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지 이론 (Fuzzy Theory) 컴퓨터를 인간에 가깝게 하는 일의 어려움 Zadeh의 퍼지 집합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3 학년 문제가 남느냐, 내가 남느냐 1. ( 아씨방 일곱 동무 ) 아씨의 방에는 바느질을 위한 친구가 몇 명이 있었나요 ? 정답은 ? 일곱.
Advertisements

10장. 시기별 학급경영 11조 염지수 이 슬 권용민 신해식.
일본 근세사. (1) 에도막부의 개창 ( ㄱ ) 세키가하라의 전투 (1600) - 히데요시의 사후 다섯 명의 다이로 ( 大老 ) 가운데 최대 영지 (250 만석 ) 를 보유하고 있던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급부상. 이에 이에야스와 반목해 온 이시다 미쓰나리 ( 石田三成 ),
아니마 / 아니무스 송문주 조아라. 아니마 아니마란 ? 남성의 마음속에 있는 여성적 심리 경향이 인격화 한 것. 막연한 느낌이나 기분, 예견적인 육감, 비합리적인 것에 대 한 감수성, 개인적인 사랑의 능력, 자연에 대한 감정, 그리.
대구가톨릭대학교 체육교육과 06 학번 영안중학교 체육교사 신웅섭 반갑습니다. 반야월초등학교 축구부 대륜중학교 축구부 대륜고등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차석 입학 대구가톨릭대학교 수석 졸업 2014 년 경북중등임용 체육 차석 합격 영안중학교 체육교사 근무 소개.
인공지능 소개 부산대학교 인공지능연구실. 인공 + 지능 인공지능이란 ? 2.
일장 - 1 일 24 시간 중의 명기 ( 낮 ) 의 길이 ( 밤은 암기, 낮은 명기 ) 광주기성 - 하루 중 낮의 길이의 장단에 따라 식물의 꽃눈 형성이 달라지는 현상 일장이 식물의 개화현상을 조절하는 중요한 요인 단일식물 - 단일조건에서 개화가 촉진되는 식물 장일식물.
2 학년 6 반 1 조 고은수 구성현 권오제 김강서.  해당 언어에 본디부터 있던 말이나 그것에 기초하여 새로 만들어진 말  어떤 고장 고유의 독특한 말  Ex) 아버지, 어머니, 하늘, 땅.
성공취업! 지금부터… 면접편.
2014년도 교원 및 기간제교사 성과상여금 전달교육 개 회 국기에 대한 경례 - 인사말
CryoCell Introduction Global Leader of Beauty Group
선진 고양교육 “유아교육 행정 업무 연수” 유치원 회계실무 및 유아학비 연수 경기도고양교육청.
인터넷교육 사업계획서. 인터넷교육 사업계획서 목 차 1. ㈜ △△△ 사업의 개요 11. 회사가 주최하는 교육 및 행사 12. 사업자 원천징수 2. ㈜ △△△ 사업의 특징 목 차 1. ㈜ △△△ 사업의 개요 2. ㈜ △△△ 사업의 특징 3. ㈜ △△△
Chapter 9. 컴퓨터설계기초 9-1 머리말 9-2 데이터 처리장치 (Datapath)
이산시스템의 모델 담당교수 : 정보통신공학과 고경철 교수 (cp) ( ) 홈페이지 :
묵자 겸애, 비명, 비공, 상현, 상동, 천지, 명귀, 삼표 법.
Quality Management System Manual
2017 법인관련 개정세법 곽장미 세무사.
PNP-804 사용설명서 및 사양서 삼성피엔피시스템 서울시 구로구 구로동 1262번지 B32,33호
안전 시선 유도 등 Safe ROAD 사업제안서 SRTECH.
내 아이를 위한 구강관리.
원정초등학교 5학년1반 48번 윤민정.
14주차 1교시 강화계획 [학습목표] 1. 강화계획의 정의를 안다 [학습내용] 1. 단순한 강화계획 2. 간헐적 강화 3. 복합 계획 4. 선택과 대응법칙 [사전학습] 강화계획이 일어날 수 있는 사례를 생각해본다.
MIS Report 2 제출일: 2008년 11월 04일 과목명: 경영정보시스템 교수명: 이 건창 교수님 성 명:조재선.
퍼지 이론 (Fuzzy Theory) 컴퓨터를 인간에 가깝게 하는 일의 어려움 Zadeh의 퍼지 집합
