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적인 팀의 5가지 조건 (Leading Teams)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심도 있고 지속 가능한 경영을 위한 – 인문경영 교육 프로그램 인문경영연구소 교육 프로그램 안내서 Humanities Management Institute 인문경영연구소 카인즈교육그룹 T: 02) ~3 | F: 02)
Advertisements

차 례 Ⅰ 년을 준비하는 희망 교육Ⅱ. 교육이 바뀌고 있습니다. Ⅲ. 인천 교육, 무엇을 하고 있나Ⅳ. 미래형 학력 추구.
HITEL MIS HBR STUDY Year 2000 롤러코스터와 같은 기업 재창조 트레이시 고스 (Tracy Goss) 리처드 파스칼 (Richard Pascale) 앤서니 에이토스 (Anthony Athos) 정세희.
융합인재교육 (STEAM) 교육과정 재편성 및 수업적용 방안 (5~6 학년 ) 서울석계초등학교 서울석계초등학교 교사 이 혜 원 교사 이 혜 원.
휴넷 CEO 서비스 소개자료 V3 컨텐츠 R&D 팀 휴넷 표준교육체계도 기준 휴넷 CEO 컨텐츠의 교육대상은 ?
빅뱅이론과 발달사 박형민. 빅뱅이론의 발달  우주관  표준빅뱅이론  인플레이션 우주론  기타 우주론  맺음말.
1 매쓰홀릭 설명회. What Do You Want? 자유로운 활용 - 컨텐츠 수 평 학 습.
회사 개요 / Overview Korean Company 순수 국내자본 및 기술력의 대한민국 기업 Korea’s NO.1 Company 국내시장 1 위의 선두기업 IA Expert Company 센서 제어기기 전문기업 Global Company.
이창준 대표이사 “ 나는 현실적 제약과 조건 속에서 자신은 물론 자신이 속한 공동체를 구원할 참된 리더를 양성하는데 헌신한다.” ㈜ 아그막 대표이사 / 경영학 박사 / 아주대 경영학부 겸임 교수 / 한국사이버대 교육학부 겸임교수. 18 년간 HRD Practitioner.
제 1 기 정책관리자반 제 1 팀 강 원 도 동해소방서장 염찬수 경 상 북 도 문경소방서장 정석구 광주광역시 서부소방서장 김선배 대전광역시 동부소방서장 전병순.
시스템 명 팀 명 : 팀 원 :. 시스템 목적 Project Team (ex. 사진편집에디터 )
설립목적 및 추진배경 학교 부적응 및 학업중단 학생 교육을 위한 공립 대안교육 특성화학교 설립 요구 증대 학교 부적응 및 학업중단 위기 학생들에게 소질 · 적성 · 특기를 살리는 자연체험학습, 인 성계발 등 특화된 교육 기회 제공 학교 부적응 학생들의 일탈로 인한 사회.
목 차 운영시간표 세부내용 훈련장소개 안전대책 훈련사진 회사현황 훈련실적 훈련사진 인사말 교육실시 개요 맥 스포츠 소개.
2012년 동아대학교 마케팅 & 세일즈 통합솔루션 과정
교육 프로그램 안내서 인문경영연구소 Humanities Management Institute
직장내 성희롱, 성폭력, 성매매 예방연수.
대인관계능력.
BSI(Business Survey Index)
시공현장 안전보건교육자료 ㈜가야중공업 HSE TEAM.
Social Network Service!
작업 전 안전 확인 작업 중 안전 점검 작업 후 정리정돈
두산인프라코어 교육체계도 그룹체계 Leadership College Professional College PRG
일의 분할 원칙 권한분배 원칙과 방법 조정이 필요한 이유와 방법 유기적 조직과 기계적 조직 조직의 변화과정
아 동 복 지 07.
인턴십과 도제 생물교육전공 권혁철.
떡! 어떻게 살리지? Team 당나귀.
한국어 읽기 교육의 이론과 실제 김연이 김율희 김혜선.
매트릭스 조직 (matrix organization)
캡스톤 디자인2 최종발표 유경현 김기윤 Team : 너 지금 어디야.
Team Spirit in OUR TEAM Ownership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다 어두운 곳에서도 알아 볼 수 있다
C사 영업부문 교육체계 교육체계수립 Process 인재육성의 기본전략 교육체계 수립방향 직무별 교육체계 Road Map
