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분지의 선사 및 고대 인간생활에 미친 Holocene 자연환경변화의 영향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수련회 안내 6.4~6.5. 언제, 어디로 ? ✽일시 2015 년 6 월 4 일 ( 목 ) ~ 5 일 ( 금 ) (1 박 2 일 ) ✽장소 강원도 정동진 ( 레일바이크 ), 경포대 ( 모터보트 ), 오죽헌, 용평리조트 일대 ✽참가인원 중학교 1 학년 ~ 고등학교 3 학년.
Advertisements

3-4 주빈, 신예린 목차 탐구 동기와 탐구 일시 및 장소, 참고 자료 갯벌이란 ? 갯벌 탐사에 사용되는 도구 (1,2) 유명한 갯벌 ( 우리나라 ), 여러 갯벌 축제 갯벌이 만들어지는 조건 람사르 협약이란 ? 람사르 협약에 가입된 우리나라 생태지 밀물과 썰물 갯벌에.
응 급 처 치 법응 급 처 치 법 응 급 처 치 법응 급 처 치 법. 응급처치법 1) 현장조사, 의식확인, 연락 현장은 안전한가 조사한다. 119 나 응급의료기관에 연락한다. 발바닥을 간지럽히거나 가볍게 꼬집어 본다. 0 ~ 4 분 4 ~ 6 분 6 ~ 10 분 10.
돈 되는 도시형생활주택은 따로 있습니다. - 주거지역내 수요가 많은 지역을 과학적 / 통계적으로 선정 - 수익률과 시세차익을 함께 누릴 수 있는 곳을 선정 - 개발지 내 투자 ( 재개발 예정구역 ) - 시행초기에 투자 분양가 5,400 만원 실투자금 2,500 만원으로.
중국의 자연환경 지형과 기후 한양대 공과대학 건축학부 동아시아건축역사연구실 한 동 수 2013 년 9 월 18 일.
( 금 ) 11:00 상망동주민센터 2 층 회의실. 1. 아이의 웃음소리가 커지는 상망동 만들기 (2012 년도 인구증가 대책 ) 2. 제 18 대 대선 선거 중립 유지 및 개입 금지 3. 여성친화도시 조성 시민참여단 모집 영주 풍기인삼축제.
트렁크 안에서 천정을 보았을 때 무늬와 같은 형태의 홈이 있습니다. 트렁크 실내등 트렁크 스프링 앞으로 볼링핀 모양 이라 부르겠 습니다.
산 & 계곡의 매력 = 마음의 부자 _ “ 윤 ” 의 생각 산 행 기산 행 기 산 행 흔 적 이 동 윤 2012 년 04 월 01 일 ( 일 ) 창원 불모산 – 진해 안민고개 산행.
도덕적 성찰 준거의 의미와 필요성을 이해할 수 있다. 학습 목표 올바른 도덕적 성찰의 준거를 설명할 수 있다.
과채류 ( 수 박 ) 발표자 : 농어업조사과 장 천 숙. 목 차 1 월별 작업 흐름 2 재배 방법 3 병충해 방지 4 수박의 효능.
국토의 자존심 ! 우리 영토 독도 !! 창기중학교 교사 박 정 희 2012 독도연수자료.
삭막한 세상 그러나 아직까지 이런 모습이 남아 있기에 이세상은 아직 살만한 곳이 아닐까 신 ( 神 ) 마저 외면 할 수 없는 인간들이 만든 감동의 순간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 ?
아시아 김예소,이주희.
제24과 서울 단어 이후 体词+이후, 谓词+ㄴ/은 이후 ¶그날 이후 공휴일마다 도서관에 가서 책 한 권씩 읽습니다
경주 수학여행 6학년 5반 15번 유송연.
지역 사회의 조사 사회 1학년 1학기 Ⅰ. 지역과 사회 탐구>1.지역사회의 조사(1/6)
뇌 심혈관 질환과 건강관리 대한산업보건협회 강 현 지.
이탈리아 피자스파게티올리브등.
고입특강 과학 중학교 1학년 단원 1. 지구의 구조 대기권 지구의 내부.
용주사 보고서 6-5 / 16번 / 장경서.
지구온난화란? 지구 표면의 평균온도가 상승하는 현상이다. 땅이나 물에 있는 생태계가 변화하거나 해수면이 올라가서 해안선이 달라지는 등 기온이 올라감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를 포함하기도 한다.
若者文化 김현주 이규혁 박현빈 전인성 임준형.
瑞山 가는 길 지난 10월 31일 07:00 ~ 11월 01 21:00 서해안 여행을 했습니다
상처와 출혈 응급처치 한국산업안전공단.
생 각 하 기 1. 내가 생각하는 어린이란? 2. 내가 생각하는 어른이란? 3. 어른이 된다는 것 은?
북한의 음식 북한음식…..
BP 윤리실천서약서 공급하는 자(이하 “[당사/본인]”)은, 귀사와의 거래(현재 진행 중인 거래 및 장래 귀사와 체결하는 계약에 따라 진행되는 모든 거래를 포함함. 이하 동일함)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비윤리 행위 및 그에 따른 책임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서약합니다. ****
