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국민경제의 순환과 주요 거시경제 변수 조 장 옥.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2016 년 봄학기 동북아문화론 Lesson 7 동북아경제의 현황 년 봄학기 동북아문화론 Lesson 7 동북아경제의 현황 토의 주제: 동북아와 한국경제 한국경제는 경제위기를 극복하고 다시 도약할 수 있을 것인가? QR코드 6-1(한국경제.
Advertisements

실물경제 따라잡기 국민경제와 국민소득. * 국가 ( 國家 ) 의 중요성 - 인류 역사 발전에 따라 개인의 삶은 고도의 개인주의화 - 정치권력이나 사회적 제도로부터 자유화 추세 - 그러나 경제적 성취와 경제생활 증진을 위해 경제적 개념의 국 가 개념 갈수록 강화 * 국가경제의.
국민소득의 측정. 거시경제학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  미시경제학 (microeconomics): 개별 가계, 기업의 의사결정, 개별시장의 균형가격 및 거래량 결정, 자원배분의 효율성 등을 다룸  거시경제학 (macroeconomics): 나라경제 전체의 고용, 생산,
FIDES INVESTMENT MANAGEMENT 김 한 진 / (02) / 년 경제전망 및 운용전략.
2009 년 & 4/4 분기 건 설 정 보 실건 설 정 보 실. 2 목 차 1. 국민경제에서 건설업의 위치 1) 산업별 경제성장률 ) 산업별 경제성장 기여도 ) GDP 중 건설업 생산비중
김 용 하 우리나라 복지, 어떻게 가야 하나 ?. 2/ 년 정부 예산안 재원조달 한계와 대안 신정부 주요 복지정책.
Service Operations Management
양파 같은 중국, 그 속을 간파해야 (금) 中華아카데미 한국경제 한경아카데미
현대사회와 윤리 1. 윤리학이란 무엇인가?.
제 23장 국민소득의 측정.
Chapter 4 영업활동과 회계정보.
프랜차이즈 창업론 4장 제2절 가맹점 운영 5장 제1절 프랜차이즈 법규 2조 조 장 이윤태
행정소송 실무교육 공익법무관 문 유 식 인사 공익법무관 소개 서울고검 소개.
조선왕조의 유교정치.
비전트립과 창의적인 문화사역 기획 남 미 진 (서울문화재단 예술교육팀).
제4장 2절 (금융시장과) 통화정책.
경제지표의 분석과 활용
* 그룹 상시 연락망 : 각사 조직도 기준 연락망으로 대체함
14주차 1교시 강화계획 [학습목표] 1. 강화계획의 정의를 안다 [학습내용] 1. 단순한 강화계획 2. 간헐적 강화 3. 복합 계획 4. 선택과 대응법칙 [사전학습] 강화계획이 일어날 수 있는 사례를 생각해본다.
서비스의 특성 서비스(service)의 정의 서비스(service)의 특성 서비스의 생산
연장근로와 야간·휴일근로 김영호 노무사 나눔 노사관계연구소 소장 연세대 일반대학원 박사 수료 고려사이버대 법학과 외래교수
김승연(사회복지학 박사, 서울복지시민연대 사회행동위원장)
통화량 증가와 인플레이션 © 2007 Thomson South-Western.
영업양수, 인수/합병실무 (가치평가, 회계 및 세무).
제6장 경제의 순환과 국민소득 제1절 국민경제의 순환 1.주입과 누출 2.경제모형 제2절 국민소득 1.정의 및 측정방법
1 국민경제의 순환과 주요 거시경제 변수.
기업가치평가 개요 KMA 강 영 수 교수.
제 34 장 금융정책과 재정정책이 총수요에 미치는 효과 1.
자본예산(1) : 현금흐름의 추정 위덕대학교 경영학과.
재고자산(Inventory)의 평가(2)
Chapter 1 거시경제학 입문.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의 구성요소.
법인세 및 부가가치세 소개.
제 14 장 거시경제학의 개관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국민소득의 측정.
제 23장 국민소득의 측정.
제4장 이자율에 대한 이해.
자본예산(2) : 경제성 평가 위덕대학교 경영학과.
국민소득의 측정.
제 5 장 총 수요곡선: 폐쇄경제 제 4장 가격경직성과 총공급곡선.
기업경영분석기법.
행복한 삶을 위한 고품격 자산관리 솔루션 MAPS(=Master Algorithm for Product Solution)
제 3장 인터넷마케팅의 개념 및 특징 인터넷 마케팅.
제 15 장 거시경제의 측정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생계비의 측정.
목차 INDEX 1. 회원가입 및 로그인 2. 업체정보 3. 제조검사 신청 4. 인보이스 5. 검사진행현황(현장검사 신청)
Contents 이자율위험과 듀레이션 12.1 소극적 투자관리 12.2 적극적 투자관리 12.3.
13 현금흐름표 Chapter 제1절 현금흐름표의 의의 제2절 현금흐름표의 내용 1. 현금의 범위 및 현금흐름의 구분
계약서 관련 실무 계약 위반과 판례 김래균.
생계비의 측정 © 2007 Thomson South-Western.
거시경제의 수요모델 :개방경제.
제8장 회계방법의 선택 ◆ 목차 1. 재무제표 바로 읽기 2. 재무제표가 다르게 표시되는 이유 3. 매출원가의 산정
8 국제수지의 균형.
생활 철학 인간이란 무엇인가?.
제 2장 재무제표 분석.
제6장 기본적 분석.
재무제표를 통한 경영분석.
성과평가 체계 사례 성과가 쑥쑥 오르는 HRMMBO 언제나 어디서나 늘 메모를 합니다 세종사이버대학교 장수용 교수
기업경영분석과 응용.
생계비의 측정.
#7.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 측정 소비자물가지수(CPI) 무인플레이션이자율 명목이자율 1 경제성분석 입문 2 돈의 시간적 가치
제 10장 인터넷 소비자 비용.
제2부 전략 수립 전략 결정 기법.
통화량 증가와 인플레이션 © 2007 Thomson South-Western.
법인과 개인의 조세 (법인세, 소득세, 부가가치세)
제1강 경제학과 경영학 박덕제 교수 안영도 교수.
총수요와 총공급.
8 국제수지의 균형.
책을 읽읍시다  탈향 진지하게 설명해드림 1303 김소희 1309박지호 1315이지수.
2016년 제1차 운영위원회 평택시건강가정 ∙다문화가족지원센터
Presentation transcript:

제1장 국민경제의 순환과 주요 거시경제 변수 조 장 옥

1장에서 다룰 내용은 … 거시경제의 순환과 주요 거시경제변수들에 관해 알아보자. 국민경제의 순환 국내총생산 물가수준과 인플레이션 실업 제1장 국민경제의 순환과 주요 거시경제변수

국민경제의 순환 국민경제순환 모형 : 경제주체가 여러 시장에서 서로 거래하는 것을 모형화한 것. 국민경제순환의 2부문 모형 : 세 개의 시장과 가계, 기업이 존재 국민경제순환의 3부문 모형 : 세 개의 시장과 가계, 기업, 정부가 존재 국민경제순환의 4부문 모형 : 세 개의 시장과 가계, 기업, 정부, 외국이 존재 제1장 국민경제의 순환과 주요 거시경제변수

국민경제의 순환의 2부문 모형 제1장 국민경제의 순환과 주요 거시경제변수

국민경제의 순환 ● 국민경제 순환으로부터 한 나라의 총생산량을 측정하는 3가지 방법 - 생산접근방법 : ● 국민경제 순환으로부터 한 나라의 총생산량을 측정하는 3가지 방법 - 생산접근방법 : 모든 생산자의 산출량을 직접 측정해 총생산량을 구하는방법 - 분배접근방법 : 각 경제주체의 소득을 합쳐 총생산량을 측정하는 방법 - 지출접근방법 : 각 경제주체의 지출을 합해 총생산량을 구하는 방법 ● 국민소득합계의 기본 항등식 총생산=총소득=총지출 제1장 국민경제의 순환과 주요 거시경제변수

