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삼 인재개발 교육(8.27~,인삼연합회주관) 인삼 산업현황 및 금후 발전 계획 2012. 8. 27 차 선 우.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WL-ELECTABLE W 고정현 장화영 노윤서 김성권. 1. 사업 배경 2. 사업 비전 및 사업소개 일상생활에서 불편하게 느꼈던 점에 아이디어를 착안하여 향 후 고수익 예상 시장에 선도적 지위를 확보하여 사업을 확장 시키고자 함 비전 선이 없는 세상을 만들자 사업.
Advertisements

산업시스템분석 임성수 차수길 장연식 주혜림 7조7조.
전국다문화가족 실태조사 다문화사회 이해 - 언론보도 - 외국인주민현황 현장조사 - 현장조사 요령, 불응대처방법 1일 차 다문화사회 이해(동영상) 2일 차 교 육 일 정 조사개요 - 조사목적, 표본규모, 조사대상 조사항목 - 가구구성표 - 결혼이민자·귀화자.
배경 및 과제 배경 및 과제 배 경 과 제. 국내.외 환경변화, 그린IT 추진은 법적 의무사항 국내.외 환경변화 - 뜨거워 지는 지구, 숨 가쁜 지식혁명, 하루가 다른 세상, 좁아지는 세계 - 인간과 자연, 경제를 고려하는 “지속가능성장 시대”, 기후변화사회 도래 *
정현영 이지현 이은지 이수정 오민선 오하나 서연지. CJ 푸드빌 = Food + Village 아시아 최고의 외식서비스 기업 창조적, 차별화 Only One 정신 10 년 넘게 축적해온 자체 기술을 바탕으로 11 개 의 독자 브랜드 개발, 운영 VIPS.
조 직 도조 직 도 생산부 시공,A/S 관리부 제품기획 대표이사 제품 연구개발 품질검사 마케팅 1 마케팅 2 현장관리 A/S 시장조사 제품생산.
Ⅰ. 서론 SPA & FAST 패션 산업의 대두 Ⅱ. 본론 ⅰ. 일반적인 패션 산업의 Process - 패션 산업의 Process - SWOT 분석 ⅱ. SPA/FAST 패션 “ZARA” 의 생산, 유통 구조 - SPA/FAST 패션의 Process - SWOT 분석.
예체능 중점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운영을 통한. 자기이해 진로캠프 전일제 직업세계체험 자기생애성장 기록 포트폴리오 진로활동 맞춤형 자율과정 동아리 학교스포츠 토요스포츠데이 끼를 살리는 자율동아리 동아리활동 프로젝트 협력과정 자기주도적 토론 토의 재능 발견 탐구 포트폴리오.
제목을 입력하세요 - 그림책 구름빵의 OSMU 년 유아 대상 회원제 북클럽 북스북스용 그림책으로 출간 글, 그림 : 백희나 빛그림 : 김향수 구름빵 그림책 출판 현황.
구 분현존 무창계사 사육장 (1,000 평기준 ) 신개념 가금류사육장 (1,000 평기준 특허보유유럽에서 약 50 여년전 개발 2008 년 특허개발 ( 송백영농조합 ) 계사구조 별도 독립된 단층계사 500 평ⅹ 2 동 건축 많은 사육장면적 확보시 계사를 추가로 신축 500.
‘ 성과급제 ’ 에 대한 양측의 해석 차이 : 사업계획 달성에 따른 성과급 차등 지급안 도입 연간 사업계획 100% 달성 임금의 150% 지급 연간 사업계획 90% 달성 임금의 50% 지금 사측 “ 성과급 50% 삭감 ” 전격 발표.
개원의 포럼과 간호사 포럼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내과 이준행. 개원의 포럼 발전방향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내과 이준행.
한국화장품의 중국 시장 진출방안 장천 목차 제 1 장 서론 제 2 장 선행연구 제 3 장 중국 화장품 시장의 현황 및 특성 제 4 장한국 화장품의 중국시장 진출 현황과 문제점 제 5 장 한국 화장품의 중국 시장 진출 방안 제 6 장 결론.
강원랜드 경영사례분석 1 조 : 김미희, 양진화, 조선화, 최 해란. 1. 회사 개요 회사 연혁 국내최대 스키장 착공 증권거래소 상장 월 매출액 800 억 돌파 강원도내 유일의 특 1 급호텔 결정 2002.
구호복지팀 이장원 적십자 구호활동 ( 수 ). 구호사업 종류 재난구호 취약계층생계구호 특수구호 무료급식소 운영.
