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석종사 불교대학 『 불교문화』 1부 불교미술 (제2장 불교건축).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목성에 대해서 서동우 박민수. 목성 목성은 태양계의 5 번째 궤도를 돌고 있습니다. 또 한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으로 지구의 약 11 배 크기이며, 지름이 약 14 만 3,000km 이다. 목성은 태양계의 5 번째 궤도를 돌고 있습니다. 또 한.
Advertisements

1. 도형의 연결 상태 2. 꼭지점과 변으로 이루어진 도형 Ⅷ. 도형의 관찰 도형의 연결상태 연결상태가 같은 도형 단일폐곡선의 성질 연결상태가 같은 입체도형 뫼비우스의 띠.
액체의 따른 잉크의 확산 속도 조원 : 김연주 문나래 민예담 정선주 한수경 한혜원.
한국지리 Ⅱ. 국토의 자연환경. `1. 기후와 생활 기후요소 기후인자 기후구분 국지기후 식생과 토양의 분포.
[인격형성 ] [고양이 인생의 최대위기] [인류의 기원] (목)
테마가 있는 이야기 카페 바쁜 일상에 지친 현대인들을 위한 편안한 쉼터.
첨성대 만든 사람: 정성현, 천종현.
과학 과제물 양파실험 5학년1반 박채빈.
야구 글러브에 대한 것 5학년 4반 6번 백경렬.
부산-경남 고대 건축(범어사-1편) JYG 건축부 임경현
2. 잎까지 운반된 물은 어떻게 될까? 학습목표: 증산작용을 설명할 수 있다..
I. 자극과 반응 4. 빛을 받아들이는 눈.
설계도.
팀원 : 권유정, 박진영, 박채은 조교교사 : 김지섭
다각형.
전통 건축 - 지붕 제 2차 창의적 재량학습 지도자료
Ⅱ. 지구의 변동과 역사 1. 지구의 변동 2. 지구의 역사 3. 우리나라의 지질.
Register, Capacitor.
무게중심으로 최적의 안정적인 팽이를 찾아라 03김동균, 04김문성, 09박 홍, 10서영우.
하노이 탑의 최단 이동 횟수 알아 보기 제주 북초등학교 6학년 심화반 임 성 찬.
(생각열기) 옷가게에서 옷을 살 때와 옥가게 밖으로 나와 서 옷을 볼 때 옷 색이 달라져 보이는 이유는?
현대오일뱅크 박유나 디자이너 디자인 특화 주유소 공모전 현대오일뱅크 박유나 디자이너
관찰일지 양파 기르기 오명현.
학습 주제 p 밀도를 이용한 혼합물의 분리.
수학 토론 대회 -도형의 세가지 무게중심 안다흰 임수빈.
마인드 맵.
(생각열기) 거울과 일반적인 물체에서 빛은 어떻게 반사 되는가?
TFT-LCD 구조 동작원리 응용분야.
생각열기 – 흰 장미꽃을 파란 장미꽃으로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정다면체, 다면체와 정다각형, 다각형의 관계 한림초등 학교 영제 6학년 5반 송명훈.
고체역학 2 - 기말고사 1. 단면이 정사각형이고 한번의 길이가 a 일 때, 최대굽힘응력과 최대전단응력의 비를 구하라(10).
Hanoi Tower.
테셀레이션(tessellation) 테셀레이션(tessellation) 이란 마루나 욕실 바닥에 깔려 있는 타일처럼 어떠한 틈이나 포개짐이 없이 평면이나 공간을 도형으로 완벽하게 덮는 것을 말한다.
다면체 다면체 다면체: 다각형인 면만으로 둘러싸인 입체도 형 면: 다면체를 둘러싸고 있는 다각형
위치 에너지(2) 들어 올리기만 해도 에너지가 생겨. 탄성력에 의한 위치 에너지.
생활 속의 밀도 (1) 뜨고 싶니? 내게 연락해 ! 물질의 뜨고 가라앉음 여러 가지 물질의 밀도.
3주차 오늘은 2주차에 만든 모형의 문제점이 뭘까 생각하면서 더 멀리 날아갈수 있게
균형이진탐색트리 이진 탐색(binary search)과 이진 탐색 트리(binary search tree)와의 차이점
III. 아름다운 분자 세계 3. 탄소 화합물 … 01. 다양한 탄소 화합물 02. 탄화수소의 다양한 구조
1. 단면도 그리기 (1) 단면도의 정의 물체의 외형에서 보이지 않는 부분은 숨은선으로 그리지만, 필요한
1. 선분 등분하기 (1) 주어진 선분 수직 2등분 하기 ① 주어진 선분 AB를 그린다. ② 점 A를 중심으로 선분AB보다
3-5. 태양계와 행성(2).
종이비행기가 잘 날기 위한 조건 만든이:김윤성.
사이클로이드실험을 하고 느낀점.
세상에서 가장 가벼운 의자 만들기 6-3 현승규 지도교사: 김윤수.
미술 1 학년 감상 > 감상 ( 2 / 1-2 ) 미술 문화의 이해 수업계획 수업활동.
간이 정수기 이혜진 김연우 송선 신기영.
1. 정투상법 정투상법 정투상도 (1) 정투상의 원리
자동차의 정의 및 제원 자동차의 정의 치수에 의한 제원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절판구조 박유정 최혜지.
학습 주제 p 끓는점은 물질마다 다를까.
Suit Accessory IT 팀 한주훈.
비무장지대(DMZ).
종이의 종류의 따른 물 흡수량 수원초등학교 6학년 이형민.
웹 사이트 분석과 설계 [디자인 리서치] 학번: 이름 : 홍지애.
5.1-1 전하의 흐름과 전류 학습목표 1. 도선에서 전류의 흐름을 설명할 수 있다.
분별증류 GROUP12 조만기 양나윤 김세인.
7장 원운동과 중력의 법칙.
우선 각 평면도에서 점선으로 강조한 직육면체 형상의 피처를 생성한다. 여기서 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 준비를
Ⅳ. 제도의 기초 1. 물체를 나타내는 방법 3) 물체의 표현 방법 (2) 입체도법 지도학급 : 태화중학교 1학년 4반
정삼각형을 정사각형으로 바꾸는 원리 탐구 하귀초등학교 6학년 고지상.
원기둥의 인식 룡정실험소학교 최 화.
눈의 구조와 기능(1) 사람이 천냥이면 눈이 팔백냥이다. 눈의 구조와 기능 시각의 전달 경로.
학 습 목 표 1. 밑그림에 따라 채색할 수 있다. 2. 전체적인 색의 분위기와 조화를 생각할 수 있다.
직선 전류가 만드는 자기장 진주중학교 3학년 주동욱.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8장 표면거칠기 1. 표면 거칠기의 종류 - KS의 가공 표면의 거칠기(요철현상)를 지시하는 방법 최대높이 거 칠기(Ry), 10점 평균 거칠기(Rz), 산술(중심선) 평균 거칠기(Ra), 요철의 평균 간격(Sm), 국부 산봉우리의 평균 간격(S), 부하 길이 율(tp)
제주북초등학교 영재 심화반 : 이준호 지도교사 : 양성준 선생님
스커트 원형 제도.
Presentation transcript:

2016년 석종사 불교대학 『 불교문화』 1부 불교미술 (제2장 불교건축)

사찰건축 화엄사 각황전 불교 건축물 중 가장 핵심이 되는 것은 불전(법당) - ‘금당’으로 불림(금빛 불상을 모신 곳이기 때문) - 법당의 사방으로 부속 건물을 조화롭게 배치 - 불전의 장엄함을 강조하기 위해 2층, 3층으로 조성하기도 (화엄사 각황전 2층, 금산사 미륵전 3층) 화엄사 각황전

금산사 미륵전 3층 금산사 미륵전

지붕의 재료 너와지붕 초가지붕 굴피지붕 *초가지붕은 서민들의 살림집에서 흔하게 사용했던 지붕 - 새(草)라고 하는 추수 후의 볏대로 이엉을 엮었으며 - 1년에 한번 정도는 새로 이엉을 이으며 - 새(草)가 날리지 않도록 井자형으로 새끼줄로 잡아맨다 *너와지붕은 얇고 넓은 판재로 이은 지붕을 말한다. - 강원도 산간의 까치구멍집이 너와집인 경우가 많다. - 가로 20㎝, 세로 30㎝ 정도의 송판을 1치 정도의 두께로 판재 이은 지붕 - 너와를 만들 때는 도끼로 빠개서 만드는 것이 원칙 *너와지붕 및 굴피지붕의 구성은 같다 *굴피지붕은 굴피나무 껍질을 벗겨 너와 처럼 이은 것이다. - 굴피나무는 껍질이 크게 잘 벗겨져서 산간에서 가끔 굴피나무 껍질로 지붕 *’나무너와’와 ‘굴피집’은 강원도 ‘신리’와 ‘대이리’에 가면 볼 수 있다 굴피지붕

