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임조 활동 (주) 세 기.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일본어일본문화학과 심문경. 일본의 노동법에서는 비정규노동 근로자를 정규직 근로자가 아닌 근로자를 모두 포함한 개념으로 취급하고 있다. 정규 근로자가 풀타 임 근로자, 정사원 또는 정규직 근로자라는 호칭으로 불리는 자, 고 용기간이 정해지지 않은 자,
Advertisements

교육 프로그램의 분류 일반 직무능력 향상과정 3 P 계층별 역량 강화과정 109 P 경영혁신과정 150 P.
R&R의 조사품질관리 -전화조사와 면접조사를 중심으로 발표자:김 경애(자료조사실 부장) 발표자:김 진영(자료Q.C팀 팀장)
제 3 호 농촌 어메니티 관광개발 정보 -농어촌체험 ∙ 휴양마을 지정제도- 농 촌 진 흥 청 농촌자원과.
QC 신7가지 관리도구.
BP 경진대회 윤리경영부문 자동차관리 체험교실 운영 서수원자동차검사소 발표자 : 소장 백안선.
1 중등교감 자격연수 학교교육계획 수립의 실제 축하합니다 !! 담양수북중학교 양 연 옥 hanmail.net.
‘조달물자 자가품질보증제도'(가칭) 개발 관련 자료
성문교회 행정시스템 구축 및 교회활성화 방안 2008년 12월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시스템경영공학부 산업공학전공 오지연
(주) 빙그레하나관광 회사소개서.
통계적 품질관리(SQC).
But, 성공하려면 과정이 필요합니다. 목표달성을 위해 정해진 기간이 필요~!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할가요~?
품질과 시스템.
서울대-메모리사업부 Tech-day (금) ▣ 메모리사 기술동향 및 비전 공유 (14:00~15:30)
건축가 조사 기초설계 이동숙교수님 건축학과 학번 강민성.
2004년 예비신자 오리엔테이션 2004년 3월 13일 (토) 오후 8시 천주교 수원교구 상촌성당 [티없이 깨끗하신 성모성심]
경기도시흥교육청 유치원평가 연수 시화유치원 남궁 상.
2008년 역량 개발 계획서 작성자 소속 인재육성그룹 직급 B3 사번 성명 홍 길 동 확인자 소속 인재육성그룹
총괄생산계획 총괄생산계획 : 기업의 중기 또는 장기에 해당되는 생산계획으로 기업이 생산하는 제품의 포괄적인 범위에 대한 생산일정과 수량을 결정하는 과정. 시장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기업의 가용자원을 활용하고 관리하는 행위 총괄생산계획이 사용하는 자원의 대상 : 노동력,
제 12 장 감성적 품질을 창조하는 품질경영 [전사적 품질경영 : TQM].
건설관리학 강의슬라이드 8장. 품질관리.
교육 PROCESS 제일엠앤이주식회사.
ISO / KS A 9001:2000 전환을 위한 지침.
1. 정보보호 관리체계(ISMS) 이해.
KOSHA 인증제도 안내.
신QC 7가지 관리도구.
ISO 개정표준 핵심개정내용 및 준비사항 ISO 9001 개정이력 ISO 45001(안전보건경영시스템) 개정 정보
Quality Management Construction Management
ISO 9001:2000 프로세스 접근방법의 이해와 적용 베스트경영컨설팅(BMC).
품질관리인증제도 도입을 위한 연구 용역 최종보고서
품질경영 (Quality Management)
6시그마 경영개념 소개.
참여형 건축봉사활동 추진방안 검토(案) ”사회구성원으로서의 보람과 자존감”을 위한 목 차 1. 추진 배경/목적 2. 추진목표
PDCA는 업무 (일)의 기본 1. 관리의 Cycle
2011년 체계적 현장훈련 우수사례 철도정비부문 POSCO 분사법인 KOREM.
ISO 9001 인증 교육.
교세라 아메바 경영 실무세미나 Wisdom21 기업의 채산성 강화를 위한 강사 : 양승경
기업지원 제도 주요 내용 안산고용센터 기업지원팀.
영업인의 관리와 경영활동 경영혁신 팀..
효율적 인력운용(안) X-File 팀 목 차 Ⅰ. 팀원소개 Ⅱ. 테마선정 배경 및 추진일정 Ⅲ. 현상분석 및 과제도출
아메바경영의 이해와 실천 Wisdom21 Management Consulting
11.1 계량형 샘플링(Sampling Inspection by Variables)의 기본개념
응급의학과 설명회 국내 응급의학의 역사, 현황 및 전망
안전보호구 착용 캠페인(案) 경영지원본부 지원팀.
식품 품질관리
효율적 인력운용(안) X-File 팀 목 차 Ⅰ. 팀원소개 Ⅱ. 테마선정 배경 및 추진일정 Ⅲ. 현상분석 및 과제도출
9 주차 품질 관리 2.
고등학생을 위한 성교육 4단원: 나는 이성친구에게 피임 Policy를 제안한다
품질개선활동 본 강의 자료는 2003학년도 교육인적자원부·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지원에 의하여 개발된 것임.
현대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제5장 기획과 의사결정.
4차원의 영성 : 말 -류동희 교수-.
6장 품질경영.
감수성훈련(Sensitivity Training)
직원채용 업무 절차 개선.
전체보기확대축소                                                                                                                                                                     
2013학년도 1학기 강의 성적 입력 안내 UST 교무팀
분임조원고 작성의 이해 임 헌 길.
신체활동 동아리조직화 전략과 협업사례 박평문 제1기 국민건강을 위한 신체활동사업과정
ISO규격에의 대응과 도입 Know-how ㈜드림힐
음 식 물 쓰 레 기 ▶ 감량의무 사업장 ; 1일 평균 연 급식인원 100인 이상인 집단급식소 음식물 쓰레기란?
품질개선활동 본 강의 자료는 2003학년도 교육인적자원부·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지원에 의하여 개발된 것임.
[297탄] 반드시 길러야 할 4가지 공부 습관 자습 습관 복습 습관 동기부여 습관 셀프 테스트 습관
매일 멋지게 달력보다 두터운 1년을 끈기 있게 5번 축적 대성하면 누구나 修破離能 전문가가 된다
Blessing of the RAINBOW
9 주차 계측 관리.
개선활동의 제일보는 동기부여이다. 1. 동기부여의 STEP
지역복지실천을 위한 이론적 기초 사회체계이론과 생태이론.
성 령 천주교 광주대교구 청소년사목국.
신입사원 OJT교육.
Presentation transcript:

분임조 활동 (주) 세 기

■ 분임조 활동 정의 및 운영 1. 분임조 활동이란 ? 가. 분임조활동 정의 나. 분임조 활동의 목적 ■ 분임조 활동 정의 및 운영 1. 분임조 활동이란 ? 가. 분임조활동 정의 같은 직장 내에서 품질관리 활동을 자주적으로 행하는 집단의 작은 그룹이며 TQC활동의 일환으로 자기계발·상호개발을 활용하여 업무의 관리개선을 지속적으로 전원이 참가하는 활동 나. 분임조 활동의 목적 ① 전사적 혁신활동에 의해 품질과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② 계층간 일체화에 의해 조직의 체질을 강화하고 사기를 앙양한다. ③ 자주적이고 지속적인 개선활동을 통한 조직 개개인의 잠재능력을 계발한다. ④ 조직 구성원 전체의 의식을 전환하고 혁신 추구의 사고를 함양한다. ⑤ 개개인의 자기계발 실천의지를 회사 전체에 확산시킨다.

다. 분임조 활동의 기본이념 라. 분임조 활동의 기본 사고방식 ① 기업의 체질개선 및 발전에 기여한다. 다. 분임조 활동의 기본이념 ① 기업의 체질개선 및 발전에 기여한다. ② 인간성을 존중하여 보람있고 명랑한 직장을 만든다. ③ 인간의 능력을 발휘하여 무한한 가능성을 창출한다. 라. 분임조 활동의 기본 사고방식 ① 분임조는 소집단 회합을 근간으로 하는 개선 활동 임 ② 분임조의 활동기간은 3 ~ 6개월(회사 여건) 정도 ③ 품질분임조 활동은 자주적으로 실시하고, 기타 개선팀 활동은 전사적 통합 운영 ④ 회사의 방침과 연계하여 추진 ⑤ 회사의 지원체계 및 지도·자문위원을 적절하게 활용 ⑥ 분임조 리더는 분임조의 핵심요원, 스스로 팀을 이끌어 감 ⑦ 각자의 지혜를 육성하여 큰 결실을 창조하는 노력이 필요 ⑧ 분임조활동을 통하여 자신의 능력개발

