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물 위생에 관한 필요충분 조건 (우유) 상지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교 수 정 구 용.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모유수유모유수유 제주시서부보건소 제주시서부보건소 2008 년도. 모유생산 과정 및 우수성.
Advertisements

Ⅱ 세포의 주기와 생명의 연속성 Ⅱ 세포의 주기와 생명의 연속성 - 1. 세포주기와 세포분열.
처음 페이지로 이동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VRE) 와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RSA) 선별을 위한 배지 개선 세브란스병원 진단검사의학과 미생물계 안 철 희.
어린이집 조리종사자 위생교육자료 월. 목 차 식중독의 정의 노로바이러스 베임에 대한 사고예방.
Clostridium difficile 정량 배양과 반정량 배양의 비교 진단검사의학과 미생물계 박상준.
2-4 과학 탐구 정은혜, 이상은, 김동희. 탐구 동기 더운 여름날 음식이 부패하는 것을 보고 어떤 음식에 가장 곰팡이가 많이 생길지 궁금해져서 탐구를 시도 하게 되었다.
식생활지침 ..
3M/HUKO/FSA/UNI. 식품미생물검사 위탁관리 제안서 FSAKOREA
제8장 유제품과 육제품의 위생 0 ~ 20mg %.
소금의 긍정적/부정적 측면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신장내과 박정환.
2011학년도 1학년 융합과학 수업자료 019 Part.3 지구의 형성과 진화.
식중독에 대한 이해 전남보건환경연구원 박 학 재.
6. 우유 및 유제품의 미생물학적 시험 시료 채취 2. 총균수 측정(직접현미경 계수법)
Chrom-ID 배지를 이용한 MRSA,VRE,ESBL 균주의 검출
우유 및 유제품 5조 이 유 경,박 지 희,하 소 희, 장 영 아,박 은 지.
낙 상 지 표 정 의 서 지 표 명 낙상 후 손상발생률 지표정의 낙상발생 건수 중 손상이 있는 건의 비율 분자정의
시 유 (火).
7. 우유의 살균과 멸균 가열에 의한 살균 ☞ 살균원리 -> 균체성분(단백질, 핵산)의 변성, 분해
가뭄 정의 한 지역에 지속적으로 물의 공급이 부족한 기간
혈액배양배지의 비교 미생물계 박지연.
5. 원유의 미생물 1. 종류와 유래 1. 종류와 유래 ☞ 착유환경에 따라 변화
미생물의 생장최적온도 및 가열살균 원리 모든 미생물은 생육가능한 온도 범위가 있으며, 증식온도 범위에 따라서 미생물은
Clostridium difficile 연관 설사 진단을 위한 Toxin A/B immunoassay의 유용성 평가
내분비계 99mTcO4- 갑상선 검사[Thyroid scan] 부갑상선 검사 요오드전신 검사
항생제.
KNU Microbial Biotechnology Laboratory
치면 세균막과 광질이탈 치면세균막 및 치석.
병원성 미생물 분리· 동정 강원도가축위생시험소.
4-6. 광합성 작용(1).
9. Starter 미생물 1. Starter 정의 def : 발효유제품에 사용하는 미생물 배양액 - 유제품의 특성 품질 결정
Hydrogen Storage Alloys
LMO 등급 분류 - 1) 미생물 또는 유래 유전물질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1. 식량자원 3. 식품 안전성.
암 전이 억제 유전자 발굴 및 작동 기전 연구 (Nature지 4월 14일자 발표)
이소플라본의 기능성 문 희.
미생물 레포트 <Aw : 수분 활성도>
9. 유기농업에서 미생물의 이해.
