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 Marx 역사론.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1. 사회 변동 시간이 흐름에 따라 사회를 구성 하는 정치, 경제, 사회 제도, 가치 관 등이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변화하는 현상.
Advertisements

자유학기제와 예술교과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광 주 동 신 중 교사 국광윤. 예술교과 교육과정의 편성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 2009 개정 교육과정 (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 · 성취수준 지역 및 학교의 교육과정.
중국 정치경제 이슈 시진핑시대 분석 년 11 월 : 공산당 제 18 차 전국대표대회 ( 당대회 ) 와 제 18 기 1 중전회 ( 제 18 기 중앙위 원회 제 1 차 전체회의 ) 에서 총서기와 중앙군 사위원회 주석 년 3.
칼 마르크스의 1 사회학 고전읽기 III 제 1 강 김 호 기 (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 )
Ⅰ Ⅰ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과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1.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 2.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청년고용률 3. 일 · 학습병행제 추진현황 4.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특징 Ⅱ Ⅱ 산업계 주도 직업교육훈련체제 구축 및 산업별단체.
사회체계이론 생태학이론 갈등이론 교환이론 사회구성론
1.
우리문화의 다양한 모습들 4-3. 대중 매체와 대중사회 대중 매체의 유형과 특징 대중 매체와 대중사회 민족문화와 청소년문화.
1. 실험 목적 회전축에 대한 물체의 관성모멘트를 측정하고 이론적인 값과 비교한다 .
적분방법의 연속방정식으로부터 Q=AV 방정식을 도출하라.
기업의 사회적 책임 고은선.
마르크스주의와 교육 현대교육사상.
잠재력의 발견
3강 한글 맞춤법 총칙.
인생태도 욕구 이론 기본적 인생태도의 개념 : 양친과의 스트로크를 바탕으로 하여 배양되는 자기나 타인 또는 세계에 대한 기본적인 반응이자 태도이다. 또는 그것에 기인하는 자기상(自己像)이나 타인상(他人像)을 말하며 기본적 인생태도 대부분은 부모로부터 어떠한 스트로크(긍정적,
제 18 장 생산요소시장 1.
1. 현대 생활과 응용 윤리의 필요성 2. 윤리 문제의 탐구와 실천 3.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Moral & Ethical Theory of Trade Unionism
                                                                    독일 관념론 칸트(1724) 쇼펜하우어(1788) 피히테(1762) 셸링(1775) 헤겔(1770)
제1장 통계학이란 무엇인가 제2장 자료와 수집 제3장 자료 분석 방법
교육의 사회학적 이해.
현대 사회와 정치 제3강. 정치와 이데올로기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학기 성신여대 박준성 교수 제2장 전통적 조합주의 학기 성신여대 박준성 교수
2조 식품생명공학과 조광국 배석재 윤성수 우홍배
사용자 경험 디자인(User Experience Design, UX design) 인터랙션 디자인(interaction design, IxD)은 인간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하면서 상호간 작용하는 것 UI 디자인은 사용자와 컴퓨터·프로그램 간 의사소통의.
제 15 장 직무설계 15.1 노동인력관리 목적 최대의 성과 만족스러운 성과 의사결정 직무설계 충원수준 선발 훈련과 경력개발
사회학 사회학이란 무엇인가?.
3 지식경영을 위한 인사·조직시스템 설계 현선해·차동옥 교수(성균관대학교 경영학부).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제19장 솔로우 모형 제1절: 인구가 일정하고 기술진보가 없는 경우 제2절: 인구가 증가하는 경우
로봇 : 사람의 모습과 닮은 인형 내부에 기계장치를 넣어서 사람과 비슷하게 움직이도록 만든 자동인형.
<6조> 이연지 이정선 이제민 이종수 이진우 이태희 임진백 장세희 장수현 장진규
1. 인력계획 1) 인력 계획 프로세스 사업계획 인력계획 과부족 비교 인적자원 수요 예측 가용 인적자원 예측 과잉인력 적정인력
문화의 맥락화 문화관광론.
하이브리드 문화 현상 11조 윤주성, 이호, 허성녕.
국제관계의 이해 제1강. 국제정치란 무엇인가?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제 5장 교수설계의 실제 - ASSURE 모델 적용
안토니오 그람시 - 헤게모니를 중심으로 사회학과 홍.
사회 사상의 전개 “진보한다는 것은 변하는 것을 뜻한다. 완전하다고 하는 것은 이미 몇 번인가 변하였다는 것을 말한다.” -처칠- 모든 사회는 끊임없는 자기 수정과 변화 속에서 진보를 계속해 왔다. TEXT PP.145~149.
무차별곡선의 도출 무차별곡선의 도출 학 과: 경제학과 학 번: 이 름: 양아란 학 과 : 경제학과
김정숙 (고려대학교 2014년) 국어국문학과 한국어학 석사 1기 이 드미뜨리
Chapter 3. 성격 및 사회성 발달.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 1. 여성억압의 원인 2. 여성 억압의 규명 사적소유 체제(자본주의 체제의 모순)
자본주의란 무엇인가? 정치경제학이란 무엇인가?
McKinsey 7S MODEL McKinsey 의 7S Model 은
햄버거가 만들어내는 사회·생태적 문제는?.
생산 운영관리의 기초 공 정 설 계 생산능력계획 및 일정계획 재 고 관 리 노동인력관리 품질관리 및 설비보전 생산의 국제화
Historical Materialism
St. Augustine, 354~430.
PBLIS 개발 필요성 대두 국민 의식의 변화 사회 환경의 변화 업무 효율성 제고 행정수요의 증가 다양한 정보 요구 신속한 정보 요구 국민 의식의 변화 PBLIS 개발 필요성 대두 정보 인프라 구축 전자정부 구현 정보화사회 도래 도면관리의 비효율 수작업 도면관리.
제1장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이해의 기초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강의안.
다문화교육론 호 원 대 학 교.
평신도 신앙 건강진단 평가 및 처방 보고서 GO THRIVE COACHING S. Belmont
웹 사이트 분석과 설계 [디자인 리서치] 학번: 이름 : 홍지애.
Marx, Karl( ) 유물론적 역사이해 자본주의론.
Ⅲ 세계 여러 지역의 문화적 다양성 4. 지역 문화의 특성 ① 다양한 지역 문화(1).
의미론적 관점 * TV에서 ‘푸른 빛이 아닌 청자빛’이란 표현을 들었을 경우
매스미디어와 정치•사회체제 1. 선구적 연구 : <Four Theories of The Press>
5. 도시 재개발과 주민 생활의 변화 ② 도시 재개발 과정.
3. 연구접근방법 가. 분석 수준(level of analysis) 1) 거시적 분석수준
Ⅰ. 동아시아 역사의 시작과 국가의 형성 1 1. 우리가 사는 동아시아 2 3 동아시아의 자연환경과 생활 양식
현지조사 방법 및 보고서 작성법 현지조사(field working)란?
문화심리학 동양심리학의 학문패러다임적 정위(正位).
Chapter 4 사회복지 전문직과 윤리강령.
국제관계학과 05 진인영, 06 박선숙 러시아 중산층의 삶, 그리고 전망.
교육 교육목적: Why ? 교육내용: What ? 교육방법: How ?.
6장 가족문제 예방을 위한 실천 가족복지론 최진령.
뮨화의 기능 환경에의 적응 사회와 집단의 유지 지식의 제공과 축적 뮨화의 구성요소 물질문화 비물질문화 제도, 규범문화 관념문화.
이 은 Tyler 교육과정 개발 모형 이 은
1 제조 기술의 세계 3 제품의 개발과 표준화 제품의 개발 표준화 금성출판사.
Presentation transcript:

K. Marx 역사론

Contents Ⅰ. 역사관 - 역사적 유물론(유물론적 역사관) ⅱ. 유물론적 관점 Ⅱ. 사회구성체 Ⅲ. Discussion ⅰ. 변증법적 관점 ⅱ. 유물론적 관점 Ⅱ. 사회구성체 ⅰ. 구조 : 토대와 상부구조 ⅱ. 종류(역사 발전 5단계론) Ⅲ. Discussion

맑스의 역사론 「독일 이데올로기」 역사 발전 유물론 변증법

*사적 유물론(유물론적 역사관) 등장 배경 : 관념론적 역사론 비판 1) 헤겔의 목적론적 역사관에 대한 비판 2) 청년 헤겔학파에 대한 비판 + 포이어바흐의 인간학적 유물론에 대한 비판

*사적 유물론(유물론적 역사관) 2. 의미 : 사회와 역사를 변증법적, 유물론적 관점에서 이해하기 위한 이론 3. 기본 관점 ⅰ. 변증법적 관점 ⅱ. 유물론적 관점

“세상은 변화, 발전하며 변화, 발전의 원동력은 모순이다” ⅰ. 변증법적 관점 1)의미 “세상은 변화, 발전하며 변화, 발전의 원동력은 모순이다”

ⅰ. 변증법적 관점 제 1법칙 : 대립물의 통일과 투쟁 2)변증법 3법칙 제 1법칙 : 대립물의 통일과 투쟁 모순 관계를 이루는 두 가지 성질이 한 대상, 현상에 함께 존재 → 갈등, 투쟁

ⅰ. 변증법적 관점 2)변증법 3법칙 제 2법칙 : 양질 전화의 법칙 양의 변화가 질적 변화로 옮겨감

ⅰ. 변증법적 관점 2)변증법 3법칙 제 3법칙 : 부정의 부정 법칙 부정 : 사물 · 현상의 발전 과정에서 낡은 것이 새로운 것으로 대체되는 상황