마. 분임조 활동의 지원체계 바. 분임조활동 전개 방법 반 복 활 동 1) 분임조활동 운영 매뉴얼 운영 마. 분임조 활동의 지원체계 1) 분임조활동 운영 매뉴얼 운영 2) 사내·외 교육계획에 따른 교육훈련 실시 3) 분임조의 지도사원 및 담당 관리자의 지도지원 실시 4) 분임조 평가제도 및 인센티브 운영 5) 성공· 실패 품질분임조의 활동 사례 활용 6) 발표회, 평가회, 교류회 등 우수 품질분임조 벤치마킹 실시 - 발표 및 평가회는 분기 단위로 실시 바. 분임조활동 전개 방법 분위기 조성 모임과 대화를 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한다. 반 복 활 동 공감대 형성 활동의 뚜렷한 목적의식과 방향을 갖는다. 자기 주위 개선 흥미 있고 유익한 품질분임조의 선결과제를 정한다. 업무의 개선 품질분임조 스스로가 질적 향상을 도모한다. 자기 평가, 반성 자기계발과 상호계발의 기회를 만들어 간다.

2. 분임조 운영과 추진 분임조 평가 위원회 부서별 분임조운영 위회 가. 전사적 분임조 운영 조직 분임조 운영 위원회 위원장 간사 대표 이사 임원 및 부서장 인사총무 부서장 분임조 평가 위원회 부서별 분임조운영 위회 부 조 장 회 의 부 조 장 회 의 부 조 장 회 의 ※ 기업별, 업종별, 특성 및 규모를 감안하여 회사별로 실정에 맞게 구성이 필요

나. 추진 조직 수행의 기본 기능 ○ 최고 경영자 ○ 분임조 운영 위원회 ○ 전사 분임조 위원회 ① 분임조활동 기본 방침 시달 나. 추진 조직 수행의 기본 기능 ① 분임조활동 기본 방침 시달 ② 추진조직 설치 (담당 부서, 위원회) ③ 분임조활동 지원 ○ 최고 경영자 ① 분임조 운영 방침 설정 ② 분임조 활동 실적 평가 결과 확인 ③ 분임조 활성화 방안 강구 ○ 분임조 운영 위원회 ① 분임조 운영 세부계획 수립 ② 사내 경진대회 및 교류회 운영 ③ 분임조 활성화 방안 강구 ④ 추진상 문제점에 대한 조치 방안 강구 ○ 전사 분임조 위원회

다. 분임조활동의 편성과 역할 1) 분임조의 편성 2) 분임조의 명칭 다. 분임조활동의 편성과 역할 1) 분임조의 편성 ① 업무 기능별, 팀별, 라인별, 공정별, 작업단위별로 편성한다. ② 동일 수준별(지위, 학력, 경력, 연령, 직종) 등이 비슷한 사원으로 편성한다. ③ 구성인원은 6~10명으로 편성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④ 교대작업자(2교대, 3교대)와의 편성은 되도록 피한다. ⑤ 분임조원의 이동(퇴직, 전보 등) 및 공정의 변동 (축소/확장)이 있는 경우는 해체, 통합, 분리시키지 말고 건의하여 조정을 받도록 한다. 2) 분임조의 명칭 ① 각개 분임조의 고유명칭인 분임조명이어야 한다. ② 분임조명은 건설적이고 희망적인 이름으로 한다. ③ 분임조명은 분임조원 스스로 정한다. ④ 동일명칭(희망 A, 희망 B 등)은 피한다.

라. 분임장의 선출 및 역할 1) 분임장의 선출 2) 분임장의 임기 라. 분임장의 선출 및 역할 분임장은 분임원의 대표자로서 분임조원을 통솔하여 분임조 활동의 전반을 진행, 주관하는 장이다. 1) 분임장의 선출 ① 분임장은 분임원 중에서 분임원이 선출한다. ② 평소 통솔력이 좋고 분임원으로부터 신망이 두터운 사람을 선출한다. ③ 초기단계에서는 감독자(반장, 조장 연장자)를 선출한다. ④ 성숙, 발전 단계에서는 분임조 활동 운영요령에 능숙한 사람을 선출한다. ⑤ 필요에 따라서 부(팀)서장이 임명할 수도 있다. ⑥ 통상적으로 활동 주제를 제시한 사람을 분임장으로 선출한다. 2) 분임장의 임기 ① 분임장은 순번제로 선출하여 활동 요령의 숙지, 활동의 애로사항 파악 등 활동에 적극 호응토록 경험하는 것이 좋다. ② 초기단계에서는 1~2개의 주제를 해결하는 기간 동안이 적당하다. ③ 발전단계(즉, 분임조활동 시작 후 1~3년)는 1년 정도가 적당하다. ④ 성숙단계(즉, 분임조활동 시작 후 3년 이상)는 분임조 활동 운영에 능숙한 사원이 계속하는 것이 좋다.

