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자료 교직단체 활동.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제 7 장 노인가족과 가족복지 당신은 노인에 대하여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가 ? 당신이 가깝게 생각하는 노인은 누구인가 ? 그 이유는 무엇인가 ? 그리고 그 노인이 당신의 삶에서 차지하는 의미나 당신의 삶에 끼친 영향력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 ? 당신은.
Advertisements

“ 당신은 어떤 노년을 꿈꾸십니 까 ” 노후를 보장하는 기초연금 알아보기 복지여성보건국 ( 노인장애인복지과 )
목차 C ontents 개요 모범사례 결론 주일학교는 교회의 미래다 교회의 노쇠화 지금부터 100 년 전 영국 어린이들의 두 명 중에 한 명, 50% 가 넘는 숫자가 주일 학교에 출석했는데, 그 중에 많은 수는 교회에 다니지 않는 가정의 아이들이었 다. 그러나.
“ 어제와 똑같이 살면서 다른 미래를 기대하는 것은 정신병 초기 증세이 다.”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제 28 대 학생회.
특성화고 우수사례발표특성화고 우수사례발표 Youngnam Thchnical High School.
우리나라 전체 식량자급도 2007 년 6 월 20 일 동아일보 2007 년 7 월 11 일 중앙일보.
국회의원 이한성 2014 년 2 월 임시회 대정부질문 ❒ 금융지주회사법 제 48 조의 2 제①항 제 48 조의 2( 고객정보의 제공 및 관리 ) ① 금융지주회사등은 「금융실 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법률」 제 4 조제 1 항 및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한국행정사 과제 한국 과거 현대정부에 대해 조사하기. 순서 1. 문민정부 ( 김영삼 ) 2. 국민정부 ( 김대중 ) 3. 참여정부 ( 노무현 )
2013 년 헬스케어 이해와 전망. 헬스케어 산업의 이해 건강하게 아름답게 그리고 장수하고 싶은 인간의 기본적 요구에 충실한 사업 건강하게 아름답게 그리고 장수하고 싶은 인간의 기본적 요구에 충실한 사업 한국 헬스케어 산업의 성장은 산업화 만큼 빠르게 진행 중 1) 고령화.
제 7 장. 아동보육서비스 1. 보육서비스의 개념 ) 아동보육서비스의 개념 보육서비스 영유아를 건강하고 안전하게 보호 · 양육하고 영유아의 발달 특성에 맞는 교육을 제공하는 어린이집 및 가정양 육 지원에 관한 사회복지서비스 ( 영유아보육법 2 조 ) 부모의.
북한기도제목 5 월 2 주 (5/11-5/17). 1. 북한인권 서울의 유엔 북한인권 현장사무소가 6 월 중 개 소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유엔 북한인권 서울현장사무소의 6 월 개소가 순적하게 이루어지게 하소서. 북한당국의 인권 침해 증거 보존 및 기록, 반인도.
출산파업의 원인과 대응과 제 학과 : 경 제 학 과 3A 과목 : 지 역 경 제 론 학번 : 김승진 정종건.
사회학과 김은희. 1. 저출산의 원인 2. 저출산 대책의 현황과 문제점 3. 저출산 제고 대책 5. 저출산 시대의 대처방안 4. 외국의 사례.
여성정책의 개입과 견제, 어떻게 할 것인가. 1. 여성 관련 정치 ․ 사회 이슈 1) 국내 첫 여성 대통령 탄생 2) 19 대 국회 여성 의원 47 명 당선 3) 흉폭한 성범죄 공포 4) 한국 성평등지수 49.5 점 ‘ 낙제점 ’ 5) 워킹맘들 여전히 “ 고통스럽다.
4 월 노동자 건강권 쟁취의 달 민주노총 노동안전보건위원 회 4 월은 산재사망 노동자를 추모하는 봄 4 월은 노동자 건강권 쟁취 투쟁 하는 봄.
대 단원 : I. 가정생활의 설계 중 단원 : 2. 나의 생활 설계 소 단원 : (3) 나의 결혼 설계.
본시 학습 주제 Ⅳ -4. 경제의 발전과 사회문화의 변화 4-3. 사회의 변화 4-4. 현대 문화의 동향 이번 시간에는 무엇을 배우게 되나요 ?
( 시행) 수강학생들은 첨부자료를 다운 받아, 수업시간에 가져오기 바랍니다.
