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전기검사기준 2006. 4 광 주 지 역 본 부 검 사 팀.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참부모님의 메시아 되심과 그 사명 제 1 강 참아버님의 메시아 이해 (1) 제 2 강 참부모님의 메시아 이해 (2) 제 3 강 인간의 타락과 복귀원리 제 4 강 메시아에 의한 혈통전환과 축복 제 5 강 재창조섭리 와 인간책임분담.
Advertisements

1 교양학과 교수 윤종익 2 I. 면접의 유형 II. 실전 D-7 III. 면접 이미지 전략 IV. 면접 사례.
온누리교회 일대일 사역팀. CONTENTS 1. 예수님의 공생애 사역 2. 죄의 기원과 죄의 결과 3. 죄 문제의 해결 I. 예수님의 부활은 그리스도의 죽음과 함께 기독교 II. 인간은 하나님 앞에 모두 죄인이다. III. 따라서 나도 죄인이라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
도로 ( 터널 ) 개설 제안서 제안자 : 구 효 서 연락처 : ( 대 ) (fax)
서울혁신기획관 익명성과 인간소외 심화, 공동체 해체 … 시민의 행복지수와 삶의 질 하락 … 2 I. 왜 … 마을공동체인가 ! 1.
2009 년 행정안전부 공직설명회 년 행정안전부 공직설명회 2 목 차 I. 개 요 II. 기능직 개편원칙 III. 정보통신현업 개편방안 IV. 주요 이슈.
형제침례교회 필리아성가대 성탄절 칸타타 1. Opening : 영광을 하늘 높은 곳 에 성탄예배에 오신 성도님, 환영합니다. 오늘 성탄예배는 칸타타로 드리는데요 성가대가 부르는 찬양을 듣기만 하는 칸타타가 아니라 성도님들께서 모두 찬양하는 칸타타입니다. 화면을 보면서.
2013 년 조사연구위원회 위촉식 및 활동 설명회 2013 년 조사연구위원회 위촉식 및 활동 설명회
회계학과 김영록 회계학과 곽웅섭 회계학과 정찬규 경영학부 황 현.
건강새마을 조성사업 주민 참여 모니터링 강 민 정.
클림트의 회화적인 요소를 이용한 치레거리 디자인 연구
(목) 심형석 영산대학교 부동산∙금융학과 교수 영산대학교 부동산연구소 소장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예술(음악/미술)교과 교육과정 개정의 주요 내용
목 차 I 방위산업의 정의 II 방위산업의 특성 III 방위산업의 현황.
정 보 공 개 서 무 림 오 피 스 웨 이 ㈜.
1월 월간업무보고 경 리 부.
제6장. 현금예금, 대여금, 차입금 대구대학교 회계세무학부 이장형 교수.
목 차 I 퇴직연금의 필요성 II 퇴직급여제도 종류 퇴직연금제도 도입배경 III IV 과학기술인 퇴직연금 개요 V
홍보출판 위원회 출판국 2010년 사역 계획서 발표자 : 출판국 국장 / 박수만권사 일시: 2010년 01월 17일(일) 1.
경주 3코스 양반문화와 전통 다크호스 백 지연 다크호스 백지연 4학년.
영호남 공동발전을 위한 학술문화 교류사업 보고
서울특별시 중구 통일로 10 연세재단세브란스빌딩
2002년 낙동고 4기 동기회 모임 낙동고 4기 동기회.
예수의 제자들 담당교수 : 김동욱.
저출산 고령사회 대응 및 여성 농업인 권익 향상을 위한 정책토론회
역대 정부개편의 교훈과 새로운 정부조직개편의 방향
기록관리 업무담당자 교육 2017년 경상북도문경교육지원청.
김종찬 김정석 이상미 임성규 담당 교수님 최병수 교수님
체위변경과 이동 요양보호 강사 : 이윤희.
2016학년도 2학기 수강바구니(수강신청) 안내 매뉴얼
2016학년도 1학기 수강바구니(수강신청) 안내 매뉴얼
다가구 신축공사 사업계획서 대전광역시 서구 도마동 49-15번지
기계안전분야 크레인 방호장치 안전분야–교육자료 미디어개발
전동기 보호 수화력발전연구소 기술지원센터 책임 이상길
지역발전을 위한 활용 방안 제4회 서귀포 하논분화구 복원을 위한 국제심포지움 이수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게시판이용자의 본인확인 - 제한적 본인확인제
지역맞춤형 일자리창출 사업 기관 평가
2011년 하반기 VIP투자자문 인재채용 안내
올바른 이메일 사용법
2016학년도 학교평가 안내 충청북도교육청 (기획관).
구약의 맥 I (서론, 원역사) 2014 동안성결교회 수요신학강좌 정석규 LA 목회자 세미나.
대촌중 최영미.
물류단지 총량제 폐지 이후 물류시설 공급정책 방향 국 토 교 통 부.
신 윤 호 ㈜엘림에듀 초등사업본부장, 중앙대학교 체육학박사
설계오류,부실시공에 대한 자료를 게시하면서 가. 서론
 KAA 소비자단체장 초청 회원간담회 옥외광고 산업의 현황과 과제 서범석(세명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
지방공무원 임용시험 위탁 및 공동추진 충청북도교육청 (목) 총무과 교육행정 6급 안 병 대
대박콜 전국화물 퀵서비스 회사소개서 (기업 퀵서비스,택배,문서수발).
2019학년도 1학기 수강바구니(수강신청) 안내 매뉴얼
실버 요양 사업 소개서
타워크레인 설치 · 해체시 작업안전 한국산업안전공단.
지적재조사 홍보컨텐츠 개발현황 브랜드 네임 심볼마크 슬로건.
1월 KB손해보험 설계사 시상 I. 설맞이 2017년 Good Start 상품시상 II. A군 FC 주차시상 5만원↑
원격교육활용론 11. 원격교육 컨텐츠 설계 : 실습 패키지 박소연 (광주대학교).
토지보상과 세금 2007년 7월 김 형 록.
학교 내 환자 관리 연수 학교 내 환자 및 응급환자 관리계획(도연학사생 포함) 명진고-2077 ( )
교육기부 진로체험기관 인증제와 지역 센터 운영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김승보.
자원봉사론 제 8 장. 자원봉사 프로그램 개발.
존 듀이의 경험교육론에 기초한 초등학교 체험활동 특징에 관한 연구
발표 : KAB부동산연구원 조윤제 부연구위원
제9주 예산 수립과 집행.
중등학생평가연수 (중학교) 일시 : (목) 10:00 장소 : 부산교육연구정보원 ㅣ중등교육과 ㅣ
양초 한 자루의 과학 과학영재교육 전공 김 연 주 류 은 희 이 상 희.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제 5장. 교육행정 조직의 실제 체육교육 이학재.
가공무역형태-中國 OOOO O O O.
2019년 헤럴드경제 자본시장대상(안) 2019년 3월 헤럴드경제 IB금융섹션.
국제금융의 이해 I. 경제와 금융 II. 국제금융과 무역 III. 글로벌화와 국제금융 IV. 국제금융의 형태
접수번호 : MWC 2015 한국공동관 참가 지원서 - 프로젝트명(서비스/콘텐츠) : 업 체 명 :
우울증 예방 관리 강사 :.
신입사원 OJT교육.
Presentation transcript:

제1장 전기검사기준 2006. 4 광 주 지 역 본 부 검 사 팀

권과방지장치의 성능 I o 자동적으로 전동기용 동력을 차단하고 작동을 제동하는 기능을가질것 o 훅크 등 달기기구의 상부와 드럼, 시브, 트롤리프레인 하부와의 간격이 0.25m이상 (직동식은 0.05m이상)이 되도록 조정할 수 있는 구조 o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는 구조일 것

권과방지장치의 성능II o 통전부분(접지, 단자, 배선 등)의 외함은 견고한 구조일 것

권과방지장치의 성능 III o 권과방지장치 회로구성 ※ 곧바로 전동기전원을 차단할 경우 크레인을 빈번히 - 1, 2차로 구분하여 회로 차단 - 1차는 제어전원 차단, 2차에 전동기전원까지 차단 ※ 곧바로 전동기전원을 차단할 경우 크레인을 빈번히 오르내리는 불필요한 작업 발생 - 추락, 전도위험 - 권과방지장치 기능 무효화 우려

권과방지장치의 성능 IV o Double Girder Type의 크레인에 있어서 - 권과방지 리미트 스위치가 작동, 동력을 차단하기 전에 Girder하면과 취급자재가 접촉되어 와이어로프 파단 위험 ※ 긴 자재를 취급하는 작업장소에서의 권과방지장치는 - 중추식 또는 - 드럼 회전에 의해 연동으로 작동하는 나사형, 캠형 L/S 설치