악취 & 배관 막힘 & 집수정 유지방 발생 “쏴~악~~ “
[2] 식품안전성 수업목표1. 수업목표2. 수업목표3. GMO가 만들어지는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생명 기술과 미래의 기술 VI 1 생명 기술의 세계 2 미래 기술과 통합 체험 활동 금성출판사.
□ 우유의 물리적 성질 ○ 비중 ○ pH와 산도 ○ 비열 • 우유의 비열은 물의 비열보다 작다
식품에 존재하는 물 결합수(bound water): 탄수화물이나 단백질과 같은 식품의 구성성분과 단단히 결합되어 자유로운 이동이 불가능한 형태 자유수(free water): 식품의 조직 안에 물리적으로 갇혀 있는 상태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형태.
검증된 국내판매 1위 사일리지 브로피드(Brofeed)
고등학교 생물 학습자료 이 자료는 고등학교 ‘생물’ 의 “생명의 연속성” 단원에서 세포 분열에 관한 수업을 위한 것입니다.
3조 : 손우리, 송문주, 신예림 안윤하, 양미진, 양진영 원데레사, 윤소연, 이경화, 이미선
식물의 광합성 식물은 어떻게 영양분을 만들까요? 김 수 기.
과목명 : 과학 1학년 2학기 소화와 순환 > 영양소 [ 1 / 12 ] 영양소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끓는점을 이용한 물질의 분리 (1) 열 받으면 누가 먼저 나올까? 증류.
치과와 미생물.
식 품 가 공 학 정 구 용 (상지대학교 동물자원학과).
건강이란 무엇인가 ? 세계보건기구의 정의 : 건강이란 …. 마음이 건강하며 육체적, 정신적 및 사회적인 면으로 완전히
식품가공학(1주차) 정 구 용 (상지대학교 동물자원학과).
백신의 형태 백신이란 ; 용어는 가축 질병의 원인이 되는 한 종류 또는 다수의 특이한 항원체나 톡신을 적당한 방법으로 배양 또는 처리하여 만든 제품을 말하며 어떤 종류의 백신은 경구적으로, 어떤 종류의 백신은 비경구적으로 적용된다.  톡신은 어떤 미생물이 생산하는 물질.
Ch. 3. 시료 채취 및 처리 2-1. 시료의 종류 및 고려사항 시료의 종류: 고려사항: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DNA의 구조와 역할 (1) DNA : 이중 나선 구조로 수많은 뉴클레오타이드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P 양분의 전환과 이용.
결핵균 동정방법의 비교 미생물계 류 희 정.
4부 미생물에 의한 식품부패 18장 미생물에 의한 식품부패의 중요한 요인 19장 특정 식품 종류의 부패
축산식품 가공학개론 상지대학교 동물생명자원학과 2학년.
고등학교 공통과학 수업을 위한 자료입니다. 프리젠테이션을 할 때는 큰 화면을 이용하세요!!!
생물막 (Biofilm).
풍화 작용 (교과서 p.110~113) 작성자: 이선용.
제 3장 세균성 식중독.
생약 혼합 추출물을 사용한 염증성 질환의 예방∙치료기술 Tech Biz Material 기술소개자료
2부 식품환경에서 미생물의 증식 반응 5장 미생물의 증식 특징 6장 식품에서 미생물의 증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
이산화염소에 대한 주요 연구 보고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은 인체 질병 및 치사 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현재 예
안전한 수산물 취급 위생 관리
1 제조 기술의 세계 3 제품의 개발과 표준화 제품의 개발 표준화 금성출판사.
Presentation transcript:

축산물 위생에 관한 필요충분 조건 (우유) 상지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교 수 정 구 용

우유의 위생 우유는 수분함량이 높고 아미노산, 비타민 등 각종 영양성분이 풍부하게 들어있다. 또 pH도 중성에 가까워서, 미생물, 특히 세균이 생육하기에 매우 좋은 조건이 됨 오염미생물 : - 세 균 : Micrococcus, Streptococcus, Corynebacterium, Pseudomanas, Alcaligens, Achromobacter, Acinetobacter, Flavobacterium, 대장균군, Bacillus, Clostridium, Lactobacillus, Lactococcus속 - 효 소 : Saccharomyces - 곰팡이 : Candida속

우유의 오염경로 착유중 착유 이후 위생적인 착유시 103/ml 비위생적인 착유시 105/ml의 미생물 보유 젖꼭지 표면과 안쪽에 젖산균 존재 토양, 사료, 물 분변 착유기구 착유자의 손 착유 이후 냉장 저장중 저온균인 Pseudomonas fluorescens 위생적인 착유시 103/ml 비위생적인 착유시 105/ml의 미생물 보유

1 2 3 원유의 오염 기전 산생성, 신맛, 우유의 응고 쓴맛을 내는 분해생성물, 우유의 응고 점질물 생성 원 유 젖산균, 대장균군 쓴맛을 내는 분해생성물, 우유의 응고 2 원 유 단백질 분해 세균 단백질 가수분해 점질물 생성 3 원 유 세균의 번식 Ex) Alcaligenes viscolatis : 우유표면에 점질물 생성, 우유 전체를 끈끈해지게 하는 세균도 있음.

※ 우유의 색소 및 점질물 생성균 ※ 건강한 젖소 우유의 미생물 수 ① 적색 : Serratia marcescens ② 황색 : Pseudomonas Synantha ③ 녹색 : Pseudomonas fluorestes ④ 청색 : Pseudomonas syncyanea ⑤ 점질물 : Alcaligenes viscolactis ※ 건강한 젖소 우유의 미생물 수 - 수유한 직후 : 500~1,000개/㎖ - 수유조(우유 저장 탱크) 저장시 : 5,000~20,000개/㎖

국내 원유의 미생물 분포 <젖소유두, 착유실공기, 작업자 옷.손, 깔짚, 착유용기, 착유기, 여과포, 유방세척수건, 저장용기, 분뇨찌꺼기, 몸털>

원유의 미생물 오염에 의한 비정상 원유 ① 유방염 유 ② 산패유 - 유방염이란? 착유기의 잘못 사용과 기계착유에 의한 유방에 조직손상이 젖소에 스트레스를 주어 미생물에 의하여 염증을 일으키는 질병 - 주요 유방염 원인균 : Staphylococcus aureus - 최근 유방염치료를 위해 항생물질남용→ 내성균이 많이 발생 ② 산패유 - 원유가 대장균 또는 대장균군의 오염→ 산도가 높아지고 산응고, 가스를 발생시키는 우유를 의미 - 대장균에 오염된 원유를 치즈에 사용 → 숙성 중 치즈를 팽창 ③ 점질유 - 원유가 묽은 엿가락처럼 숟가락을 뜰 때 딸려오는 우유는 Mucin이나 Dextrin등과 같이 미생물이 생산한 일부 단백질 분해에 의해 일어남

우유에 존재하는 병원성 미생물 우유에 존재하는 병원성 미생물 국내에서의 우유와 관련되는 식중독발생현황 - 결핵, 브루셀라병, 디프테리아, 성홍열, 위장염 - Listeria monocytogenes, Yesinia enterocolitica, Campylobacter jejuni, E.coli O157 국내에서의 우유와 관련되는 식중독발생현황 - 대장균성 식중독 : 127명 - 포도상구균 식중독 : 42명(환자 중 1명이 사망)

※ Listeria monocytogenes 그람양성균, 무포자형성균, 간균(막대모양) 최적생육온도 : 비교적 저온온도에서 잘 자람 3~45℃ 자연계에 널리 분포, 토양, 거름, 생육, 유제품, 물, 사일리지, 유산된 소를 치료한 수의사의 손과 팔, 닭을 취급 가공하는 공장근로자 주요 증상 : ① 임신한 여성의 유산 ② 면역체계의 이상과 관련된 수막염, 결막염 ③ 영구적인 정신박약증세 ④ 심할 경우 사망에 이루는 미숙아 패혈증 오염 방지: 철저한 위생상태유지와 적정한 살균시스템 도입 살균조건 : HTST공법으로 71~74℃에서 30초에서 모두 사멸 함 세대시간 : 4℃에서 1.5일(장기간 저장할 경우 위험한 수준으로 증식)