제16장 원무통계 • 분석 ☞ 통계란 특정의 사실을 일정한 기준에 의하여 숫자로 표시한 것을 말한다.통계로서 활용할 수 있는 조건으로는 ① 동질성을 지녀야 하고 ② 기준이 명확하고 ③ 계속성이 지속되어야 하며 ④ 숫자로 표시하여야 한다 경영실적의.
연장근로와 야간·휴일근로 김영호 노무사 나눔 노사관계연구소 소장 연세대 일반대학원 박사 수료 고려사이버대 법학과 외래교수
서울지방세무사회 부가세 교육 사진클릭-자료 다운 세무사 김재우.
치매의 예방 김 은민 윤금 노인요양원 치매의.
Discrete Math II Howon Kim
Contents 퍼지 개요 및 추론 과정 소개 예 1)날씨와 기분에 관한 예 Wallfollow system
불확실성(Uncertainty) 현실세계: 과학, 공학 시스템 내외부에 존재하는 불확실성에 대처할 필요
with 신 동 면 교수님 임지영 장영태 조재영 황선희 황예빈
제 5장 퍼지이론 (Fuzzy theory) Slide 1 (of 48).
불확실성(Uncertainty) 현실세계: 복잡, 예측이 어렵다. 비논리적, 상호 모순적인 상황들로 얽혀있다. → 과학, 공학: 단순화, 규칙성 부여 시스템 내외부에 존재하는 불확실성에 대처할 필요 단순화된 모델, 정형화된 기법의 한계 불확실성 해결 기법 불확실하고 상호.
퍼지 이론 (Fuzzy Theory) 컴퓨터를 인간에 가깝게 하는 일의 어려움 Zadeh의 퍼지 집합
퍼지 이론 (Fuzzy Theory) 컴퓨터를 인간에 가깝게 하는 일의 어려움 Zadeh의 퍼지 집합
스마트온도제어시스템 김수빈 박희준 이상인 (발표자)
Ticket Dispenser Technical Manual
마산에 대하여 만든이 : 2204 김신우, 2202 권성헌.
Medical Instrumentation
이산수학(Discrete Mathematics)  증명 전략 (Proof Strategy)
생명과학Ⅰ.
과학 탐구 토론 대회 1학년 2반 박승원 1학년 5반 권민성.
수학8가 대한 92~95 쪽 Ⅳ. 연립방정식 1. 연립방정식과 그 풀이 및 활용 >끝내기전에(9/9) 끝내기 전에.
2016년 연말정산 항목별 유의사항 등.
강의 구성 제 1부 기업과 경영 및 환경 제 2부 경영의 관리기능 제 3부 경영의 업무기능 9장 생산관리
키타노카시쇼쿠닌(北の菓子職人) - 「오호츠크의 소금 맛」
이산수학(Discrete Mathematics)  증명 방법 (Methods of Proof)
Discrete Math II Howon Kim
설계용역 상시평가 설명회 설계처.
광주대교구 대성동 본당 ‘사랑의 샘’ 꾸리아 소속 ‘사도의 모후pr.‘2000차주회
2010년 연말정산 교육자료 센터운영팀 인사파트
Rule Offense Adventure Daily
Chapter 2 밝기 변환과 공간 필터링을 위한 퍼지 기법 사용 중원대학교 의료공학과 조정래
6장 마케팅 조사 박소현, 김중호, 박기찬.
한밭대학교 창업경영대학원 회계정보학과 장 광 식
음양오행과 물리학 조 원 : 김용훈, 양범길, 박수진, 윤진희, 이경남, 박미옥, 박지선 (11조)
(제작자: 임현수)모둠:임현수,유시연,유한민
이야기 치료에 대하여 <8조 학문적 글쓰기 발표> 주희록 최은지
이산수학(Discrete Mathematics)  증명 전략 (Proof Strategy)
수학8가 대한 92~95 쪽 Ⅳ. 연립방정식 1. 연립방정식과 그 풀이 및 활용 >끝내기전에(9/9) 끝내기 전에.
퍼지 시스템 (요약).
사용자 선호도를 고려한 머신러닝 기반의 천연 클렌징오일 제조
초파리.
퍼지 이론 (Lecture Note #12) 인공지능 이복주 단국대학교 컴퓨터공학과
Chapter 3. 집합론.
퍼지 이론 (Lecture Note #13) 인공지능 이복주 단국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중국문학개론 한부와 겅건안문학 중어중국학과 ㅇ이진원 한부와 건안문학.
진리표 진리조건 진리함수의 수  ∧ ∨ → ↔  =.
Presentation transcript:

퍼지 이론 (Fuzzy Theory) 컴퓨터를 인간에 가깝게 하는 일의 어려움 Zadeh의 퍼지 집합 컴퓨터의 수치 및 기호처리를 이용 → 모호하지 않은 작업처리 인간의 행동 → 애매한 정보를 많이 이용 ↓ 퍼지 이론: 애매함을 처리하는 수리 이론 Zadeh의 퍼지 집합 “아름다운 여자의 집합”, “키 큰 사람의 집합” 패턴 인식, 의미 정보 전달, 추상화 등에 중요한 역할 소속 여부가 확실하지 않은 경우의 집합 - 수학적 집합과 배치 정밀 복잡한 제어 이론을 개괄적으로 해결하려는 의도 Crisp 논리 vs Fuzzy 논리 0,1의 명제값과 0과 1사이의 실수값을 명제값으로 가짐 “오늘 비가 올 확률이 70%이다” → 명제의 확신도 → 확률과 다른가? “내일 미인을 만날 확률이 50%이다” → 내일의 만남은 확률, 미인인지는 애매함

퍼지 집합(Fuzzy Set) 기호 퍼지 집합 표현 집합 X의 최대값 연산: ∨ 최소값 연산: ∧ 전체 집합 X의 각 원소 x가 X의 퍼지 집합 A에 속하는 정도, 즉 퍼지 집합 A의 소속 함수(membership function) x∈X가 퍼지 집합 A에 소속되는 정도(degree or grade of membership) 퍼지 집합 표현 집합 X가 이산: 집합 X가 연속:

정규 퍼지 집합(Normal Fuzzy Set) 지지 집합(Support Set) 예) 퍼지집합 A={1.0/1, 0/2, 0.5/3, 0/4, 0.2/5}일 때, supp(A)? 해: supp(A) = { 1, 3, 5 } 정규 퍼지 집합(Normal Fuzzy Set) x∈X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원소가 퍼지 집합 A의 소속 함수 값이 1이 될때, A는 정규 퍼지 집합이라 한다. or 볼록 퍼지 집합(Convex Fuzzy Set)

상등(집합 X의 두개의 퍼지 집합 A, B) 포함 (집합 X의 두개의 퍼지 집합 A, B) 예) 퍼지 집합 A={ 1/1, 0.5/2, 0/3}, B={y| y=-1/2x+3/2, for x=1,2,3} 해: 퍼지 집합 A=B 포함 (집합 X의 두개의 퍼지 집합 A, B) 예) 퍼지 집합 A={키 큰 사람}, B={키가 작지 않은 사람}일 때 포함관계? 해: 퍼지 집합 A  B

퍼지 집합의 연산 한계합 한계곱 -컷 예) 키가 크거나 몸무게가 무거운 사람의 집합 , 키도 크고 몸무게도 무거운 사람의 집합, 키가 크지 않은 사람의 집합

퍼지 관계(Fuzzy Relation) 정의 집합 X, Y 사이의 퍼지 관계 R의 소속 함수 예) X={1, 2}, Y={1, 3, 5}, R=“y는 x보다 훨씬 크다” 해: 두 수 x, y의 비를 보고 주관적으로 정하면,

