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우리은행 교육 체계 1. 인재개발 전략 Mission 인재개발 4대 방향 인재개발 5대 원칙 인재개발 기반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2012 년. Copyright 2012 ⓒ 런투컨설팅 2 1. Company Profile OUR COMPANY Learn 2 는 고객의 성과향상에 기여함으로써 고객이 가장 선호하는 국내 최고의 HRD 솔루션 개발 파트너가 된다는 비전을 가지고 있습니다. Learn.
Advertisements

LG 전자 하이프라자 가전제품 전문 유통 회사. 하이프라자 소개 ▌LG 전자 자회사 LG 전자 ( 제조 ) ( 유통 ) 하이프라자 ( 물류 ) 하이로지틱스 ( 고객상담 ) 하이텔레서비스 ( 유지 & 서비스 ) 하이 M 솔루텍 ▌ 설립배경 : 경쟁사의 공격적인 유통 확대.
프로젝트 추진배경 2. 프로젝트 추진프로세스 3. 프로젝트 추진조직 Ⅰ부. 프로젝트 추진개요.
New Wood Creator 경영전략실 / 인사지원팀 동화기업 마케팅 스쿨 과정 (DWMS : Dongwha Marketing School Course)
HRD 체계 및 계획수립 Contents  HRD 체계 / 계획 수립 기본 Process  성인학습자의 특성  기업 교육의 형태  기업 교육의 일반적 정의  학습이론의 변천  HRD 의 정의  HRD 패러다임 Shift  Mission, Vision,
HRD Solution 컨설턴트 모집 www. psi. co. kr Performance Solution International.
유레카 러닝 연구소 CREATIVE PROBLEM SOLVING 창의적 문제해결 제안서.
2002년 CJ-HRD 경영계획.
HRD방침, 과제란? 1. 교육방침 교육방침은 니즈 분석을 통해 확정된 니즈를 바탕으로 HRD가 어느 방향으로 전개될 것인
Ⅰ. KRC 교육체계 개선과제 개요 Ⅲ. HRD동향, B/M, 계층별 인터뷰, 설문조사 결과 주요 시사점
제9회 크리에티즌 포럼.
(Strategic Financial Program for Future CFO’s)
인사전략과 인적자원개발 Wisdom21 Management Consulting
Value-driven commitment for CUSTOMER SUCCESS
두산인프라코어 교육체계도 그룹체계 Leadership College Professional College PRG
Profile 성 명 김 현 식 (Tel : ) 현 직
고객 가치혁신의 시대 중소기업의 기술개발과 성장전략 삼성종합기술원 손 욱 원장
과제도출하기 액션러닝.
인재채용의 경쟁우위확보를 위한 역량기반의 구조적 면접 컨설팅 추진방안
인사조직 부분 컨설팅성공사례 ㅡ조직혁신(Organization Innovation) 컨설팅 사례연구ㅡ
BSC 템플릿 및 작성 매뉴얼.
매경KAIST K-CEO과정 LG전자 지식 경영 실천 사례.
교육과정개발.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운영 사례 LG Electronics LG전자 목 차 Learning Center
사업장의 교육이론과 실제 산업안전교육원.
대학인사제도의 개선방향 한양대학교 인사팀장 전 병 곤.
평생직업시대 개인의 성공을 지원하는 P社 Life Plan System 인 재 개 발 원.
마케팅/영업 부문 교육체계 수립 및 과정개발 사례연구
하이닉스반도체「핵심인재 관리 시스템」 사례
200X년도 XX팀 운영계획 200X년 X월 X일.
타사 핵심인재 제도 운영사례
강의교안 직무분석의 기본 이해 및 활용방안.
고객만족경영 추진방법.
INI STEEL 성과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SAP 제안설명회
Action Learning의 개념과 사례
교육평가 및 효과측정 시스템 POSCO 인재개발원 홍 성 근.
우수기업사례 금호아시아나의 핵심역량 모델링을 통한 교육체계와 인재육성 사례
핵심 인재 육성 전략 2006년 4월 우 하영.
프랜차이즈 전문인력양성 학사과정 - 취업률100% 예약, 산학협동 맞춤식 교육협약 -
2002년 교육계획수립 실무 해설 한국인사관리협회.
동부화재 인재육성 전략
(Management by Performance Objectives)
C사 영업부문 교육체계 교육체계수립 Process 인재육성의 기본전략 교육체계 수립방향 직무별 교육체계 Road Map
SK 4Front KM 방법론 SK C&C.
조기숙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주) 리더십 프런티어 대표이사
전략 중심의 조직운영 방향 (SFO : Strategic Focused Organization)
성과평가시스템(BSC) 구축 전략3 Wisdom21 Management Consulting.
Oracle의 인적자원관리 Oracle Korea /
신입사원 교육프로그램 비교 입문교육은 평균 28일 정도 실시
한미파슨스의 인재중심 조직문화 -GWP 사례를 중심으로 한 미 파 슨 스 김 종 훈.
인사부장 교류회 강의용 핵심인재 선발/육성 사례 LG전자 인사팀장.
성과경영과 목표관리.
성과관리 및 역량평가체계 동부화재 인사팀.
사내 직무교육체계개발 프로젝트 Kick-off(안)
기업윤리학교 사례발표자료( ) 윤리경영과 내부통제.
액션가이드 기획 - 트리즈를 활용한 업무문제해결 (이화자)
평가제도 개선案 목 차 Ⅰ. 인사관리의 기본원칙과 방침 Ⅱ. 성과지향 평가관리시스템 Ⅲ. 성과주의 보상관리시스템
TOEIC& TOEIC Speaking 강좌
신입사원육성체계 및 Mentoring System
교육 체계 수립 실무.
창의혁신 역량 강화 방안보고.
정부 혁신 관리 매뉴얼 정부혁신의 성공적 실행을 위한 - Version 혁신관리전문위원회 적응 믿음 변화의 5단계
㈜ 직무분석을 통한 조직설계 및 신인사제도 수립을 위한 제안서
The Boeing Leadership Curriculum
경력개발제도 타사 사례 검토 ………………………… ………………… ……………… ……………… ……………… ……………… ………………
전략적 경영관리.
제9장 인재관리 제3부 교육훈련 및 개발.
C사 영업부문 교육체계 교육체계수립 Process 인재육성의 기본전략 교육체계 수립방향 직무별 교육체계 Road Map
E-HR 설계 기본(안) for x x x HR 팀.
인사평가자 평가 Mind 및 Skill 향상 언제나 어디서나 늘 메모를 합니다
Presentation transcript:

I. 우리은행 교육 체계 1. 인재개발 전략 Mission 인재개발 4대 방향 인재개발 5대 원칙 인재개발 기반 「우리가치와 직무역량을 갖춘 글로벌 금융인」 Mission 인재개발 4대 방향 우리가치 실천 우리문화 정착 (value-driven) 핵심인력 집중 (Future Leader -focused) 직무전문성 향상 (job-based) 전략적 성과중심 (strategic performance -oriented) 인재개발 5대 원칙 조직역량의 원칙 선택과 집중의 원칙 현장중심의 원칙 자기주도적 학습의 원칙 육성평가의 원칙 가치와 문화 교육을 통한 리더의 역할 및 조직 역량의 강화 인재개발과 경영전략이 연계되어 선택과 집중을 통한 역량 제고 영업현장에서 필요한 교육을 필요한 시기에 이수할 수 있도록 교육제공 직원 개인의 적극적인 역량개발 의지를 적극적으로 지원 은행성과와 개인성과 창출을 위한 평가와 연계 인재개발 기반 역량중심의 인적자원개발 (Competency-based HRD)

Professional Development 2. 인재개발 체계도 교육체계 핵심가치 리더십 역량 전문 역량 Professional Development 직위 신임자 프로그램 [ Transition ] 부점장/임원 교육체계 차세대리더 육성체계 임원 우리가치 공유 및 실천 프로그램 신임 임원 임원보수교육 미래경영자 (Successor) 양성교육 부점장 우수지점장 Value Creator 양성 경 력 입 문 교 육 신임부점장 지점장심화 직무별 전문가 육성체계 신임파트장 파트장/ 출장소장 단위조직 별 가치실천 워크샵 예비지점장 Master Level 전문 영업 직무 자격 인증 제 글로벌 전문가 (Global Expert) 양성교육 신임과장 Professional Level 차장/과장 Associate Level 대리/계장 Woori Rookie Festival Woori Power Rookie Course(1년) 신입기본직무교육 Teller행원 기본직무교육 (1년) 신입 행원 신입 입문교육 공통 일반역량 및 업무기초 역량 강화 프로그램

