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장 리더십 사상 <개 요> 1. 플라톤; 국가(Politeia)- 이데아 / 현실 세계 , 노블레스 오블리제 2.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목적론적 존재론, 행복 3. 맹자: 성선설, 인의예지 4. 아우렐리우스 아우구스티누스(Aurelius Augustine)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버킷 리스트 중 하나였던 “ 남도 맛 기행 ”.. 이라고 하면 왠지 거창한 느낌이지만, 사실 저주받은 미각으로써 왠만한 건 다 맛있는 나로써는 “ 맛 기행 ” 이라는 표현은 어울리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 맛 기행 ” 이라는 테마를 잡은 건 남도하면 역시 “ 맛 ”
Advertisements

LOGO. 뮤즈♡오이아그로스 ( 혹 은 아폴론 ) 의 아들 아르고호의 원정 (vs 마 녀 세이렌들 ) 트라키아의 물 ( 혹은 나무 ) 의 님프인 에우리뒤케와 결혼 에우리뒤케는 아리스타 이오스 ( 양봉의 신 ) 에 쫓 기다 독사에 물려 죽음 에우리뒤케를 살리려 지.
커뮤니케이션심리학1: 시각 인지심리학의 탄생과 그 배경
제7강 국가와 경제제도.
언론사상가 산책 미디어영상학과 이은택 교수.
실패하는 사람들의 10가지 습관 -by 도널드 R. 키오, 김원옥 옮김, 더난출판,
서 론 금융소득종합과세제도 제 1 절 이자소득 제 2 절 배당소득
제11장 라이프 스타일과 관광 행동.
천/ 로/ 역/ 정 2012 여름성경학교 화산교회.
사회윤리4 직업윤리 정보윤리.
사회윤리 Social Ethics.
침례교 역사와 신앙.
1장 . 영 유아 프로그램의 기초.
교육철학 및 교육사 교육사 탐구의 의의 서양 고∙ 중세 교육사.
과학과 기술 : 산업혁명 Lecture 22.
심리학 3강. 현실을 알고 해석하기 -감각과 지각-.
국제관계론 제5강. 국제정치의 전쟁과 평화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神 話 와 思 想.
<American Gothic>
2017년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학문분야 주제별 융합형 프로그램 TIC TAC TOE.
국제관계론 제2강. 국제정치의 이념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현대 사회와 정치 제2강. 국가와 권력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항공전자 (Avionics = Aviation + Electronics)
멀티미디어시스템 멀티미디어 정보화 사회 IT응용시스템공학과 김 형 진 교수.
17c이전-18 보육사상 강정희 김희정 박미경 박민정
심리학 9강. 타인과 나 -사회심리학 여름학기 청주대학교 강의: 이은로.
이성주의 칸트주의 본성 경험주의 이성의 작용 고대 그리스 로마 윤리 사상 스토아학파 소플아 헬레니즘 인간 중심 에피쿠르스학파
현대 사회와 정치 제10강. 국제정치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사도들의 순교 성경에는 세베대의 아들 야고보를 제외하고는 기록이 없다고 한다. 존 폭스( )의 `순교자’,
“Grammar to Explain” 관계대명사 that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쓰인다.
글로벌커뮤니케이션 2009년 1학기 동의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윤영태.
국제관계의 이해 제7강. 국제정치경제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현대 사회와 정치 제2강. 국가와 권력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소크라테스의 '탁월함' 과 왕양명선생의 '격물치지'
Francis William Aston 조영은.
근대의 교육1: 르네상스-종교개혁-실학주의
3. 윤리적 상대주의와 절대주의 4. 결과주의와 공리주의
소득불평등과 빈곤.
소득불평등과 빈곤 © 2007 Thomson South-Western.
근대유럽 여명 Lecture 8.
국제관계의 이해 제5강. 국제정치의 전쟁과 평화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제9장 동기와 관광 행동.
독일 독일 아르헨티나 콜롬비아 아르헨티나 네델란드 네델란드 독일 독일 코스타리카 Goal Keeper (독일) 1안.
365일 중 悦習 10월 E.H.카, 강 유위, 벤담 철학자 3인이 이야기하는 학습치유질문서
어린이집 운영과 관리 실제의 활용을 위한 이론 관료제 이론 아동보육학과 박송희.
LTSystem in Korea since 2011
6장 농후사료.
성경적 부흥
경영학 고전학파 회계정보학과 4조 조장: 박인규 조원: 박영태 박아론
중세 유럽의 과학.
A Midsummer Night’s Dream
이번엔 핵엔슬래시 최명근.
제4장 권면적 상담 허정 교수.
자유냐? 평등이냐?.
첨부2. 2,3차 협력사 품질관리 실태 점검 결과 1차 협력사 점 검 자 2,3차 협력사 담당 중역 소 속 직 급 성 명
기계공작법.
교육사회학 진규하 주종인.
색깔요법 : Color Therapy 긴장완화 면역계 활성화 혈액순환 향상 교감신경계 활성화 안정 호르몬활동 정상화
체육사 상지대학교 담당교수 이 문 성.
가. 4대 가이드라인 도입 및 운용 ② 협력업체 선정 ∙ 운용 가이드라인.
Kyung Hee University Political Science
제2강 사회학의 형성과 발달.
제3장 상담과 특별계시 허정 교수.
St. Augustine, 354~430.
“우리가 사랑하는 것들을 보면 우리가 누구인지 알 수 있다.”
로마서 강의 2019년 1학기 침례신학대학원.
인간행동과 심리학 1. 심리학의 본질과 이해.
Chapter 03 교육조직행동(2) -동기이론-.
<3주차> 대한민국헌정사, 국가형태와 구성요소, 헌법의 기본원리 이대연 김진화 박진아 손은지
● 문화연구의 주요이론(3) - 페미니즘과 문화연구
Presentation transcript:

제3장 리더십 사상 <개 요> 1. 플라톤; 국가(Politeia)- 이데아 / 현실 세계 , 노블레스 오블리제 2.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목적론적 존재론, 행복 3. 맹자: 성선설, 인의예지 4. 아우렐리우스 아우구스티누스(Aurelius Augustine) ;신국-세속/신 5. 토마스아퀴나스(Thomas Aquinas, 1225~1274) : 신학대전-이성 /신앙 6. 윌리엄 오캄(William of Ockham, 1285~1349) ; 유명론 - 교황 : 무오류성, 인간 7. 니콜로 마키아벨리(Niccolo Machivelli, 1469~1527) ; 군주론 “사랑 받는 군주보다 두려움을 주는 군주가 되라” 8. 토마스 홉스(Thomas Hobbes, 1588~1679) : 리바이어던 - 폭력

9. 존 로크(John Locke, 1632~1704) : 시민정부 2론 - 생명/자유/재산 10 9. 존 로크(John Locke, 1632~1704) : 시민정부 2론 - 생명/자유/재산 10. 장자크 루소:인간불평등 기원론, 사회계약론 - 일반의지 11. 제러미 벤담(Jeremy Bentham,1748~1832) : 도덕과 입법원리서설 - 공리 12. 존 스튜어트 밀(John Stuart Mill, 1806~1873) : 자유론 - 공리+질 13. 프리드리히 빌헬름 니체 (Friedrich Wilhelm Nietzsche,1844~1900) 의지와 자질 14. 막스 베버(Max Weber, 1864~1920) : 프로테스탄티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 상부구조, 효율성

<세부내용> 1. 플라톤: 국가(Politeia) - 이데아와 현실세계 구분 .개인=국가, 지혜, 용기, 절제, 정의 . 지배계급(사유재산불허, 부인공유제): .노블리스 오블리제 *철인정치론 2. 아리스토텔레스 : 니코마코스 윤리학 - 목적론적 존재론 주장 .인간의 목적: 행복, 덕(Arete)을 통하여 실현. .이성적 사유 극대화, 진리추구가 최고의 덕. .인간의 영혼: 이성품성(지혜)과 욕구품성(절제와 인내) .덕: 중용과 일치하는 품성. *인간: 진리추구- 중용의 덕 실천- 진정한 행복