퍼지 집합의 관계 역 퍼지 관계 집합 A, B는 전체 집합 X, Y상의 퍼지 집합 AB는 X  Y상의 퍼지 관계 예) X={1, 2}, Y={1, 3, 5}, R=“y는 x보다 훨씬 크다” 의 역 퍼지 관계? 해: R-1=“x는 y보다 훨씬 작다”

퍼지 관계의 연산(X  Y상의 퍼지 관계 P, R에 대해) 예) X={x1, x2}, Y={y1, y2}, X와 Y 사이의 퍼지 관계 P와 R이 다음과 같이 주어질 때, PR, PR, Rc ? 해:

퍼지 관계의 합성(Composition) P: X  Y상의 퍼지 관계 R: Y  Z상의 퍼지 관계 PR: X  Z상의 퍼지 관계 → 최대-최소 합성(max-min composition) 경우에 따라서는 최대-곱, 최소-최대, 최대-최대, 최소-최소, 최대-평균 등을 적용할 수 있다. 퍼지 집합과 퍼지 관계 합성 X상의 퍼지 집합 A와 X  Y상의 퍼지 관계 R의 합성  R을 f: X → Y로 해석하면, f(A)=A  R : A의 f에 의한 상(image)

예) P(X  Y)와 R(Y  Z)이 주어질 때, PR(X  Z)의 최대-최소 합성? 해:

퍼지 수(Fuzzy Number) 임의의 실수 r에 대해서, “약 r”, “거의 r” 퍼지 수를 나타내는 퍼지 집합의 소속 함수 정규이고 볼록 형태를 갖는 퍼지 집합 종형: 매끄러운 모양이지만 계산이 복잡

삼각형: 종형의 간략화로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됨 사다리꼴: 종형과 삼각형의 혼합, 간단

퍼지 추론 (Fuzzy Inference) 퍼지 명제: 애매함이 포함된 언어적 명제(linguistic proposition) x∈X, A가 X의 퍼지 집합일 때 퍼지 명제 P 퍼지 명제: P = “x is A” 예) P: “지하철이 있는 도시는 매우 큰 도시이다” X: “모든 도시”, A: “매우 큰 도시” 퍼지 조건 명제 P → Q = if P then Q = if “x is A” then “y is B” = (x, y) is RP→Q RP→Q: 조건 명제 P → Q에 대한 X  Y 상의 퍼지 관계 P: 전건부(antecedent portion) Q: 후건부(consequent portion)

퍼지 추론(Fuzzy Reasoning) 퍼지 추론: 몇 개의 퍼지 명제로부터 하나의 다른 근사적인 퍼지 명제를 유도하는 근사 추론(approximate reasoning) 긍정식(modus ponens)가 추론의 기반 [ P와 PQ가 참이면, Q가 참 ] 임을 주장하는 규칙 “영희는 미인이다” 와 “미인은 박명한다”의 경우 일반 추론: “영희는 박명한다” 퍼지 추론: “영희는 미인인 정도 만큼 박명한다” 일반화된 긍정식(generalized modus ponens): 전제와 전건부가 완전 일치가 안됨 → 후건부도 결론과 완전 일치가 안됨 [전제] P+ : “저 아기는 매우 기분이 좋다” [조건] P → Q : “만일 아기가 기분이 좋으면, 그 아기는 웃는다” [결론] Q+ : “저 아기는 매우 웃는다”

퍼지 추론의 합성 규칙 일반화된 긍정식에 대한 구체적인 추론 방법 일반 형식 실제 추론에서 퍼지 조건 명제가 사용될 경우 관계 개념을 퍼지 명제에 대한 관계 개념으로 확장, 최대-최소 합성 연산에 의한 근사적 결론을 추론 일반 형식 [전제] P1 : “x is A” [조건] P2 : “(x, y) is R” [결론] Q : “y is AR” 실제 추론에서 퍼지 조건 명제가 사용될 경우 [전제] P1 : “x is A+” [조건] P2 : if “x is A” then “y is B” [결론] Q : “y is B+” → B+ = A+RA→B 퍼지 조건 명제와 퍼지 관계의 변환이 중요: 표준 해결 방법은 없음

