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러닝 활성화를 통한 국가인적자원개발 추진전략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시화 ( 詩畵 ) 그리기. 차 례 도 입도 입 도 입도 입 전 개전 개 전 개전 개 정리, 평가 5.18 광주민중항쟁 5.18 광주민중항쟁 학습목표 학습목표 5.18 광주민중항쟁 다가가기와 의의 5.18 광주민중항쟁 다가가기와 의의 현장체험과 인터넷 체험 현장체험과 인터넷.
Advertisements

학습주제 국어 1 학년 1 학기 2. 읽기와 쓰기 (2) 어머니의 우산 (4/6) 어머니의 우산 이해하기.
1 ‘ 우리나라의 주요공업 ’ - 정도웅, 주민혁, 안수진, 백경민, 엄다운, 박경찬 -.
첫화면 사회 5 학년 1 학기 3. 환경보전과 국토개발 >2) 환경과 더불어 살아가는 길 >14/18 제 4 차 국토 종합 개발 계획.
교육정보화 사업을 통한 정보격차 해소 방안 모색 광주광역시교육청 교육과정정보화과장 리 장 언.
지역 인적자원개발 정책 방안 백성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음악과 교육과정 개정 방향 광주광역시교육청 교육과정정보화과 과장 리 장 언
슬기로운 생활 1학년 2학기 2. 화목한 우리 가족 > (1) 우리 집 행사 ( 3/10 ) 우리집 행사 조사하기.
과목명 : 과학 1학년 2학기 호흡과 배설 > 배설 [ 6 / 8 ] 신장은 어떻게 생겼으며, 무슨일을 할까?
사회 1학년 2학기 5. 아시아 및 아프리카의 생활>2.문화가 다양한 동남 및 남부 아시아(4/12) 다양한 문화와
초기화면 음 악 6 학년 23.쾌지나 칭칭 나네 (2/3) 장단의 변화에 맞추어 노래 부르기.
2009 국제통상학과 수학여행 ※ 비용은 인원에 따라 변경됩니다. ※ 참가여부를 12/10(목) 오후까지 꼭 알려주세요.
공부할 내용 조상들이 살던 곳 자연과 잘 어울리는 한옥 지방에 따라 서로 다른 집의 모양 섬 지방의 집
원격교육과 이러닝 우미희.
사랑, 데이트와 성적 자율성 :데이트 성폭력!!! 성폭력예방교육 전문강사 / 여성학 전공 신 순 옥.
퇴계와 율곡의 사회사상 비교 남 일 재 동서대학교 교수/ 정치학 박사 1.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의 약전(略傳)
501. 군인들의 세상 502. 민정 이양과 한일회담 이선용.
단원 정리 학습 사 회 6학년 1학기 3. 대한 민국의 발전 (14/14) *단원과 학습주제를 소개하는 화면이다
사회 1학년 2학기 10. 아시아 사회의 발전과 변화>3. 서아시아 문화권의 형성과 발전(14/14) 동서 문화의 교류.
초등 5,6학년 영어 교과용도서 활용방안연수 경상남도함안교육지원청.
3. 19세기 미국과 러시아 수업화면 수업활동 대단원:2. 서양 근대사회의 발전과 변화 2학년 1학기
국어(말하기. 듣기. 쓰기 ) 6학년 1학기 5. 마음을 나누며 3)한 걸음 더 7/9 되돌아 보기.
사 회 2학년 1학기 1. 아시아의 근대적 성장> 2) 중국의 근대화 운동> 2 / 8 중국의 근대화 운동.
세 가지 법 생활 영역 사회(일반사회) 중학교 2학년 2학기 Ⅶ. 사회생활과 법규범
도면 그리기 기술ㆍ가정 1학년 Ⅳ. 제도의 기초 〉 2. 도면읽기와 그리기 (5-6/ 6) 제작의도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기술가정 1학년 4. 제도의 기초 > 1) 물체를 나타내는 방법 ( / ) 도면에 쓰이는 기호 수업계획 수업활동.
지도로 보는 전라남도 사회 4학년 1학기 1. 우리시도의 모습>1)지도에 나타난 우리 시도의 생활모습>2/17
계절에 따라 달라지는 생활 초기화면 사회 3학년 1학기
정 투 상 법 기술 ·가정 1학년 2학기 Ⅳ. 제도의 기초>1. 물체를 나타내는 방법>8/13 [제작의도]
과목명 : 과학 1학년 2학기 상태 변화와 에너지 > 기화와 열에너지 (1/ 7) 기화와 열에너지.