국내총생산 ● 국내총생산(GDP) 한 경제의 총 산출량으로 경제의 규모와 거시경제 활동의 정도를 측정하는 변수로서 지금까지 가장 많이 이용되는 변수 ● 한 경제의 총산출량 측정방법 - 생산접근방법에 의한 GDP - 분배(소득)접근방법에 의한 GDP - 지출접근방법에 의한 GDP 제1장 국민경제의 순환과 주요 거시경제변수

생산접근방법에 의한 GDP 한 나라 안에서 새로이 생산된 최종 재화와 서비스의 시장가치의 합 일정 기간 동안에 제1장 국민경제의 순환과 주요 거시경제변수

생산접근방법에 의한 GDP 일정기간 동안에 : GDP는 일정한 기간 동안에 일어난 경제활동을 측정하는 개념 유량변수(flow variable) 한나라 안에서 : GDP는 자국의 영토 안에서 고용된 생산요소가 생산한 산출량만을 포함한다. cf) GNP(gross national product; 국민총생산) : 일정 기간 동안에 한나라의 국민이 새로이 생산한 재화 와 서비스의 시장가치의 합 GNP=GDP+NFP NFP(net factor payment from abroad, 순수취 요소소득) : 외국에서 고용된 자국의 생산요소가 벌어들인 소득과 자국에서 고용한 외국의 생산요소에 지급한 소득의 차이 제1장 국민경제의 순환과 주요 거시경제변수

생산접근방법에 의한 GDP 새로이 생산된 : 과거에 생산된 재화나 내구재(durable goods)의 중고품은 GDP에 포함 되지 않는다. 최종 재화와 서비스의 : 중간재(intermediate goods and service)로 사용되지 않고 소비나 투자와 같은 최종적인 경제목적에 이용되는 재화와 서비스를 말한다. 최종 재화와 서비스의 가치는 각 생산단계에서의 부가가치의 합과 같다 자본재는 최종재화로 취급한다. 재고(inventory)도 최종재화로 취급한다 제1장 국민경제의 순환과 주요 거시경제변수

생산접근방법에 의한 GDP 시장가치(market value)의 합 : 시장가치를 이용하여 GDP를 측정하는 방법은 서로 다른 재화와 서비스의 상대적인 경제적 중요도를 반영한다. 시장가치를 이용한 GDP측정의 문제 귀속가치(imputed value)와 지하경제(underground economy) 등의 측정의 불완전성 하지만 귀속가치와 지하경제가 갑자기 변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며 오랜 시간에 걸쳐 안정적이기 때문에 GDP는 유용한 지표이다. 제1장 국민경제의 순환과 주요 거시경제변수

생산접근방법에 의한 GDP 부가가치(value added)의 개념을 이용 부가가치: 한 생산자가 생산한 산출물의 가치에서 다른 생산자로부터 구입하여 생산과정에 투입한 중간재의 가치를 뺀 차이 모든 생산자의 부가가치를 합하면 총 생산량을 구할 수 있다. 제1장 국민경제의 순환과 주요 거시경제변수

생산접근방법에 의한 GDP 부가가치의 계산 농부가 자신의 노동만으로 10,000원 어치의 밀을 생산 → 농부가 생산한 부가가치 10,000원 제분업자가 농부의 밀을 10,000원에 구입하여 운송비 1,000을 들여 운송 후 20,000원 어치의 밀가루를 생산 → 제분업자의 부가가치 : 20,000-10,000-1,000=9,000 운송업자1의 부가가치 : 1,000 제과업자가 밀가루를 20,000에 구입하여 운송비 2,000을 들여 운송 후 빵을 생산하여 최종 소비자에게 30,000에 판매 → 제과업자의 부가가치 : 30,000-20,000-2,000=8,000 운송업자2의 부가가치 : 2,000 각 생산단계에서의 부가가치의 합 : 10,000+9,000+1,000+8,000+2,000=30,000 최종 생산물의 가치 30,000과 같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제1장 국민경제의 순환과 주요 거시경제변수