3) 분임장의 역할 ① 분임원의 신상, 직무에 관한 전반사항을 숙지한다. ② 리더쉽을 발휘하여 분임조원을 통솔한다. 3) 분임장의 역할 ① 분임원의 신상, 직무에 관한 전반사항을 숙지한다. ② 리더쉽을 발휘하여 분임조원을 통솔한다. ③ 분임장을 위한 교육과정을 이수하여야 하며, 품질분임조 활동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여 분임원에게 수시교육 및 전달교육을 실시한다. ④ 분임조활동에 관한 연구, 토의, 활동 계획의 실천을 위하여 분임조원 각자에게 임무를 부여 한다. ⑤ 분임조활동의 전반을 주관 진행한다. ⑥ 분임조활동에 관한 모든 신고 업무를 처리한다. ⑦ 분임조활동에 따른 모든 보고(활동계획 보고, 회합보고, 활동결과 보고서의 작성)을 서기와 협조하여 수행한다. ⑧ 분임조 회합 보고서, 회의록, 활동 계획서 등을 보관·유지한다. ⑨ 임기가 끝나면 분임조 전반 사항을 후임자에게 인계한다. ※ 다음장의 분임장 리더의 역할 참조

※ 분임장의 리더 역할 ○ 분임장의 역할 단계 ○ 품질분임조 전개에 따른 지도 방법 ○ 품질분임조 활동의 요소 ※ 분임장의 리더 역할 ○ 분임장의 역할 단계 ① 품질분임조의 분임장을 체험한다. ② 품질분임조의 상담역으로서 분임조를 육성, 지도한다. ③ 상상의 방침, 목표, 직장으로서의 중요문제를 아래 직원에게 이해시킨다. ④ 계획적으로 개선을 진행한다. ⑤ 아래 직원을 교육시킨다. ⑥ 아래 직원 전원에게 개선의욕과 역할을 갖게 한다. ⑦ 제안활동을 활발히 한다. ⑧ 무슨 말이든 할 수 있는 직장 분위기를 만든다. ○ 품질분임조 전개에 따른 지도 방법 ① 분위기 조성 및 도입단계 ② 자주적 활동단계 ③ 체질화 및 발전단계 ○ 품질분임조 활동의 요소 ① 진실한 인간으로서의 일의 3가지 요소 ② 창조성은 인간성의 본능 ③ 창조성이 발휘되었을 때

마. 서기의 선출 및 역할 1) 서기의 선출 ① 분임원 중에서 문장력과 기획력이 좋고 글씨를 잘 쓰는, 컴퓨터 활용 사원을 선출한다. ② 서기는 분임원의 찬성을 얻어서 선출한다. ③ 경우에 따라서는 분임장이 서기를 임명하여 분임원의 동의를 얻어 선출할 수도 있다. ④ 서기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1~2개 주제를 해결하는 동안이 적당 하다. 2) 서기의 역할 ① 분임원의 일원으로서 분임장을 보좌하며 분임조의 이력, 분임원의 연구, 토의 및 활동 사항을 기록하고 보존하는 기록자이다. ② 분임조의 이력사항을 기록·유지한다. ③ 분임원의 연구, 토의 및 활동사항의 전반을 종합하여 분임조 회의록을 기록·유지한다. ④ 분임원의 토의활동에 대한 과제, 목적, 시간, 장소 등 필요한 내용과 자료를 분임원에게 사전에 통보하여 준비할 수 있도록 한다. ⑤ 분임조활동에 따른 모든 보고서(활동계획서, 활동결과 보고서)를 분임조장과 협의하여 작성한 후 소속부서장에게 결재 받고 주관부서에 제출한다. ⑥ 분임조의 신규등록, 변경신고, 해체신고서를 작성하여 신고한다.