3. 핵심가치 교육체계 1. 신입행원 교육체계 □ 우리인으로서의 기본 자세 확립 및 가치관 정립 WEholic Fair 전시 부사 목적 □ 우리인으로서의 기본 자세 확립 및 가치관 정립 □ 기본 직무에 대한 실무역량 습득 기간 □ 7주 - 가치관 정립과정(3주), 직무과정(4주) 주요 내용 □ 우리은행 핵심가치 이해(고객, 도전, 정직, 인재) □ 역사, 비전, 전략, 제도 관련 8대 과제 수행 -외부 특강, 내부 특강, 과제 수행, 발표 □ 핵심가치별 가치 체험 활동 (고객 : CS 교육, 도전 : 100리 행군, 정직 : 사회공헌활동, 인재 : 인재 특강 등) WEholic Fair 지도선배 공연 운영 방법 □ 지도선배에 의한 팀 학습 □ 신입행원 자치단에 의한 자율적 운영 □ CEO의 지속적인 관심 □ 과제발표회(WEholic Fair)를 통한 과정 정리 및 자긍심 고취

□ 우리은행 핵심가치(WooriWay) 이해 □ 핵심가치 실천력 강화 2. 기존직원 교육체계 목적 □ 우리은행 핵심가치(WooriWay) 이해 □ 핵심가치 실천력 강화 WooriWay 교육 이수 현황 기간 2005. 01 ~2006. 11 대상 □ 신임자(과장, 부지점장, 지점장) 대 상 - 신입행원 (신입, 경력) - 신임자 (과장, 부지점장, 지점장) - 기타 부서, 기획담당자 주요 내용 □ 핵심가치 이해(필요성, 중요성) □ 우리은행 핵심가치 이해 - 4대 가치별 교육 □ 우리은행 핵심가치 실천 운영 방법 □ 교육 시간 : 4~6H □ 운영 방법 : 신임자 과정 內 기본 필수 모듈 (2005년 : 사내강사 8명 양성) □ 과정 특성 - 팀 학습 - 게임 및 실습을 통한 가치 이해 인원 4,013명 (총원 대비 약 30%)

4. 리더십 교육체계 리더 역량 강화 부지점장 이상 리더 계층 - 부지점장, 지점장, 영업본부장, 단장 목적 리더 역량 강화 우리 알바트로스 사이버 과정 대상 부지점장 이상 리더 계층 - 부지점장, 지점장, 영업본부장, 단장 내용 리더십 역량 함양을 위한 과정 구성 ※ 리더십 역량 : 비전제시, 전략적 의사결정, 성과지향 부하육성, 혁신 주도 과정 부지점장급 대상 과정 - 신임자 과정 : 1~2개 리더십 역량 교육 지점장급 대상 과정 - 알바트로스 테마 과정 - 알바트로스 사이버 과정 - 부점장급 리더십 과정 영업본부장 이상 - 각 대학 AMP 과정 수강

5. 전문역량 교육체계 - Master, Professional, Associate 직무전문가 유형 구분 운영 목적 Global 최고 직무전문가 양성 학습 사이트(wez.co.kr) 대상 전직원 주요 내용 전문역량 수준에 따라 3단계로 구분하여 운영 - Master, Professional, Associate 직무전문가 유형 구분 운영 경력개발 지원체계 구축 운영 연간 의무 이수 시간제 운영 : 40시간 이상 수강 연수 성적의 개인업적 평가 반영 - 연수 성적을 개인업적평가에 최대 20% 반영 단위 조직 KPI에 반영 - 구성원의 성적 합계를 단위조직 KPI에 반영 학습 사이트 운영(wez.co.kr)

Ⅱ. 2007년 영업환경 전망 미래 인사 트렌드 7가지 중장기 추진전략 성과주의문화 정착 금융전문역량 금융전문가 육성 성과주의문화 정착 HR과 비즈니스 전략의 연계 평가제도 및 System 정교화 HR활동의 글로벌화 HR성과 관리의 강화 성과주의 문화 확대 생산성 향상 및 금융전문역량 확보를 위한 HR 지원역량 강화 사람과 직무중심 인사의 균형 핵심인재의 확보와 유지 금융전문가 육성 Global 전문인력 육성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배려 인사업무의 아웃소싱 증가 인재양성을 위한 Infra 확충 생산성 및 Loyalty 향상 생산성과 연계한 인적자원관리 직원만족도 향상