분배(소득)접근 방법에 의한 GDP 소득접근방법은 생산에 참여한 경제주체들이 받는 소득을 합하여 GDP를 구하는 방법이다. 국민소득(national income, NI)의 구성(해외소득 포함) 피고용자에 대한 보상 법인화되지 않은 자영업자의 소득 임대소득(rental income) 법인 이윤(corporate profit) 순이자(net interest) 제1장 국민경제의 순환과 주요 거시경제변수

분배(소득)접근 방법에 의한 GDP NNP(net national product) = NI+간접세(앞의 어느 범주에도 포함되지 않은 정부의 소득) GNP=NNP+감가상각(고정자본소모량) GDP=GNP - NFP(해외 순수취요소소득) 제1장 국민경제의 순환과 주요 거시경제변수

분배(소득)접근 방법에 의한 GDP 소득이 쓰이는 사용처를 고려하여 GDP를 측정할 수도 있다.(uses-of-income approach) 가계의 소득 가운데 세금을 내고 남은 조세 후 소득(after-tax income) [또는 가처분 소득(disposable income)]은 소비나 저축에 이용된다. 따라서 가계소비(C)와 민간저축 (private saving, )및 조세(T )를 합하면 GDP가 된다. 제1장 국민경제의 순환과 주요 거시경제변수

분배(소득)접근 방법에 의한 GDP 앞의 식을 변형하면, 위 식의 총저축과 국민소득의 관계를 통해서 한나라의 총저축은 총생산에서 가계와 정부의 소비를 뺀 나머지 임을 알 수 있다. 제1장 국민경제의 순환과 주요 거시경제변수

지출접근방법에 의한 GDP 거시경제학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GDP측정방법 생산된 재화가 어떻게(어떤 목적으로) 사용(구매)되었는가? 지출(구매)은 크게 소비지출(C), 투자지출(I), 정부지출(G) 및 순수출(NX)의 네 가지로 구분되어 기록되기 때문에 GDP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위 식은 사후적(ex post)으로 하나의 정의로서 항상 성립하며, 이를 통해 산출량 Y(GDP)를 측정할 수 있다. 제1장 국민경제의 순환과 주요 거시경제변수

지출접근방법에 의한 GDP 소비(C): 투자(I): 소비지출은 내구재, 비내구재, 서비스에 대한 지출로 구성됨 투자(I): 투자는 GDP의 구성요소 가운데 가장 변동이 심하여 경기변동(business cycle)을 주도하는 변수 고정투자(기업고정투자, 주택투자)와 재고투자로 구분 제1장 국민경제의 순환과 주요 거시경제변수

지출접근방법에 의한 GDP 소비(C): 투자(I): 소비지출은 내구재, 비내구재, 서비스에 대한 지출로 구성됨 투자(I): 투자는 GDP의 구성요소 가운데 가장 변동이 심하여 경기변동(business cycle)을 주도하는 변수 고정투자(기업고정투자, 주택투자)와 재고투자로 구분 제1장 국민경제의 순환과 주요 거시경제변수

우리나라의 GDP 대비 지출 비율 순수출 2.9 2.3 1.5 4.2 2.7 1.4 -1.2 3.7 2.8 투자 30.3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순수출 2.9 2.3 1.5 4.2 2.7 1.4 -1.2 3.7 2.8 투자 30.3 29.2 29.9 29.6 29.4 31.2 26.2 29.3 정부소비 12.0 12.6 13.0 13.3 13.9 14.5 14.7 15.3 16.0 15.4 민간소비 54.8 55.9 56.7 52.6 53.8 54.5 54.4 54.7 54.1 52.5 제1장 국민경제의 순환과 주요 거시경제변수

지출접근방법에 의한 GDP 국민소득의 순환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한 나라에서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는 (민간)소비, 투자, 정부소비, 수출(순수출이 아님에 주의)의 4가지 용도 가운데 하나로 사용된다. 즉, 다음이 성립한다. 제1장 국민경제의 순환과 주요 거시경제변수

