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1학기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교수전략 개발 - 협동학습 www.heybears.com.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자유학기제와 예술교과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광 주 동 신 중 교사 국광윤. 예술교과 교육과정의 편성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 2009 개정 교육과정 (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 · 성취수준 지역 및 학교의 교육과정.
Advertisements

프로그램 일정 [ 교외 캠프 ] 1 일차 프로그램 시간프로그램내용비고 09:30~11:00 학교 집결 후 연수원 이동 11:00~12:00 개회식 / 오리엔테이션 - 인사말 - 교육일정 및 프로그램 안내 1H 12:00~13:00 점심식사 13:00~15:00 기업정보.
-1- June, 2012 Strategic Interview Skill Training.
컴퓨터 종합설계 2012 년 2 학기 Syllabus 개요 (1/2) 목표  실 세계의 문제를 제시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컴퓨터 공학적인 방법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팀을 주축으로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 수행  프로젝트 계획에서부터 구현까지.
대표자명 / 연락처 / 이메일 ( 기 창업인 경우 회사 명칭 ) 지원하려는 사업 명칭 사업계획서 작성양식.
강의 SKILL-UP 과정 신 현 호. 2 교육 개요 Ⅰ Verbal, Document, Visual Presentation 성공적인 강의스킬 실현 - 학습심리 -HRD 개요 - 교수 설계 & 교안 작성법 지식 - 교수의 제기법 - 교수매체 활용 - 강의.
프로그램 소개_일정표 (Day1/9h) 시간 프로그램 세부사항 11:00-12:00 Above the line
소프트웨어 설계 제안서 팀명: ProBrain 프로젝트명: Heuristic Method.
2007년 1학기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의 성격
학 과 : 토목공학과 담당교수 : 김 수 용 분반,조 : 301분반,4조 조 이 름 : 다 크 호 스
Deep Learning.
Deep Learning.
취업 CAMP 개요 자기성찰 및 문제 해결식 참여학습 진행 입사서류 작성 및 모의면접 체험을 통한 취업능력 향상
TOEIC 850! 영어 스터디 그룹 HOOK.
푸 드아트테라피 FAT : Food, Art, Therapy Food Art FAT : Food, Art, Therapy.
2009-1학기 프로젝트 수업 프로젝트 I, III, V, VII 학기.
KETS International Lounge 상담예약 방법
밥 파이크의 창의적 교수법.
2004년 7월 27일 이 재 경 숙명여자대학교 문과대학 교육학부
HRD knowledge.
4장 교수설계 이론.
6. 원격교육 컨텐츠의 이해 : 설계 및 개발, 전달체제
제3장 교육공학의 이론적 기초 3학년 교육공학 방송통신대학교 출석수업 3.1 학습이론 3.2 커뮤니케이션 이론 3.3 체제이론
2007년 1학기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교수전략 개발 - PBL
PBL 점수: 총점 20점 개별 성찰 일지 6점 (3회- 회당 각 2점)
분석적 사고 (Analytical Thinking)
교육 교육목적: Why ? 교육내용: What ? 교육방법: How ?.
푸른 꿈을 가꾸는 소의 진로교육 1. 5,6학년 진로교육 프로그램 2. 학년별 재량활동 3. 학교홈페이지 활용
Mind Map - 교육 공학 영역 분반 04 소속 음악교육과 학번 이름 장미희.
6 시그마 실패기업, 무엇이 문제였나? 정택진 사장 ㈜네모파트너즈.
KSA 콜센터 교육과정 안내 2018년 4월 고객을 이기는 컴플레인 관리하기 전화모니터링 반나절 만에 따라잡기
Self Leadership Course
라포(Rapport)형성과 대화방법 삼육대학 이 혜 림.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1. 식량자원 3. 식품 안전성.
2011년도 문제해결과 의사결정 BMC 한국경영인력연구원 Tel: (02) , HP:
제3장 교육공학의 이론적 기초 3학년 교육공학 방송통신대학교 출석수업 3.1 학습이론 3.2 커뮤니케이션 이론 3.3 체제이론
제 15 장 직무설계 15.1 노동인력관리 목적 최대의 성과 만족스러운 성과 의사결정 직무설계 충원수준 선발 훈련과 경력개발
2007년 1학기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오리엔테이션
강릉원주대학교 전임교원대상 온라인 교수법 특강
자기계발과 학습혁명의 Key! 마인드맵 세미나! 직장인을 위한 디지털 업무역량 강화 프로그램!
유통경로의 통합관리.
Problem-Based Learning
수학10-나 1학년 2학기 Ⅰ. 도형의 방정식 2. 직선의 방정식 (9/24)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 수업계획 수업활동.
학습목표 PBL 문제를 만들고, WBL방식의 학습을 실시한다.
자신감있는 삶 광고홍보학과 홍수민.
Problem-Based Learning
소프트웨어 중심에 존재하는 복잡성 에 도전장을 내밀다
제 5장 교수설계의 실제 - ASSURE 모델 적용
실과의 가정과 영역 교수학습 방법 (1차시) 유미숙 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가정교육 전공  27년 6개월의 중고등학교 교육 경력.
「 All children have strengths 」
Chapter 3. 성격 및 사회성 발달.
원격교육활용론 2. 원격교육 관련 이론 : 기본 이론과 구성개념 박소연 (광주대학교).
협동학습 박세정.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월요일11시) 화학공학과 이은경
협동학습 화학과 4학년 박미진.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McKinsey 7S MODEL McKinsey 의 7S Model 은
새로운 미래를 디자인하라! 내 인생의 로드맵.
여러 가지 집의 같은 점과 다른 점 비교하기 슬기로운 생활 2학년 1학기
걸리버 자동차 S T E A M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STEAM 연구회-
다문화교육론 호 원 대 학 교.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수학10-나 1학년 2학기 Ⅰ. 도형의 방정식 4. 도형의 이동 (20/24) 도형의 평행이동 수업계획 수업활동.
(Adjustment to New Pressures) (New Self-Expectations)
.Net FrameWork for Web2.0 한석수
간식의 세계!!.
Recommended course of action for HRDers
2007년 1학기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교수전략 개발
교육 교육목적: Why ? 교육내용: What ? 교육방법: How ?.
Presentation transcript:

2007년 1학기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교수전략 개발 - 협동학습 www.heybears.com

가설설정(Ideas) → 사실확인(Facts) → 학습이슈(Learning Issues) → 실행계획서(Action Plan) 교수전략 개발 - 협동학습 이전 학습 내용 회상 학습자들이 실제적이고 상황적인 문제를 가지고 소집단 내에서 문제해결을 위한 과정을 거치면서 해결안을 찾아가는 교수-학습 방법이다. PBL이란? 문제제시 가설설정(Ideas) → 사실확인(Facts) → 학습이슈(Learning Issues) → 실행계획서(Action Plan) 자기주도적 학습 + 소그룹 활동 해결책 제시/수정 핵심 프로세스 PBL의 목표 성취를 위한 조력자 운동경기의 Coaching 집단활동의 Facilitator 과학적, 논리적 진행의 Scaffolding 교육적 Feedback 학생평가 교수자의 역할 자기평가, 팀평가, 동료평가, 교수자평가 수행계획서, 성찰노트, 발표자료, Mind Map 등 평가

교수전략 개발 - 협동학습 들어가기 협동학습 CSCL

교수전략 개발 - 협동학습 Dick & Carey 모형

다양한 교수전략들 강의법 토의학습 원격교육 이러닝 세미나 상황학습 CAI 탐구학습 CBT 문제중심학습 (PBL) WBI/WBT 교수전략 개발 - 협동학습 다양한 교수전략들 강의법 토의학습 원격교육 이러닝 세미나 상황학습 CAI 탐구학습 CBT 문제중심학습 (PBL) WBI/WBT 협동학습 시뮬레이션 GBS 게임

Q1> 앞서 제시된 예를 해결하는 방법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을까? 교수전략 개발 - 협동학습 협동학습의 개요 Q1> 앞서 제시된 예를 해결하는 방법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을까? 개별적으로 진행하는 경우 경쟁을 붙이는 경우 협동하여 해결하는 경우 Q2> 위에 제시된 방법 중 당신이 선택한 방법의 장점과 단점은 무엇일까? 장점 단점

나의 이익이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지 않는 것 모두의 성공을 축하하는 것 다른 사람의 이익이 나의 이익도 되는 것 교수전략 개발 - 협동학습 협동학습의 개요 ※ 다음 질문에 맞는 유형을 골라보면? 모든 사람의 성공의 위해 노력하는 것 다른 사람 보다 성공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 자신의 성공만을 위해 노력하는 것 나의 이익이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지 않는 것 모두의 성공을 축하하는 것 다른 사람의 이익이 나의 이익도 되는 것 나 자신의 성공이 축하되는 것 다른 사람을 돕고 지원하고자 하는 마음이 생기는 것 나의 이익이 다른 사람에게는 해가 될 수 있는 것 나 스스로가 최대한의 생산성 증진을 갖고자 하는 것 우리의 성공과 다른 사람들의 실패가 축하되는 것 나보다 잘 하는 사람이 없기를 바라는 것