코칭케이스 1 – The Coaching Clinic 상황: 나는 영업팀장이다. 직원을 대상으로 영업교육을 하였다
학부모 설명회 학부모 설명회를 시작하겠습니다. 먼저, 설명회를 찾아주신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금일 강의를 하게 된 저는 우공비, 쎈이라는 교재를 만드는 좋은책신사고 본사 교육팀에서 근무하고 있는 이영호입니다. 강의는 총 1시간 정도 소요될 예정이며, 강의 종료.
THE PRIVATIZATION OF HEALTH CARE
조직문화 혁신사례 P & C 컨설팅 LGENT의 비전과 전략 달성을 촉진하기 위한 P & C
2012 후반기 조직과 리더십 7주차 강의 조직의 구조와 모형 광운대학교.
리더십 개발론 제 1 장 리더십의 개념과 본질 신 형 재 교수 숭실대 경영대학.
응급의학과 설명회 국내 응급의학의 역사, 현황 및 전망
Carnegie Leadership Course
Leadership이란? 조직의 성공과 효율성을 위해 구성원들이 공헌하도록 이들에게 영향력을 행사하고 동기부여를 할 수 있는 능력 Shared leadership 5가지 관점 특성(Competency) 이론 행동(Behavioral) 이론 상황(Contingency) 이론.
제 32 장 개방경제의 거시경제 이론.
인하대학교 수학과 BK21 Plus 사업팀 선정 기념 워크샵.
본원 : 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 152-2번지 부산산업용재유통상가 7동 201호-203호
Part3 . 경영관리 Week 4 경영학배움터 (The Future of Business) 6인공역 2판.
나의 삶과 금융경제 설계전략 당신의 인생은 안녕하십니까 Team . 승승장구.
2007 경영전략 수립 컨퍼런스 묘수와 정수.
문제정의 공학입문 설계 세번째 시간 공학입문설계
1. Folding 건축설계 : 최준오교수.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인공지능 연구실 엄 재 홍
건설 사업 관리 (Construction Management)
제이킴의 스마트 워커에 오신 것을 환영 합니다. Jaykim361.tistory.com
UNIEXTER Unique Extend Terrace 김기택 고대웅 김문기 김선학 오진호 한영규.
제7장 리더십과 동기부여 박 명숙 박정혜 박준우 1.리더십개념 2.리더십의 중요성 3.지도자의 역할 4.리더십이론
도요타 혁신을 위한 실행인재 육성 KPEC 한국산업교육센터 행동하는 초일류 경영지도회사 부설연수원 혁 신 사 관 학 교.
제 7장 조직문화 3조 권원익 김단아 류민수 신상미 윤남주.
『2017년 우수기업탐방프로그램』 - JTBC기업방문 대학생 참여안내 (사)한국능률협회
The Moral Imperative of School Leadership
한국의 CEO 탐구 - 대우그룹의 흥망과 CEO 김우중 - 경영 96 백민우 97 김상경 김진영 99 김승우 00 김진우
6 정보 설계 웹 기획 : 성공적인 웹사이트의 첫 번째 조건.
강력한 리더십의 8가지 역할 John Kotter
제 14 장 조직문화와 조직개발 조직행동론.
Portal 사용을 위한 Internet 옵션 설정
C사 영업부문 교육체계 교육체계수립 Process 인재육성의 기본전략 교육체계 수립방향 직무별 교육체계 Road Map
4대강 사업에 따른 강정보 조성으로 인한 경관 및 주변환경 변화 연구
정부조직론 Team 1 발표 제5장 제1절, 제2절 공공정책학부 강철욱 권지호
㈜HPS경영컨설팅
팀 빌딩 (Team Building)이란? 신뢰할 수 있는 팀을 생성하는 작업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은, - 한 사람 한 사람의 자발성 - 내 옆의 사람과 일하고 싶다는 마음 - 서로에 대한 필요와 신뢰 - 원활한 의사소통.
코칭론 강원대학교 레저스포츠학과.
전자정부구현을 위한 문서관리제도 개선방안 - 정부수립 후 최초의 문서관리체계 대혁신 -
관련 사항 모두 읽기 Microsoft SharePoint 뉴스
Presentation transcript:

성공적인 팀의 5가지 조건 (Leading Teams) 초 록 이 글에서 저자는 팀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한 5가지 기본 조건(A real team, Compelling directions, Enabling structure, Supportive context, Expert Coaching)과 세부 실행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팀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원인(Causes)을 찾기 보다는 팀이 효과성을 발휘할 수 있는 조건(Conditions)을 제시하며, 이러한 조건들이 정교화 될 때 팀의 성과는 높아질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또한, 팀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리더의 기질, 스타일 및 상황을 찾기 보다는, 효과적인 팀의 조건들을 만들어 가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주장 하고 있다. Richard Hackman

팀 효과성과 효과적인 팀의 조건들 팀 효과성 효과적인 팀의 조건들 (팀이 효과적으로 기능하고 있는가를 측정할 수 있는 세가지 기준) ① 고객이 받아 들일 수 있는 결과물을 제공할 것 ② 팀으로서의 능력이 신장될 것 ③ 멤버에게 학습의 기회를 제공할 것 효과적인 팀의 조건들 ① 팀이 명목만의 팀이 아니라 ‘진정한 팀’일 것(=A Real Team) ② 담당 업무에 대해 ‘명확한 방향’을 갖고 있을 것(=Compelling Direction) ③ 공동작업을 침해하기 보다는 용이하게 해주는 ‘활성화 구조’를 갖고 있을 것 (=Enabling Structure) ④ ‘조직지원 시스템’을 운영할 것(=Supportive Context) ⑤ 팀 워크를 위해 적시에 적절한 ‘전문가 코칭’을 제공할 것(=Expert Coaching) [효과적인 팀의 기본 조건 들] 환경(조직적 지원 시스템) 팀의 활성화 구조 명확한 방향 진정한 팀 팀의 효과성 -고객이 받아들일 수 있는 결과물을 제공하는 것 -팀으로서의 능력이 신장되는 것 -멤버에게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 전문가 코칭

1. A Real Team 진정한 팀의 조건 ① 부과되는 팀의 과제가 명확할 것 (팀의 과제) -멤버들이 물리적으로 가까운 장소에 일하고, 한 상사의 감독을 받을 지라도 각 멤버가 해야 할 각자의 일이 있으며, 그 업무가 다른 사람들이 하는 일과 무관하다면 ‘팀’이라고 할 수 없다(=공동행동그룹).. ② 팀 내외의 경계가 명확할 것 (팀의 경계) -집단적인 결과물에 대한 책임을 공유하는 사람과 다양한 방식으로 지원은 하지만 팀 멤버가 아닌 사람을 구별해야 한다. ③ 일의 진행 방식을 관리하는 권한이 구체적으로 결정되어 있을 것 (명확한 권한) -매니저는 멤버들에게 자신들이 어떤 결정을 내릴 수 있는지 없는 지를 분명하게 이해시켜야 한다. 그래야만, 의사 결정을 내리는 과정에서 지나치게 소심하거나 권한의 범위를 넘어서지 않는다. ④ 일정 정도 합리적인 기간 동안 멤버의 안정성이 있을 것 (팀의 안정성) -팀의 멤버들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로에 대해, 집단적인 작업에 친숙해 지고 집중할 수 있도록 팀의 잦은 교체보다는 안정성을 보장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권한의 매트릭스] 전체적인 방향을 결정한다. 경영진 책임 팀과 그 조직적 환경을 설계한다. 업무 프로세스와 진행 상황을 확인하고 관리한다.. 팀의 자기 책임 부여된 일을 실행한다.. 매니저 주도 자기 관리 자기 설계 자기 통치

2. Compelling Direction 좋은 방향이 주는 혜택 좋은 방향성의 기능과 효용 ① 에너지를 불러 일으킨다. ② 한 곳을 지향하게 만든다.. ③ 참여하게 만든다. 좋은 방향성의 기능과 효용 좋은 방향의 속성 기능 효용 도전적인 에너지를 불러일으킨다. 참여 동기를 고양시킨다. 분명한 한 곳을 지향하게 한다. 목적에 맞게 전략을 세운다. 결과에 결부된 능력을 발휘하게 한다. 지식과 기술을 충분히 활용한다. [목적의 방향성인가? 수단의 방향성인가?] 목적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가? 아니다 그렇다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는 혼란 상태 팀이 자기관리를 하면서 목표를 향해 착실히 전진 아니다 수단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가? 팀이 사라짐 (최악의 상태) 인적자원이 완전히 활용되지 못함 (인적자원의 낭비) 그렇다