지붕의 형태 팔작(합각) 지붕 맞배(박공) 지붕 우진각 지붕 *전통 지붕은 맞배와 팔작, 우진각, 모임지붕(사모, 육모, 팔모) 등으로 나눈다. *맞배(박공)지붕 : 건물 앞뒤로 경사진 지붕이고 구조가 제일 간단하다. - 박공 : 지붕과 지붕이 만나 생기는 측면의 삼각면을 말한다. - 책을 엎어놓은 것과 같은 형태의 지붕 = (석종사 오화각, 수각 참조) *우진각 지붕은 처마가 사면으로 내려간 지붕이다. = 일반 살림집의 경우 안채는 우진각 집이 압도적으로 많다 *팔작지붕(합각) : 우진각 지붕 위에 맞배지붕을 올려놓은 것과 같은 형태 - 작은 박공부분이 만들어지는 지붕 형태 - 위계질서 상으로는 가장 높다고 생각하여 크기와는 관계없이 - 중심건물은 팔작으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 *지붕형태를 정하기 전에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점은 ‘지역의 기후 조건’이다. - 적설량과 강우량에 따라 지붕의 물매(경사)와 처마 길이가 달라진다. - 집이 앉은 자리, 비바람의 방향과 풍속 등은 지붕의 경사면과 방향을 결정 - 이에 따라 맞배로 할지, 사방면 지붕경사를 가진 우진각으로 할 지가 결정 - 처마의 길이는 해가 들어오는 방향에 따라 달라진다. 맞배(박공) 지붕 우진각 지붕

맞배 지붕 우진각 지붕 맞배지붕 (석종사 오화각) 우진각지붕 (일반주택 지붕) 팔작지붕 (석종사 대부분 건물) 팔작 지붕

박공과 풍판 박공(牔栱) 풍판(風板) *박공은 맞배지붕이나 팔작지붕의 합각부분에 ‘人’자 모양으로 걸린 판재이다 - 넓은 판재가 필요해 대들보감을 구하는 것만큼 신경써서 골라야 한다. - 맞배 쪽으로는 창호를 두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며, - 박공을 이중으로 대거나 풍판을 대어 부재와 내부공간을 보호한다 *풍판은 맞배지붕에서 측면에 대는 비바람 막이 판 - 얇고 긴 판재를 세로로 붙여대는데 사이사이는 졸대로 연결 - 풍판은 주로 조선시대 등장 - 이전 건물은 측면부분의 지붕이 밖으로 많이 빠져 나와 비바람 막아줌 - 조선시대에는 지붕을 많이 빼지 못해 - 건물측면을 비바람으로부터 막아주는 방편으로 풍판이 생겨남 박공(牔栱) 풍판(風板)

합각벽 *팔작지붕의 합각벽은 지붕 폭에 따라 넓어져 그냥 내버려두기엔 밋밋하다. - 염원을 표현한 그림이나 추상적인 문양 등으로 장식했다. - 다락이 놓인 경우에는 통풍을 위해 구멍을 뚫기도 했다

지붕의 형태2 모임지붕(사모, 육모, 팔모) 사모 지붕 육모지붕 팔모 지붕 *모임지붕 : 용마루가 없고 각 면의 지붕이 한 곳에 모인다. - 지붕을 나눈 수에 따라 사모, 육모, 팔모지붕 - 주로 정자에 많이 사용된다 사모 지붕 육모지붕 팔모 지붕

사모 사모지붕, 육모지붕 육모

내부 구조 한옥모형 - 내부구조

처마 홑처마 겹처마 (부연) *홑처마 : 서까래만 있고 부연이 없는 지붕 *겹처마 : 부연까지 갖추어진 지붕 - 부연 : 겹처마에서 처마 끝에 걸리는 방형 서까래 - 처마를 깊게 할 목적으로 사용하지만 장식적인 효과도 있다 *추녀 : 지붕의 형태가 팔작·우진각 또는 모임지붕일 경우 - 건물 모서리에 45°방향으로 걸리는 사각형 부재 *사래 : 추녀 끝에 설치하여 겹처마를 이루게 하는 굵은 부재(部材). 겹처마 (부연)