2D 게임프로그래밍 프로젝트 2차 발표 유제원.
취업/자기계발동아리 참가자 오리엔테이션 전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요한계시록 진행과정 장 차 될 일 천년왕국(20:4-6)/흰보좌(20:11-15) 20
각주구검(刻舟求劍) - 刻 새길 각 舟배 주 求구할 구 劍칼 검 판단력이 둔하여 세상일에 어둡고 어리석다는 뜻
이리신광교회 건축관련보고 문준태 익산시노인종합복지관장.
동북공정, 독도,이어도 손원태 동북공정이란? 동북공정의 현재 진행 상황? 독도의 위치 및 각 국의 주장 이어도
종이헬리콥터 하귀일초등학교 5-1 양현석.
제주북초등학교 6학년 심화반 김학선 지도교사 : 고동림 선생님
나사렛.
제12주제 갈보리언덕에서 누가복음 23:33-49.
혜원 신윤복 [申潤福, 1758~. ] 조선 후기의 풍속화가
피부의 구조와 기능 피부로 읽는다. 피부의 감각점 피부 감각점의 분포와 자극의 민감도.
자전거 기어의 원리 한림초등학교 6학년수학영재 임지혁.
김은영 수줍은 자기소개서☞☜.
조복(朝服) 조선시대 문무백관들이 조하(朝賀)나 의식 때 입던 관복
태양의 크기 지구, 달, 태양 누가 가장 클까? 태양의 크기 측정 지구, 달, 태양의 크기 비교.
발표: G2 박진수 사도요한 준비: G2 박진수 사도요한 T3 김택준 미카엘
?category=mbn00009&news_seq_no=
-. 용인 처인구/기흥/수지구 고사장 중 가장 소요시간이 긴 고사장은 보정고(58분/39.18Km) 사전조기출발 필요!
힘의 합성 피라미드의 축조 2.5톤의 돌 230만개 우주인의 작품? --제5원소 힘의 합성-합력.
대기권의 구조 학습목표 대기권을 기온의 연직 분포에 따라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으로 구분할 수 있다.
耽羅國 建國神話 허남춘(제주대 국문학과 교수)
P 탄성력과 마찰력 생각열기 – 높이뛰기 세계 신기록은 약 240cm 인데, 장대높이뛰기 세계 신기록은 약 620cm 이다. 이렇게 차이가 나는 까닭은? ( 높이뛰기는 다리의 근육의 힘으로 뛰는 반면 장대높이 뛰기는 장대의 탄성력을 이용하기 때문이다.)
제 8강. 영유아 발달과 보육프로그램.
태양계 사진 모음 태양 목성 이 프로그램은 혜성이나 위성,소행성,왜소행성을 소개하지 않습니다 수성 토성 금성 천왕성 지구
P (6) 암석의 순환과 이용.
3조:김다영,나민지, 서빛나,송영호, 장연정,연희 발표자:서빛나
(생각열기) 인체의 혈관의 길이는 약 몇 km인가? 답 : 약 10만 km로 지구를 두 바퀴 반 정도 돌 수 있는 길이 이다.
기본 테이블 스타일링 학교 : 대경대학 푸드과 학번 : 이름 : 김예림 과목 : 양식 테이블 세팅
1-1 지구계의 구성 요소.
학습주제 제주도의 독특한 자연 환경 학습목표 · 제주도의 지형적 특징을 조사한다. · 제주도의 기후적 특징을 조사한다. 목차
4분의 기적, 심폐소생술 1.
장신구 4학년 5반 김도형.
상차림과 식사 예절.
제주북초등학교 영재학급 기초반 김지원 지도 교사 : 김대진 선생님
1 끼임 1 크레인 취급 작업 2 화재/폭발·파열 3 물체에 맞음 4 떨어짐 5 부딪힘 2 지게차 취급 작업
P 조산운동 생각열기 – 히말라야 산맥은 길이가 약 2,400 km에 이르며, 높이가 7,000 m가 넘는 산들이 백 개 이상 분포한다. 이처럼 규모가 큰 산맥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 히말라야 산맥은 인도판이 유라시아판 밑으로 파고 들어갈 때, 두.
고기압과 저기압이 이동하는 위치 예상하기 수업활동.
6.3-4 탄성력에 의한 위치 에너지 이 단원을 배우면 탄성력에 의한 위치 에너지를 설명할 수 있다.
Ⅱ. 생활 속의 과학 탐구 7. 생활 주변에서 탐구 가능한 질문 찾아 수행하기 과학탐구실험 고등학교 탐구 목표 단원 열기
학 습 문 제 화산 활동이 우리에게 주는 영향을 알아보자 학 습 활 동 안 내 화산이 발생한 지역 알아보기 2. 화산 활동의 이로운 점과 해로운 점 발표하기 학 습 활 동 안 내 화산이 발생한 지역 알아보기 2. 화산 활동의 이로운 점과 해로운 점 발표하기.
2강. 경학의 개념과 기혈 대체의학 강사 박지혜
Presentation transcript:

대구분지의 선사 및 고대 인간생활에 미친 Holocene 자연환경변화의 영향 黃 相 一 ․尹 順 玉

목차 Ⅰ.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Ⅱ. Holocene 해면변동과 해진극상기 정선의 위치 1. 해면변동 Ⅲ. 대구분지의 토양 Ⅳ. 선사 및 고대의 농업 Ⅴ. 대구분지의 선사 및 고대 유적의 공간분포와 자연환경 1. 청동기시대 1) 유적의 분포 2) 인간활동에 미친 자연환경의 영향 2. 초기철기시대 3. 원삼국시대-삼국시대 Ⅵ. 인간활동공간 변화의 원인 1. 도구의 발달과 지형 및 토양특성 2. Holocene 기후변화와 범람원의 홍수가능성 Ⅶ. 요약 및 결론

Ⅰ.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문제제기 1) 선사시대와 초기 역사시대연구는 발굴된 유물과 유적, 역사기록 등 기초. 고고학적 조사 한계 2) 김원룡(1996)의 시기구분: 신석기시대 - 약 7,000년-3000년 BP. 청동기시대 - 3,000년 BP 경부터 2,300년 BP. 철기시대 - 2,300년 BP 경부터 AD 300년 전후. 초기철기시대 - 2,300년 BP부터 기원 전후 원삼국시대 또는 김해시대 - 기원 전후에서 AD 300년 전후 3) 대구분지 선사, 고대 환경: 청동기시대 이후의 유적지 분포밀도는 대단히 높다. 특히 청동기시대 유적과 초기철기시대 이후 유적은 공간분포에서 지역적 차이가 뚜렷.

Ⅰ.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5) 신석기시대 이후 대구분지의 인간생활은 해면변동과 밀접하게 관련 4) 지형학적으로 유적의 공간분포, 특히 공간입지 및 공간변화를 연구한 예가 거의 없다. 5) 신석기시대 이후 대구분지의 인간생활은 해면변동과 밀접하게 관련 6) 대구분지에서 청동기시대 이후의 환경변화, 선사 및 고대 한반도의 농업특색 파악 필요

Ⅰ.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2. 연구목적 대구분지에서 확인된 청동기시대, 초기철기시대, 원삼국-삼국시대의 유적 및 유물 내용과 공간 분포 정리 생업 기반의 공간 분포 검토 도구의 발달과 토양특성과의 관계, Holocene 기후변화와 범람원의 홍수가능성이 인간생활에 미친 영향 검토 대구분지에서 Holocene 중기 이후 해면변동과 해진극상기의 자연환경 검토 선사 및 고대 한반도의 농업특색 파악, Holocene 화분분석결과 검토 연구의 공간적인 범위는 대구분지 금호강 남쪽으로 제한. -고고학적 조사가 많이 축적, 유적 밀도가 높다. 시간적 범위는 신라통일 이전까지