Ⅲ. 2007년 경영지원본부 사업목표 및 추진전략 추진전략 중점추진과제 평가제도 및 System 정교화 2007년 사업목표 개인업적평가제도 개선 평가역량 강화 교육프로그램 도입 평가제도 및 System 정교화 2007년 사업목표 개인성과급제도 확대 시행 (개인영업/기업영업/경영지원직군 등) 성과관리 전산시스템 개선 성과주의 문화 확대 성과주의 인사의 객관성 및 수용성 확보 직원의 실무역량 향상 및 전문인력 확충 내부직원 만족 실현 및 Global 경영역량 강화 인재 포트폴리오 혁신 외부전문가 활용분야 및 관리방안 재정립 핵심인재 육성프로그램 실행 Global 전문인력 육성 연수원 신축사업 추진 역량진단 평가시스템 개발 차세대 e-HR시스템 구축 인재양성을 위한 Infra 확충 생산성과 연계한 정원(T/O) 관리 영업점 직원 Refresh 및 핵심가치교육 강화 고령인력/Low Performer 인사관리 강화 생산성과 연계한 인적자원관리 내부직원 만족도(ESI) 조사 정교화 퇴직자(예정자) 지원 강화 HR개혁 정착 직원만족도 향상 장애인 등 취약계층에 대한 적극적 고용 개선 Global 수준 신개념 Security Code 정립 기타 자체추진사업

체계적 교육시스템 운영 및 양질의 교육 프로그램 제공으로 Ⅳ. 2007년 인재개발원 사업목표 및 추진전략 인재개발원 추 진 전 략 주요 추진과제 영업 직무전문가 육성체계 구축 기본직무숙지 Road-Map 개발 및 교육추진 직무전문가 육성체계 재정립 인재개발원 사업목표 체계적 교육시스템 운영 및 양질의 교육 프로그램 제공으로 ▼ 성과지향 직무전문가 육성 영업력 강화지원 신입(텔러)행원 조기전력화를 위한 직무교육 강화 마케팅 활성화를 위한 영업현장 학습활동 지원 리더십/기본 소양교육 강화 직급별 리더십 교육체계 및 프로그램 정비 핵심인재 육성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Global 경쟁력 강화를 위한 영어구술등급제 실시 교육프로그램 평가·관리시스템 운용 영업직무전문가 역량진단·평가 모델 개발 연수성과 제고를 위한 각종 제도 개선 차세대 e-HR시스템 구축[e-HRD/e-HRM통합] 연수 인프라 구축

Ⅴ. 주요 추진과제 및 실행계획 추진전략 추진과제 및 실행계획 직무전문가 육성체계구축 1 기본 직무 숙지 로드맵 개발 및 교육 추진 기본 직무 역량 확보를 위한 입행 후 3년 간의 단계별 교육경로 제시 단계별 역량 강화에 필요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기본 직무 교육의 체계적 실행을 통한 기본 직무 역량의 조기숙지 대상자 역량 수준/업무내용의 차이를 고려한 차별화된 프로그램 제공 사업목표 및 기대효과 과제 정의 및 세부 실행계획 수립 - 과제 범위 및 과제 추진방향 확정 ㆍ최종 로드맵 이미지 설계 ㆍ연수 지침/규정 적용 방법에 대한 고려 ㆍ세부 일정별 업무 계획(안 )작성 現 기본직무 교육 현황 및 교육니즈 분석 - 기본 직무교육 현황 분석 ㆍ입행 1년차/2년차/3년차 행원의 現 역량 수준 진단 ㆍ기본 직무 역량 관련 행내외 사이버/집합 과정 운영 결과 분석 - 최종 목표 역량 수준 및 단계별(년차별) 목표 역량 수준의 정의 기본직무 숙지 로드맵 설계 - 로드맵 기본 구조 설계 ㆍ학습단계 구분 및 단계별 필요역량 및 목표 역량수준 결정 - 단계별 목표 역량 수준 도달을 위한 학습내용 도출 - 단계별 필요 프로그램 setting 및 평가 방안 검토

