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목명 : 과학 1학년 1학기 생물의 구성 > 세포 [1/ 7 ] 세포를 관찰하려면?(1)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시화 ( 詩畵 ) 그리기. 차 례 도 입도 입 도 입도 입 전 개전 개 전 개전 개 정리, 평가 5.18 광주민중항쟁 5.18 광주민중항쟁 학습목표 학습목표 5.18 광주민중항쟁 다가가기와 의의 5.18 광주민중항쟁 다가가기와 의의 현장체험과 인터넷 체험 현장체험과 인터넷.
Advertisements

학습주제 국어 1 학년 1 학기 2. 읽기와 쓰기 (2) 어머니의 우산 (4/6) 어머니의 우산 이해하기.
첫화면 사회 5 학년 1 학기 3. 환경보전과 국토개발 >2) 환경과 더불어 살아가는 길 >14/18 제 4 차 국토 종합 개발 계획.
음악과 교육과정 개정 방향 광주광역시교육청 교육과정정보화과 과장 리 장 언
슬기로운 생활 1학년 2학기 2. 화목한 우리 가족 > (1) 우리 집 행사 ( 3/10 ) 우리집 행사 조사하기.
과목명 : 과학 1학년 2학기 호흡과 배설 > 배설 [ 6 / 8 ] 신장은 어떻게 생겼으며, 무슨일을 할까?
사회 1학년 2학기 5. 아시아 및 아프리카의 생활>2.문화가 다양한 동남 및 남부 아시아(4/12) 다양한 문화와
초기화면 음 악 6 학년 23.쾌지나 칭칭 나네 (2/3) 장단의 변화에 맞추어 노래 부르기.
경기 기능 익히기 체 육 고 1학년 1학기 개인 운동 > 배드민턴 [2/8]
2/14 차시 1. 변화하는 세계의 여러 나라 세계를 한 눈에.
단원 정리 학습 사 회 6학년 1학기 3. 대한 민국의 발전 (14/14) *단원과 학습주제를 소개하는 화면이다
사회 1학년 2학기 10. 아시아 사회의 발전과 변화>3. 서아시아 문화권의 형성과 발전(14/14) 동서 문화의 교류.
3. 19세기 미국과 러시아 수업화면 수업활동 대단원:2. 서양 근대사회의 발전과 변화 2학년 1학기
단원 도입 및 계획 사회 6학년 1학기 3. 대한 민국의 발전 단원 도입 및 계획 (1/14) [제작의도]
과목명 : 과학 1학년 1학기 바닷물의 성분 > 해수의 성분과 운동 [1-3/6] 바닷물에는 무엇이 녹아 있을까?
국어(말하기. 듣기. 쓰기 ) 6학년 1학기 5. 마음을 나누며 3)한 걸음 더 7/9 되돌아 보기.
사 회 1학년 II. 자연환경과 인간생활> 2. 기후와 인간생활[5/7] 기온 분포와 주민생활 수업 계획 수업 활동.
에너지원의 변환 기술가정 1학년 1학기 1. 에너지원의 이용>(1)에너지와 에너지원>2/11 [제작의도]
세 가지 법 생활 영역 사회(일반사회) 중학교 2학년 2학기 Ⅶ. 사회생활과 법규범
도면 그리기 기술ㆍ가정 1학년 Ⅳ. 제도의 기초 〉 2. 도면읽기와 그리기 (5-6/ 6) 제작의도
기술가정 1학년 4. 제도의 기초 > 1) 물체를 나타내는 방법 ( / ) 도면에 쓰이는 기호 수업계획 수업활동.
지도로 보는 전라남도 사회 4학년 1학기 1. 우리시도의 모습>1)지도에 나타난 우리 시도의 생활모습>2/17
사회 4학년 1학기 1. 우리시도의 모습>1)지도에 나타난 우리 도의 모습>6/17 선택학습 첫화면.
계절에 따라 달라지는 생활 초기화면 사회 3학년 1학기
정 투 상 법 기술 ·가정 1학년 2학기 Ⅳ. 제도의 기초>1. 물체를 나타내는 방법>8/13 [제작의도]
과목명 : 과학 1학년 2학기 상태 변화와 에너지 > 기화와 열에너지 (1/ 7) 기화와 열에너지.
동기의 반복과 변화 이해하기 주제의 특징 알아보기 6학년 1학기 20. 운명 교향곡 (1/2) 음 악 제작의도
국민의 기본권 사회 6학년 2학기 1. 우리 나라의 민주 정치
인 물 학 습 이황, 공자, 신사임당, 페스탈로치 1학년 2학기 인물학습>이황, 공자, 신사임당, 페스탈로치(1-5/5)
상황과 상대에 알맞은 인사하기 바른 생활 1학년 1학기 5.안녕하세요 1) 상황과 상대에 알맞은 인사하기(3 /4)
여러 가지 방법으로 문화재 조사 결과 발표하기 사회 4학년 2학기
실 과 6학년 2학기 8. 환경을 살리는 나의 생활> 2) 재활용의 개념과 중요성 > 5-6/8