재 배 현 황 통 계( ’ 02년) 농가수 8,000 호 면 적 1,000본당 생산량 총생산량 28,406천본 (947ha) 200 Kg 4,591톤 (건조) 통 계 1,000본당 생산액 총생산액 농가소득 (호당평균) 소 득 율 천원 30,720 억원 5,165 1,100천원48.
5+2 광역경제권 추진에 따른 제주권의 발전전략 경기개발연구원장/서울대 경제학부 겸임교수 좌 승 희.
효과적인 금연법 산재의료관리원 동해병원 건강관리센타.
東北亞經濟中心 : 비전, 로드맵과 향후과제 安 炯 徒 동북아경제협력센터.
해외 도시개발 현황과 진출전략
우리나라 전통의 무술, 태권도 5학년 8반 김유승.
OOOOOO OOOOO 사업계획서 (외식업, 유통업, 서비스업) 성 명 : 소 속 : 아 이 템 : 년 월 일
(수) 아산시 학교급식지원사업 현황 아 산 시.
열공클럽 강의자료 -4C & SWOT.
Ⅰ. 국정과제 현황.
<한미 FTA> 협상 농업분과 주요쟁점
1. 서천군 일반현황 서천군 지리적 여건 및 지역특성 인구 특성 행정 구역 서천군 벼농사 현황
자연순환형 친환경축산 정책 방향 농림수산식품부 자원순환팀.
제8회 익산천만송이국화축제 결과평가 및 발전방향 연구 보고서
지역협력체계 구축 개요 및 현황 교육부 김현아연구사( ).
산주가 가꾸고 싶어 할 나무들 국 립 산 림 과 학 원 최 완 용.
제2기(2011~2014) 경기도 지역사회복지계획(안)
자살 사례 분석 경영학과 백승용 경영학부 하수정 경영학부 이은옥
대원강업 기업분석 07 허남 10 김민선 박소라 이수민 조정인.
계획(보고)서 작성 및 운영 방안 중기청 인력양성 사업 구미전자공고 최창원 Ⅰ. 특성화고 추진 전략 Ⅱ. 모듈 공통 프로그램
- 자금조달을 위한 계획서 - 부동산학과 이슬기
스타 보고서 서울 신화 초등학교 5학년 4반 김 지혜.
2016년 농림축산식품부 정책추진방향
포스코의 경영전략.
돼지가격 대표 기준 ‘탕박’변경 관련 설명자료
학습 주제 p 용해도 차이로 물질 분리하기.
산림소득사업 지원 정책 산림청 목재소득과 1.
Medical Tourism Park. Seong cheol.
Strength S W Weakness O T Opportunity Threat SWOT분석 강점 약점 → 약점에 대한 보완책
비타민 능력으로 가족 사랑UP! 한세 대학교 광고홍보학과 한진아.
유독물 및 취급제한∙금지물질 관리자 교육 취급시설별 관리기준 2014 한강유역환경청 화학물질관리과.
산업자원부 지자체연구소 육성사업 (재)전주생물소재연구소 육성사업 2006년 11월 7일 사업책임자 : 권 태 호.
광명시 광명중앙시장 재건축사업
홈 그린 케어 정성을 모아 자연을 담다! 시제품 동아리 발표 대회
사업계획서 더불어 사는 아름다운 지역을 위하여 (가칭)00 밥집.
광고와 마케팅 전략.
Light Gloves 2017년 IFEZ 입주기업 솔루션 경진대회 기 업 : ㈜ 디엔피유 과제명 : 라이트 글러브 설계
멸종위기동물 5-1 이채원.
SWOT 분석 박정일.
당신이 추구하는 축구의 모든 것 Soccurspot 인터넷 포털 사업
Index 2010년 공판장 업무보고 목차 구미농협 공판장 현황 판매사업 추진 계획 중점 추진과제 Ⅰ. 주요 품목별 추진계획
문화행사기획 (3강) 이화동.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양식 B 사업 계획서 O O 농장.
악취저감 / 친환경 축산(농장)을 위한 시험보고서
매 일 유업 ESL 마케팅전략 온미선.
1월 교회학교 진급예배 및 성탄절 음악예배 찬 양 기 도 교 회 소 식 특 순 성 경 봉 독 말 씀 찬 양 축 도 인 도 자
뜨거운 햇살을 받으며 양 손에 도시락 두 개를 들고, 콧 노래를 부르며, 시골 길을 걷고 있는 한 아이가 있었어요
더욱 다양한 [제안서] 서식을 만나세요! 클릭 회원가입, 로그인없이 받을수있는 무료서식100선!! 클릭!!
2009년 면정보고 초동면.
1분이면 명쾌하게 이해하는 국민소셜 위메프 이야기 위메이크프라이스 홍보실.
오리온 초코파이 중국진출 성공기 김예린 전의.
고령친화산업의 특징과 대상 고령친화산업 분류 고령친화산업의 현황(1) - 의료관련 서비스업
어린이집 사업계획서.
Storytelling 마케팅에서 스토리텔링이 가지는 역할 강석원 공소희
Presentation transcript:

인삼 인재개발 교육(8.27~,인삼연합회주관) 인삼 산업현황 및 금후 발전 계획 2012. 8. 27 차 선 우

목 차 세계의 인삼산업 현황 Ⅰ 국내 인삼산업의 현황 및 특성 Ⅱ 인삼 정책지원 현황 Ⅲ 그간의 연구성과 및 금후 과제 Ⅳ 목 차 Ⅰ 세계의 인삼산업 현황 Ⅱ 국내 인삼산업의 현황 및 특성 인삼 정책지원 현황 Ⅲ Ⅳ 그간의 연구성과 및 금후 과제 V 핵심 중점연구개발 계획 Ⅵ 역할분담 및 추진체계

1. 세계의 인삼산업 현황 세계의 인삼 산업 현황 ○ 주요 국가별 인삼 생산 및 시장 규모    ○ 주요 국가별 인삼 생산 및 시장 규모 산 업 현황 한 국  중 국 캐나다 미 국 생산량(천톤) 27 52 6 2  뿌리삼 수출(백만불) 64.1 44.2 84.3 46.9 뿌리삼 수출시장 점유율(%) 22.9 15.9 30.2 16.8 인삼제품 시장 규모(백만$) 22.8(1.8%) 137.0 23.8 258.0(21.2%) ※ 세계인삼 시장 규모 : 뿌리삼 280백만불, 인삼제품 1,215백만불  ○ 뿌리삼 수출 및 시장 현황(‘09, Global Trade Atlas, GTA 집계) ☞ 걷는 종주국, 뛰는 경쟁국 ∙ 재주는 곰이 넘고, 돈은 경쟁국이 버는 제품시장

1. 세계의 인삼산업 현황 세계 주요국가 수출 전략 및 수출 경쟁력 ○ 주요 국가별 수출 전략 한국 중국 캐나다 미국  세계 주요국가 수출 전략 및 수출 경쟁력 ○ 주요 국가별 수출 전략 한국 중국 캐나다 백삼(뿌리삼) 수출 중심 - 3~4년근 생산 체계 ※ 백삼 위주의 단순가공, 50kg 벌크 형태로 수출 미국 홍삼(뿌리삼) 수출 전략 - 6년근 인삼 생산 체계 ※ 천지삼(1 등급) 수출 인삼제품 수출 전략 - 4년근 생산 체계 ※ 가공제품 수출 뿌리삼 수출 중심 - 4년~5근 생산 체계 ※ 수삼, 뿌리삼 및 가공제품 (장백산 인삼 브랜드 개발) 야생삼 수출 전략 - 유전자원 관리를 위해 ’75년 CITES 등록·관리 ※ 건조된 상태로 수출 ○ 주요 국가별 수출 경쟁력 분석 국가 RCAX(수출기준) RCAM(수입기준) 한국 8.2 0.1 중국 6.1 4.7 캐나다 4.3 0.6 미국 0.7 0.3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자료 : RCA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비교우위지수)