협동학습의 개요 의미 동일한 학습목표 소집단 내에서 함께 활동 정의 All for one, one for all 교수전략 개발 - 협동학습 협동학습의 개요 의미 동일한 학습목표 소집단 내에서 함께 활동 정의 All for one, one for all ‘전체는 개인을 위하여, 개인은 전체를 위하여’라는 태도를 갖게 되고, 집단 구성원들의 성공적 학습을 위하여 서로 격려하고 도와줌으로써 학습 부진을 개선할 수 있다.

<출처 : Joson&Joson(1998). Learning Together and alone의 그림을 일부 수정 함 교수전략 개발 - 협동학습 협동학습의 구성요소 학습성취 생산성 사회적 상호작용 협력 팀웍 상호작용 촉진 지원 토론 개별책무성 그룹 프로세싱 공동의 목표 의사소통 능력 긍정적 관계 개인/그룹 평가 심리적 건강 <출처 : Joson&Joson(1998). Learning Together and alone의 그림을 일부 수정 함

<출처 : Joson&Joson(1998). Learning Together and alone 교수전략 개발 - 협동학습 협동학습의 성과 <출처 : Joson&Joson(1998). Learning Together and alone

O(원래는 가지고 있음) X(소중하게 여기지 않음) 교수전략 개발 - 협동학습 협동학습과 전통적 소집단 학습 협동학습 전통적 소집단 학습 구성원간의 긍정적 상호의존성 O(강조함) O(원래는 가지고 있음) X(소중하게 여기지 않음) 개별책무성 O X(무임승객) 집단 구성 이질 집단 동질 집단(능력 수준 비슷) 리더 공유(돌아가면서 함) 독재적 책임 상호 O 상호 X(리더만 갖음) 학습성취 기재 구성원의 협력 관계 개인에게 주어진 과제 성취 교사 집단관찰, 상호작용 관찰 개인, 관찰 X 집단 과정 구조화 O 구조화 X

협동학습의 유형 과제분담학습 성취과제 분담학습 팀 경쟁 학습 팀 보조 개별 학습 협동을 위한 협동학습 직소모형 STAD TGT 교수전략 개발 - 협동학습 협동학습의 유형 직소모형 과제분담학습 STAD 성취과제 분담학습 TGT 팀 경쟁 학습 TAI 팀 보조 개별 학습 집단 조사 학습 어깨동무 학습 역할극 자율적 협동학습 협동을 위한 협동학습 사례분석 프로젝트법 협동교수법

Collaborative Learning 교수전략 개발 - 협동학습 협동학습 vs. 협력학습 Cooperative Learning Collaborative Learning 공통점 차이점 정리

Computer Support for Collaborative Learning 교수전략 개발 - 협동학습 CSCL Computer Support for Collaborative Learning

affordance CSCL before after 협동학습 상호작용 structuring S/W (tool) 교수전략 개발 - 협동학습 CSCL before after 협동학습 상호작용 structuring S/W (tool) regulating S/W (tool) 학습 properties system-tool design interface script collect aggregate compare offer advice 촉진 강화 affordance

CSCL : regulating interaction 교수전략 개발 - 협동학습 CSCL : regulating interaction Phase3: Compare Current State and Desired State Model of Desired Interaction Meta-cognition Tool Guiding Tool Mirroring Tool Phase4: Offer Advice and Guidance Phase2: Aggregate data Phase1: Collect data Interaction State + Learner’s Action

<“Black Box” Framework for the system-as-processor role> 교수전략 개발 - 협동학습 CSCL : regulating interaction Computer-based Coach student Communicaton Interface student Dialog Action Result of Analysis Black Box (Process Engine) <“Black Box” Framework for the system-as-processor role>

CSCL : regulating interaction 교수전략 개발 - 협동학습 CSCL : regulating interaction Now Acrobat Connect Professional(Breeze) http://www.adobe.com/products/acrobatconnect/compare/ http://www.adobe.com/products/acrobatconnectpro/demo/

Computer Support for Collaborative Learning 교수전략 개발 - 협동학습 요약하기 협동학습 All for one, one for all CSCL Computer Support for Collaborative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