추진전략 추진과제 및 실행계획 1 직무전문가 육성체계구축 신규 프로그램 개발 및 기존 프로그램 개선 기본 직무 숙지 로드맵 개발 및 교육 추진 (계속) 신규 프로그램 개발 및 기존 프로그램 개선 - 개발 및 개선 프로그램 확정 - 상세 교육니즈 도출 : Focus Group 인터뷰 및 설문 - 교재/교안/강사 매뉴얼/평가도구/ 기타 학습자료 개발 - 파일럿 테스트 실시 및 결과분석 - 과정 수정/보완 실행 - 수강신청, 학습자 선정 및 교육실시 공문 발송 - 교육운영 및 모니터링 - 과정 평가 및 개선

추진전략 추진과제 및 실행계획 2 영업직무전문가 육성체계 구축 직무전문가 육성체계구축 영업직무별 전문가 육성경로 설계 및 역량단계별 교육프로그램 제공 사업부서별 중복운영에 따른 비효율성 제거  체계적·효율적 영업직무전문가 육성 지원 사업목표 및 기대효과 事前협의 및 검토 ㆍ대상 영업인력群 선정 : PB/FA, FSM(수신/여신), (A)SRP, RM/RA, MM 등(’06.12) ㆍ영업직무전문가별 2006년 실시 교육결과 분석 및 운영上 문제점 파악 (‘06.12) ㆍ사업부서별 2007년 연수계획 취합 및 조정 (’06.12) - 교육일정 및 대상자 조정, 개선필요사항 협의 - 인재개발원(Control Tower)과 사업부서간 역할 再정립 육성 Roadmap 설계 ㆍ영업직무별 필요역량 도출 : 대상자 설문조사, SME 검증 (’07.1) ㆍ영업직무별 필요교육과정 선정 - 2006년 교육과정 中 유지·개선·폐지대상 선정 (’06.12) - 행외과정 Survey 및 선정 (’07.3) - 신규개발과정 선정 : 직무교수 및 사업부서 협의 (’07.3) ㆍ대상 영업직무전문가별·APM단계별 교육과정 설계 (’07.3) 교육과정 개발 및 정비 ㆍ기존 교육과정 개선 및 행외과정 도입 (’07.3) ㆍ신규 교육과정 개발 : 직무교수 및 행내강사 Pool (연중) 교육과정 운영 및 Feedback ㆍ2007년 교육과정 운영 (연중) ㆍ반기별 교육프로그램 평가(PQI 산정) 및 개선 (연중) ㆍ영업직무별 육성 Roadmap 완비 및 Setting (’07.12)

추진전략 추진과제 및 실행계획 영업력 강화지원 마케팅 활성화를 위한 영업현장 학습활동 지원 1 마케팅 활성화를 위한 영업현장 학습활동 지원 현실적인 영업현장의 교육니즈 파악 및 대안제시 영업본부 PM제도 도입을 통해 효과적인 교육지원 체계 구축 기존 직무과목 위주의 교육지원이 아닌 사업본부 추진 과목위주의 상품 단위별 PM제도를 통해 효과적 교육지원 및 마케팅 활성화를 도모 사업목표 및 기대효과 ☞ PM (Product Master) 영업본부에서 자체 선발한 사업본부 추진과목별 사내강사 1. 마케팅 활성화를 위한 영업본부 교육니즈 파악(06년 12월말) - 영업점 및 영업본부 직원대상 인터뷰 및 설문조사 ㆍ현재 실시되고 있는 영업본부 현장교육 실태조사 및 문제점 도출 ㆍ인터뷰 및 설문조사 Feedback을 통한 교육지원 방향 설정 2. 영업본부 PM 제도 도입/운용계획 수립(07년 01월말) - 영업본부 PM 선발방법 및 R&R 설정 ㆍ영업점장 추천 및 공모를 통해 영업본부장 임명에 따른 PM 선발 ㆍ월 1회 정례회의, 우수마케팅사례 공유, 과목별 영업전략 아이디어 제공 등등 - 영업본부 PM 관리 및 지원방안 수립 ㆍ행내 강사 양성과정을 통한 스킬 함양, 영업본부장 인사평가 우대 등 - 영업본부內 홈페이지 연결방법 검토 3. 영업본부 PM 선발(07년 02월말) - 사업본부 추진 과목별 5개과목 PM 선발 ㆍ수신상품(신용카드, 전자금융) – 수신FSM 위주로 선발 ㆍ제휴상품(방카슈랑스, 투신상품) – PB, FA 위주로 선발 ㆍ가계대출(주택금융) – 여신FSM 또는 상담창구 가계여신 전문가 위주로 선발 ㆍ중소기업대출 – SRP 또는 ASRP 위주로 선발 ㆍ외환(수출입, 환전/송금) – 기업창구 외환 전문인력위주로 선발