2. 국내인삼 산업의 현황 및 특성 인삼은 세계적인 웰빙 트렌드에 따라 산업규모 확대 추세 ☞ 내수시장에서 찾은 반전의 희망 ☞ 내수시장에서 찾은 반전의 희망  인삼은 세계적인 웰빙 트렌드에 따라 산업규모 확대 추세   ○ 재배면적 : 19,010 ha, 생산액 9,883억원(‘10)      ※ 1.5ha이상 농가 비중 : (‘95) 6.8% → (‘00) 14.3 → (’05) 21.5   ○ 국내소비량 증가 : (‘95) 230g(1인/연) → (‘00) 260 → (’05) 280 → (’10) 430 ○ 수출액 사상 최고 : (‘90) 164백만불 → (‘00)79 → (’11) 189     - 농산물 수출에서 인삼류가 차지하는 비중 : (‘90) 21% → (‘00) 7.0% → (’10) 3.3%      ※ FTA 체결 시 홍삼수출 전략품목으로 발전 잠재성이 큼(세계 최고의 홍삼가공기술 보유)

2. 국내인삼 산업의 현황 및 특성 인삼 산업은 주요 수출국의 소득향상에 따라 해외시장 확대 무르익은 반격의 기회 인삼 산업은 주요 수출국의 소득향상에 따라 해외시장 확대   ○ FTA 확대는 점진적 관세 감축 등에 따른 국내 영향 불가피(현재 관세 : 홍삼 754%)   ○ 중국 등 기존 주요 수출국가에서 베트남 등 신규 수출국으로 방향 전환     - 베트남 등 개발도상국의 소득향상 및 건강선호도에 따른 시장 확대 가능성 높음     ※ 수출대상 국가 : (‘95) 65개국 → (’00) 71 → (’05) 72 → ('10) 77 →(‘11) 85 (문제점)내수 및 수출시장 확대에 따른 원료확보 시급 ○ 신규재배지 감소로 원료확보 곤란 : (‘08) 5,263ha→('09)4,287→('10)3,372→('11)3,052 2011년 국가별 수출액 (백만$) 인삼 신규재배면적 변동추이

2. 국내인삼 산업의 현황 및 특성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인삼산업 발전 기회(opportunity)  인삼 산업 여건 분석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국내외에서의 고려인삼 우수성에 대한 높은 인지도 관행적 재배, 재배적지 부족 등으로 원료 확보 곤란 다수의 고서에 인삼 효능 기록 건강기능식품공전의 인삼 효능 인정 신규 재배면적 감소 재배시설 재해에 취약, 기계화 미흡 인삼산업 발전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 홍삼시장 신장 및 화장품 원료 등 신수요 증가 FTA 등으로 국내 및 세계시장에서의 경쟁 심화 중국, 베트남 등 각국 소득향상에 따른 해외시장 확대 인삼 안전성 문제 및 효능 등에 관한 과학적 입증 시급

3. 정책지원 인삼 정책추진 달성과제 ❍ ’10년부터 ‘인삼의 날’행사 개최(’11년 장관님 참석)  ❍ ’10년부터 ‘인삼의 날’행사 개최(’11년 장관님 참석) ❍ 저년근 뿌리삼 중국 의약품 등록(연구용역 230백만원) ※ 중국에 고려인삼 지리적표시 등록(‘10.8월) ❍ 사상 최대의 수출액 달성(’11년도 189백$) ❍ 논 소득다양화사업 인삼 포함(‘11), 재해보험 도입(‘12)    ※ 농어촌공사와 농지은행 관련 MOU 체결   ❍‘세계인삼과학상’ 및 ‘명예감시원’ 도입(‘11) ❍‘생로병사의 비밀’(‘11.7), ‘교과서 등재’(‘10) 등    ※‘신의 영약 인삼, 그것이 알고 싶다’ 책자 발간(‘10,‘12) ❍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문화재청 대표목록 지정(’12예정) ❍ 인삼산업법 개정(흑삼 도입, 수경인삼 법제화 등)