바. 분임원의 역할 ① 분임조의 구성원이며 분임조 활동의 연구, 토의, 활동을 자발적으로 행하는 실천적 모체이다. 바. 분임원의 역할 ① 분임조의 구성원이며 분임조 활동의 연구, 토의, 활동을 자발적으로 행하는 실천적 모체이다. ② 분임조장의 통솔에 적극적으로 호응하고 분임원간의 일체감을 조성한다. ③ 자신과 회사를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를 항상 생각한다. ④ 주변의 모든 문제점에 관심을 갖고 개선하여야겠다는 마음가짐을 가져야 한다. ⑤ 맡은 일에 흥미와 관심을 갖고 업무를 수행한다. ⑥ 분임조 활동에 성실한 자세로 적극 참여하고 최대한의 노력을 경주한다. ⑦ 부여된 과제, 분담된 내용은 자기의 능력과 지혜로써 실천 방법을 찾아 성실히 수행하고 그 결과는 반드시 분임장에게 보고하거나 서기에게 통보한다. ⑧ 작업표준화 및 분임조활동으로 개선된 사항은 지속적으로 올바르게 지켜야 한다. ⑨ 분임원 스스로 교육과 교보재를 통하여 분임조 활동요령을 능숙하게 숙지할 수 있도록 공부한다. ⑩ 분임원은 활동 중 애로사항이나 건의사항을 즉시 분임조장이나 기타 관계자에게 건의하도록 한다.

사. 품질분임조 등록 분임조가 편성되면 분임장, 서기를 선출하고 그 내용을 분임조 이력카드에 정리, 확인 사. 품질분임조 등록 분임조가 편성되면 분임장, 서기를 선출하고 그 내용을 분임조 이력카드에 정리, 확인 ※ 분임원수는 6∼10명이며 등록카드는 소속부서 및 추진부서 각 1부씩 보관함. 소 속 부 서 분임장 담당자 팀 장 추 진 담 당 추진자 소 속 본부 팀 반 분임조명 작성 일자 분임조 NO 등록 일자 분임조 장 전화 번호 현상 분석 및 목표치 - 기록란 부족 시 별지에 작성하여 첨부 분임조 활동 기간 1 2 3 4 5 6 8 9 10 11 NO 직 위 사 번 성 명 담당업무 비 고 7 활동 주제 활동 목표 분임조 원 명단 분임조장 서기 분임원

3. 분임조활동의 회합 진행방법 가. 분임조활동의 회의·회합 나. 분임조활동의 회합 운영 회합 실행 다. 회합 개최의 요점 가. 분임조활동의 회의·회합 분임원 전원이 선정한 주제에 대하여 상호 토론을 통하여 경험, 정보, 의견 등을 적극적으로 교환하여 ‘공동인식의 장’을 구축하고, 보다 능률적으로 해결해 가는 회의 나. 분임조활동의 회합 운영 ① 분임조 활동은 회합과 실행단계의 반복 ② 회합은 실행단계의 매듭 역할 ③ 분임조 회합의 목적은 주제 해결(문제 개선) 회합 실행 다. 회합 개최의 요점 ① 회합의 목적 명확화(꼭 회합이 필요한 사안 선별) ② 회합의 목적, 안건 등을 확실하게 통보 ③ 회합내용을 사전에 충분히 준비(자료수집, 계획수립) ④ 분임원도 준비된 상태에서 회합에 참가 ⑤ 단순한 개인적 의견 수집보다는 사실 데이터 중시 ⑥ 회합 끝에는 결론을 맺고 차기 활동 방향 제시 ⑦ 회합 시간을 엄수하고, 시간 낭비 최소화 ⑧ 자투리 시간 활용방안 연구

※ 회합의 형식과 성격 라. 회합을 통한 집단사고의 힘 ① 집단사고는 가장 훌륭한 개인의 사고능력을 능가함. 라. 회합을 통한 집단사고의 힘 ① 집단사고는 가장 훌륭한 개인의 사고능력을 능가함. ② 개인의 일방적 사고로 인한 오류를 피할 수 있음 ③ 참가자의 사회적 공감성이 높아짐 ④ 사고활동의 다양성이 증대되어 창조에 기여함 ⑤ 애매모호성, 시행착오가 허용되며 반대·대립을 통하여 보다 세련된 아이디어 가능 ⑥ 자발적이고 자유로운 집단사고를 통한 개인의 창조성 개발 ⑦ 집단 사고는 다수 의견이든 소수 의견이든 가치가 있음. ※ 회합의 형식과 성격 ① 정보회합 : 필요한 정보를 미리 알리기 위한 회합 ② 토의회합 : 사실, 경험, 의견, 생각 등을 교환하는 회합 ③ 지도회합 : 부하, 분임조원을 지도, OJT하는 회합 ④ 탐구회합 : 주제에 대한 연구, 조사, 발상 및 의견도출 회합 ⑤ 학습회합 : 자주적 학습을 위한 회합 ⑥ 문제해결회합 : 조사, 분석, 개선대책, 평가 등을 위한 회합 ※ 품질분임조 회합은 상기 회합의 모든 성격, 기능을 모두 갖추고 있음.