수학 6학년 1학기 4. 쌓기나무 2/8 여러 가지 모양 만들고 규칙 찾아보기 [제작의도] [활용방법] [유의사항]
민족의 힘을 기르기 위한 활동 사회 6학년 1학기 3. 대한 민국의 발전
구조 형식 기술가정 1학년 2. 건설구조물의 구성>(2)구조와 구조형식>6/16 [제작의도] [활용방법]
문학의 아름다움 국어 1학년 1학기 6.노래의 아름다움 (2) 어부사시사 3/8 [제작의도] [활용방법] 수업 내용 제시 화면
도덕 2학년 1학기 Ⅰ. 사회생활과 도덕 4. 생활 속의 경제 윤리 (9/9차시)
운영체제 익히기 (1) 기술ㆍ가정 1학년 Ⅴ. 컴퓨터와 정보처리 〉 1.컴퓨터의 구조와 원리 (4 / 5) 1.제작의도
오목렌즈와 볼록렌즈를 사용하여 물체 관찰하기
3. 19세기 문화 수업화면 수업활동 대단원:2. 서양 근대사회의 발전과 변화 2학년 1학기
실 과 6학년 2학기 6. 동물 기르기 (2) 경제 동물의 사육과 이용 / 7-8/8 경제 동물의 제품 이용.
* 수학 * 3학년-가 * 6.곱셈-곱셈의 활용 * 5 ~ 9 차시
실 과 6학년 2학기 3. 간단한 음식 만들기> 1. 밥을 이용한 음식 만들기 > 1/10 간단한 음식 만들기.
● 수 학 ● 3학년 가학기 ● 5. 도형 움직이기 도형 옮기기를 알아봅시다 수업계획 수업활동.
<사계>중 ‘봄’감상하기 음 악 6학년 3. 봄 (1/2) [제작의도] [활용방법] 초기회면 수업 내용 제시 화면
사회 4학년 1학기 1. 우리시 . 도의 모습>1)지도에 나타난 우리 도의 모습>3/17 등고선과 축척 첫화면.
도덕 3학년 1학기 1-3. 도덕 문제와 도덕 판단 (1)도덕적 갈등 상황 11/17 도덕적 갈등 상황 페스탈로치 초기화면.
우리 민족의 생활 터전인 국토 사 회 1학년 I. 국토와 지리 정보> 1. 국토와 국토 인식(1/8) 수업 계획 수업
물결선을 사용한 꺾은선 그래프의 특징을 알아보자.
단 원 도 입 사회 5학년 2학기 3. 우리겨레의 생활문화>1)조상들의 멋과 슬기>1/16 [제작의도] [활용방법]
고등국어(하) 1학년 2학기 7. 전통과 창조>(1)춘향전(1/8) 준비학습.
미 술 6 학년 12. 현대 미술(2/6) 초기화면 여러 가지 방법으로 감상하기.
선 택 학 습 사 회 4 학년 2 학기 1.문화재와 박물관 >1)옛 도읍지와 문화재 ( 7 / 8 )
우리 눈은 어떻게 물체를 볼 수 있을까? 과학 본 차시의 주제입니다.
1. 지역의 지리적 환경 (1) 지역조사와 지도 읽기 사회<지리> 1학년 1학기 Ⅰ. 지역과 사회탐구
초기회면 음 악 6학년 17. 놀람 교향곡 (1/2) 음악을 듣고 변주방법과 연주하는 악기군 알기.
반응 조건에 따른 철의 부식 속도 차이 비교 과학 1 학년 1 학기
수학8가 대한 111~112 쪽 Ⅴ. 부등식 2. 일차부등식 §2.연립부등식(6/10) 연립부등식뜻과 해.
중학교 2학년 과학 7. 전기 > 3) 전압과 전기 저항 전압을 높이려면 전지를 어떻게 연결해야 할까?
박물관 견학 계획 세우기 사회 4학년 2학기 1. 문화재와 박물관 [2) 박물관 견학과 문화재 답사(9/18 )
모의 박물관 꾸미기 사회 4학년 2학기 1. 문화재와 박물관 [2) 박물관 견학과 문화재 답사(10/18 )
농업과 공업의 입지[2] 사 회 1학년 III. 생활 공간의 형성과 변화> 1. 장소의 인식과 입지 결정[3/10] 수업
도덕 2학년 1학기 Ⅰ. 사회생활과 도덕 1. 현대 사회와 전통 도덕(4/8차시)
무 맑은장국 기술 ·가정 1학년 1학기 Ⅱ.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3.조리의 기초와 실제>16/19 [제작의도]
단원 안내 초기화면 사회 3학년 1학기 2. 우리 고장 사람들의 생활 모습 1> 자연을 이용하는 모습 (1/16)
시민으로서의 권리와 의무 사회(일반사회) 중학교 2학년 2학기 Ⅶ. 사회생활과 법규범
도덕 3학년 1학기 1-3. 도덕 문제와 도덕 판단 (2)도덕 판단의 과정 12/17 도덕 판단의 과정 페스탈로치 초기화면.
과학 7학년 1학기 빛- 빛의 굴절 (4/8) 렌즈로 물체를 보면?.
과학 1 학년 2 학기 물질 > 03. 지구는 왜 점점 더워질까? ( 3/3 ) 지구 온난화 수업계획 수업활동.
저항을 연결하는 방법에 따라 전체 저항은 어떻게 될까?
Presentation transcript:

과목명 : 과학 1학년 1학기 생물의 구성 > 세포 [1/ 7 ] 세포를 관찰하려면?(1)

학습안내 동기유발 학습목표 학습활동 1 학습활동 2 학습활동 3 학습활동 4 정리 평가 보충 심화 차시예고 들어가기 현미경을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다. 학습활동 1 탐구1. 현미경의 구조와 기능 학습활동 2 개인별 구조와 기능 익히기 학습활동 3 자료실: 현미경의 올바른 조작 순서 동기유발 학습활동 4 현미경 사용시 유의점 정리 학습내용 정리 평가 형성평가 보충 현미경의 구조를 다시 익혀 봅시다. 심화 실체현미경과 전자현미경에 대해 알아보자. 차시예고 탐구2. 현미경으로 관찰하기. 차례 쉼 동기 목표 활동1 활동2 활동3 활동4 정리 평가 보충 심화 차 시

생물체를 확대해보면 어떻게 다를까? 동 기 유 발 들 어 가 기 차례 쉼 동기 목표 활동1 활동2 활동3 활동4 정리 평가 동 기 유 발 들 어 가 기 생물체를 확대해보면 어떻게 다를까? 차례 쉼 동기 목표 활동1 활동2 활동3 활동4 정리 평가 보충 심화 차 시

` 학습목표 현미경을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다. 차례 쉼 동기 목표 활동1 활동2 활동3 활동4 정리 평가 보충 심화 차 시

학습활동 1 탐구1. 현미경의 구조와 기능 1 2 5 6 7 3 8 4 9 차례 쉼 동기 목표 활동1 활동2 활동3 활동4 학습활동 1 탐구1. 현미경의 구조와 기능 1 2 5 6 7 3 8 4 9 차례 쉼 동기 목표 활동1 활동2 활동3 활동4 정리 평가 보충 심화 차 시