※ Yesinia enterocolitica 그람음성균, 무포자형성균, 저온성균 자연계에 널리 분포, 우유, 치즈, 고기와 같은 동물성식품에서 분리 주요증상 : ① 위장염 ② 장간막임파선증 ③ 급성맹장염과 유사한 증상 오염경로 : 동물의 분변, 오줌, 곤충등에 의하여 오염 살균조건 : 열처리에 불완전하며 일반적인 살균처리에 불활성화 됨

※ Campylobacter jejuni 그람음성균, 무포자형성균, 나선균,통성 호기성 생육온도 : 중온균으로 30~47 ℃, 생육적온은 42℃ 가축의 분변에서 분리, 젖소 유방염의 원인균, 원유로부터 분리 주요증상 : ① 만성 장염, 급성 대장염증 ② 메스꺼움, 복부경련, 혈변 ③ 고열, 설사, 구토, 복부경련 오염방지 : ① 청결한 젖소 관리 및 착유기구의 위생적인 취급 ② 원유의 철저한 냉각 실시 ③ 유방염유의 별도 보관, 처리 살균처리 : 열, 건조, 공기 및 산성조건의 pH에 민감, 일반적 살균처리

※ E.coli O157:H7 그람음성균, 무포자균, 간균 생육온도 : 중온균으로 37℃에서 잘 자람 건강한 사람이나 동물의 장관내에 정상균총으로 상존, 물, 흙 주요증상 : ① 출혈성 대장염 ② 용혈성 요독증 ③ 혈전성 저혈소판성 자반증 살균처리 : 열에 약하여 적절한 요리와 살균처리

유제품의 위생관리 수유 : 원유검사 ● 세균검사 : 원유의 위생적 품질지표, 유대결정, 유제품 품질 및 유통기간 좌우 유제품 품질 및 유통기간 좌우 ● 체세포수 검사 : 젖소의 건강상태 및 우유의 위생적 품질 판단기준, 유대결정. 체세포수가 증가하면 우유산유량 및 유제품 수율저하 ● 잔류물질 검사 : 우유의 위생적 품질지표, 양성유 집유정지, 항균물질, 살균소독제, 농약성분 검사 ▶ 허용기준 : Penicilline G(0.004ppm이하), Sulfa제(0.01ppm이하),  Oxytetracycline(0.1ppm이하)

원유검사 항목 검사구분 검사요령 검사항목 검사기준 원유위생검사 집유전검사 관능검사 비중검사 알콜검사 진애검사 필요시 실험실검사 원유검사 항목  검사구분 검사요령 검사항목 검사기준 원유위생검사 집유전검사 관능검사 비중검사 알콜검사 진애검사   필요시 실험실검사 적정산도시험 세균수시험 체세포수시험 세균발육억제 물질검사 성분검사 1회/15일 농가에서 집유시 원유의 냉각온도는 5℃이하 시설위생검사 집유전후 각 1회 실시 주) 위생 관련 항목 : 총균수, 체세포수, 세균발육억제물질 품질 관련 항목 : 관능, 적정산도, 성분, (가수)

우유의 살균 우유의 영양분이 열에 의한 파괴를 최소로 억제하면서 우유에 존재하거나    우유의 영양분이 열에 의한 파괴를 최소로 억제하면서 우유에 존재하거나 가능성이 있는 모든 병원균을 사멸시키고, 대부분의 부패균 및 효소파괴 표. 미국 FDA의 유제품별 권장살균조건 유  제  품 살균조건 유 제 품 방법 온도(℃) 시간 우유,저지방유, 탈지유 LTLT 62.8 30분 우유, 저지방유, HTST 88.3 1초 크림,쵸코렛우유 65.6 90.0 0.5초 이이스크림믹스 68.3 94.0 0.1초 71.7 15초 95.5 0.05초 크림, 쵸코렛우유 74.7 100.0 0.01초 아이스크림 믹스 79.4 25초 액상제품 전반 UHT 137.8 2초 LTLT: 저온장시간살균법, HTST: 고온단시간살균법 UHT: 초고온멸균법

감 사 합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