4. 그간의 연구 성과와 금후 과제 고려인삼 명품화 사업 소비자 신뢰 및 부가가치 향상 생산 안정 안전 기술확립 품종개발 및 주요성과 농촌진흥청 최초‘천량’신품종 육성(2011) 인삼 표준재배 경작법 개정 고시(2009, 2011) 원료삼의 품종·연근·원산지 판별기술 확립(2011) 세계인삼과학상 제정으로 해외 과학자 관심 제고(2011) 인삼 국제표준화 선제적 대응(2011) 품종개발 및 보급체계 확립 체형 위주의 품종 육성 (천풍 등 9개 품종, 한국인삼공사) → 내재해 적응성 신품종 육성 (천량, 농촌진흥청) 육성 품종 국가 보급체계 확립 보급률 : 11%(‘12) → 17(‘17) → 25(‘22) 생산 안정 안전 기술확립 인삼 표준재배 경작법 Up Grade → 안정생산에서, 안전생산 기술 보완 - 생리장해 경감 ※ 25%(’12) → 10(‘17) → 5(‘22) - 생력 기계화 ※ 40%(‘12) → 50(‘17) → 60(‘22) - 작물보호제 살포 횟수 경감 ※ 15회(종전 ) →7(’12)→3(’17)→무농약(‘22) 소비자 신뢰 및 부가가치 향상 원료삼의 품종·연근·원산지 판별기술 ⇒ 100% 적중 친환경 유기농 재배 시범단지 조성 ⇒ 6개소 ※유기농 인삼 소비자 앙케이트 조사 ※유기농 인삼 생산농가 소개 원료삼 1등급 생산기술 수립 고려인삼 명품화 사업 인삼 수출강화, 국제표준화, 세계인삼과학상 확대, 유네스코 등재 등 ⇒부처간, 학계, 산업체, 중앙,지방연구소 등 공동추진

4. 그간의 연구 성과와 금후 과제 2012 2017 2022 비전 고려인삼 세계 최고 명품화 및 종주권 확보 목표 핵심 기술 고려인삼 강소농 육성 및 3조시장 달성 내재해 품종 육성 : (‘12) 1품종→ (‘17) 3 → (‘22) 5 신품종 보급률 : (’12) 11% → (‘17) 17 → (‘22) 25 원료의 명품화로 수출 경쟁력 제고 핵심 기술 요소 연작장해 경감(재작년수 단축) : (’12) 10년 → (‘17) 7 → (‘22) 5 인삼 생산 기계화 : (’12) 40% → (‘17) 50 → (‘22) 60 인삼 GAP표준기술 친환경 생산단지 조성(유기농 재배비율) : (’12) 0.4% → (‘17) 2 → (‘22) 5 가공제품 원산지 판별 : (‘12) 10% → (’15) 70 → (‘17) 100 천지삼 생산 비율 : (’12) 1% → (’17) 5 → (‘22) 10 인삼 GAP표준기술 국제경쟁력 향상 기술개발을 통한 수출 확대 : (‘11) 189백만불 → (‘15) 300 부처간 및 산∙학∙연 네트워킹 인프라 세계최고 고려인삼 명품화 육성을 위한 산·학·관·연 협력체계 구축