과부하 방지장치의 선정 방법 o 주권, 보권이 설치 된 크레인 o 주권과 보권을 동시 사용 또는 크래브(호이스트)를 - 각각 과부하방지장치 설치 - 상호 인터록하여 동시 사용금지 o 주권과 보권을 동시 사용 또는 크래브(호이스트)를 병렬운전하는 경우 - 주권과 보권의 정격하중을 합한 값이 크레인의 주요 구조부(거더 등)의 강도계산상의 정격하중을 초과할 수 없도록 과부하방지장치 추가설치 o 지브의 각도, 길이별로 하중이 달라지는 지브 크레인 - 모우멘트 리미터(Moment Limiter)를 사용

과부하 방지장치의 설치 방법 o 크레인 또는 호이스트의 제어반 내부에 설치하여서는 아니 됨  잘보이고쉽게 점검할수있는위치 즉,크레인 통로 또는 제어반의 외부에 부착 → 단, 과부하방지장치의 동작표시램프와 경보설비를 외부에 부착 할 경우 본체를 제어반 내부에 설치 가능 o 운전실이 있는 경우 운전실 내에 설치 또는 경보설비를 추가로 운전실내에 설치

과부하 방지장치 회로

LOAD Limitter(전기식)와 EOCR I 설치목적 크레인 주요구조부의 변형, 도괴 등 기계적 과부하를 방지 전동기의 열적, 전기적 과부하로 인한 절연 열화, 코일소손 방지 보호대상 크레인 전동기 전류 권상전동기 정격전류의 110% 전동기 정격전류의 125% 사용제한 성능 검정품 - 적용대상 동력으로 작동되는 크레인 전동기 정격출력이 0.5kW 이상 검출방법 3상중 한상의 전류만을 검출(결상 보호 불가) 2상이상에서 전류 검출(결상 보호 가능)

LOAD Limitter(전기식)와 EOCR II 횡행, 하강작동 중 과부하 검출불가 o 하중증감에 따라 부하전류 가 비례하여 증감하지 않는 특성으로 전동기 보호 곤란 o 보호범위와 설정치가 전동기 특성, 구조에 따라 상이

주행크레인의 경보장치 o 위험범위 내에서 작업중인 작업자에게 필요시 운전자가 경보를 주행크레인의 경보장치 o 위험범위 내에서 작업중인 작업자에게 필요시 운전자가 경보를 발할 수 있는 설비(예; 부저, 벨 등) o 작업바닥면에서 조작하며 화물과 운전자가 함께 이동하는 펜던트 방식(주행속도 45m/min이하)의 크레인은 예외 ※ 착안사항 - Remote Controller에 의한 방식에서 • 조작자가 매달린 화물과 함께 이동할 수 없는 경우 • 조작자가 주행 전길이에 대해 시야확보가 어려운 경우  주행과 동시에 경보할 수 있도록 제어회로 구성 필요

정전보상장치 I o 리미팅 마그넷트 부착 크레인에 적용 - 비상시의 최소 10분 이상의 흡착력 유지 (밧데리 용량확보) - 정격하중 표시 (특히, portable 리프트 마그넷트 명판) - 조작스위치나 핸들에 운전형식 및 방법 표시 - 조작전기회로는 교류 150V, 직류 300V를 초과하지 않을 것 - 점검시 운전자에게 밧데리에서 전원이 공급됨을 경보하기 위한 음향신호를 가지고 있을 것

정전 보상 장치 II o 리프팅 마그넷트 사용 중 불시 정전으로 매달린 화물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 - 정전시 자동으로 비상전원으로 절체될 수 있도록 회로구성 - 운전자가 밧데리에서 전원이 공급됨을 알 수 있도록 경보 -경보는 주동력이 상실되었을 때 또는 비상전원에서 전원이 공급될 때 경보토록 회로구성

비상 정지 스위치 o 모든 크레인 및 호이스트는 운전자가 비상시 조작 가능한 위치에 비상정지스위치를 비치 - 작동중인 동력이 차단되도록 할 것 - 리셋(Reset) 기능을 가질 것 - 적색, 돌출형, 수동복귀형식(잠금기능) ※ 착안사항 • 비상정지스위치 작동시 제어전원 및 주전원이 동시  주전자 접촉기 설치, 각 전동기 및 브레이크 공급전원 차단 • 일반형 버튼과 쉽게 구분되는 형식(예: 버섯모양) • Normal close접점