대구분지의 지질도

대구분지의 지형분류

Ⅱ. Holocene 해면변동과 해진극상기 정선의 위치 개요 1) 기후변화와 범람원 지형변화: 우리나라에서 Holocene 동안 인간활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환경변화. 2) 거시적 기후변화는 해면변동결과를 통하여 가능할 것 3) 대구분지는 낙동강 하구에서 상당히 멀리 떨어져 있으나, 낙동강의 하상구배가 매우 완만. 따라서 하천의 하상이 미처 완전히 매적되지 못한 수 천년 전에는 해면변동에 의해 승강하는 낙동강의 수위가 지류에 미치는 영향은 현재보다 컸을 것. 4) 한반도는 지반이 비교적 안정되어 Holocene 중기 이후 전 지구적 규모의 기후변화로 나타나는 빙하성해면변동 (eustatic sea-level change)이 전 해안에 걸쳐 변화경향이나 크기가 거의 같았을 것이다.

Ⅱ. Holocene 해면변동과 해진극상기 정선의 위치 2. 해면변동 - 지형학자와 해양학자에 의해 주로 서해안과 동해안을 대상 - 황상일 : 경기도 일산(1994, 1998), 평택 도대천유역(1994, 1997), 울산 세죽(2002), 김해(2009) 등 - 규조분석결과, 해안충적평야에서 얻은 boring 주상도, 탄소연대측정자료 등을 종합하여, 약 7,000년 BP 이후의 해면변동곡선을 복원(그림 3). - 일산 부근 한강에서 평균고조위 약 4.7m

Ⅱ. Holocene 해면변동과 해진극상기 정선의 위치

Ⅱ. Holocene 해면변동과 해진극상기 정선의 위치 절대연대 6,000-5,000년 BP 5,000-3,200년 BP 3,200-2,300년 BP 2,300-1,800년 BP 해면변동 경향 상승 상승 후 안정 하강 상승, 상승 후 안정 해안선의 변화 해진 점진적 해퇴 해퇴 고고학적 시기 구분 신석기시대 신석기시대 말기 일부 및 청동기시대 초기철기시대 원삼국시대 초․중기

Ⅱ. Holocene 해면변동과 해진극상기 정선의 위치 (PRM: 현 하구, PSL: 현 해면, GSL: 최종빙기 최성기 해면, PRP: 현 하천 종단면, GRP: 최종빙기 최성기 하천 종단면)

Ⅱ. Holocene 해면변동과 해진극상기 정선의 위치 최종빙기 최성기(LGM)에 하상의 표고가 현해수면과 일치하는 곳(해발고도 0m)은 후빙기 해수면 상승과 더불어 침식곡이 익곡되는 구간과 관련. 충적평야에서 해수준변동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범위는 해발고도 0m 되는 지점. 이 지점은 최종빙기 최성기의 하천 하류부 평균종단구배 (Y)로 추정. 조화룡(1985)의 관계식: Y = ax + a'x' / a + a’ 이 式에서 a는 현 하천 중․하류부 길이(km), a'는 빙기 연장천의 길이(km), x는 현재 하천의 중․하류부 평균구배(‰), x'는 연장천 구간의 해저경사(‰).

Ⅱ. Holocene 해면변동과 해진극상기 정선의 위치 - 낙동강에 적용하면, Y값은 0.46‰이며, 그림 4에서 당시의 하상표고가 現 海水面과 일치하는 곳은 현 하구에서 약 160km 정도 떨어져 있었다(조화룡, 1985). 낙동강 하도를 연한 종단면에 있어서 기반암의 표고는 하구에서 부터 210km 상류부 왜관에서는 +7m, 하구에서 부터 160km 상류부 고령에서 -10m이다. 안분비례법에 의하면, 하구에서부터 190km 내륙의 금호강이 낙동강에 합류하는 지점 부근 하도하의 기반암 표고가 0m. 낙동강을 따라 퇴적상 종단면도는 내륙쪽으로 쐐기모양으로 퇴적되어 있는 하부점토층과 중부점토층 중 Holocene 해진극상기에 퇴적된 중부점토층은, 종단면상의 각 퇴적층의 경사로부터 추정하면 하구에서부터 150km까지 추적할 수 있을 것 같다(조화룡, 1987).