지출접근방법에 의한 GDP 즉 C, I, G는 외국에서 수입한 재화와 서비스를 포함하는 개념임. 제1장 국민경제의 순환과 주요 거시경제변수

저축사용처 항등식은 민간저축이 3가지 용도로 사용됨을 보여준다. 지출접근방법에 의한 GDP 저축의 사용 저축사용처 항등식은 민간저축이 3가지 용도로 사용됨을 보여준다. 기업이 차입하여 자본증가나 재고를 증가 시키는데 사용 정부가 차입하여 재정적자를 메우는데 사용 순수출이 양이면 그만큼 외국이 우리나라의 저축을 차입함을 의미함 제1장 국민경제의 순환과 주요 거시경제변수

지출접근방법에 의한 GDP 즉, 투자의 재원은 국내저축(S)과 해외저축의 차입(NX)으로 마련됨. 이를 다시 변형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즉, 투자의 재원은 국내저축(S)과 해외저축의 차입(NX)으로 마련됨. 제1장 국민경제의 순환과 주요 거시경제변수

명목 GDP와 실질 GDP 명목(nominal)과 실질(real)의 개념 명목GDP vs 실질GDP 명목: 경상가치(즉 당해 년도의 화폐단위로 나타냄) 실질: 재화나 서비스의 단위로 나타냄 명목GDP vs 실질GDP 명목GDP : (1) 경제활동이 일어날 당시의 시장가격(경상가격)을 이용하여 나타 낸 GDP의 시장가치 (2) 서로 다른 기간에 측정한 변수의 값을 비교하고자 할 때 문제가 생 긴다. 실질GDP : (1) 서로 다른 연도에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의 가치를 구할 때 동일한 가격을 이용 (2) 동일한 가격을 적용함으로 서로 다른 기간에 측정한 변수의 가치를 비교할 수 있다. 제1장 국민경제의 순환과 주요 거시경제변수

명목 GDP와 실질 GDP 2000년 명목GDP 2000년 실질GDP(2000년 기준) 5*200,000+4*500,000=3,000,000 2001년 명목GDP 6*250,000+5*500,000=4,000,000 2002년 명목GDP 8*250,000+6*550,000=5,300,000 2000년 실질GDP(2000년 기준) 5*200,000+4*500,000=3,000,000 2001년 실질GDP(2000년 기준) 6*200,000+5*500,000=3,700,000 2002년 실질 GDP(2000년 기준) 8*200,000+6*500,000 제1장 국민경제의 순환과 주요 거시경제변수

명목 GDP와 실질 GDP 실질 GDP 성장률 거시경제학에서 경제성장률은 실질 GDP의 증가율 제1장 국민경제의 순환과 주요 거시경제변수

우리나라의 명목 GDP 와 실질 GDP 제1장 국민경제의 순환과 주요 거시경제변수

물가수준과 인플레이션 ● 거시경제학에서는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을 인플레이션(inflation)이라고 부른다. ● 인플레이션은 생계비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경제에 여러가지 왜곡을 일으키기 때문에 거시경제학의 주된 관심사 중 하나 제1장 국민경제의 순환과 주요 거시경제변수

GDP 디플레이터 앞에서 구한 실질GDP를 이용하면 2001의 물가수준: 8.1%상승 2002년 물가수준 : 6.59%상승 2001의 물가수준: 8.1%상승 2002년 물가수준 : 6.59%상승 제1장 국민경제의 순환과 주요 거시경제변수

우리나라의 GDP 디플레이터 제1장 국민경제의 순환과 주요 거시경제변수

GDP 디플레이터 앞의 그림을 보면 우리나라의 GDP 디플레이터는 34년간 30배 상승했다. GDP 디플레이터: → 재화가치 30배 상승 화폐가치 30배 하락 GDP 디플레이터: 가장 포괄적인 물가지수 국내에서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만 포함 파쉐(Paasche) 지수 (가격에 부과되는 가중치가 매년 변한다.) 제1장 국민경제의 순환과 주요 거시경제변수