비상 정지 스위치 설치회로

펜던트 스위치 o 비상정지용 누름버튼과 작동종류에 따른 누름버튼 비치 o 조작용 전기회로전압은 대지전압 150V 이하 ※ 착안사항 • 누르고 있는 동안만 동작(손을 떼면 즉시 정지) • 크레인 동작 방향과 누름버튼 방향 표시 일 • 주권과 보권 를 갖는 크레인에는 반드시 선택 스위치 구비

제어회로 접지와 전자접촉기 I o 제어용 변압기 2차측의 1선이 접지되는 제어회로에서 전자접촉기 등의 조작회로를 접지하였을 때에 전자접촉기 등이 폐로될 우려(돌발운전 또는 통제불능)가 있는 것은 - 코일의 한끝은 접지측의 전선에 접속할 것 - 코일과 접지측 전선과의 사이에 개폐기가 없을 것

제어회로 접지와 전자접촉기 II Q1: Up, Down 스위치의 위치는 전자접촉기 1차측인가, 2차측인가? Q2: 그 이유는? Q3: EOCR 접점은 왜 2차측에 설치해도 되는가?

크레인 전원공급 계통

인입 개폐기 o 크레인 전원 인입점에 개폐기 설치 - 외함에는 당해 크레인의 명칭 및 전원의 정격을 표시한 이름판을 붙일 것 - 당해 크레인의 부하정격전류 용량이상, 전동기 정격전류의 2.5배에 기타 부하전류를 합한 값일 것 - 인입개폐기함은 당해 크레인의 전원을 지상에서 쉽게 개폐할 수 있는 곳으로서 잘 보이는 곳에 설치할 것 - 외함에는 당해 크레인의 명칭 및 전원의 정격을 표시한 이름판을 붙일 것 - 아무나 쉽게 조작할 수 없도록 잠금장치를 설치할 것

차단기 정격전류 선정 o 인입용 차단기 정격전류 o 분기용 차단기 정격전류 IM  (전동기 정격전류)  2.5배 (Fuse 3배) + 기타부하 o 분기용 차단기 정격전류 IB  전동기 정격전류 1.1~2.5배 (Fuse는 3배) o 전동기 정격전류 합계 전동기 정격전류 합계 전선의 허용전류 50A 이하 1.25  전동기 전류 합계 50A 이상 1.1  전동기 전류 합계

레일의 정지기구 o 크레인의 주행레일에는 차륜정지기구에 도달하기 전의 위치에 리미트 스위치 등 전기적 정지장치가 설치되어야 함 ※ 착안사항 -크레인 능력(권상하중, 주행속도) 및 사용조건(경작업, 중작업)에 따라 직접 시험한 결과를 근거로 설치거리 결정 - 리미트 스위치 또는 근접 스위치를 사용 -주행브레이크가 없는 구조에도 적용 - 설치장소의 사정을 감안(작업공간 사각지대 발생 방지)

주행제한 리미트 회로

충돌방지장치(Anti-collision) (펜던트 스위치 조작방식 제외) o 설정거리 내로 접근했을 때 경보가 울리면서 정지하여야 함 #. 착안사항 - 설치대상 • Cabin type 또는 보행속도 45m이상 무선 조작 크레인 • 운전실에 경보설비 설치 - 족답식 브레이크를 갖는 크레인의 경우 • 충돌방지장치 동작시 운전실에 경보 • 주행모터 전원 자동차단 • 족답식 브레이크로 조작 정지

콘트롤러(Cotroller) o 운전실이 있는 구조 o 무선조작 콘트롤러 - 운전자가 보기 쉬운 위치에 크레인의 작동종류, 방향, 비상정지 등에 관한 내용을 표시 (콘트롤러에서 손을 떼면 크레인 작동을 정지하는 위치로 복귀하는 콘트롤러는 제외) o 무선조작 콘트롤러 - Zero Nortch 기능을 보유한 controller 사용(Locking기능 금지) - 타 크레인용 콘트롤러에 간섭을 받지 않을 것 -충격을 받으면 곧바로 정지되는 구조(예상치 못한 오동작 방지) -운전실과 무선조작 콘트롤러 겸용시 선택 스위치 부착 - 비상정지 스위치 부착