노령화/저성장/위험사회의 청년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조건과 연대 2015년 12월 3일 대구사회 혁신 아카데미 조한 혜정.
공공의료 한국의료의 ‘미운 오리새끼’ (목) 김 용 익 새정치민주연합 국회의원.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극복을 위한 기업의 역할 (여성 고용에 대한 기업의 사례) 아시아나항공 주식회사.
SEM 플래너를 활용한 2036 인생좌표 디자인하기.
차 례 I. 전자상거래 분쟁의 특징과 유형 II. 전자상거래 분쟁해결 절차 III. 대표적 분쟁사례 및 그 해결.
UNESCO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5.18민주화운동기록물’.
2016년 7월1주 국내 경유 가격구조 [경유] 소비자 판매가격 : 1,232.12원/l (7월3일~7월9일) α
2013년 6월 1주 국내 경유 가격구조 [경유] 소비자 판매가격 : 1,696.35원/l (6월2일~6월8일) α
Seoul Medical Association
민주노총 노동안전보건위원회 4월 노동자 건강권 쟁취의 달 4월은 산재사망 노동자를 추모하는 봄
박근혜 2년? 행복하셨습니까? 박근혜 2년은 이다 살의를 느끼게 한 세월 멈춰버린 대한민국 답답한 이년.
주식시장 흐름 읽는 법 세 번 째 과제 RICH SCHOOL 20Y 제주 4기 이 영 철 p 91~p 101
XI. 주요국의 고용관계 세계 각국의 고용관계 국제기구.
시작하기 전에…… 그리고 이러한 각각의 상황에 대비하여 생각하고, 준비해 놓은 것이 있는가? 지금 당신은 몇 살인가?
3학년 3반 29번 하상현.
공공행정학과 김혜수 오혜지 이종서 이지원 최수양
산업안전보건 정책 방향 노 동 부 산업보건환경팀.
재경광주전남향우회 ∙ 전남일보 공동주최 2017 광주 ∙ 전남 귀농귀촌 박람회 실행계획안
고교생 소논문 쓰기의 방법과 실제 광주교육정책연구소 유 경 훈.
- 기초생활권 발전정책 주요시책 및 계획수립방향 -
장자의 핵심사상 중국인의 사상과 지혜 제9주.
고교 무상교육 실현 -이해와 접근- 김 흥 주 (KEDI 선임연구위원).
공공의료 한국의료의 ‘미운 오리새끼’ 김 용 익 새정치민주연합 국회의원.
농촌건강장수마을 육성 방향 농 촌 진 흥 청 농 촌 자 원 과 과 장 신 영 숙.
이슈 있슈.com 하이퍼링크By 전략적 학습 이슈 100~600자 스스로 요약하기 이슈 있슈.com 하이퍼링크By
인성교육중심 수업강화를 위한 관리자 워크숍 강 성 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장
[제12주] 디지털콘텐츠산업 인력양성의 중요성 서 병 문.
10장. 교육인사행정 식품생명공학과 김미현.
만 원 100 % 근로자 월평균 가구 소득 (2인 이상 가구) 자영업자 월평균 가구 소득
제 7절 학교조직의 특성 남민경 박소라 한상미.
사회보장론 교재 : 박석돈(2010), 사회보장론, 서울:양서원
『서울시민 복지기준』설정 청책워크숍 서울시민복지기준설정 추진위원회.
안전보건 패러다임의 전환과 산재예방전략 혁 신 전 략 실 장.
Biblical Parent Education
l: 평생교육사 양성과정 담당: 오 홍 석(중부대학교 겸임교수) l: 평생교육경영학.
자유주의 여성운동 사회주의 여성운동 급진적 페미니즘 한국의 여성운동 한국 여성노동
50 % 남성 여성 천체 남성 흡연율.
의료사회복지의 이해와 실제 ; 1장 의료사회복지의 발달과정
한국경영자총협회.
PART 한국에서 추락하는 7가지.
최근 사회복지정책/법 동향이해 및 실천방안 모색
제3장 사회보장의 원칙.
e-러닝 활성화를 통한 국가인적자원개발 추진전략
아동복지의 의의 1차 방어선 친가정 2차 방어선 입양 대리가정 위탁가정 3차 방어선 시설보호.
교직단체 활동.
廣域行政 < 廣域行政(Regional Administration) > 1. 意義 ① 개념
교육의 사회적 기능 및 실태 기계공학과 이규세 컴퓨터공학 김성호
흡연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조선업 안전시설기준의 운영상 문제점과 개선방안
경제민주화의 방향과 정책 헌법 제119조 경제민주화 특별위원회 2011년 11월 8일.
Chapter 4 사회복지 전문직과 윤리강령.
▶ 평생교육 기획과 운영 평생교육의 개념 및 이해 평생교육의 개념 및 이해 평생교육사 교육과정.
Presentation transcript:

강의 자료 교직단체 활동

1 2 3 교직단체의 역할과 기능을 알 수 있다. 한국교직단체의 변천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학습 목표 외국의 교직단체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1.교직단체의 역할과 기능 교원의 사회 경제적 지위향상 교원의 전문적 자질 향상 교직단체의 교육정책 형성과정에의 참여 교직단체의 이상사회의 실현 기능

<설립 근거> 국제기준- UNESCO, ILO의 <교원의 지위에 관한 권고(1966)> ‘교직단체는 교육발전에 그게 이바지할 수 있는 하나의 세력으로 인정되어야 하며, 따라서 교직단체는 교육 정책결정에 관여하여야 한다.’ 우리나라- 교육기본법 제15조 ➀ 교원은 상호 협동하여 교육의 진흥과 문화의 창 달에 노력하며, 교원의 경제적⋅ 사회적 지위를 향상 시키기 위하여 각 지방자치단체 빛 중앙에 교원단 체를 조직할 수 있다. ➁ 제1항의 규정에 의한 교원단체의 조직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2.한국 교직단체의 변천과정 한국 교총이 유일한 교직단체로서 교원을 대표 일원적 정책 교원노조의 활동 1947년 한국 교총이 유일한 교직단체로서 교원을 대표 일원적 정책 1980년대 교원노조의 활동 1991년 한국 교총은 교섭, 협의권을 확보함으로써 지위권을 독점적으로 행사 1999년 교원에게 단체교섭권이 부여 → 이원화 정책 전문직 교직단체(한국 교총)과 교원노동조합(전교조, 한교조)의 복수 교직단체 시대

교직단체 이원화 과정 (=교원노조 합법화 과정) 1)교원노조 관련한 국제기구와의 관계 및 정부활동 국제 노동기구 가입 OECD가입 2) 노사정위원회를 중심으로 한 교원노조법 제정활동 국민의 정부(김대중 대통령)출범과 동시에 노사정 위원회 구성→1년 뒤 교원노조법이 제정

3)교원노조법 재정과정상의 한계와 문제점 ① 교원 문제는 교육의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노동계 가 정부와의 타협과정에서 교육의 본질이나 교원의 근로의 특수성을 무시한 선택과 결정 ② 교육인정자원부가 성안하여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논의될 사안임에도 불구하고 노동부가 성안하고 국 회환경노동위원회에서 심의를 함.