각자 자기 모둠의 현미경을 보고 구조와 기능을 익히자. 학습활동 2 개인별 구조와 기능 익히기 각자 자기 모둠의 현미경을 보고 구조와 기능을 익히자. 차례 쉼 동기 목표 활동1 활동2 활동3 활동4 정리 평가 보충 심화 차 시

회전판을 옆으로 돌리면 관찰할 수 있는 대물 렌즈의 종류가 바뀐다 학습활동 2 개인별 구조와 기능 익히기 1. 회전판을 옆으로 돌려 보자. 회전판을 옆으로 돌리면 관찰할 수 있는 대물 렌즈의 종류가 바뀐다 차례 쉼 동기 목표 활동1 활동2 활동3 활동4 정리 평가 보충 심화 차 시

2. 대물 렌즈의 옆 부분을 살펴보자 대물 렌즈의 옆에 있는 큰 숫자 - - 배율을 나타냄. 학습활동 2 개인별 구조와 기능 익히기 2. 대물 렌즈의 옆 부분을 살펴보자 대물 렌즈의 옆에 있는 큰 숫자 - - 배율을 나타냄. (10×는 10배, 40×는 40배 확대) 대물 렌즈는 길수록 배율이 높다 차례 쉼 동기 목표 활동1 활동2 활동3 활동4 정리 평가 보충 심화 차 시

3. 조동 나사를 앞으로 당겨 돌리거나, 뒤로 밀어 돌려 보자. 학습활동 2 개인별 구조와 기능 익히기 3. 조동 나사를 앞으로 당겨 돌리거나, 뒤로 밀어 돌려 보자. 앞으로 당겨 돌리면 재물대가 위로 올라가고, 뒤로 돌리면 재물대가 밑으로 내려간다. 차례 쉼 동기 목표 활동1 활동2 활동3 활동4 정리 평가 보충 심화 차 시

4. 반사경의 양면을 살펴보자. 평면 거울이고, 다른 면은 오목 거울이다. 평면 거울은 낮은 배율로 관찰할 때, 학습활동 2 개인별 구조와 기능 익히기 4. 반사경의 양면을 살펴보자. 평면 거울이고, 다른 면은 오목 거울이다. 평면 거울은 낮은 배율로 관찰할 때, 오목 거울은 높은 배율로 관찰할 때 사용한다 차례 쉼 동기 목표 활동1 활동2 활동3 활동4 정리 평가 보충 심화 차 시

현미경의 올바른 조작 순서를 익혀보자. 학습활동 3 현미경 의 올바른 조작 순서 차례 쉼 동기 목표 활동1 활동2 활동3 학습활동 3 현미경 의 올바른 조작 순서 현미경의 올바른 조작 순서를 익혀보자. 차례 쉼 동기 목표 활동1 활동2 활동3 활동4 정리 평가 보충 심화 차 시

2. 현미경은 가급적 옮기지 말고 사용하며 옮길 때는 한 손은 손잡이를, 다른 손은 다리를 받치고 옮긴다 학습활동 4 현미경 사용시 유의점 1. 직사광선이 비치지 않는 밝은 곳에서 사용한다 2. 현미경은 가급적 옮기지 말고 사용하며 옮길 때는 한 손은 손잡이를, 다른 손은 다리를 받치고 옮긴다 차례 쉼 동기 목표 활동1 활동2 활동3 활동4 정리 평가 보충 심화 차 시

3. 현미경은 실험대 가장자리에 놓지 말고 안정된 상태에서 사용한다. 학습활동 4 현미경 사용시 유의점 3. 현미경은 실험대 가장자리에 놓지 말고 안정된 상태에서 사용한다. 4. 현미경을 보관할 때는 ①대물렌즈를 저배율로 맞추고, ②재물대에서 프레파라트를 꺼낸 후, ③손잡이를 앞쪽으로 통에 넣은 후,건조하고 서늘한 장소에 보관한다. 차례 쉼 동기 목표 활동1 활동2 활동3 활동4 정리 평가 보충 심화 차 시