동기의 반복과 변화 이해하기 주제의 특징 알아보기 6학년 1학기 20. 운명 교향곡 (1/2) 음 악 제작의도
상황과 상대에 알맞은 인사하기 바른 생활 1학년 1학기 5.안녕하세요 1) 상황과 상대에 알맞은 인사하기(3 /4)
정치개혁의 가능성 논의 권력구조 개편을 통하여 본 -개헌을 통한 정부형태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정치론] 윤성이 교수님
여러 가지 방법으로 문화재 조사 결과 발표하기 사회 4학년 2학기
사회 2학년 1학기 1. 아시아의 근대적 성장> 3) 일본의 근대화 운동> 3 / 8 일본의 근대화 운동.
실 과 6학년 2학기 8. 환경을 살리는 나의 생활> 2) 재활용의 개념과 중요성 > 5-6/8
수학 6학년 1학기 4. 쌓기나무 2/8 여러 가지 모양 만들고 규칙 찾아보기 [제작의도] [활용방법] [유의사항]
구조 형식 기술가정 1학년 2. 건설구조물의 구성>(2)구조와 구조형식>6/16 [제작의도] [활용방법]
문학의 아름다움 국어 1학년 1학기 6.노래의 아름다움 (2) 어부사시사 3/8 [제작의도] [활용방법] 수업 내용 제시 화면
노년기 발달 장안대 행정법률과 세류반 정 오 손
운영체제 익히기 (1) 기술ㆍ가정 1학년 Ⅴ. 컴퓨터와 정보처리 〉 1.컴퓨터의 구조와 원리 (4 / 5) 1.제작의도
“ 독서의 달 9월 추천도서안내 ” 초등학교 저 학 년 초등학교 고 학 년 중 , 고등학교
오목렌즈와 볼록렌즈를 사용하여 물체 관찰하기
3. 19세기 문화 수업화면 수업활동 대단원:2. 서양 근대사회의 발전과 변화 2학년 1학기
실 과 6학년 2학기 6. 동물 기르기 (2) 경제 동물의 사육과 이용 / 7-8/8 경제 동물의 제품 이용.
* 수학 * 3학년-가 * 6.곱셈-곱셈의 활용 * 5 ~ 9 차시
태국 문학 욜라다 왓짜니 싸란차나 팟차라와라이 끼따야펀 르앙다우 타니다.
Ⅴ.국제 경영과 국제경제>3.국제 경제 환경>13/19
● 수 학 ● 3학년 가학기 ● 5. 도형 움직이기 도형 옮기기를 알아봅시다 수업계획 수업활동.
도덕 3학년 1학기 1-3. 도덕 문제와 도덕 판단 (1)도덕적 갈등 상황 11/17 도덕적 갈등 상황 페스탈로치 초기화면.
우리 민족의 생활 터전인 국토 사 회 1학년 I. 국토와 지리 정보> 1. 국토와 국토 인식(1/8) 수업 계획 수업
이런 직업도 있어요^^ 감성인식기술전문가 Q : 어떤 일을 하는 직업인가요?
물결선을 사용한 꺾은선 그래프의 특징을 알아보자.
단 원 도 입 사회 5학년 2학기 3. 우리겨레의 생활문화>1)조상들의 멋과 슬기>1/16 [제작의도] [활용방법]
미 술 6 학년 12. 현대 미술(2/6) 초기화면 여러 가지 방법으로 감상하기.
선 택 학 습 사 회 4 학년 2 학기 1.문화재와 박물관 >1)옛 도읍지와 문화재 ( 7 / 8 )
우리 눈은 어떻게 물체를 볼 수 있을까? 과학 본 차시의 주제입니다.
워밍업 실뭉치 전달게임.
1. 지역의 지리적 환경 (1) 지역조사와 지도 읽기 사회<지리> 1학년 1학기 Ⅰ. 지역과 사회탐구
초기회면 음 악 6학년 17. 놀람 교향곡 (1/2) 음악을 듣고 변주방법과 연주하는 악기군 알기.
반응 조건에 따른 철의 부식 속도 차이 비교 과학 1 학년 1 학기
수학8가 대한 111~112 쪽 Ⅴ. 부등식 2. 일차부등식 §2.연립부등식(6/10) 연립부등식뜻과 해.
중학교 2학년 과학 7. 전기 > 3) 전압과 전기 저항 전압을 높이려면 전지를 어떻게 연결해야 할까?
모의 박물관 꾸미기 사회 4학년 2학기 1. 문화재와 박물관 [2) 박물관 견학과 문화재 답사(10/18 )
음파성명학 최종욱.
무 맑은장국 기술 ·가정 1학년 1학기 Ⅱ.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3.조리의 기초와 실제>16/19 [제작의도]
도덕 3학년 1학기 1-3. 도덕 문제와 도덕 판단 (2)도덕 판단의 과정 12/17 도덕 판단의 과정 페스탈로치 초기화면.
과학 7학년 1학기 빛- 빛의 굴절 (4/8) 렌즈로 물체를 보면?.
“사업주 부정수급 Clean Up 캠페인”.
Presentation transcript:

e-러닝 활성화를 통한 국가인적자원개발 추진전략 - Beyond e-Learning Korea - 2004. 10

싱가폴 Crescent Girls’ School u-러닝 사례

목 차 추진배경 Ⅰ e-러닝 정책현황 및 진단 Ⅱ 「新 e-러닝정책」의 비전 및 방향 Ⅲ 정책과제 Ⅳ 향후 추진 일정 Ⅵ 목 차 추진배경 Ⅰ e-러닝 정책현황 및 진단 Ⅱ 「新 e-러닝정책」의 비전 및 방향 Ⅲ 정책과제 Ⅳ 향후 추진 일정 Ⅵ e-러닝 추진기반 조성 Ⅴ

“E-learning을 넘어 e-LEARNing으로” Ⅰ. 추진 배경 “E-learning을 넘어 e-LEARNing으로” 전세계적으로 e-러닝이 지식기반사회의 새로운 교육패러다임으로 부각 - 知識革命의 확산과 學習權 보장을 위해 e-러닝이 중요 e-러닝을 국가경쟁력 강화의 핵심 동력으로 발전시킬 필요성 - e-러닝을 통한 國家人的資源開發 戰略 수립 절실 * ‘교육-산업’이라는 양분된 시각의 접근 지양

Ⅱ. e-러닝 정책현황 및 진단 해외 e-러닝 정책사례 EU 미국 아시아 호주 1. e-EU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e-Learning Initiative’를 채택하여 지식경제, 디지털 사회에 적합한 교육시스템 전환 추진 중 미국 백악관/국방성 주도하는 ADL을 중심으로 e-러닝의 국가적 확산 촉진 산학/민관협력을 통해 e-러닝 추진 소외계층에 대한 e-러닝지원정책 아시아 싱가포르, 일본, 중국 등이 정부차원의 다양한 e-러닝 프로젝트 적극 추진 - 싱가포르: 아시아의 e-러닝 허브화 - 중국: 인적자원개발 전분야에 e-러닝 활용 촉진 호주 ‘정보경제’의 주도권 확보를 비전으로 다양한 e-러닝정책 추진 ‘The Le@rning Federation Initiative’ 를 통해 국가 수준의 e-러닝 질 관리

Ⅱ. e-러닝 정책현황 및 진단 e-러닝 해외 e-러닝 정책 示唆點 사회 통합 및 정보격차(Digital Divide) 2. 해외 e-러닝 정책 示唆點 사회 통합 및 정보격차(Digital Divide) 해소를 위한 e-러닝정책 추진 ※ 미국 미시간 주정부 저소득 근로자를 위한 무상 e-러닝 지원 국가차원의 e-러닝 비전을 제시하고 이끌어 가는 정책 및 제도 형성 ※ 싱가포르의 마스터플랜 Ⅰ,Ⅱ 미국의 Enhancing Education Through Technology Act 2001 e-러닝 e-러닝을 교육혁신과 평생학습을 구현하는 정책수단으로 활용 ※ 미국의 virtual high school 독일의 e-러닝을 통한 고등교육 경쟁력 강화