교원노조법 교직단체 단체교섭의 이원적 체제 교원지위법 *단체교섭의 과정 교섭예정일20일 전까지 서면 통보, 특별한 경우 7일전까지 통보 교섭에 필요한 사항에 관하여 실무협의, 결과를 서면작성 교원지위법 교섭예정일 30일 전까지 통보 교섭에 필요한 사항에 관하여 협의 교원노조법

구분 교원지위법-한국교총 교원노조법-교원노조 법적근거 ▸교육기본법(15조) ▸교육지위향상을위한 특별법 및 시행령 ▸교원의노동조합설립및운영등에관한법률 및 시행령 설립단위 ▸전국 및 시⋅도 가입대상 ▸전 교원 -교사⋅교감⋅교장⋅교육전문직⋅교수 ▸교사에 한정 -교장⋅교감, 교육전문직, 교수 배제 교섭대상자 ▸중앙:교육과학기술부장관 ▸시⋅도:교육감 -사학의 경유:전국/시⋅도 단위 사학법인연합회 교섭창구 ▸규정 없음 ▸교섭창구 단일화 -자율협상에 의해 교섭대표단 구성, 자율적으로 구성치 못할 경우 비례 대표제 도입

교섭사항 ▸교원의 처우개선, 근무조건 및 복지후생 ▸교원의 전문성 신장에 관한 사항 ▸임금, 근무조건, 후생복지 등 경제적⋅사회적 지위 향상에 관한 사항 교섭시기 ▸1년 2회(1,7월) ▸특별히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때) ▸최소 2년에 1회 교섭⋅협약의 효력 ▸합의된 사항 성실히 이행 ▸단체협약 체결권 인정 -단, 법령⋅조례 및 예산에서 규정한 사항과 법령⋅조례에 의해 위임된 사항을 규정하는 내용은 제외 중재기구 ▸중앙과 시⋅도에 교원지위향상심의회 설치 ▸교원지위향상심의회 구성 -중앙 :7인 -시⋅도:5인 ▸교원노동관계조정위원회 설치 ▸교원노동관계조정위원회 구성 -중앙노동위원장이 지명하는 공익위원 3인으로 구성 -시도는 별도 구성하지 않고 중앙에 조직되는 위원회에서 통합 관장

교원노조법의 이해 교원노조 가입 범위(교원노조법 제2조) 전국 또는 시도단위의 복수노조 설립 허용 교원노조 전임자 인정 - 임용권자의 허가를 받아 노조업무에만 종사 - 신분은 휴직, 전임기간 봉급(X) 신분상 불이익(X) 승급(0) 단체교섭 창구의 단일화 단체교섭시 국민여론 및 학부모 의견 수렴 교원노조의 쟁의행위 금지 - 단결권과 단체교섭권만 인정 교원노조의 정치활동 금지 부당노동행위 금지(불이익 취급, 불공정 고용계약, 단체교 섭 거부 노조운영의 지배,개입 등)

교원단체 현황 뉴라이트 교사연합

목적 :사회적·경제적 지위 향상과 교직의 전문성 확립 기여 교직단체 조직현황 1)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한국교총) 1947년 조선교육연합회로 출범 1948년 대한교육연합회로 명칭을 변경 1989년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로 개칭 목적 :사회적·경제적 지위 향상과 교직의 전문성 확립 기여

목적 : 교육노동자로서의 기본 권익을 적극 옹호하고 민주교육의 발전에 기여. 2)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1989년 2월 19일에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이 결성. 1999년 7월 1일부터 전교조 합법화 목적 : 교육노동자로서의 기본 권익을 적극 옹호하고 민주교육의 발전에 기여.

3)한국교원노동조합(한교조) 1999년 7월 1일 교원노조법 시행과 더불어 설립신고 목적 : 노동기본권 보장과 교육환경 개선 및 푸른 교육의 실천 교원운동의 자주성과 민주성 확보 모든 사람이 평등하게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민주복지사 회건설과 인간중심의 참된 민주환경 실현 국내외 노동 사회운동 및 국제교원운동과 연대 강화를 통하여 평화적 민족 통일과 세계평화의 달성

3. 외국의 교직단체 현황 국제교원단체(EI) 세계교원노조연맹 세계 대전 직후~1992년 세계교직단체 국제 교원단체의 역사 국제자유교원노조연맹 세계교직단체 세계교직단체연합회 세계교사연맹 1993년~ 현재 국제교원단체(EI) 분리 통합

