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소리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어떻게 발성되고, 어떻게 분류될 수 있는가 제 4 장 언어의 소리 말소리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어떻게 발성되고, 어떻게 분류될 수 있는가 200811013 박솔지 200811025 이숙정
언어의 소리 사람이 말을 할 때 음성기관을 이용하여 입 밖으로 내는 소리를 말소리 라고 한다. 말소리에는 사람들이 실제로 내는 소리가 있고, 심리속에서 인식하는 소리가 있다. 실제로 실현되는 개개인의 말소리는 엄밀히 따져보면 그 소리값(발음이 나는 위치 등)이 조금씩 다르다. 그러나 우리는 그 작은 차이들을 무시하며 그냥 한 소리로서 인식한다. 전자를 음성이라고 하고, 후자를 음운 또는 음소라고 한다. 특히 우리는 말소리는 어떤 것이 있으며, 어떻게 발성되고, 어떻게 분류될 수 있는가 하는 문제를 다루게 될 것이다.
1.말소리의 분류 인상이라는 것은 객관성이 적고 세분이 어려우며 1. 청각적 인상을 기준으로 소리를 분류할 수도 있다. 반대중이 물리적 지식이 얕고 소리에 스팩트럼에는 너무도 상세하고 사소한 정보가 많은 뿐더러,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음향현상을 어떻게 불연속적인 소리의 단위로 구분하느냐 하는 난점 2. 소리의 물리적 자질을 기준으로 소리의 주파수나 음폭에 의하여 소리를 분류하는 것이 있다. 말소리는 발성위치와 발성방식으로 분류를 할 수 있는데 그것이 바로 조음음성학(調音音聲學 , articulatory phonetics) 적인 분류 방법이다. 이러한 조음음성학 적인 분류방법은 전통적인 것이기도 하지만 전문적인 물리지식이 필요 없고, 또 인종을 막론하고 발성기관의 해부학적 구조가 거의 똑같다. 이런 보편성(universality)을 띄는 말소리에 분류가 어느 나라 말소리에도 적용될 수 있다. 3. 말소리는 발성위치와 발성방식으로 분류
2. 발성기관의 구조와 조음의 위치 1. lip (순 脣 입술) 2. teeth ( 치 齒 이) 3. alveolar ridge (잇몸 .치경 (齒經) ,그냥 alveola라고도 한다 ) 4. hard palate ( 경구개 硬口蓋 ,된입천장 ) 5. velum (연구개 軟口蓋 ,soft palate 여린 입천장이라고도 한다) 6. uvula (구개수 口蓋垂 목젖) 7. tongue ( 설 舌 혀 ) 8. tip (혀 끝) 9. 설단(blade) 10. front(전설 前說 ) 11. middle (中說) 12. back(후설 後舌) 13. epiglottis (후두개 ,喉頭蓋) 14. glottis (성문 聲門 ) nasal cavity (구강 口腔 ) pharynx( 인두 咽頭 ) larynx (후두 喉頭 ) root (설근 舌筋)
1 양순음 ( 兩脣音, bilabila) : 입술로 내는 소리다 2 순치음 ( 脣齒音 labiodental) : 아랫 입술을 윗니에 갖다 대고 내는 소리이다. 국어에는 없고 영어의 〔f,v〕가 그 예이다 3 치음 ( 齒音 dental) : 혀끝 (舌端 tongue tip)을 윗니 뒤쪽에 갖다 대고 내는 소리, 역 시 국어에는 없고 영어의 th〔θ,ð〕소리가 그 예이다 4 치경음 ( 齒莖音 ,alveolar ) :혓날 ( 舌날 tongue blade)을 잇몸 에 대고 내는 소리 이 위치에서 가장 많은 소리가 난다 예 : 〔 t,d,n,s,z,l,r 〕 5 치경구개음 ( alveo-palatal 혹은 palato-alveolar) : 혓날을 잇몸과 입천장 사이에 대고 내는 소리이다. postalveolar(후경치음) 라고도 한다. 국어의 ㅈ,ㅊ 소리 영어의 ch ,sh 소리들의 위치가 여기이다. 6 구개음 (palaral) : 혓몸 가운데쯤( the middle of the tongue)을 경구개에 대고 내는 소리 이다 국어에서 힘, 힐끗 등 모음 l 가 후행할 때의 ㅎ 발음이 이에 가깝다 국제음성기호(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로는〔ç〕이며 독일어의 ich, mich 등에서 의 ch소리가 이를 대표한다