Ⅱ. e-러닝 정책현황 및 진단 e-러닝의 보편화 단계 진입중 우리나라 e-러닝 현황 및 문제점: e-러닝 현황 3. 초·중등 분야 - ICT활용교육, EBS수능강의, 사이버가정학습 - 민간은 수능시장 중심으로 활성화 고등교육 분야 - 66.9%의 대학이 e-러닝 도입(2002년) - 외국 유명 대학이 e-러닝을 통해 국내 진출 e-러닝의 보편화 단계 진입중 기업교육 분야 - 기업의 10.7%가 e-러닝 실시(2003년) - ‘지식경영’ 도입과 맞물려 지속적 성장 예상 교육분야 e-러닝 비중 확대 e-러닝 관련 산업 시장 성장 평생교육 분야 - 사이버대학, 평생교육센터중심 네트워크 - 어학 및 자격증 위주로 활성화

Ⅱ. e-러닝 정책현황 및 진단 우리나라 e-러닝 현황 및 문제점: e-러닝 정책현황 부처별 e-러닝 추진현황 3. 교육부 1996 ICT활용교육 2001 원격대학 설립 인가 2003 e-캠퍼스 비전 2007 수립 2004 EBS 수능 강의 사이버 가정학습 체제 산자부 e-러닝 산업 육성 2002 e-산업의 현황 및 활성화방안 수립 2003 ISO 이러닝 표준 국제회의, ASEM 이러닝국제회의 2004 이러닝산업발전법 및 동법시행령 행자부 2000 공무원사이버교육센터 운영 공교육내실화 및 평생교육 확산 부처별 e-러닝 추진현황 정통부 IT 육성 및 산업진흥 2002 온라인디지털콘텐츠 산업발전법 제정 2003 이러닝 산업육성방안 수립 공공부문 e-러닝 활성화 노동부 인터넷 통신훈련 2003 기업 e-러닝중기발전 계획 수립 직업훈련 중심의 e-러닝

Ⅱ. e-러닝 정책현황 및 진단 우리나라 e-러닝 현황 및 문제점: 문제점 국가차원의 체계적인 e-러닝 정책 부재 3. 우리나라 e-러닝 현황 및 문제점: 문제점 e-러닝 수요-공급간의 악순환의 고리를 끊기 위한 국가차원의 체계적인 e-러닝 정책 부재 수요자의 e-러닝 참여 저조 · e-러닝 이해 부족 · 낮은 인센티브 e-러닝 콘텐츠 및 활용 방법 저급화 e-러닝수요·공급의 악순환 구조 e-러닝 산업 성장 제한 · 매출 감소 열악한 e-러닝 공급 구조 · 과당경쟁 → 제품단가 하락 · 낮은 시장 진입장벽

Ⅱ. e-러닝 정책현황 및 진단 우리나라 e-러닝 현황 및 문제점: 문제점 공급자 위주의 e-러닝 정책 3. 우리나라 e-러닝 현황 및 문제점: 문제점 공급자 위주의 e-러닝 정책 - e-러닝의 최종 수혜자인 학습자의 요구 수용 미흡 e-러닝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기반조성 정책 부재 - 우수 콘텐츠 보급, 전문인력 양성, R&D지원정책 부족 취약계층에 대한 e-러닝 지원 정책 미흡 - 장애학생, 학업중단 청소년, 해외교포, 중소기업근로자 등 e-러닝에 대한 국민적 인식 및 제도적 기반 취약 - e-러닝에 대한 효율적 활용방법 및 효과성 인식 부족

(Beyond e-Learning Korea) 1. 비전 e-평생학습 국가건설 (Beyond e-Learning Korea) e-러닝 활성화를 통한 우수 인적자원개발 e-러닝을 통한 공교육 보완·혁신 e-클러스터 조성을 통한 핵심인력 양성 e-러닝을 통한 직업능력개발 e-공동체 구축을 통한 지역 통합 분산적 e-러닝 사업 통합연계 교사대상 커스터마이징: 공교육에서 e-러닝 실용화 e-러닝 산·학·연 클러스터 구축 e-교수학습체제 구축을 통한 고등교육의 경쟁력 제고 e-러닝 기관의 특성화· 다양화 직무능력개발 맞춤형 e-러닝 정보 제공 소외계층의 접근성 제고 지역단위 e-공동체 구축 e-러닝 정책 추진네트워크 구축 e-러닝 제도기반 조성 e-러닝 마인드 조성 부처간 협력체제구축 부내 협력체제 구축 e-러닝 기본법 제정 정보공유체계 구축 e-러닝기술과 e-러닝 활용 문화간의 갭 해소 e-러닝의 세계화