미국의 교직단체 미국의 헌법에 교육에 관한 규정이 없음 대부분의 권한은 주 산하의 15,500개에 이르는 교육구 (School District)에 위임. ① 전국교육연합회(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NEA) - 세계 최대의 전문교육조직 - 활동목표 : 활동목표는 조직의 강화, 유능한 교원·교장· 행정관의 양성과 배치, 주(州)교육국의 충실, 교직원의 처우개선 등 ② 미국교사연맹 (American Federation of Teachers : AFT) 교원의 사회경제적 지위향상 교원단체의 활동 - 로비, 정치적활동, 단체교섭을 통한 회원의 봉급과 수당조정, 교육정책 영향력 행사, 교원 의 전문적 자질 향상

미국의 교직단체 ① 교원단체는 지역교육구 단위의 지역조합별로 구성 ② 1857년 전국교사연합회 ⇒ 1870년 전국교육연합회 ③ 교원단체의 활동 - 로비, 정치적활동, 단체교섭을 통한 회원의 봉급과 수당조정, 교육정책에서의 영향력 행사 교원의 전문적 자질 향상 2) 영국의 교직단체 ① 복수조합주의로 인해 교사, 교장, 교수, 전문직 그룹별로 지역별 노조단체 결성가능 그 형태가 매우 복잡 ② 대표적인 교육단체로 전국교원조합, 전국남여교사연합회, 교사 ․ 강사연합회, 대학교 및 단과대학강사조합, 스코틀랜드교육협회, 전국교장연합회, 대학교수연합회 등이 있음

3)프랑스의 교직단체 교원은 헌법에 의하여 단결권이 보장 공무원을 포함한 공공근로자도 일반기업과 마찬가 지로 파업 가능 ① 전국교육연맹(FEN) - 1946년 결성 - 전국중등교육조합(SNES), 전국체육교육조합(SNEP) 등의 전국 31개의 연합체 - 1980년대 50만 명 → 현재 17만 명 ⇒SNES, SNEP 등과의 문제로 결별 - 프랑스노조의 다원주의, 경쟁과 분열, 재정 및 조직 결핍에서 벗어나지 못함.

4) 일본의 교직단체 일본교직원조합, 일본고등학교교직원조합, 전일본 교직원조합, 전일본교직원연맹, 전국교육관리직원 단체협의회 등록된 교원단체만이 당국과 단체교섭가능 단, 단체협약체결권이나 단체행동권 불인정 일본교직원조합은 과거 극단적 노동운동 중심의 활 동에서 벗어나 전문직 활동으로 변신 ① 일본교직원조합 (일교조) - 조직강령 :사회적․경제적․정치적 지위의 확립, 교육 의 민주화와 연구의 자유 획득, 그리고 평화와 자유 를 사랑하는 민주국가의 건설을 위한 단결

※ 토론해 봅시다. ◎ 바람직한 교직단체의 모습이란? ◎ 다른 나라의 교직단체의 모습을 보았을 때 우리나라의 교직단체의 장점과 문제점은?

1. 교직단체의 역할과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교원의 사회적 지위 ,경제적 지위향상에 기여하는 역할을 한다 1. 교직단체의 역할과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교원의 사회적 지위 ,경제적 지위향상에 기여하는 역할을 한다. ② 교원의 전문적 자질 향상에 기여한다. ③ 교직단체는 전문직 단체이지만 노동조합의 성격을 가지지는 않는다. ④ 교직단체의 교육정책 형성과정에의 참여에 힘쓰고 있다. ⑤ 교직단체의 이상 사회의 실현 기능을 가지고 있다. 3

5 2. 교원단체의 변천과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초기에는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가 유일한 교직 단체 였다 ② 교원주도 교육운동기 시기를 거쳤다 ③ 교원에게 단체교섭권이 부여되면서 이원화 정책이 시 작되었다 ④ 한국교총과 교원노동조합이 교원의 경쟁하는 복수 교 직단체 시대가 개막 복수교원단체 성립기가 시작되었 다 ⑤ 현재에는 한국교총이 유일한 교직단체로서 활동하고 있다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