미끄럼 방지 고정장치 o 옥외에 설치된 주행크레인에 적용 o 주행레일 양단에 설치 ※ 착안사항 • 레일쐐기형, 레일클램프형으로 설치 • 미끄럼방지장치 작동시(고정시) 주행전원 차단토록 회로구성 바람직 함 →레일 클램핑 상태에서 주행할 경우 갠트리 크레인 전복위험 • 주행레일 중간에 자재 적재 금지

제어반의 외함구조 o 옥내(Dust-Proof) o 옥외(Splash-Proof) Rubber Packing

전 동 기 o 절연저항  [사용전압(V)/(1000+출력)[M]이상 o 권상전동기의 정격출력은 기계효율을 감안한 후 전 동 기 o 전동기는 옥내, 옥외, 온도조건 및 기타 사용조건에 적합한 구조 o 이상소음 이상발열이 없을 것 o 절연저항  [사용전압(V)/(1000+출력)[M]이상 o 권상전동기의 정격출력은 기계효율을 감안한 후 용량의 부족함이 없을 것 o 브러시 및 피그테일 체결 부분은 풀림이 없을 것 o 브러시는 이상마모가 없어야 하며 마모 한도는 원치수의 5이하일 것

IEC Code에 의한 IP 등급분류 전기기계·기구의 외함구조 I 1st 문자번호 장비보호의미 2nd 문자번호 장비보호의미 1 1 2 3 4 5 6 고체 이물질 유입에 대한 보호(특별한 조치 없음) 직경50㎜이상의 물질 직경12.5㎜이상의 물질 직경2.5㎜이상의 물질 직경0.1㎜이상의 물질 분진 방호(장비기능에 이상이 없어야 함) 먼지의 완전한 방호 1 2 3 4 5 6 7 8 장비에 기능이상을 초래하는 물의 침투에 대한 보호(특별한 조치 없음) 물방울이 수직으로 떨어짐 물방울이 수직에서 15˚각도로 떨어짐 수직으로부터 60˚방향까지 스프레이 물방울이 떨어짐 모든 방향에서 분산되어 떨어짐 모든 방향으로부터 분사수가 뿌려짐 흘러내림 일시적인 침수 계속적인 침수

전기기계·기구의 외함구조 II NEMA, IP, KS 외함구조 비교 NEMA IP KS 비교 1 IP10 - KS는 구분 없음 2 IP11 〃 3 IP54 방습형* 3R IP14 4 & 4X IP56 내수형* 12 & 12K IP52 방우형* 6 & 6P IP67 방침형* 13

제 어 반 I o 과전류 보호차단기 (정격전류의 250% 이내) 또는 o 계전기는 이상이 없으며 각상을 보호할 것 퓨즈(정격전류의 300% 이내)가 있을 것 o 계전기는 이상이 없으며 각상을 보호할 것 o 내부 배선은 전용의 단자를 사용하고 피복의 손상 또는 열화가 없을 것 o 제어반에는 제어반 명칭 전원의 정격 (전압, 주파수 등)이 표시된 이름판 부착 o 외함의 구조는 충전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폐쇄형으로 잠금장치가 있고 사용장소에 적합한 구조일 것

제 어 반 II o 배선용 차단기 - 개폐동작의 원활 여부 o 전자 접촉기 - 접촉면의 거칠음, 마모 유무 - 고정볼트의 풀림 여부 - 몰드의 파손 여부 - 퓨즈용량 적합여부 (제작사의 사양 준수) o 전자 접촉기 - 접촉면의 거칠음, 마모 유무 - 접촉자의 접촉압력 - 스프링의 파손, 변형 등 열화 유무 (아크슈트) - 떨림 및 이상 소음 발생 여부

제 어 반 III o 내부 배선 - 접촉단자의 체결상태 o 계전기 - 과부하 계전기(EOCR)동작 범위 - 배선피복의 탄화 또는 열화 유무 - 전선 인입구 피복 손상 유무 o 계전기 - 과부하 계전기(EOCR)동작 범위 - 과부하 계전기 동작전류값 확인(정격전류의 110%이내) - 각 상에 열적소자(heater) 설치여부(Thermal Relay)