Ⅲ. 「新 e-러닝 정책」의 비전 및 기본 방향 기본 정책방향 e-러닝의 世界化 e-러닝의 自生的 기반 조성에 주력 2. 기본 정책방향 e-러닝의 世界化 e-러닝의 自生的 기반 조성에 주력 e-러닝을 통한 정보격차 해소로 地域統合·社會統合 e-러닝관련 敎育과 産業의 유기적 연계 (Edu-conomy)를 위한 統合의 정책

Ⅳ. 주요 정책 과제 공교육 보완 • 혁신 e-러닝 활성화를 통한 공교육 보완 • 혁신 기존 e-러닝 사업 연계 통합 Ⅳ. 주요 정책 과제 1. e-러닝 활성화를 통한 공교육 보완 • 혁신 기존 e-러닝 사업 연계 통합 에듀넷, 사이버가정학습, EBS수능 강의 통합 연계 농어촌 상치교사 문제 등 교육현안 해결에 e-러닝 적극 활용 이해관계자간 협력관계 구축 교사 대상 Customizing 교원들의 e-러닝 활용능력 개발 및 마인드 제고 교사대상 e-러닝 컨설팅 제공 (가칭)차세대 e-러닝혁신센터 설립 공교육 보완 • 혁신 e-러닝 수요자의 참여 활성화 학부모의 e-러닝 튜터/상담자 참여 교사와 학부모, 지역사회간 협력 교수체제를 구축 -“벽 없는 학교 만들기” 프로젝트 e-러닝 활용 매뉴얼을 제작 보급 사이버윤리 및 인성 교육 방안 마련 IT영재의 조기 발굴 • 육성 국가 차원의 IT 영재교육 시스템 마련 IT영재학급, IT영재학교, IT영재캠프 등의 모델 개발 • 운영 타 부처간 영재육성사업과의 유기적 연대

Ⅳ. 주요 정책 과제 e-러닝 클러스터 조성을 통한 핵심인력 양성 e-러닝 산•학•연 클러스터 지역혁신체계(RIS) 지원 Ⅳ. 주요 정책 과제 2. e-러닝 클러스터 조성을 통한 핵심인력 양성 e-러닝 산•학•연 클러스터 R&D와 전문인력의 지속적 공급을 위한 산학협력체계 구축 지역거점 대학 e-러닝지원센터 육성 - 학교기업사업과 연계 지역혁신체계(RIS) 지원 대학 e-러닝센터가 지역전략산업과 연계된 인재 양성의 핵심 역할 담당 -NURI사업과 연계 * 사례: 경상대 e-러닝지원센터 e-러닝 전문인력 양성 IT기술과 교육학 지식을 겸비한 인력 대학(원)에 e-러닝 관련 교육과정 설치 e-러닝의 학제간 연구 실시 e-교수학습체제 구축 대학간 e-러닝 공동학점제 운영 및 교류 활성화로 대학의 경쟁력 확보 e-러닝을 통한 맞춤형 교육과정개발

Ⅳ. 주요 정책 과제 e-러닝을 통한 직업능력개발 지원 3. 인터넷통신훈련기관의 특성화·다양화 유도 제도적 지원 강화 Ⅳ. 주요 정책 과제 3. e-러닝을 통한 직업능력개발 지원 특성화 유도를 위한 인센티브 모색 특성화 모형 개발, 보급, 컨설팅 지원 관련부처-대학 합동 특수분야 콘텐츠 개발 - 농업직, 생산직 등 인터넷통신훈련기관의 특성화·다양화 유도 근로소득 교육비 대상에 e-러닝포함 학점은행제와 적극 연계 ’e-러닝배움터’ 프로젝트 추진 진로·직업정보 연계 맞춤형 e-러닝정보 제공 제도적 지원 강화 지속적인 혁신 학습 에 e-러닝 활용 공무원사이버교육 센터의 확대 개편 e-러닝기반 교원원격 연수체제 활성화 學習政府 구현 의무복무 사병 및 직업군인에게 e-러닝을 통한 학습기회 제공 원격대학 및 학점 은행제를 통한 학위취득 및 학점 인정 지원 軍 인적자원개발