추진전략 추진과제 및 실행계획 1 직급별 리더십 교육체계 및 프로그램 정비 리더십/ 기본소양교육 강화 조직 및 리더 개인의 니즈와 연계된 직위별 리더십 교육 목표 명확화 교육목표에 부합하는 교육내용 및 교육운영 방법 설계 정형화된 직급별 리더십 교육체계에 기반한 체계적인 리더십 교육 운용 각 직위에서의 리더십 필수 지식 및 스킬의 습득 기회 제공 사업목표 및 기대효과 직위별 리더십 교육 니즈 분석 1. 직위별 리더의 역할 정의 - 조직니즈 분석 ㆍ기존 자료 분석 (’04 직급별 리더십 역량 분석 자료 ) ㆍ경영진 인터뷰 및 직급별 Focus Group Interview - 개인니즈 분석 ㆍ교육대상 직위별 Focus Group Interview 2. 직위별 역할수행을 위한 핵심 리더십 역량 및 KSA 도출 - 직위별 리더 대상 Focus Group Workshop 리더십 교육체계 재정비 1. 신임자 과정 재정비 - 기본 프레임웍 설계 - 기존 모듈 개선 및 신규 프로그램 개발/도입(안) 작성 2. 부점장급 리더십 과정 재정비 - 교육테마, 운영방법에 대한 개인 및 조직 니즈 분석 - 교육내용 및 운영방법 개선(안) 도출 리더십 프로그램 신규개발 1. 모듈별 상세설계: 직급별 리더십 프로그램의 모듈별 교육목표 확정 2. 과정개발 및 pilot test 3. 실행 및 과정 평가

추진전략 추진과제 및 실행계획 2 핵심인재 육성 프로그램 개발/실행 리더십/ 기본소양교육 강화 경영자 후보군 대상의 리더십역량 개발 프로그램 개발 /운영 차세대 글로벌 금융전문가 대상의 국내외 Best 육성 프로그램 발굴/운영 공통 필수 프로그램의 개발/운영 개인별 육성계획에 의한 미래 경영자 및 글로벌 금융전문가의 조기 육성 사업목표 및 기대효과 핵심인재에게 요구되는 역량과 개인 프로파일 (현재역량) 간의 gap 분석 1. 핵심인재 요구역량 정의(HR전략팀) 2. 개인 프로파일 작성 : 요구역량 대비 개인 역량 보유수준에 대한 진단 3. 개인별 육성 계획 수립 (예) 경영자 후보군 : 소속 사업본부장 책임 하에 작성 차세대 글로벌 금융전문가 : 소속부서장 책임 하에 작성 공통 Gap 해결을 위한 공통 필수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1. 경영자 후보군 대상 전략적 이슈해결을 위한 Action Learning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 대상자 선정 및 대상자 리더십 역량 360도 진단 - 조직니즈 진단 : 경영자 인터뷰를 통한 핵심 리더십 역량 및 전략적 과제 도출 - Action Learning 프로세스 설계 - 과제해결 역량 개발을 위한 프로그램 및 기타 필요 학습자원 개발 - 과정 실행 및 결과 피드백 2. 글로벌 금융전문가 대상의 공통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 Intensive Language Program 도입 - Project Management Program 도입(In-Housing 작업 필요)

추진전략 추진과제 및 실행계획 2 리더십/ 핵심인재 육성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계속) 기본소양교육 강화 개인별 육성계획에 기반한 프로그램 선정/제공 1. 글로벌 금융전문가 육성을 위한 국내외 프로그램 제공 - 전략적 핵심직무 분야의 역량 개발을 위한 국내외 단기 및 중장기 프로그램의 지속적 Searching 및 도입 2. 글로벌 금융전문가 육성을 위한 행내 프로그램 개발 및 제도 구축 - 행내 프로그램 개발 및 내부 강사 양성