소비자물가지수 소비자물가지수(CPI, consumer price index) 소비재의 평균적인 물가수준을 나타냄 가장 많이 쓰이는 물가지수 한 경제에서 생산한 재화와 서비스 및 외국에서 수입한 재화와 서비스 가운데 소비자들이 한 기간 동안 생활하는데 필요한 품목을 선정해 주어진 기간 동안 각 품목이 소비되는 양을 정한 다음 소비바구니의 가치를 각 기간의 시장가격으로 구하고 이를 기준기간의 시장가격으로 구한 소비바구니의 가치로 나누어 백분율로 나타냄 제1장 국민경제의 순환과 주요 거시경제변수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지수의 가중치 제1장 국민경제의 순환과 주요 거시경제변수

소비자 물가 지수 예: 소비자 물가 지수 한 가계의 1년 소비량이 쌀 2가마니, 옷 3벌 즉, 소비바구니는 (쌀 2가마니, 옷 3벌) 2000년 쌀 한가마니 가격 20만원, 옷 한벌 5만원 2001년 쌀 한가마니 가격 25만원, 옷 한벌 6만원 기준년도는 2000년 제1장 국민경제의 순환과 주요 거시경제변수

소비자 물가지수 VS GDP 디플레이터 소비자 물가지수 GDP 디플레이터 소비자가 소비를 목적으로 구입하는 재화와 서비스만을 포함 한 경제가 생산하는 모든 재화와 서비스를 포함 외국에서 생산되었더라도 소비자들이 소비하는 재화와 서비스 포함 국내에서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만 포함 라스삐에르 지수(Laspeyres index) 파쉐 지수(Paasche index) 제1장 국민경제의 순환과 주요 거시경제변수

소비자 물가지수와 생계비 소비자 물가지수(CPI)는 생계비 증가를 과대평가한다. 상대 가격 변화에 따른 대체효과를 무시하기 때문 새로운 상품의 등장에 따른 소득의 가치 증가를 고려하지 않는다 측정되지 않은 품질의 개선을 고려치 않는다. 반면 GDP 디플레이터는 생계비 증가를 과소평가 한다. CPI와 GDP 디플레이터 둘 중 어떤 지수가 더 나은 생계비의 척도인지는 분명치 않다. 제1장 국민경제의 순환과 주요 거시경제변수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지수와 GDP디플레이터 제1장 국민경제의 순환과 주요 거시경제변수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은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이며, 물가지수의 증가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제1장 국민경제의 순환과 주요 거시경제변수

인플레이션 경제에서 인플레이션이 중요한 이유는: 생계비의 변화를 보여주고 (인플레이션을 낮게 유지함으로써) 화폐가치의 안정성을 유지 하여 거래질서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제1장 국민경제의 순환과 주요 거시경제변수

우리나라의 인플레이션 - 1970년대에 평균적으로 매우 높고 변동성이 컸음. - 1981년 이후 대체로 10%이하로 안정성 유지 - 두 가지 물가강승률은 대체로 같은 패턴을 보임 제1장 국민경제의 순환과 주요 거시경제변수

실업 경제활동인구 (labor force): 취업자(employed)와 실업자(unemployed) 비 경제활동인구 (out of labor force): 학생,군인 등 노동을 할 수 없는 사람과 일할 의사가 없는 사람을 포함 실업자 : 일할 의사가 있지만 아직 일자리를 발견 못한 사람 실망 실업자(discouraged worker) : 오랜 구직 실패로 더 이상 일자리를 찾지 않는 사람으로 비 경제활동인구에 포함된다. 제1장 국민경제의 순환과 주요 거시경제변수

우리나라의 경제활동인구 실업자(920) 제1장 국민경제의 순환과 주요 거시경제변수

우리나라의 실업률 제1장 국민경제의 순환과 주요 거시경제변수

우리나라 실업률의 특성 2008년 우리나라의 실업률은 3.0%로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 낮은 편이다. 농립 어업 부문 취업자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다 자영업자 및 무급가족봉사자의 비중이 높다 직업 알선 기관 등의 발달이 미비하여 직장이동이 여의치 않다. 제1장 국민경제의 순환과 주요 거시경제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