고 고속도로를 달릴 때, 속력계 바늘이 일정한 눈금을 가리키며 움직이지 않을 때가 있다. 이 때 자동차의 속력은 어떠할까? ( 속력이 일정하다 .)
제10장 단기총공급이론 제1절 케인즈학파의 단기총공급이론 제2절 합리적 기대론자들의 단기총공급 이론 제3절 장기총공급곡선
개방경제의 거시경제 이론.
제16장 투자 제1절 토빈의 q이론 제2절 옵션이론 제3절 건축투자 제4절 재고투자 제5절 맺음말.
제 17 장 재정정책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4 가격 경직성과 총공급곡선.
경기안정화정책: 연방준비제도의 역할 CHAPTER 27.
7.1 경기변동의 후생비용.
경제학원론 제 3 장 탄력성의 개념과 경제적의의 1.
제 33 장 총수요와 총공급.
3 시장청산과 총공급곡선.
제11장 실물경기변동이론 제1절 경기변동의 정형화된 사실 제2절 시장균형모형 제3절 기술충격과 실물경기변동이론 제4절 평가
기술보증기금.
국제무역론 10 판 도미니크 살바토레 John Wiley & Sons, Inc.
제 3 장 공급과 수요 (Supply and Demand)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재무이론의 기초.
제5장 무차별곡선과 현시이론 5-1 무차별곡선.
6 거시경제의 장기균형:폐쇄경제.
제 2 장 수요와 공급의 기본사항들.
제8장 개방거시경제이론 제1절 주요개념 제2절 먼델-플레밍 모형 제3절 고정환율제도와 소규모 개방경제
제 4 장 가격 경직성과 총공급곡선.
4 가격 경직성과 총공급곡선.
경 제 학 원 론 경제학원론 제12장 실업과 인플레이션.
제 11 장 독점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행성을 움직이는 힘은 무엇일까?(2) 만유인력과 구심력 만유인력과 케플러 제3법칙.
소비자 선택 이론 © 2007 Thomson South-Western.
총수요와 총공급.
경제학자처럼 생각하기.
제 2 장 경제모형: 상충관계와 무역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전류의 세기와 거리에 따른 도선 주변 자기장 세기 변화에 대한 실험적 고찰
9 총수요곡선: 개방경제.
경제학자처럼 생각하기.
제 18 장 화폐, 연방준비제도와 통화정책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중국 중산층 장기 해외여행자 증가 이유 언어정보학과 김예원.
CHAPTER 8 완전경쟁과 공급곡선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Presentation transcript:

인플레이션과 실업의 상충관계 © 2007 Thomson South-Western

실업과 인플레이션 자연실업률은 노동시장의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인플레이션은 주로 통화량의 증가속도에 의해 결정된다. 최저임금제, 노동조합의 시장 지배력, 효율임금, 직업탐색의 효과성 등이 예이다. 인플레이션은 주로 통화량의 증가속도에 의해 결정된다.

실업과 인플레이션의 단기 상충관계 단기적으로 실업과 인플레이션 사이에 상충관계가 존재한다 정부가 총수요를 증가시키면 실업이 감소하지만 대신 인플레이션이 증가한다. 정부가 총수요를 감소시키면 인플레이션이 완화되지만 대신 실업이 증가한다.

필립스곡선 필립스곡선(Phillips curve)은 인플레이션과 실업 사이의 상충관계를 나타낸다.

그림 35.1 : 필립스곡선

총수요, 총공급, 필립스곡선 필립스곡선은 주어진 총공급곡선에 대해 총수요곡선이 이동함에 따른 단기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의 조합을 보여준다.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총수요가 많을수록 산출량이 높고 물가수준도 높다. 산출량이 높을수록 실업률은 낮다.

그림 35.2 : 필립스곡선과 총수요 : 총공급모형의 관계

필립스곡선의 이동 필립스곡선은 정책입안자에게 선택가능한 인플레이션과 실업의 조합에 관한 메뉴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인다.

장기 필립스곡선 1960년대에 프리드만(Friedman)과 펠프스(Phelps)는 인플레이션과 실업이 장기적으로 아무 관련이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따라서 장기 필립스곡선은 자연실업률 수준에서 수직이다. 금융정책은 단기에는 효과적일수 있지만 장기에는 효과가 없다.

그림 35.3 : 장기 필립스곡선

그림 35.4 : 장기 필립스곡선과 총수요 : 총공급모형 사이의 관계 그림 35.4 : 장기 필립스곡선과 총수요 : 총공급모형 사이의 관계

자연적( “Natural”)의 의미 자연실업률 (“natural” rate of unemployment) 은 경제가 장기적으로 지향하는 실업률이다. 자연실업률은 반드시 바람직한 것은 아니고 늘 일정하지도 않다. 금융정책은 자연실업률을 변화시킬 수 없지만 노동시장을 강화하는 다른 정책들은 자연실업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론과 증거의 조화 질문: 장기 필립스곡선이 수직이라는 고전학파 거시경제학 이론과 단기에는 실업과 인플레이션 사이에 상충관계가 있다는 실증적 증거를 어떻게 조화시킬 수 있을까?

단기 필립스곡선 예상 인플레이션은 사람들이 전반적인 물가수준이 얼마나 변동할 것으로 기대하는지를 나타낸다. 장기적으로 예상인플레이션은 실제 인플레이션의 변동에 맞춰 조절된다. 중앙은행은 단기에만 예상치 못한 인플레이션을 일으킬 수 있다. 사람들이 인플레이션을 기대하면 실업률을 자연실업률보다 낮게 유지시키는 유일한 방법은 실제 인플레이션율을 예상인플레이션보다 높게 유지하는 길이다.