<현미경의 구조와 기능> 1. 물체 확대 ① 접안렌즈 ② 대물렌즈 2. 초점 조절 정리 학습내용 요약 <현미경의 구조와 기능> 1. 물체 확대 ① 접안렌즈 ② 대물렌즈 2. 초점 조절 ① 조동나사 (대강의 상을 찾을 때) ② 미동나사 (정확한 초점을 맞출 때) 차례 쉼 동기 목표 활동1 활동2 활동3 활동4 정리 평가 보충 심화 차 시

3. 빛의 양 조절 ① 조리개 (재물대로 올라오는 빛의 양 조절) ② 반사경 (빛을 반사시켜 시야를 밝게 함) 정리 학습내용 요약 3. 빛의 양 조절 ① 조리개 (재물대로 올라오는 빛의 양 조절) ② 반사경 (빛을 반사시켜 시야를 밝게 함) 차례 쉼 동기 목표 활동1 활동2 활동3 활동4 정리 평가 보충 심화 차 시

<여러 종류의 현미경> 1. 레벤후크의 현미경 2. 로버트 후크의 현미경 3. 광학현미경 4. 실체현미경 정리 학습내용 요약 <여러 종류의 현미경> 1. 레벤후크의 현미경 2. 로버트 후크의 현미경 3. 광학현미경 4. 실체현미경 5. 경통 이동식 현미경과 재물대 이동식 현미경 6. 전자 현미경(SEM) 차례 쉼 동기 목표 활동1 활동2 활동3 활동4 정리 평가 보충 심화 차 시

1. 옆의 현미경에서 각 부분의 이름을 적으시오. 형성평가 ㉠ 접안렌즈 ㉡ 미동나사 ㉢ 회전판 ㉣ 대물렌즈 ㉤ 반사경 차례 쉼 동기 목표 활동1 활동2 활동3 활동4 정리 평가 보충 심화 차 시

2. 옆의 현미경에서 빛의 양을 조절하는 것을 바르게 찾은 것은? 형성평가 2. 옆의 현미경에서 빛의 양을 조절하는 것을 바르게 찾은 것은? ① ㅁ, 조리개 ② ㅁ, 반사경 ③ ㄴ, 조동나사 ④ ㄷ. 대물렌즈 ⑤ ㄱ, 반사경 ② 차례 쉼 동기 목표 활동1 활동2 활동3 활동4 정리 평가 보충 심화 차 시

3. 옆은 경통 이동식 현미경이다. 물체의 상을 확대시켜 주는 것의 기호와 명칭을 적어라.(2가지) 형성평가 3. 옆은 경통 이동식 현미경이다. 물체의 상을 확대시켜 주는 것의 기호와 명칭을 적어라.(2가지) ① 접안렌즈⑤ 대물렌즈 차례 쉼 동기 목표 활동1 활동2 활동3 활동4 정리 평가 보충 심화 차 시

4. 400배로 관찰하려고 할 때, 접안렌즈의 배율이 x 10이면, 대물렌즈의 배율은 얼마로 해야 할까? 형성평가 4. 400배로 관찰하려고 할 때, 접안렌즈의 배율이 x 10이면, 대물렌즈의 배율은 얼마로 해야 할까? ① 4배 ② 10배 ③ 20배 ④ 40배 ⑤ 100배 ④ 차례 쉼 동기 목표 활동1 활동2 활동3 활동4 정리 평가 보충 심화 차 시

④ 미동나사로 상을 찾은 후 조동나사로 초점을 맞춘다. ⑤ 재물대를 올리거나 경통을 내리면서 초점을 맞춘다. 형성평가 5. 현미경의 사용법이 옳은 것은? ① 렌즈가 더러워지면 화장지나 물로 닦는다. ② 저배율로 먼저 관찰하고 고배율로 관찰한다. ③ 배율을 바꿀 때에는 대물렌즈를 잡고 돌린다. ④ 미동나사로 상을 찾은 후 조동나사로 초점을 맞춘다. ⑤ 재물대를 올리거나 경통을 내리면서 초점을 맞춘다. ② 차례 쉼 동기 목표 활동1 활동2 활동3 활동4 정리 평가 보충 심화 차 시

접안렌즈 눈에 보이는 상을 크게 확대한다.