마. 회합의 개최 절차 ① 회합 개최시기 결정 ② 회합 자료준비 ③ 회합 계획수립 ④ 회합 진행 ⑤ 회의록 작성 및 보고 마. 회합의 개최 절차 ① 회합 개최시기 결정 개회 선언 ② 회합 자료준비 ③ 회합 계획수립 과제 점검 의견 교환 ④ 회합 진행 종합 정리 ⑤ 회의록 작성 및 보고 교육 지도 차기과제 제시 바. 회합시간 운영 ① 30 ~ 60분 이 바람직함. 안건의 난이도, 회사의 실정에 따라 조정. ② 5 ~ 10분간 회합 활용 : 연락, 보고, 교육 등 회합 시간 회합 시기 근무시간 전후 및 점심시간 등 근무시간 외 잔업시간, 휴식시간 등을 감안하여 적절하게 운영. ① 주 1회 또는 월 2회가 가장 많음. ② 안건의 난이도, 데이터 수집분석기간, 회합의 중요성 등을 감안하여 주기 조정 회합 주기

사. 회합 진행 요령 아. 회합 개최의 요점 ① 회합 안건에 대하여 충분히 연구 사. 회합 진행 요령 ① 회합 안건에 대하여 충분히 연구 ② 분임조원도 현장조사 등을 통하여 발표자료(의견) 준비 ③ 의견이 다양하게 많이 나올 수 있도록 분위기 조성 - 화기애애한 분위기 - 분임조원이 관심을 갖고 참여하는 분위기 - 말이 서툴거나 말수 적은 사람 참여 유도 - 주관적, 개성적 발언 강요 또는 막기 지양 - 사담, 거친 발언, 중상적 발언 삼가 ④ 회합 주제에 따라 융통성 있게 진행 - 문제 파악 : 사실 - 요인분석 : 사실 및 경험 - 대책 안 : 자유 발상 ⑤ 주제의 목적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조정 및 유도 브레인스토밍 4원칙 ① 질보다 양 ② 비판금지 ③ 자유분방 ④ 연상발언 아. 회합 개최의 요점 ① 회합의 목적 명확화 (꼭 회합이 필요한 사안 선별) ② 회합의 목적, 안건 등을 확실하게 통보 ③ 회합내용을 사전에 충분히 준비 (자료수집, 계획수립) ④ 분임조원도 준비된 상태에서 회합에 참가 ⑥ 단순한 개인적 의견 수집보다는 사실 데이터 중시 ⑦ 회합 끝에는 결론을 맺고 차기 활동 방향 제시 ⑧ 회합 시간을 엄수하고, 시간 낭비 최소화 ⑨ 자투리 시간 활용방안 연구

4. 분임조활동의 단계별 활용 분임조활동은 기업마다 다양한 단계로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본적으로 10단계로 활용 활동 단계 4. 분임조활동의 단계별 활용 분임조활동은 기업마다 다양한 단계로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본적으로 10단계로 활용 활동 단계 활용 기법 주된 내용 1. 주제선정 매트릭스도법 다차원적 사고에 의한 문제점을 명확히 한다. 2. 활동계획 수립 칸트 차트 소요기간을 막대의 길이로 일목요연하게 나타낸다. 3. 현상파악 체크시트, 층별 간단히 데이터를 취하거나 점검 누락을 방지한다. 파레토도 많은 문제점 중에서 개선의 범위를 결정한다. 4. 원인분석 특성요인도 요인을 빠짐없이 넣어 정리한다. 연관도법, 계통도법 서로 뒤엉켜 있는 문제에 인과 관계를 명확히 하여 논리적으로 연관성을 찾아 해명한다. 5. 목표설정 막대그래프 막대의 장단에 의해 대소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한다. 6. 대책수립 계통도법 목적을 이룰 최적의 수단을 계통적으로 추구한다. PDCA 싸이클 PDCA(Plan → Do → Check → Action)의 4단계를 확실히 순서를 밟는다. (목표미달 시 2차 PDCA Cycling) 7. 대책실시 8. 효과파악 체크시트, 층별, 파레토도 문제점이 얼마나 개선되었는지 비교 파레토도를 작성한다. 표준화 양식 표준화가 쉽게 작성되고 내용을 공유화 하기 위해 회의 시 전달 9. 표준화 및 사후관리 관리도 공정이 안정된 상태에 있는지를 조사한다. 체크시트 정확하게 데이터를 기록, 점검한다. 10. 반성 및 향후계획 레이더 차트 항목간 균형을 알아 본다.