< 신품종 ‘천량’ : 내재해 다수성 (2011, 농촌진흥청 개발) > 5. 핵심 연구개발 계획 품종육성 육종기반 구축 및 내재해 고품질 품종육성, 보급률 10% 확대 ◆ 현황 및 문제점 : 유전자원 부족, 품종육성 및 보급기간 장기소요, 증식률 저조   ❍ 내재해 고품질 품종육성 및 유전다원 다양성 확보 - 유전자원 확보 : 1,010점(KT&G 인수317, 국내 수집 693) → (‘17) 1,800(해외수집) → (‘22) 2,300(다양성확보) - 신품종 육성 : (‘11) 천량(음성1호) → (‘17) 3품종(고온+염류 저항성) → (‘22) 5품종(내재해복합저항성)   ❍ 인삼 종자보급체계 구축 : 농림수산식품부 중장기 대책 포함(’12) → 국가관리체계 구축(‘14)   - 생산체계 : (‘11) 기본식물(우리청) → (’12) 원원종(지자체) → (‘16) 보급종(농협) → (‘16)농가보급       - 신품종 보급비율 확대 : (‘10) 7.9% → (‘12) 11.2 → (‘17) 17 → (‘22) 25 기본식물 (농진청) 원(원)종 (도기술원) 보급종 (센터,농협) 급속증식 농가접목사업 (도농업기술원, 시군센터) 신 품 종 보 급 < 신품종 ‘천량’ : 내재해 다수성 (2011, 농촌진흥청 개발) >

5. 핵심 연구개발 계획 생산기반 인삼 안정생산 및 원료 확보기반 구축(100% 무방제 도전) ◆ 현황 및 문제점 : 연작장해(생산성 저하), 해가림시설 재배(기계화 곤란) ⇒ 원료확보 부족   ❍ 원료삼의 안전성 확보(100% 수요 충족 및 소비자 신뢰도 향상)     - 병해충 안전방제체계 확립(저농약 → 무농약 → 유기재배 정착)      ※ 병충해 방제 횟수 : (‘10) 10∼15회 → (‘12) 7∼8 → (’17) 3∼4 → (‘22) 무농약     - 유기재배단지 조성 : (‘11) 7ha → (‘12) 12 → (’17) 50 → (‘22) 400(20%)      ※ 유기재배 성공사례 분석(‘12), 매뉴얼 작성(‘13), 신재배모델 구축(‘17), 농가정착(’22)   ❍ 생산비 및 노동력 절감으로 원료삼 안정 생산 유도    - 해가림시설 현대화 : (‘12) 관행 경사식 → (’17) 중소형 하우스 → (‘22) 대형하우스    ※ 기계화율 : (‘12) 40% → (’17) 50 → (‘22) 60 ❍ 연작장해 경감 50% 감축 : (‘12) 10년(재작기간) → (’17) 7 → (‘22) 5    - 논 및 직파재배 기술개발(‘13), 장해원인 구명(15), 훈증처리기술(’17), 농가 실용화(22) <유기농 인삼 재배 성공 사례 > < 시설 하우스 재배 >

5. 핵심 연구개발 계획 품질고급화 유통질서 개선 및 부가가치 향상 기술 개발 ◆ 현황 및 문제점 : 해외삼의 국내산 둔갑, 4년근의 6년근 눈속임 → 유통질서 혼란 고려인삼의 우수성 국제적 인지 부족 ❍ 인삼원료의 부정유통 방지를 위한 인삼 판별기술 실용화    - 수삼 품종, 나이 및 원산지 판별 100% 적중률 확보    - 홍삼 가공품 판별 적중률 향상 : (‘12) 10% → (‘13) 30 → (‘15) 70 → (‘17) 100 ❍ 인삼 소비 다양화를 위한 채소 식품화 기반 기술 개발    - 수경재배기술 산업체 기술이전 : (‘12) 4 → (‘15) 8 → (‘17) 12개소 → (‘22) 산업화    - 수경재배기술 매뉴얼 작성(’12) ❍ 1등급(천삼) 인삼생산기술 개발로 부가가치 3배 향상 - 유전자원 확보(우량계통 선발) : (‘12) 30점(2) → (‘17) 70(8) → (‘22) 2품종 육성 - 지근(다리) 발달(체형우수)기술 : (15)묘삼 절개 재배 → (17)지근(2개) 발달 기술 ❍ 고려인삼 우수성 및 국제경쟁력 확보 : 국제 심포지엄개최(12.9,중국)  - 효능의 과학적 구명 : 당뇨개선 효과(’11~’12, 캐나다 국제공동) - 승열작용 오인식 해소 : 북미삼과의 비교 검증(’10~’12, 중국 국제공동) < 인삼 수경재배 >