추진전략 추진과제 및 실행계획 3 Global 경쟁력 강화를 위한 영어 구술등급제 실시 리더십/ 기본소양교육 글로벌 금융전문가 필수 역량인 구술영어 기반 확립하고 구술영어 전환를 통한 영어 학습분위기 조성을 목적으로 함. 실질적인 영어 활용 능력 평가 가능 및 해외파견 연수에 대한 기준안 마련 영어 학습 분위기 조성 사업목표 및 기대효과 1. 외국어 등급제도 개선방안 수립 - 필기위주 등급에 구술등급 추가 - 관련부서 협의 및 실시공문 2. 외국어 구술관련 연수과정 선정/ HRDS 변경 - 필기등급 위주교육과정(26개 과정)에서 구술등급 위주 교육과정으로 전환 - 구술등급 등제를 위한 HRDS 변경(HR 전략팀 전산개발 담당자 협의) 3. 영어 구술시험 실시 - 은행에서 지정한 지정일/장소에서 구술시험 실시 및 개별 응시한 시험성적 제출시 인정 - 07년 6월말까지 구술시험 실시 / 이후에는 개별시험 응시 4. TOEIC 구술시험 부분과 SEPT 점수 상관도 조사/ 등재실시 - 2007년도 시행예정인 TOEIC 구술시험 등급별 세부기준에 추가하는 방안 검토 - SEPT와의 점수 상관도 조사 후 등재 5. 구술등급제 전면 실시 - 07년 6월이후에는 개별 구술시험 후 인재개발원에 신청에 의한 등급 등재

추진전략 추진과제 및 실행계획 1 영업직무 전문가별 역량 진단 및 평가 모델 개발 연수 Infra 구축 개인 역량 수준을 진단하고, 개인의 역량 진단결과와, 연수이력, 업무 경력을 통합 적용하여 개인 프로파일에 적합한 교육경로 및 프로그램을 제시해 주는 시스템의 개발 및 운용  직원 개인에게 명확한 역량개발 경로 및 방법을 제시해 줌으로써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역량개발을 가능케 함 사업목표 및 기대효과 해당 영업직무 필요역량 상세 정의 ㆍ영업직무 전문가 에게 요구되는 단계별 전문성 수준 정의 ㆍ필요역량 별 세부 역량 및 핵심 KSA 도출 - “영업직무 전문가 육성체계 수립” 업무 추진 시 완료 업무 영업직무 역량진단 프로세스 설계 및 진단 도구 개발 ㆍ역량 수준 판단기준이 되는 수준별 성과 지표(PI : Performance Index) 개발 - PI 개발을 위한 고성과 영업직무 전문가 그룹 대상 SME 설문 및 워크샵 로드맵 각 단계에서 요구되는 연수이력 및 업무 경력 정도 정의 개인 연수이력 관리 시스템 및 데이터 정리 ㆍ개인 연수이력 관리 시스템의 문제점 및 해결안 도출 - 인재개발원 주관 및 사업본부 주관 연수 이력의 통합 관리(안) 수립 - 연수 이력 관리 시스템 개선(안) 수립 역량진단 및 학습 솔루션(경로 및 프로그램)제시 시스템 개발 ㆍ시스템 개발을 위한 세부 기능 정의 ㆍHR 전략팀 주관 차세대 e-HR 개발 프로세스와 연계하여 추진

추진전략 추진과제 및 실행계획 2 교육프로그램 관리시스템 운용 연수 Infra 구축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실행, 종료 단계 전반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교육프로그램 평가 관련 업무 효율성 제고  교육프로그램의 Quality 제고 사업목표 및 기대효과 HRDS內 ‘과정종합관리’ 기능 구축 및 관리 ㆍ교육요구분석 및 교육과정 평가를 위한 설문 기능 구축 (’06.11) ㆍ설문결과 분석 및 PQI(Program Quality Index) 산출 기능 구축 (‘06.11) ㆍ‘과정종합관리’ 기능 보완 및 개선 (연중) ※ 차세대 e-HR 시스템 구축 사업과 연계 검토 교육프로그램 관리시스템 운용 ㆍ교육과정 운영 및 평가 (연중) - 각 교육과정 종료 후 역량관련도, 만족도, 현업활용도 등 평가 - 평가결과에 따른 개선사항 반영, 과정 운영 ㆍ반기별 교육프로그램 품질 평가 - 교육과정별 PQI 산출 - 평가결과에 따른 개선사항 및 교육과정 도입/개발 필요성 검토 ㆍ신규 교육과정 개발시 교육요구분석 등 시스템 활용 (연중) 2008년 교육과정 선정 ㆍ행외 신규 교육프로그램 조사 및 검증 (연중) ㆍ2007년 교육프로그램 관리시스템 운용 결과 정리 (’07.11) ㆍ시스템 운용 결과에 따른 2008년 교육과정 선정 (’07.12)