A → B에 대한 RA→B의 결정 방법(실용상 간편한 방법) 직접법에 의한 퍼지 추론 [전제] P+ : “x is A+” [조건] PQ : if “x is A” then “y is B” [결론] Q + : “y is A+RA→B” RA→B ≡ RP→Q , 퍼지 조건 명제 P → Q ≡ 퍼지 집합을 이용한 관계 A → B A → B에 대한 RA→B의 결정 방법(실용상 간편한 방법) 조건 명제와 동치인 논리식 사용 (P → Q ≡ ~P∨Q ≡ (P∧Q)∨~P 이용) RA→B = R(A∧B)∨~A로 하여 소속함수는 Rescher의 다진 논리

A → B에 대한 RA→B의 결정 방법(계속) Lukasiewicz의 다진 논리 변형 Mamdani의 제안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 → 각 방법에 따른 결론은 퍼지 관계가 다르므로 반드시 같지는 않다. [ 를 사용한 결론] : “y is A+  “

퍼지 추론의 예 X=Y={1, 2, 3} A: “x∈X가 작다”에 대한 퍼지 집합 = {1.0/1, 0.5/2, 0/3} B: “y∈Y가 크다”에 대한 퍼지 집합 = {0/1, 0.5/2, 1.0/3} A+: “x∈X가 매우 작다”에 대한 퍼지 집합 = {1.0/1, 0.25/2, 0/3} Rz, Rr, Re, Rm 각각을 구한다. 각 방법에 의한 추론 결과는 [전제] P1 : “x is A+” ; 1이 매우 작다(1.0) [조건] P2 : if “x is A” then “y is B” ; 1이 작으면 2는 크다 [결론] Q : “y is B+” ; 2는 매우 크다(0.5)

조건들을 Or 또는 And로 취급하는 방식에 따라 퍼지 조건 명제가 2개 이상인 일반적인 퍼지 추론 [전제] P+ : “x is A+” [조건] P1 → Q1 : if “x is A1” then “y is B1” P2 → Q2 : if “x is A2” then “y is B2” … Pn → Qn : if “x is An” then “y is Bn” [결론] Q+ : “y is B+” Or 관계 And 관계 조건들을 Or 또는 And로 취급하는 방식에 따라 추론 방식이 달라진다.

퍼지 이론의 응용 인공지능, 지능 제어, 전문가 시스템, 패턴 인식 의료, 정보 검색, 가전제품 의사 결정 지원, 앙케이트 조사 퍼지 제어 세탁기, 카메라, 차량 제어 등 어느 정도 실용화 가장 많이 적용 주로 1단계 추론으로 단순한 기술 적용 퍼지 전문가 시스템 문제 영역 전문가의 지식에 대해서 생성 방식으로 추론이 진행 전문가의 지식을 사실과 규칙으로 나누어 복잡한 추론 과정 진행 지식에 fuzziness를 도입 → 퍼지 생성 시스템(production system)

Fuzzy control application on a Traffic Road 퍼지 교통제어 Fuzzy Logic Control inputs output Inputs={Arrival, Queue} Output={Extension}

Arrival : Green 신호에 진입한 차량 수 Fuzzy control Traffic simulator N Front detector W E Arrival : Green 신호에 진입한 차량 수 N(7대), S(8대)=15대 Rear detector Queue : Red 신호에 대기하는 차량 수 W(6대), E(5대)=11대 S

f1 : A=10 & Q=20 then E=0초 f2 : A=20 & Q=5 then E=10초 Fuzzy control 추론 Primitive time(기본주기) :18초, A=10, Q=20 Extension time : Primitive time 이외의 연장시간 f1 : A=10 & Q=20 then E=0초 f2 : A=20 & Q=5 then E=10초 f3 : A=0 & Q=0 then E=?초