7 연구개음(velar) :후설 (後舌) 이 연구개에 가 닿아 나는 소리이다 7 연구개음(velar) :후설 (後舌) 이 연구개에 가 닿아 나는 소리이다. 국어의 ㄱ, ㅋ 영어의〔k,g〕또 이응소리 〔ŋ〕가 대표적 예이다 8 구개수음 (口蓋垂音 uvular) : 후설이 목젖에 가 닿아 나는 소리로, 국어에도 영어에도 없고 불어의〔R〕, 아랍어의〔q〕등이 여기 속한다 9 성문음 ( glottal ) :후두 (喉頭)에서 나는 소리로 ㅎ〔h〕이 대표적인 예이다 강조할 때 모음 앞에 붙는 소리(약한 기침소리와 비슷하다)도 성문음으로 그 기호는 〔ʔ〕 또 구강에 어떤 폐쇄나 협착이 있어서 기류가 구강에서 저지되어 나는 소리를 자음이라고 하고, 협착이 없어 기류의 저지 없이 나는 소리를 모음이라 한다. 한편, 구강의 폐쇄/협착되어 있는 동안 성대가 진동하며 나는 소리를 유성음이라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무성음이라고 부른다. 무성자음 뒤에 모음이 올 경우 성대의 진동이 구강의 폐쇄의 개방과 동시에 일어날 때 이를 무기음이라 하고, 폐쇄의 개방 얼마 뒤에 성대가 진동하기 시작하는 경우를 유기음이라 한다.
3.조음방식 조음방식 (manner of articulation) 은 허파에서 나오는 공기의 흐름을 입안의 어디에서 막느냐 하는 것으로 조음간격 또는 개구도 ( 開口度 , degree of aperture) 를 말한다. 여기도 이론적으로는 무한대의 개구도가 있을 수 있겠으나 실제적으로는 대여섯 가지가 쓰인다. (1) 파열음 ( 破裂音 ,stop , plosive) 구강을 완전 폐쇄시켜 막힌 기류의 압력을 높였다가 폐쇄를 개방하면 압축된 공기가 방출되며 나는 소리이다. (2) 마찰음 ( 摩擦音 , fricative) 좁은 조음간격 사이로 공기가 빠져 나오느라고 마찰소리를 낸다고 마찰음이라고 한다. (3) 파찰음 ( 破擦音 , affricate) 이름이 시사 하듯이 파열음과 마찰음의 “튀기” 이다. (4) 유음 ( 流音 , liquid) 소리의 청각적 인상이 유동체(流動體) 와 같다는 데서 지어진 이름으로 ㄹ 계의 소리들이 여기 속한다. (5) 활음 ( 滑音 ,glide) 개구도를 더 넓히면 구강의 협착이 거의 없이 이 소리를 낼수 있는데 반드시 모음이 선행하거나 후행하여야 한다. 이 밖에도 설타음 ( 舌打音 , click) 방출음 ( 放出音 , ejective ) 내파음 ( 內破音 , implosive) 등이 있다.
<조음위치와 방식에 의한 자음 분류> (왼쪽은 무성, 오른쪽은 유성) 조음방식 순음 치음 치경음 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파열음 p ㅍ b e t ㅌ d k ㅋ g r 비음 m ㅁ n ㄴ ɳ o 마찰음 f v ɵ s ㅅ z ʃ ʒ 파찰음 ʧ ㅊ ʤ ㅈ 유음 l,r 활음 ʍ w h ㅎ
4. 모음의 분류 기준 모음을 구별하는 척도는 (1) 혓몸의 높낮이(tongue height) (2) 혓몸의 앞뒤의 위치 (tongue advancement) (3)입술의 둥글기 정도(lip rounding) 가 있다. 모음의 위치를 더욱 간략하게 표시 하기 위해 혀의 위치가 가장 말초적인 모음 넷(혀의 위치가 가장 높은 모음, 앞에서 가장 낮은 모음, 뒤에서 가장 높은 모음, 위에서 가장 낮은 모음의 정점)을 연결 하면, 다음과 같은 도표가 나온다. 이것이 바로 모음도의 기원이다.