4. 아우렐리우스 아우구스티누스(Aurelius Augustine) 3. 맹자:성선설 .4단: 측은지심, 수호지심, 사양지심, 시비지심 .4덕: 인,의,예,지 * 인의=효제 .불인지심 *덕에 의한 왕도정치 4. 아우렐리우스 아우구스티누스(Aurelius Augustine) .410년 서고트 족 반란, 영원의 도시 로마 약탈 .로마 운명, 기독교 운명 분리 <신국>신의 국가, 세속 국가 *정신적인 면에서 전진

6. 윌리엄 오캄(William of Ockham, 1285~1349) 5.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 1225~1274) 신학대전 - 이성의 진리, 신앙의 진리 .그리스 철학과 기독교 철학 마찰: 시간 영원성 .성체성사, 아타나시우스파의 3위 일체설: 신앙의 진리 .합리적 전통과 기독교 신앙 통합 *믿음의 중요성 인식 6. 윌리엄 오캄(William of Ockham, 1285~1349) .대기근(1315~1317), 100년 전쟁(1337~1453), .페스트 (1348~1350), 농민신분 봉건에서 계약관계로 변화 * 파리장: 국가가 교회보다 우월, * 마르실리우스: 동의에 의한 국가만이 정당 * 교황 권위 부정, 무 오류성 비판 * 신이 아니라 사람이 중요

7. 니콜로 마키아벨리(Niccolo Machivelli, 1469~1527): 군주론 .베네치아, 밀라노, 피렌체, 로마 각축 .국가유지: 좋은 법+강한 힘 .군주-일: 전쟁, 군사조직, 훈련 .군주: 두려움을 주는 군주(사랑, 증오) *체사레 보르자 *상황에 따른 임기응변, 상대방에 따른 리더십 8. 토마스 홉스(Thomas Hobbes, 1588~1679) : 구성원의 동의 * 저서: 리바이어던 .국가 권력은 구성원 안전을 위하여 국민 동의 하 유래 .절대왕정: 부르주아(세금납부)+왕(안전제공) .사회계약설: 자연상태(투쟁), 사회상태(규범+윤리) *주권양도, 복종강조, 국가/권위주의 용인, 강력한 리더십

9. 존 로크(John Locke, 1632~1704) : 시민정부 이론. 생명,자유,재산 자연법상 권리를 가지고 탄생

11. 제레미 벤담(Jeremy Bentham, 1748~1832) : 도덕과 입법원리 서설 .인간활동원동력: 쾌락추구, 고통 회피 .최대다수 최대 행복 .사회정의 기준: 사회전체 효용증가 .쾌락가치 동일, 인간 평등, 계층/능력 관계없이 완전한 행복 에 접근 .법제도 단순화, 원형감옥 *양적 행복 12. 존 스튜어트 밀(John Stuart Mill, 1806~1873) : 자유론 .배부른 돼지보다 배고픈 소크라테스가 낫다: 질적 공리주의 .개인행복 총합/사회전체 총합 .공리주의: 개인 자유전제, 본능적 쾌락<정신적 쾌락 .여성 참정권, 노동조합, 교육과 복지제도, 사상/ 표현자유 *질적 행복

(Friedrich Wilhelm Nietzsche,1844~1900) 13. 프리드리히 빌헬름 니체 (Friedrich Wilhelm Nietzsche,1844~1900) ;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 초인사상 .19C 기독교사상 쇠퇴, 허무주의 만연 .사후세계 강조에 반발 .현실긍정, 적극적 삶 강조 .영원 회귀사상(시간:영원, 물질:유한) .자기희생을 넘어 권력의지 강조 *강력한 의지는 초인에 이르는 길 14. 막스 베버(Max Weber, 1864~1920) ;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칼뱅파의 직업 소명설, 근검절약, 산업자금원천, 자본주의 탄생 .관료제 이론 정립 – 사회과학의 모델 *상부구조와 효율성 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