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 콩팥 해부 월봉 중학교 1학년 5반 28번 임 현 준.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물방울 속으로 Into the waterdrop 신림고등학교 화학교사 서인호. 탐구 내용 개요 1. 물방울의 모양 2. 빅뱅처럼 3. 뗏목의 이동.
Advertisements

Ⅳ. 소화, 순환, 호흡, 배설 3. 혈액이 빙글빙글 돌아요 !. 학습 목표 온몸 순환과 폐순환의 경로 및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혈액 순환 과정에서 물질의 이동 방향을 설명할 수 있다. Page_2.
1. 도형의 연결 상태 2. 꼭지점과 변으로 이루어진 도형 Ⅷ. 도형의 관찰 도형의 연결상태 연결상태가 같은 도형 단일폐곡선의 성질 연결상태가 같은 입체도형 뫼비우스의 띠.
우린 서로 이렇게 달라 08 남자의 성 생명 탄생의 신비. 학습 목표 남자의 생식 기관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 다. 임신이 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No.1 No.2.
영화초등학교 5-3 최단비. 목 차 1. 실험 동기 2. 실험 방법 3. 가설 4. 실험 과정 5. 실험 1~8 6. 실험결과 7. 결론 8. 더 알고 싶은 점.
액체의 따른 잉크의 확산 속도 조원 : 김연주 문나래 민예담 정선주 한수경 한혜원.
By 5 학년 2 반 전유주 년 5 월 1 일 ( 음력 3 일 ) 눈썹 모양의 초승달을 관찰했다.
사과의 갈변현상을 막는 방법 박주현 ( 지도교사 김미정 ). 서론 1. 연구 동기 2.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이론적 배경 1. 사과가 갈변하는 이유 연구 내용 및 결과 1. 연구 가설, 기간 2. 연구 내용 및 결과.
2-4 과학 탐구 정은혜, 이상은, 김동희. 탐구 동기 더운 여름날 음식이 부패하는 것을 보고 어떤 음식에 가장 곰팡이가 많이 생길지 궁금해져서 탐구를 시도 하게 되었다.
조용한 음악과 시끄러운 음악을 들려 주었을 때 식물성장 변화 관찰
실험관찰 : 곰팡이 영재학급 5학년 신 교 빈.
알에서나비까지의과정!.
2. 잎까지 운반된 물은 어떻게 될까? 학습목표: 증산작용을 설명할 수 있다..
고장의 중심지 답사 보고서 3학년6반
끓는점 (2) 난 조금 더워도 발끈, 넌 뜨거워도 덤덤 ! 압력과 끓는점의 관계.
3학년3반 18번 백애린 대림 미술관 Sparkling secret
SDS-PAGE analysis.
1-1 일과 일률.
투명 비누 만들기.
전기에 대해 알아보자 영화초등학교 조원석.
9장. 비뇨생식기계 가천의대 산부인과 김 광준.
S항원(HBsAg) - B형 간염바이러스 표면항원(hepatitis B surface antigen) - 양성: 급성 간염, 만성 간염, 간경변증 등의 간장질환 급성 B형 간염 감염시 가장 먼저 양성반응 표지자 감염 2~3개월 후 검출 가능 6개월 이상 양성 반응을 보이면.
팀원 : 권유정, 박진영, 박채은 조교교사 : 김지섭
4-6. 광합성 작용(1).
Chapter 3 Cells and their function -2
악은 어떤 모양이라도 버리라 데살로니가전서 5장 22절 말씀 -아멘-.
체 세 포 분 열 배 수 경 중3 과학.
소 눈의 구조를 밝혀라!.
(생각열기) 혈액의 순환 경로를 크게 두 가지로 나누면?
내분비.
생각열기 – 흰 장미꽃을 파란 장미꽃으로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포스트잇으로 노란 나비 만들기.
20장.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01_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시작.
정다면체, 다면체와 정다각형, 다각형의 관계 한림초등 학교 영제 6학년 5반 송명훈.
25. 체내 환경의 조절.
생명은 어떻게 탄생하게 되었을까? 원시 지구에서의 화학적 진화 화학 반응식 쓰기.
산성비가 식물의 잎과 씨앗에 미치는 영향 한림초등학교 5학년 5반 박성용.
20강 패턴을 통한 객체지향 언어의 이해 - II - 난이도 있는 패턴 예제 - I Lecturer Kim Myoung-Ho
오늘의 이야기는 돼지책! 이책을읽고 다함께퀴즈타임
인공신장기 오은선 이지은.
과목명 : 과학 1학년 2학기 소화와 순환 > 영양소 [ 1 / 12 ] 영양소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끓는점을 이용한 물질의 분리 (1) 열 받으면 누가 먼저 나올까? 증류.
2nd day Indexing and Slicing
신장의 구조와 기능 과학 1 학년 9. 호흡과 배설 3)배설 (02)사람의 배설기관 수업계획 수업활동
3-5. 태양계와 행성(2).
과학 1 학년 6. 생물의 구성 3)조직과 기관 (7/7) 물 속의 작은 생물 관찰 수업계획 수업활동.
과학자유탐구 곽승희 주제-약이 가장 잘 녹는 액체는?.
우유와 사이다가 식물 성장의 미치는 영향? 한림초등학교 5학년2반 김민지.
1 영양소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영양소 탄수화물 단백질.
사이클로이드실험을 하고 느낀점.
프렉탈 도형의 신비 양일중학교 2학년 김대현, 노동민.
세상에서 가장 가벼운 의자 만들기 6-3 현승규 지도교사: 김윤수.
간이 정수기 이혜진 김연우 송선 신기영.
IX. 호흡과 배설 1. 신장의 구조와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2. 오줌의 생성 과정과 배설 경로를 말할 수 있다.
(생각열기) 혈액 속의 노폐물을 걸러 몸 밖으로 보내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설명) 배설
DNA의 구조와 역할 (1) DNA : 이중 나선 구조로 수많은 뉴클레오타이드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은거울 반응.
P 양분의 전환과 이용.
“나는 누구일까요?” 나는 가늘고 길게 생겼습니다. 하얀 종이 가 나를 감싸고 있습니다. 내 몸에 불을 붙여 사용합니다.
Ⅳ. 제도의 기초 1. 물체를 나타내는 방법 3) 물체의 표현 방법 (2) 입체도법 지도학급 : 태화중학교 1학년 4반
전하량 보존 항상 일정한 양이지! 전류의 측정 전하량 보존.
미 술 5 학년 4.이야기 세상 (5-6/6) 초기화면 마술 그림을 그리고 작품 감상하기.
눈의 구조와 기능(1) 사람이 천냥이면 눈이 팔백냥이다. 눈의 구조와 기능 시각의 전달 경로.
직선 전류가 만드는 자기장 진주중학교 3학년 주동욱.
소화와 순환 소화와 흡수 에베베조 : 정다이, 양삼규, 이은애, 최예리나.
★나의 꿈! ☆ 6학년 2반 26번 최수인.
사과의 갈변현상 관찰하기 4-2 배형준.
세포는 어떻게 분열할까?(2) 양파 뿌리의 체세포 분열 관찰 순서 [ 해리 ] [ 염색 ] [ 고정 ] 학습 주제
Ⅳ. 광합성 4. 식물도 동물처럼 호흡할까?.
피보나치수열에 대하여 한림초 5학년 신동오.
Presentation transcript:

돼지 콩팥 해부 월봉 중학교 1학년 5반 28번 임 현 준

실험목표 돼지의 콩팥을 해부해 보고, 구조와 기능을 안다. 준비물 돼지 콩팥, 해부가위, 해부용 접시, 해부용 장갑, 휴지 콩팥의 구조와 하는 일

실험 과정과 방법 1. 콩팥의 겉모양을 관찰 한다. 윗면 아랫면 관찰 3개의 관들 관찰 우리 몸에 콩팥이 들어있는 모습

2. 콩을 두 쪽으로 나누듯이 돼지 콩팥을 가위로 잘라준다.

안이 조금씩 보이기 시작 한다

콩팥을 콩처럼 나누는 모습 완전히 나누어진 모습

3. 콩팥의 겉질, 속질, 콩팥깔때기를 관찰한다. 콩팥 겉질 콩팥 속질 콩팥 깔때기(신우)

4. 콩팥을 가로로 잘라서 관찰한다. 속질 콩팥 깔때기 겉질

실험결과 노폐물을 걸러 오줌을 만드는 기관은 어디 인가요? 2. 네프론은 ( 사구체 ) 와 ( 보먼 주머니 ), ( 세뇨관 ) 으로 이루어진 콩팥의 기본 단위입니다. 콩팥은 우리 몸에서 쓰고 나온 노폐물을 걸러주는 일을 합니다. 노폐물을 걸러서 오줌으로 만들어 바깥으로 배설 할 수 있게 해주는 기관입니다. 콩팥은 크게 겉질(피질), 속질(수질), 콩팥깔때기(신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겉질은 콩팥의 바깥부분으로 모세혈관이 실뭉치처럼 뭉쳐서 혈압이 높은 사구체와 사구체를 둘러싸고 있는 보먼주머니가 있는 곳입니다. 사구체는 혈압이 높아서 작은 물질들이 걸러져 보먼주머니로 나옵니다.

속질은 콩팥의 안쪽부분으로 세뇨관이 있습니다. 세뇨관은 보먼주머니와 연결된 가늘고 긴 관으로 모세혈관으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속질은 콩팥의 안쪽부분으로 세뇨관이 있습니다. 세뇨관은 보먼주머니와 연결된 가늘고 긴 관으로 모세혈관으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사구체에서 걸러진 작은 물질들이 세뇨관을 거치면서 우리 몸에 필요한 포도당, 아미노산, 무기염류, 물 등이 다시 모세혈관으로 재흡수 되고 여과되지 못한 노폐물들이 다시 분비되는 곳입니다. 사구체, 보먼주머니, 세뇨관이 오줌을 만들어내는 기본 단위인데 이것들을 합쳐서 네프론이라고 합니다. 콩팥 한 개에는 약 100만개의 네프론이 있습니다. 콩팥깔때기는 네프론에서 만들어진 오줌이 일시 저장되었다가 오줌관(수뇨관)을 통해 방광으로 이동되는 것입니다.

실험 후 느낀점 콩팥을 해부해보니 콩팥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서 많이 알게되었고 모든 장기 하나하나가 모두 소중하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