Ⅳ. 주요 정책 과제 e-공동체 구축을 통한 지역통합 4. 국가 정보화 지역 e-러닝 부처별 소외계층 정규교육 중도 인프라를 Ⅳ. 주요 정책 과제 4. e-공동체 구축을 통한 지역통합 소외계층의 정보접근성 제고 부처별 소외계층 정보화사업을 e-러닝과 연계 미인가 대안학교, 야학 등에 e-러닝 지원 정규교육 중도 탈락자를 위한 e-평생학교체제 구축 기존 오프라인 정규교육과의 연계·보완 노력 e-평생학교체제 구축 지역 e-러닝 포탈사이트 구축 협의체 구성 지역혁신교육 시스템으로 발전 지역단위 e-공동체 구축 지역혁신사업 지원 국가 정보화 인프라를 학습인프라로 ! 행자부 정보화 시범마을 사업과 e-러닝 연계 e-러닝기반 평생 학습도시 활성화

Ⅴ. e-러닝 추진기반 조성 e-정책추진 네트워크 구성 부처간 긴밀한 협력체제 구축 1. 교육계-산업계간 상호 교육/HRD (需要) 산업 (供給) 교육인적자원부 교육·HRD e-러닝 활성화(총괄) 노동부/행자부 기업e-러닝 산업자원부 e-러닝산업 진흥 정통부/문화부 콘텐츠 고도화 부처간 긴밀한 협력체제 구축 교육계-산업계간 상호 유기적이며 통합적 정책추진 부처의 핵심역량과 기능을 고려하여 역할분담 인적자원개발회의에서 활용 (가칭)e-러닝통합추진위원회 한시 운영 ※ 교육인적자원부내 e-러닝관련 부서 실무자 중심으로 “e-러닝추진협의회 구성”

Ⅴ. e-러닝 추진기반 조성 종합정보 공유체제 구축 e-러닝 관련 법령정비 통합적 품질관리체계 구축 제도적 기반 조성 2. 지식자원 공유체제 구축 국가차원의 e-러닝 아카이브 구축 e-러닝 관련 법령정비 31개에 이르는 교육정보화· e-러닝 관련 법령의 체계적 정비 통합적 품질관리체계 구축 부처간 협력을 통해 국가수준의 e-러닝 품질관리체계 마련 기술적인 측면뿐 아니라 내용을 포괄하는 통합인증체계 마련

Ⅴ. e-러닝 추진기반 조성 e-러닝 마인드 확산 및 세계화(Globalization) e-러닝 박람회 범 부처적 3. e-러닝 마인드 확산 및 세계화(Globalization) e-러닝 박람회 범 부처적 연계사업을 통한 e-러닝에 대한 국민인식 제고 e-러닝 종합 시상 e-러닝 백서 발간 e-러닝 우수사례 확산

Ⅴ. e-러닝 추진기반 조성 “한국을 아시아의 e-러닝 허브로” e-러닝 마인드 확산 및 세계화(Globalization) 3. e-러닝 마인드 확산 및 세계화(Globalization) “한국을 아시아의 e-러닝 허브로” e-러닝관련 국제 연수 국내 우수 IT 미취업자 연수 APEC e-러닝 연수센터 유치 아시아 e-러닝 허브의 거점 e-러닝 체험 학습장 운영 다양한 e-러닝관련 국제 행사 기획 APEC ICT 모델학교 네트워크 구축

Ⅴ. e-러닝 추진기반 조성 e-러닝 마인드 확산 및 세계화(Globalization) 사이버대학의 e-러닝을 통한 3. e-러닝 마인드 확산 및 세계화(Globalization) 사이버대학의 해외진출 지원 사이버대학의 솔루션 수출 일반 대학과 전략적으로 제휴하여 동남아 교육시장 진출 e-러닝을 통한 한국어교육의 세계화 해외 인적자원의 체계적 한국어 학습지원 - 세계 한민족네트워크 형성 지원 외국인의 한국어 학습 지원을 통해 한국 유학 유치 기반 조성

행복한 학교, 학습하는 사회, 미래를 열어가는 교육인적자원부 Thank You !

Ⅳ. 주요 정책 과제 2. e-러닝 클러스터 조성을 통한 핵심인력 양성

Ⅳ. 주요 정책 과제 4. e-공동체 구축을 통한 지역통합 <e-평생학교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