예상 인플레이션과 단기 필립스곡선 실업률과 자연실업률, 실제 인플레이션과 예상 인플레이션 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실업률= 자연실업률 – a (실제 인플레이션-예상 인플레이션)

그림 35.5 : 예상 인플레이션율에 따른 단기 필립스곡선의 이동

자연실업률에 관한 자연적인 실험 자연실업률 가설(natural-rate hypothesis): 궁극적으로 실업률은 인플레이션에 관계없이 자연실업률로 돌아간다는 이론 역사적 관찰은 자연실업률을 입증한다. 마이너스 기울기를 갖는 안정적인 필립스곡선의 개념은 1970년대 초에 붕괴되었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 미국은 높은 인플레이션과 높은 실업률을 동시에 경험했다.

그림 35.6 : 1960년대의 필립스곡선

그림 35.7 : 필립스곡선의 소멸

총공급 충격과 필립스곡선의 이동 역사적 사건들은 인플레이션 예상이 변함에 따라 단기 필립스곡선이 이동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단기 필립스곡선은 총공급 충격에 의해서도 이동할 수 있다. 해로운 총공급 충격은 실업과 인플레이션 사이의 상충관계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총공급 충격과 단기 필립스곡선의 이동 총공급충격(supply shock): 기업의 비용을 직접적으로 변화시키고 결과적으로 기업이 책정하는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사건 총공급충격은 총공급곡선을 이동시키고 따라서 필립스곡선을 이동시킨다.

그림 35.8 : 해로운 공급충격

총공급충격과 필립스곡선의 이동 1970년대에 OPEC이 원유 생산량을 감축하고 세계 원유가격을 인상했을 때 정책당국은 두 가지 대안 중에 선택을 해야 했다. 총수요를 확대하여 실업률을 낮추고 더 높은 인플레이션을 받아들일 것. 총수요를 감축하여 인플레이션을 낮추고 더 높은 실업률을 받아들일 것.

인플레이션 저감정책의 비용 인플레이션을 낮추려면, 중앙은행이 통화긴축정책(contractionary monetary policy)을 시행해야 한다(예: 금리인상). 중앙은행이 통화긴축정책을 시행하면 시중 금리가 상승, 민간 투자와 소비가 위축된다. 이에 따라 총수요가 감소하여, 물가 상승 진정. 그러나 경기침체와 실업이 유발된다.

그림 35.9 : 1970년대의 공급충격

그림 35.10 : 긴축 금융정책의 단기와 장기 효과

희생비율 (Sacrifice Ratio) 인플레이션을 낮추기 위해 어떤 경제든 실업률이 높고 산출량이 낮은 기간을 겪어야 한다. 중앙은행이 인플레이션을 낮추려 하면 경제는 단기 필립스곡선을 따라 움직인다. 경제의 인플레이션은 낮아지지만 실업률은 높아진다.

희생비율 희생비율(sacrifice ratio): 인플레이션을 1% 포인트 낮추기 위해 줄어드는 연간 산출량의 % 포인트 미국의 희생비율 추정치는 5이다. 따라서 1979년에 인플레이션을 10%에서 4%로 낮추려 했다면 연간 산출량은 30% 낮아졌을 것이다.

합리적기대 이론 합리적기대 이론은 사람들은 미래를 예측할 때 자신들이 지닌 모든 정보(정부 정책에 관한 정보를 포함) 를 최적으로 사용한다.

합리적기대와 고통 없는 인플레이션 저감정책 예상인플레이션은 실업과 인플레이션 사이에 왜 단기에는 상충관계가 있지만 장기에는 상충관계가 없는지를 설명해 준다. 단기 상충관계가 얼마나 빨리 사라질지는 인플레이션 예상이 얼마나 빨리 조정될지에 달려 있다. 합리적기대 이론은 회생비율이 추정치보다 훨씬 작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볼커의 인플레이션 저감 정책 폴 볼커 (Paul Volcker)가 연방준비제도 이사회 의장이었던 1970년대에 인플레이션은 미국의 가장 심각한 문제 중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었다. 볼커 의장은 인플레이션을 10%에서 4%로 낮추는데 성공했지만 실업률은 1983년에 10%까지 높아졌다.

그림 35.11 : 볼커의 인플레이션 저감정책

그린스펀 시대 앨런 그린스펀 (Alan Greenspan) 이 연방준비제도 이사회 의장 재임 초기에 이로운 총공급충격이 있었다. 1986년에 OPEC 회원국들은 원유 공급량을 줄이기로 한 합의를 지키지 않았다. 이에 따라 인플레이션이 하락하고 실업률도 낮아졌다. 연방준비제도 이사회의 정책 덕분에 최근의 인플레이션과 실업률 변동폭이 상대적으로 작았다.

그림 35.12 : 그린스펀 의장 시대

필립스곡선은 인플레이션과 실업률 사이의 상충관계를 나타낸다. 총수요를 부양함으로써 정책당국은 필립스곡선 위에 있는 점 중에서 실업률이 낮고 인플레이션이 더 높은 점을 선택할 수 있다. 총수요를 긴축함으로써 정책당국은 필립스곡선 위에 있는 점 중에서 실업률이 높고 인플레이션이 더 낮은 점을 선택할 수 있다

단기 필립스곡선은 예상 인플레이션이 변하면 이동한다. 단기 필립스곡선은 총공급충격에 의해서도 이동한다. 해로운 총공급충격은 인플레이션과 실업 사이의 상충관계를 악화시킨다.

중앙은행이 인플레이션을 낮추기 위해 통화량의 증가율을 낮추면 단기 필립스곡선을 따라 움직인다. 이에 따라 단기적으로 실업률이 상승한다. 인플레이션 저감정책의 비용은 인플레이션에 대한 기대가 얼마나 빨리 하락하느냐에 달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