접안렌즈와 대물렌즈를 연결하고, 빛이 통과 하는 곳 경통 접안렌즈와 대물렌즈를 연결하고, 빛이 통과 하는 곳

재물대를 이동시켜 대물렌즈와 프레파라트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초점을 맞춘다. 조동나사

더욱 정확한 초점을 맞출 때 사용한다. 미동나사

회전판 대물렌즈의 배율을 바꿀 때 사용한다.

대물렌즈 물체를 크게 확대한다.

재물대 관찰하고자 하는 것을 올려놓는 곳

경통 안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한다. 조리개

현미경 안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한다. 반사경

현미경의 올바른 조작순서 회전판을 돌려 배율이 가장 낮은 대물렌즈가 중앙에 오게 한다. 1 차례 쉼 동기 목표 활동1 활동2 활동3 활동4 정리 평가 보충 심화 차 시

현미경의 올바른 조작순서 반사경을 움직여 시야를 밝게 조절하고, 프레파라트를 올려 놓은 다음, 클립으로 고정한다. 2 차례 쉼 동기 목표 활동1 활동2 활동3 활동4 정리 평가 보충 심화 차 시

현미경의 올바른 조작순서 옆에서 보면서 조동나사로 재물대를 올려 대물렌즈와 프레파라트와의 거리를 가장 가깝게 한다. 3 차례 쉼 동기 목표 활동1 활동2 활동3 활동4 정리 평가 보충 심화 차 시

현미경의 올바른 조작순서 조동나사로 재물대를 천천히 내리면서 초점을 맞춘다. 4 차례 쉼 동기 목표 활동1 활동2 활동3 활동4 정리 평가 보충 심화 차 시

현미경의 올바른 조작순서 5 미동나사로 더욱 정확하게 초점을 맞추고 조리개로 빛의 양을 조절한다. 차례 쉼 동기 목표 활동1 활동2 활동3 활동4 정리 평가 보충 심화 차 시

현미경의 올바른 조작순서 상은 한쪽 눈으로만 관찰하고, 다른 쪽 눈은 그림을 그리는데 이용한다. 6 차례 쉼 동기 목표 활동1 활동2 활동3 활동4 정리 평가 보충 심화 차 시

현미경의 운반

대물렌즈 돌리기

프레파라트 꺼내기

현미경의 보관법

레벤후크 현미경

로버트 후크 현미경

광학 현미경

실체 현미경

경통 이동식 현미경과 재물대 이동식 현미경

전자 현미경(SEM)

보충학습 현미경의 구조를 다시 익혀 봅시다. 차례 쉼 동기 목표 활동1 활동2 활동3 활동4 정리 평가 보충 심화 차 시

심화학습 실체현미경과 전자현미경에 대해 알아보자. 차례 쉼 동기 목표 활동1 활동2 활동3 활동4 정리 평가 보충 심화 차 시

차시예고 현미경으로 작은 글자를 관찰하여 봅시다. 차례 쉼 동기 목표 활동1 활동2 활동3 활동4 정리 평가 보충 심화 차 시

수업계획 1 단원지도계획 2 수업설계서 3 학습지 4 형성평가지 5 참고자료 6 참고사이트 7 제작자 차례 쉼 동기 목표 활동1 활동2 활동3 활동4 정리 평가 보충 심화 차 시

참고사이트 현미경의 구조와 사용법 http://science.kongju.ac.kr/ms/bio/bio1/main121000.html 현미경 http://www.funsci.com/fun3_en/usph/usph.htm 차례 쉼 동기 목표 활동1 활동2 활동3 활동4 정리 평가 보충 심화 차 시

부산광역시교육청지정 ICT활용교육 시범학교 2003학년도 부산광역시교육청지정 ICT활용교육 시범학교 과정안 제작학교 및 제작자 김 영 실 교 장 양 영 춘 교 감 김 영 자 학 교 감만중학교 연락처 051-644-6770 제작자 차례 쉼 동기 목표 활동1 활동2 활동3 활동4 정리 평가 보충 심화 차 시

쉬어갑시다 차례 쉼 동기 목표 활동1 활동2 활동3 활동4 정리 평가 보충 심화 차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