Ⅲ. 대구분지의 토양 -

Ⅲ. 대구분지의 토양 -토양의 특성은 일반적으로 기후, 식생 및 동물, 암석, 지형, 경사도, 수문, 시간, 인간의 영향 등에 의해 결정 대구분지내에서는 암석, 지형, 경사도, 수문이 토양분포의 특징에 가장 크게 영향. 암석은 팔공산괴와 비슬산괴를 제외한 대구분지저의 대부분은 중생대 백악기 퇴적암이며, 범람원에는 하천퇴적물 분포. 경사도와 수문은 분지저를 형성하는 충적평야와 구릉지지역이 크게 달라 토양분포는 주로 지형에 영향. 대구분지의 충적평야는 신천과 금호강의 범람원과 산지 산록부에 형성된 선상지로 구성. 구릉지지역은 오랫 동안 침식을 받아 전체적으로 충적평야 보다 30-40m 정도의 비고, 사면경사는 완만한 저평한 침식구릉지 하천은 유로가 짧고 유역분지도 작다.

Ⅲ. 대구분지의 토양 금호강 이남 대구분지 토양분포는 크게 세 지역으로 구분. 대체로 지형의 특징과 잘 조화. 1. 신천과 금호강을 연한 범람원 2. 월배와 분지 남쪽의 유천층군 산지의 북쪽 산록에 분포하는 선상지 3. 와룡산과 금호강 남쪽의 해발고도 40-80m 내외의 침식 구릉지.

Ⅲ. 대구분지의 토양 1. 신천과 금호강을 연한 범람원 - 낙동통, 황룡통, 이현통, 화동통, 호남통 1) 낙동통: 신천 하류부와 금호강의 자연제방, 하성충적토를 모재로 한 토양. 토양배수가 매우 양호하고 토심이 매우 깊다. 비옥도가 매우 낮으며, 유기물 함량이 아주 적어 땅콩, 수수, 메밀, 참외 및 소채류 등이 재배, 포플라가 식재된 곳도 있다. 밭으로 이용할 경우 생산력이 매우 낮으며, 한발에 강한 작물을 선택. 2) 황룡통: 하성충적층을 모재로 한 토양. - 사력질로서 토양배수가 매우 양호하고 토심은 얕다. - 표토는 자갈이 있는 양질사토, 사양토 혹은 사토이며 그 두께는 20cm 이하이다. - 일반적으로 전 토층을 통해 35-50%의 자갈 포함. - 신천 중하류부 양안과 고성동-남일동-대봉동을 북서에서 남동으로 연결하는 지역에 분포.

Ⅲ. 대구분지의 토양 3) 이현통: 금호강의 배후습지와 월배선상지 선단 서쪽의 낙동강 범람원에 분포. 미사질양토로서 전층을 통해 silt 55-65%, 세사 20-35%이며, 표층에서 1m 이하는 더욱 조립질이다. 퇴적층 전체 두께는 5m 이상. 토양의 비옥도는 높은 편이며, 유기질도 포함하므로 재배작물의 범위가 넓다. 하천범람의 위험. 4) 화동통: 신천의 범람원에 광범위하게 분포, 월배선상지 선단부 및 성당못과 과거 감삼못의 서쪽에도 분포. 표층부는 silt 59%, clay 24%로 구성되어 미사질양토 내지 양토. 주로 벼를 재배하지만, 보리나 밀도 재배한다. 수도재배에는 물이 부족하므로 수리시설을 해야 하고, 보리와 밀을 재배할 때는 배수시설을 해야 한다.

Ⅲ. 대구분지의 토양 5) 호남통: 하성충적층을 모재로 한 과부식회색토 - 토양배수가 불량하고 토심이 깊은 식질토. - 표토는 silt 57%, clay 38%로 회색, 회갈색, 암회갈색 등의 - - 미사질식양토, 미사질양토이다. - 비옥도가 비교적 높고 유기물 함량이 2-3% 정도. - 그러나 저습성 토양이므로 배수로를 설치하고 내습성이 강한 품종을 선택해야 한다. - 토지는 거의 논으로 이용.