5. 핵심 연구개발 계획 대외협력 인삼의 수출 경쟁력 강화 및 명품화 ❍ 인삼 연구개발을 위한 관련기관 및 산·학·연과 네트워크 구축    - 연구자 협의회를 통한 향후 기술수요 및 정책제안 과제 발굴      ※인삼연구자 협의회 구성 : 농식품부, 지자체 연구기관, 한국인삼공사, 산업체, 대학 등 ❍ 수출 국제경쟁력 확보를 위한 선제 대응    - 국제표준화 기구(ISO) 및 식품규격위원회(Codex) 참여      ※ 인삼 종자·종묘 국제 표준화(’12. 5.21, 한국총회) : (‘12) 아시아 규격화 → (‘15) 세계 규격화    - 유네스코 등재 : (‘12) 국내 지정 → (‘14) 무형문화재 등재 ❍ 고려인삼 세계 인지도 향상 - 세계인삼과학상(진피아상) 시상 확대 운영 : (‘11) 1명 → (‘12) 2 → (‘13) 3      ※ 인삼산업법 추가 반영(’13), 인삼연구 논문 세계 Top10 저널 등재(’13) ☞ 기반구축(우리청), 법제화(농식품부)/한국인삼연합회, 농협, 인삼공사 공동 ❍ 농림수산식품부의 인삼산업 정책을 기술로 뒷받침 - 연차별 수출목표 : (‘11) 189 → (‘17) 600백만불 <국제표준화 기구 회의 참석> (‘11.12, 북경) <제 1회 진피아상 수상> (‘11.10, 서울)

6. 역할분담 및 추진체계 『고려인삼 』의 세계 명품화 산업체 생산자단체 어젠다 정책부서 인삼 원료 고급화로 제품 다양화 『고려인삼 』의 세계 명품화 인삼 친환경 유기농 재배 단지 조성 - 생산이력제 및 생물학적 농법 시행 인삼 생력화 및 기계화 단지 조성 - 하우스 재배 및 수평식 재배 - 재배안정화 종합 기술 투입 생산자단체 인삼 친환경 생력화 단지 조성 인삼 원료 고급화로 제품 다양화 원료삼 1등급 선별 기술 실용화 - 원료삼의 품위 등 평가 기술 제품 제형원료의 성분 표준화 - 액상제형용, 타정용 원료 등 산업체 생산 유통·소비 어젠다 인삼 분야 국가 및 지자체 연구소 인삼산업 관련 정책과제 수행 인삼산업 종합발전 대책(‘12~’17) 실천 - 생산시설 현대화, 종자보급 사업 확대 - 원산지 판별 및 생산이력 관리 중점추진 인삼 생산 기술 국제 표준화 중 정책부서 협력사업 연구기관, 기업체의 공동연구 연구개발 내재해, 고품질 품종개발 강화 인삼 연작장해 경감 기술 확립 인삼 친환경 유기농 재배 표준화 연구 인삼 유통체계 선진화 - 원료 및 가공제품 원산지 판별 연구

[다짐]고려인삼의 반격, 그리고 새로운 도전 Powerful 천년 인삼 프로젝트 One Source Multi-Use - 인삼 종주국의 지위 확보 - ▸ 경쟁력 강화로 세계1위 등극 ▸ 전략목표 달성을 위한 R&D 집중 강화 ▸ 지속 가능한 산업구조로 발전 ▸ 유통선진화와 소비자 신뢰확보 名 品 고 려 인 삼 새로운 가치의 개척 새로운 산업소재 오일, 화장품 등 고사포닌 품종개발 다양한 사포닌 등 이용 기술 · 문화의 종가 문화콘텐츠 고려인삼의 원조 이미지 구축 미래형 재배기술 기후변화대응 영양성분 조절 건강 · 식품 시장의 주인공 다양한 인삼요리 인삼뿌리, 줄기, 열매 모두 활용 건강보조식품 어린이 등 다양한 소비층 공략 Powerful One Source Multi-Use

감 사 합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