집 전 장 치 o 트롤리선 - 절연덮개 탈락, 간격 적정 여부(특히, END Cap) o 급전케이블 (캐리스터, 매직행거형) - 탄화, 열화 여부 (절연덮개의 변형 상태 점검) - 집전자 접속상태 (접촉불량 여부 확인) o 급전케이블 (캐리스터, 매직행거형) - 체결부분의 풀림 및 탈락 여부 - 케이블 안내기구 작동상태 - 케이블 열화 유무 ※ 착안사항 : 동일 주행로상에 추가로 크레인을 설치하는 경우 절연트롤리선의 허용전류 검토

전류의 측정 o 전류에 의한 영향 o 분기 및 간선회로의 과전류 보호장치 선정과 전선굵기 전류의 측정 o 전류에 의한 영향 - 주울열 (=I2RT)이 발생 o 분기 및 간선회로의 과전류 보호장치 선정과 전선굵기  step1: 보호대상 전동기의 전부하전류(FLC)의 산정  step2: EOCR 또는 THR의 동작 설정치 산정  step3: 분기회로 전선굵기 선정  step4: 분기회로 과전류 보호장치 (MCCB 또는 Fuse) 선정  step5: 간선회로의 전선굵기 선정  step6: 간선보호용 과전류보호 장치의 선정

전압에 의한 영향 o 과전압 o 변동전압 - 전동기 절연파괴 - 전자접촉기 접점융착 o 3상 전원전압의 불균형 - 형광등, 수은등의 안전기 진동음 및 과열 - 전자접촉기의 진동음 또는 과열 - 전동기 절연파괴 o 부족전압 - 형광등의 조도 감소 - 전동기 시동토크 저하, 회전수 저하 - 전자접촉기 접점융착 o 변동전압 - 조명설비의 플리커(Flicker)현상 - 전자접촉기의 개로 o 3상 전원전압의 불균형 - 3상 유도전동기의 토크감소, 코일온도 상승

접지의 중요성 o 전동기의 절연파괴가 발생한 경우 o 전동기의 접촉전압 (Vc) o 인체에 흐르는 전류 (Ig)  전원측 접지저항 (E2) 10  전선로의 저항 1  전동기의 접지저항 (E) 100 o 전동기의 접촉전압 (Vc) o 인체에 흐르는 전류 (Ig) - 인체저항 2000, 인체대지접촉저항 500이라고 가정할 경우

접지저항의 정의 o 접지계통의 구성요소 - 피접지체, 접지전극, 접지선 o 접지저항의 정의 ( Rg=E/I [] )

접지저항 측정방법 I 저항구역전위분포 접지전극 상호간섭

접지저항 측정방법 II E전극과 C전극이 가까운 경우 E전극과 C전극이 충분히 떨어진 경우

접지저항 측정방법 III o 접지저항의 올바른 측정방법 - 접지전극(E)으로부터 전위전극(P)위치를 변경해 가면서 측정 - 측정대상 접지전극과 전류귀환 전극의 영향을 받지 않은 곳(61.8%) - 이 때의 겉보기 저항값이 측정대상 접지전극의 접지저항 값임 접지저항값

절연저항 측정 I o 절연저항의 정의 - 표면누설전류에 의한 오차를 방지하기 위해 G단자 활용 - 누설전류로 인가한 전압을 나눈값 (=V/I0), M - 체적저항과 표면저항 개념 - 표면누설전류에 의한 오차를 방지하기 위해 G단자 활용

절연저항 측정 II o 절연저항 측정기준 o 측정방법 o 측정시 주의사항 전로의 사용전압 구분 절연저항 400V미만 대지전압 150V이하 0.1 대지전압 150V초과 300V이하 0.2 대지전압 300V초과 400V미만 0.3 400V이상 사용전압 400V이상 0.4 o 절연저항 측정기준 o 측정방법 - 심선과 대지사이의 절연저항 측정 - 심선 상호간에 절연저항 측정 - 차단기, 개폐기로 구분할 수 있는 선로마다 측정 o 측정시 주의사항 - 사용전압에 가까운 상위 정격전압을 가진 절연저항계 선택 (저압전로 및 기기 : 500V메가, 고압 : 1,000V메가) - 반드시 측정전에 전원차단 - 기기나 배선 : 선로단자(L), 접지측 또는 외함 : 접지단자(E) - 표면누설저항의 영향이 있을 때는 보호단자(G)를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