5. 음성기호 국제 음성 기호(國際音聲記號, IPA,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는 언어학에서 주로 사용되는 음성 기록 체계를 말한다. 2005년에 확장된 형태는 약 107개의 기본 문자와 55개의 구별기호로 구성되어 있다. 음성기호에 대하여 한두 가지 유의할게 있다. 기음 (氣音 , aspiration) 표시는 어깨글자 (superscript) 로 〔〕와 같이 표시하는 게 원칙이나 , 역시 타자의 편리를 위해 연자(連字) 로 〔ph, th, kh〕와 같이 쓰기로 한다. 또 한가지 유의할 것은 기호를 명세하거나 기호 명칭을 쓸 때 기음 (aspiration) 여부, 진동(voicing)여부, 조음위치(place), 조음방식(manner)의 순서로 하는 것이 관례이다. (77p) 예) 기음 성대 조음위치 조음방식 〔z〕= (unaspirated) voiced alveolar fricative (무기) 유성 치경 마찰음
6. 이분적 분류 *유성(voiced) 과 무성(voiceless) 을 성 (聲 , voice) 의 다른 구현이라고 보고 유성은 〔+voice〕, 무성은〔-voice〕로 기술하는 것이다. *유기는〔+aspirate〕,무기는〔-aspirate〕로 기술한다. *비음은〔+nasal〕,구강음은 〔-nasal〕기술한다. *원순은 〔+round〕,비원순은〔-round〕로 기술한다. *마찰음을 +지속음〔+continuant〕, 파열음을 -지속음〔-continuant〕으로 기술한다. *비음과 유음과 활음을 망라한 자음군을 +공명음 (共鳴音)〔+sonorant〕로, 파열음과 마찰음과 파열음을 망라한 자음군이 저해음 (저해음 ,obstruent)을 -공명음〔-sonorant〕으로 명세할수 있다.
7. 변별적 자질 변별적 자질의 정의 음소를 구성하는 음성적 특징을 바탕으로 음소를 더 작게 쪼개어 표시한 단위이다. 예를 들면 한국어의 /ㅌ/을 /ㄷ/과 구별시켜주는 [유기성]이 이에 속한다. 변별적 자질의 특성 변별적 자질은 ‘+, –’로 표시되므로 이분법적인 특성을 지닌다. 하나의 변별적 자질은 그 자질의 특성을 가진 부류(+)와 그렇지 않은 부류(-)를 구분 짓는다. 변별적 자질의 장점 ① 음소들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유리하다. ② 서로 다른 음소들의 대립 양상을 기술하는 데에도 편리하다. ③ 음운현상을 설명하는 데에도 유용하다.
8. 그밖에 소리 초분절소(超分節素, suprasegmental) 분절음 위에 얹혀서 나는 발음으로 음계(音階)와 음장(音長)과 음량(音量)등의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다 어조(語調 또는 억양 抑揚, intonation) 은 문장이나 구절이 음조의 고저의 변화로 문장의 의미에 변화가 초래될 때 를 나타내고 성조(聲調, tone) 는 한 단어의 음절이 음조의 고저의 변화로 단어의 의미에 변화가 초래 될 때를 나타낸다. 장단(長短) 은 어떤 나라 말에서 모음이나 자음의 으로 어사의 의미의 변화를 초래하는 것을 나타내며, 국어에서도 밤,말 과 같은 말들을 찾아 볼수 있다. 강세(强勢, Stress) 또는 악센트 는 어느 한 음절이 다른 음절보다 음량이 더 클 때를 나타내며 영어는 강세가 큰 역할을 하는 언어로 잘 알려져 있다 다음절어 (세음절어 이상) 에는 강세가 들 있을 수도 있는데 가장 센 강세를 주강세(主强勢, main stress), 그 다음 것을 부강세(副强勢, secondary stress)라 한다.
결국! 조낸 외우는거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