Ⅲ. 대구분지의 토양 2. 월배와 분지 남쪽의 유천층군 산지의 북쪽 산록의 선상지 토양-방기통, 호계통, 화동통, 호남통으로 구성 1) 방기통: 충적층을 모재. 자갈함량이 높아 토양배수가 양호 비옥도는 보통이나 유기물 함량은 높은 편. 대부분 전작지로 이용, 일부에 과수원과 뽕밭이 분포. 토양에 자갈이 많아 천근성작물을 선택. 2) 호계통: 월배선상지의 선정과 선앙에 넓게 분포 자갈함량이 표층부 30cm는 20-26%, 그 이하는 40% 정도, 전층을 통해 silt의 비율이 55% 내외인 미사질양토. 비옥도는 보통이나 밭으로 이용할 경우 생산력이 낮다. 심경으로 자갈을 제거해야 하고 유기질비료를 시비하여야 한다. 따라서 한발에 강한 작물을 선택하여야 한다.

Ⅲ. 대구분지의 토양 2. 월배와 분지 남쪽의 유천층군 산지의 북쪽 산록의 선상지 토양-방기통, 호계통, 화동통, 호남통으로 구성 3) 호남통: 하성충적층을 모재로 한 과부식회색토로서, 토양배수가 불량하고 토심이 깊은 식질토이다. 표토는 silt 57%, clay 38%로 회색, 회갈색, 암회갈색 등의 미사질식양토, 미사질양토이다. 이 토양은 비옥도가 비교적 높고 유기물 함량이 2-3%. 저습성 토양이므로 배수로를 설치하고 내습성이 강한 품종을 선택. 토지는 거의 논으로 이용.

Ⅲ. 대구분지의 토양 3. 와룡산과 금호강 남쪽의 해발고도 40-80m 내외의 침식구릉지에는 혈암의 기반암 위에 매우 얇은 토양층인 대구통이 넓게 분포하고, 구릉지 사이의 하곡에는 유가통, 반천통, 반호통이 나타난다. 대구통: - 토양도 legend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나, 해발고도 40-80m 정도의 퇴적암 침식구릉지의 정부에 넓게 분포. - 토양층 두께는 20cm 정도, 전층을 통해 자갈을 15-40% 포함, silt 45-56%, clay 22% 정도. - 대체로 삼림지로 이용될 수 있으나 경제적 가치는 없다. - 경사 30-60%인 곳은 초지를 조성할 수 있으나, 토양침식 및 한발의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크므로, 품종에 크게 제한을 받는다.

Ⅲ. 대구분지의 토양 2) 유가통: 대구층의 회색 혈암의 구릉지 하곡에 퇴적된 충적물을 모재. 경사가 매우 완만한 곳에 분포. 표토는 silt 63%, clay 20-22%인 미사질식양토 내지 미사질 양토. 토양층 전체 깊이 1-3m. 비옥도는 비교적 높고 유기물도 포함. 대부분 논으로 이용, 답리작으로 보리와 밀을 심는다. 토양은 저습한 편으로, 배수시설과 지력증진에 주의 3) 반천통: 구릉지 상의 폭이 넓은 평탄면 silt 45%, clay 40% 정도 포함된 미사질식양토 비산동과 평리동 일대 구릉지의 경사면에 넓게 분포 배수가 양호한 편이나, 한발의 피해를 심하게 받는다. 밭으로 주로 이용되며 가뭄에 강한 조, 수수, 옥수수, 콩 등이 적합하다.

Ⅲ. 대구분지의 토양 4) 반호통: 대구통과 유가통 사이의 경사면에 주로 좁고 길게 분포. 전층을 통해 자갈의 비율이 20-30% 표층은 자갈 20-25%, 조사 24-17%, silt 36-51%, clay 25-19%로 구성되어 자갈이 있는 양토 내지 미사질양토. 따라서 이 토양은 경사가 완만한 곳은 전작, 경사가 급한 곳은 과수원과 초지에 적합하다.

Ⅲ. 대구분지의 토양 -

Ⅴ. 대구분지의 선사 및 고대 유적의 공간분포와 자연환경

Ⅴ. 대구분지의 선사 및 고대 유적의 공간분포와 자연환경

Ⅴ. 대구분지의 선사 및 고대 유적의 공간분포와 자연환경

요 약 및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