1. Fuzzy input variables & their membership functions Fuzzy control 1. Fuzzy input variables & their membership functions zero light normal heavy zero light normal heavy 0 1 2 3 4 5 6 7 8 9 10 0 1 2 3 4 5 6 7 8 9 10 zero short medium long 0 1 2 3 4 5 6 7 8 9 10

2. Fuzzy control rules(rule의 개수 4*4=16) Extension

R1 : if Arrival = Z and Queue = Z then Extension = Z(Zero) Fuzzy control <규칙설명> R1 : if Arrival = Z and Queue = Z then Extension = Z(Zero) R2 : if Arrival = Z and Queue = S then Extension = Z R3 : if Arrival = Z and Queue = M then Extension = Z R4 : if Arrival = Z and Queue = L then Extension = Z R5 : if Arrival = S and Queue = Z then Extension = S(Short) R6 : if Arrival = S and Queue = S then Extension = Z R7 : if Arrival = S and Queue = M then Extension = Z R8 : if Arrival = S and Queue = L then Extension = Z R9 : if Arrival = M and Queue = Z then Extension = M(Medium) R10 : if Arrival = M and Queue = S then Extension = S R11 : if Arrival = M and Queue = M then Extension = Z R12 : if Arrival = M and Queue = L then Extension = Z R13 : if Arrival = L and Queue = Z then Extension = L(Long) R14 : if Arrival = L and Queue = S then Extension = M R15 : if Arrival = L and Queue = M then Extension = S R16 : if Arrival = L and Queue = L then Extension = Z

Linguistic Label of Extension Fuzzy control <계산식> u[i] * u(i, Extension) Extension = ---------------------- u[i] 16 u[i] = ∑ min( Ri-Arrival, Ri-Queue) i =1 u(i, Extension) = the extension_unit of i-th Rule Linguistic Label of Extension

Ex) Arrival = 7 이고 Queue = 5 일 때 Extension = ? Fuzzy control Ex) Arrival = 7 이고 Queue = 5 일 때 Extension = ? R1 : if Arrival(Zero) = 0 and Queue(Zero) = 0 then Extension(Zero) = 0초 min(0, 0) = 0 R2 : if Arrival(Zero) = 0 and Queue(Light) = 0.2 then Extension(Zero) = 0초 R3 : if Arrival(Zero) = 0 and Queue(Normal) = 0.8 then Extension(Zero) = 0초 R4 : if Arrival(Zero) = 0 and Queue(Heavy) = 0 then Extension(Zero) = 0초 R5 : if Arrival(Light) = 0 and Queue(Zero) = 0 then Extension(Short) = 3초 R6 : if Arrival(Light) = 0 and Queue(Light) = 0.2 then Extension(Zero) = 0초 R7 : if Arrival(Light) = 0 and Queue(Normal) = 0.8 then Extension(Zero) = 0초 R8 : if Arrival(Light) = 0 and Queue(Heavy) = 0 then Extension(Zero) = 0초 R9 : if Arrival(Normal) = 0.7 and Queue(Zero) = 0 then Extension(Medium) = 6초 R10 : if Arrival(Normal) = 0.7 and Queue(Light) = 0.2 then Extension(Short) = 3초 min(0.7, 0.2) = 0.2 R11 : if Arrival(Normal) = 0.7 and Queue(Normal) = 0.8 then Extension(Zero) = 0초 R12 : if Arrival(Normal) = 0.7 and Queue(Heavy) = 0 then Extension(Zero) = 0초 R13 : if Arrival(Heavy) = 0.4 and Queue(Zero) = 0 then Extension(Long) = 9초 R14 : if Arrival(Heavy) = 0.4 and Queue(Light) = 0.2 then Extension(Medium) = 6초 R15 : if Arrival(Heavy) = 0.4 and Queue(Normal) = 0.8 then Extension(Short) = 3초 R16 : if Arrival(Heavy) = 0.4 and Queue(Heavy) = 0 then Extension(Zero) = 0초

Fuzzy control numerator Extension = -------------- denominator 0.2*3 + 0.7*0 + 0.2*6 + 0.4*3 Extension = ------------------------- 0.2 + 0.7 + 0.2 + 0.4 = 2(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