서까래 선자연(扇子椽) 평연(平椽) 마족연(馬足椽) * 선자연 : - 지붕 중간에서는 서까래가 나란히 걸리지만 - 추녀 양쪽에서는 마치 부채살과 같이 서까래를 건다. - 이를 부채살과 같다고 하여 선자서까래, 선자연(扇子椽)이라 * 평연 : - 일본에서는 선자연기법이 사라지면서 추녀 옆쪽 서까래도 - 평연과 똑같이 나란히 걸리는데 - 나란히서까래, 평연(平椽)이라 * 마족연(馬足椽) 또는 말굽서까래 - 뒷뿌리가 하나의 꼭지점에서 모이지 않고 추녀 옆에 엇비슷하게 붙음 - 선자연을 제대로 걸 수 없는 서민들의 살림집이나 - 추녀가 긴 우진각지붕에서 사용 선자연(扇子椽) 평연(平椽) 마족연(馬足椽)

활주(活柱) 활주와 활주초석 추녀 밑을 받친 보조기둥이다. - 우리나라 건물은 처마가 깊기 때문에 - 처마 모서리에 걸리는 추녀도 기둥 밖으로 매우 많이 빠져나간다. - 이 경우 추녀가 처지기 때문에 - 추녀 끝에서 보조기둥을 받쳐주는데 이를 활주(活柱)라고 한다. 활주는 대개 추녀 끝에서 기단 끝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 경사져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활주 밑에는 초석을 따로 받친다. - 이를 ‘활주초석’이라고 한다 Cf) 석종사 공양간과 종무소 쪽에 있음! 활주와 활주초석

기둥의 형태 *원기둥과 각기둥은 기둥의 단면형태에 따른 분류이다. - 각기둥에는 사모기둥과 육모기둥, 팔모기둥이 있으나 - 원기둥과 함께 사모기둥이 가장 널리 사용되었다. *사모기둥보다는 원기둥이 격이 높다고 생각해서 - 주요 정전이나 큰 건물에는 원기둥이 사용되었고, - 사모기둥은 부속채나 작은 건물에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 조선시대에는 살림집에서 원기둥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법적으로 금지

흘림기둥 배흘림기둥(부석사 무량수전) * 흘림기둥은 기둥 위아래의 지름을 달리하는 것 - 모양에 따라 다시 배흘림기둥과 민흘림기둥으로 나뉜다. [“무량수전 배흘림 기둥에 기대서서” 라는 책] * 배흘림기둥은 기둥하부에서 1/3지점이 가장 굵고 - 위아래로 갈수록 얇아지는 곡선적인 흘림을 갖는 기둥을 말한다. - 민흘림기둥은 기둥하부가 기둥상부보다 굵은 사선흘림을 갖는 기둥 * 대개 배흘림기둥은 원기둥이 많고 민흘림기둥은 사모기둥이 많다. - 흘림기둥은 주로 큰 건물이나 정전건물에서 사용했는데 - 이유는 기둥이 안정되어 보이게 하기 위함이다. - 서양의 그리스, 로마 신전건물에서도 배흘림기둥을 사용(엔타시스 Entasis) - 한국에서는 고구려 고분벽화의 건축도에서 배흘림기둥이 묘사되어 있음 배흘림기둥(부석사 무량수전)

공포 부석사 무량수전 주심포 다포 익공 * 공포 : 지붕 처마의 무게를 기둥이나 벽에 전달하기 위하여 기둥에 댄 부재 - 건물의 구조적 역할 뿐만 아니라 장식의 역할도 함 * 주심포 양식 : 공포가 기둥의 위에만 있는 형식 * 다포 양식 : 공포가 기둥 위 뿐만 아니라 기둥과 기둥 사이에 여러 개 있음 - 주심포에 비해 다포는 구조적으로 하중을 분산시켜 전달하는 효과 - 기둥끝 관통하는 창방 위로 공포를 얹을 평방이 설치됨 (평방의 유무로 주심포식 건물과 다포식 건물은 구분 되기도 함) * 익공형식 : 살미 부재가 새 날개처럼 만들어진 공포형식 [살미(山彌) : 첨차와 직교하여 보방향으로 걸리는 공포부재를 통칭하여 부르는 명칭] 주심포 다포 익공

주심포 주심포, 다포, 익공 (예시) 다포 익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