추진전략 추진과제 및 실행계획 연수성과 제고를 위한 제도 개선 직무전문가 육성체계 구축 사업목표 3 연수성과 제고를 위한 제도 개선 사업목표 및 기대효과 연수성적 제고를 통한 연수 충실도 개선 및 직무역량에 필요한 학습으로 집중 → 영업점 연수 성적/이수율 제고 및 쉬운 교육과정 집중 해소 1. 영업조직 연수부문 KPI 산출기준 변경(案) 도출 (06년 12월) - 성적과 과정평균을 반영한 평가산식(안) 작성 - 2006년 영업조직 KPI Simulation결과 도출 - Simulation결과에 따른 합리적 평가산식 확정 2. 연수부분 KPI 산출기준 변경 확정실시 - 영업점 홍보(공문발송/ i-gate 게시/wez 팝업창) - 정기적으로 연수부분 진행현황(부진사유/성적 부진자) 영업점장 통보 - 연수부분 (상반기)KPI 평가실시/ - 연수부분 (하반기)KPI 평가실시 3. 연수부분 KPI 변경내용 Feed-back 및 개선안 도출 - 연수부분 KPI 변경에 따른 효과 및 문제점 검토 - 08년 연수부문 KPI 반영기준 개선여부 확정

추진전략 추진과제 및 실행계획 4 행내 강사제도 개선 및 운영 연수 인프라 구축 사업목표 기대효과 행내강사 시스템(선발/육성/평가/지원) 구축으로 체계적인 행내 교육지원과 교육 니즈에 맞는 교육과정 개발 및 운용을 목적으로 함 → 영업성과와 연계된 현장 중심의 교육 실시 및 교육니즈에 맞는 체계적인 사내강사 육성 및 지원체계 구축 행내 강사제도 개선을 위한 제도정비 - 행내강사 현황 및 제도상 문제점, 개선방향(案) . 전임교수/겸임교수 및 행내강사 등 전행적 차원에서 검토 . 행내강사 선정/운용/평가/사후관리 등 시스템 문제 . 행내강사 Pool制 범위/ Incentive에대한 공정성 일관성 - 영업본부 행내강사 선발/운영/지원 방향 선정 . 마케팅 활성화위한 영업현장 학습활동 지원 연계한 행내강사 지원방안 검토 행내강사 대상자 선발 및 지원체계 구축 - 각 교육니즈별 행내강사 선발(예비 행내강사 포함) ( 07년 2월末) . 전임/겸임교수 재 정비(07년 1월末) . 영업본부별 행내강사 선발(07년 2월末) - 행내강사의 지원체계/관리방안 (07년 2월末) . 행내강사 설문 및 워크샵을 통한 활성화 방안( 학습조직(CoP) 연계 . 행내강사 web기반 구축 교수인원현황 전임교수 겸임교수 합 계 5 26 31

추진전략 추진과제 및 실행계획 차세세 e-HR 시스템 구축 연수 인프라 구축 사업목표 5 차세세 e-HR 시스템 구축 사업목표 및 기대효과 Global 전문인력 육성을 위한 인재 관리시스템 개발  전문인력을 육성을 위한 과정 제공 e-HR內 연수시스템(HRDS) 기능 분석 e-HR內 연수시스템(HRDS) 추가개발 검토 ㆍ연수과정 종합 관리 기능 ㆍ강사 관리 시스템 ㆍ연수이력 관리 시스템 ㆍ고용보험 관리 시스템 등.. e-HR 시스템 의 인재 관리시스템 에 따른 진단/평가 시스템 개발 검토 ㆍ영업 직무 전문가 육성을 위한 학습솔루션 제공 기능 구축 ㆍ영업 직무 전문가별 역량 진단/평가 시스템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