3. Enabling Structure 팀을 위한 직무 설계 행동규범 설정 팀의 구성 (개인에게 적용하는 직무특성이론이 ‘팀’에 대한 기저에도 동일하게 적용됨) 과업 특성 심리 상태 심리 상태 기술 다양성 가치 있고 의미 있는 일이라는 경험 과업 정체성 내적 동기 부여 과정 중요성 자율성 책임감 일 자체로부터의 피드백 결과에 대한 지식 행동규범 설정 좋은 멤버들은 주변환경에 수동적이 아닌 능동적인 자세를 취해야 한다. 지속적으로 환경을 탐색하고 거기에 맞추어 실행 전략을 세우거나 조정해야 한다. 팀이 활동하는 행동의 경계가 명확하게 한정되어야 한다. 멤버 들이 항상 반드시 해야 할 것과 절대로 해서는 안 되는 소수의 사항들이 확인되어야 한다. 팀의 구성 팀의 규모 -저자는 ‘대 팀제’보다는 잠재적 생산성과 프로세스 손실을 고려할 때, 4.6명으로 구성된 팀이 더 낫다고 주장( c = a + b) (a) 잠재적 생산성 (b) 프로세스 손실 (c) 실제 생산성 1 2 3 4 5 6 7 8 1 2 3 4 5 6 7 8 1 2 3 4 5 6 7 8 멤버의 구성 -좋은 팀 구성의 핵심은 너무 큰 유사성과 너무 많은 차이점들 사이에서 주의 깊게 균형을 취해야 한다. 대인관계의 기술 -대인관계 기술을 일정 수준 갖춘 맴버들로 구성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만일 멤버가 그러한 기술을 갖고 있지 않으면 그러한 기술을 획득하도록 훈련을 실시해야만 한다. -그러나, 팀에는 돌출적인 행동을 하는 멤버가 반드시 있다. 그런 일탈하는 멤버를 잃는 것은 종종 신선한 사고를 도입할 기회를 잃는 것이기도 하다.

4. Supportive Context 팀에 대한 지원 시스템 보상 시스템 Supportive Context 정보 시스템 교육 시스템 보상 시스템 -우수한 팀 성과에 대한 인정은 멤버들이 ‘나’보다 ‘우리’에 대해 생각하도록 만들고, 집단적 동기를 오랫동안 유지시켜준다. -칭찬과 비금전적 보상이 팀의 성과를 강화하는데 보다 장기적으로 효과가 있지만, 그것만으로는 안 된다. 일정 시점에서 사람들은 금전적 보상이 이루어지기를 바라다. → 내적 보상은 사람에 따라 선호도가 다르나, 거의 모든 사람들이 좋아하는 하나의 인정 수단은 돈이다. -팀의 동기와 행동에서 가장 큰 차이를 만드는 것은 결과에 직결된 보상이다. -조직은 외적인 보상에 전적으로 의존해서는 안 된다. 대신에 내적 동기 부여를 양성하기 위해 일 자체를 구조화하고, 긍정적 성과를 보상하는 지원이 필요하다. -팀의 성과에 따른 보상이 전체로서의 팀이 아니라 개별 멤버들에게 차별적으로 주어지면 팀이 지닌 장점은 쉽게 상실된다. 정보 시스템 -팀에게 필수 불 가별한 데이터와 기회를 보여주는 데이터가 없으면 멤버들은 현재의 일을 수행하는 것 외에 달리 할 일이 없다. -팀이 전략을 개발하고 실행하기 위해 중요 정보를 필요로 하면 경영인은 그 팀을 지원하는 일환으로써 정보를 공개하고, 거기에 따른 위험도 함께 부담해야 한다. 교육 시스템 -팀에게 필요한 훈련과 기술을 교육하는 것은 보상 시스템과 정보 시스템을 개선하는 것보다 더 중요하며 더 쉽다.

5. Expert Coaching 팀 코칭이란? 코칭 개입에 적합한 시점 팀 코칭은 멤버들이 일을 완수하기 위해 집단적 자원을 잘 할요하는 것을 돕는 것이다. 그러나, 코치가 팀의 작업을 대신해 주지는 않는다. 코칭 개입에 적합한 시점 시작 중간 끝 팀의 라이프 사이클 주목해야 할 퍼포먼스 프로세스 노력 전략 지식과 기술 코칭 개입의 종류 동기부여적 조언적 교육적 [세가지 업무수행 프로세스에서 발생하는 프로세스 로스와 프로세스 게인] 노력 프로세스 로스 : 팀 멤버들의 빈둥거림 프로세스 게인 : 팀과 그 일에 대한 공동의 헌신 업무수행 전략 프로세스 로스 : 습관적으로 일상 업무에 무신경하게 의존 프로세스 게인 : 혁신적이고 적절한 절차를 편성해 내는 능력 지식과 기술 프로세스 로스 : 멤버의 공헌을 경시 프로세스 게인 : 지식의 공유와 멤버의 스킬 향상 ※프로세스 로스 : 이용 가능한 자원과 멤버의 재능에서 이론적으로 도출되는 집단의 능력을 100% 발휘하지 못하는 비효율성이나 내적인 붕괴를 의미 프로스세 게인 : 집단적 노력을 증진시키고, 공동으로 작업하는 적절한 전략을 창출하고 멤버들의 지삭과 기술을 적극 발전 시킴을 의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