참조 : QC 도구 활용( 첨부의 활용방법을 참조) 데이터는 그대로 보는 것보다 데이터를 통해서 얻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사실을 바르게 표현하여 그것을 정리함으로써 필요한 행동 지침을 얻는 것이 중요하다. 품질관리에 사용되는 QC 기법은 이렇게 데이터를 정리할 때 유효한 수단이 된다. QC 7가지 기법의 종류와 장점 ① 층별 : 부적합 요인(5M1E)마다 데이터를 구분해서 분석하는 기법. ② 체크시트 : 데이터 수집, 문제 분석을 효율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기법. ③ 파레토그림 : 문제의 중점화, 우선순위 파악을 위한 기법. ④ 히스토그램 : 데이터의 산포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기법. ⑤ 특성요인도 : 특성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기법. ⑥ 산점도 : 영향을 주는 2개의 인자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기법. ⑦ 그래프및 관리도 : 숫자를 시각화 하여 정보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기법, 공정이 일정한 품질수준을 유지하는가를 판정하는 기법. 신 QC 7가지 기법의 종류와 장점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법) ① 연관도법 : 복잡한 요인이 얽힌 문제의 인과관계를 명확히 하는 기법 ② 계통도법 :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최적수단을 계통적으로 추구해 나가는 기법 ③ 친화도법 : 미래, 미경험의 분명치 않은 문제점을 찾아내기 위한 기법 ④ 매트릭스도법 : 행과 열, 두 가지 요소를 분석해서 문제해결의 실마리를 찾는 기법 ⑤ 매트릭스 데이터 해석법 : 유일한 수치해석 기법으로 「주성분 분석법」이라고도 한다. ⑥ 애로우 다이아그램법 : 가장 적합한 일정계획을 세워서 그것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기법 ⑦ PDPC법 : 계획의 실시과정에서 예상치 못했던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사전에 예상 되는 모든 결과를 예측하여 Process의 진행을 가장 바람직한 방법으로 이끌어 가는 기법

첨부1: 품질분임조 활동 통계 수법 + + + + + + + 특성요인도 체크시이트 파레토그램 히스토그램 층 별 관 리 도 치 수 설비 방법 재료 체크시이트 일자 치수 +3 +2 +1 -1 -2 -3 6/1 2 3 5 4 파레토그램 300 250 200 150 100 50 100% 50% A 항목 히스토그램 개선전 개선후 Su SL 층 별 SL Su A작업방법 B작업방법 관 리 도 - 일자 산 점 도 X Y + + + + + + +

첨부1: 품질분임조 활동 통계 수법 레이다(K J) 법 연 관 도 법 매트릭스도법 계 통 도 법 C D B A 문제 요인 ● ○ ■ △ B A 결과 계 원인 5 6 10 8 갑 을 병 무 점수 5 10 D C 계 통 도 법 목적 -을-하기 위해서는 1차수단 2차수단 3차수단

첨부1: 품질분임조 활동 통계 수법 매트릭스 데이터 해석법 PDPC법 애로우·다이어그램 봄 기압배치도 여름 겨울 제 2 인 저 속 1.0 0.5 -0.5 -1.0 남해전선 남해안저기압 2중기압골 자고등지 일본해저기압 내륙전선 내 륙 고 기 압 태 풍 여름 ⑦ ⑨ ③ ⑧ ⑥ ⑤ ④ ① 제1인저속 봄 겨울 PDPC법 7회말 공격 스퀴즈 성 공 실 패 투아웃 강 공 내야땅볼 외야플레이 더블플레이 다음타자 1 6 2 4 5 9 8 10 3 7 애로우·다이어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