“존재가 의식을 규정한다.” 물질을 제1차적·근본적인 실재로 생각하고, 마음이나 정신을 부차적·파생적인 것으로 보는 철학설 ⅱ. 유물론적 관점 1)개념 “존재가 의식을 규정한다.” 물질을 제1차적·근본적인 실재로 생각하고, 마음이나 정신을 부차적·파생적인 것으로 보는 철학설

ⅱ. 유물론적 관점 2)확장 : 사회와 역사를 고찰하는 데 있어서 물질적 요소, 즉 물질적 생산활동에 중심을 준 것 *물질적 생산 활동의 의의 (1)역사 서술의 출발점 (2)역사의 기본 전제 (3)역사의 원동력 (4)상부구조의 토대 (5)인간의 의지로부터 독립된 존재 (6)경험적으로 관찰 가능한 대상

Ⅱ. 사회구성체 *의미 : 토대와 상부구조로 이루어진 사회 전체 - 물질적 생산의 측면이 사상이나 제도의 측면을 규정 - 양자가 하나의 사회구성체 속에서 긴밀하게 통합되어 있음

ⅰ. 사회구성체의 구조 : 토대와 상부구조 <사회> <사회구성체> 이데올로기 문화 정치적 장치 생산관계 ⅰ. 사회구성체의 구조 : 토대와 상부구조 이데올로기 문화 정치적 장치 생산관계 (생산양식) 상부구조 토대(중심) 사회의 경제적 구조 <사회> <사회구성체>

ⅰ. 사회구성체의 구조 : 토대와 상부구조 *토대(생산양식) 물질적 생산 활동의 중요성 “모든 인간 역사의 제1전제는 ⅰ. 사회구성체의 구조 : 토대와 상부구조 *토대(생산양식) 물질적 생산 활동의 중요성 “모든 인간 역사의 제1전제는 살아 있는 인간들의 존재이다” 물질적 생산 활동이 필수적(생계 수단의 생산) 역사의 출발점이자 결정적 요소

*토대(생산양식) 2. 생산양식의 변화로서 역사 *인간의 삶이나 사회는 어떻게 역사를 갖게 되었는가? 생산양식의 변화 생계 수단을 생산하는 방식이나 삶을 표현하는 방식 생산양식의 변화와 발전  사회 형태의 변화와 발전  인간의 삶에 역사가 출현

3.생산력과 생산관계 생산양식=생산력+생산관계 ㆍ생산력 : 물질적 재화를 창출해 내기 위해 사용되는 모든 능력 노동대상+노동수단 ∥ 생산수단+노동력 생산력+생산관계 =생산양식 ㆍ생산력 : 물질적 재화를 창출해 내기 위해 사용되는 모든 능력 (=노동대상+노동수단+노동력) ㆍ생산관계 : 생산 과정에서 맺는 사회적 관계(교류) 생산양식=생산력+생산관계

4. 소유관계와 계급 1)생산관계의 종류 : 소유관계, 조직관계, 분배관계 등 2)생산수단의 소유, 생산물의 분배 둘러싸고 대립·갈등 발생  (개인의 위치·이해관계에 따라) 계급 발생 ㆍ분업이나 노동수단과 같은 생산력의 발전  생산관계 특히, 소유관계 변화  계급 규정

ⅱ. 사회 구성체의 종류 *역사 발전 5단계론(구분 기준 : 생산양식) 1단계 원시 공동체 사회(primitive community) 2단계 고대 노예제 사회(slavery) cf. 아시아적 생산 양식 3단계 봉건제 농노 사회(feudalism) 4단계 자본주의 사회(capitalism) 5단계 공산주의 사회(communism)

ⅱ. 사회 구성체의 종류 1단계 원시 공동제 사회(primitive community) *역사 발전 5단계론 최초의 소유형태 : 부족소유 노동생산성 , 생산력 발달 수준 매우 낮음 혈연적 유대에 기초하여 사회가 구성되어 있음

ⅱ. 사회 구성체의 종류 2단계 고대 노예제 사회(slavery) *역사 발전 5단계론 cf. 아시아적 생산양식 -생산력이 발전하고 분업이 진척되며 사적 소유가 형성되고 계급과 국가가 출현 -제2형태 는 고대적 공동 소유 및 국가 소유 cf. 아시아적 생산양식

ⅱ. 사회 구성체의 종류 3단계 봉건제 농노 사회(feudalism) *역사 발전 5단계론 -제3형태는 봉건적 혹은 신분적 소유 -봉건제적 생산 양식 : 토지에 속박된 농노와 영주의 생산관계&동업조합에 속박된 도제와 장인의 생산관계

ⅱ. 사회 구성체의 종류 4단계 자본주의 사회(capitalism) *역사 발전 5단계론 -근대 부르주아적 생산 양식 : 대규모 분업과 대공장을 기반으로 한 근대적 사적 소유의 형태 -자본가와 노동가의 계급관계

ⅱ. 사회 구성체의 종류 5단계 공산주의 사회(communism) *역사 발전 5단계론 -생산수단에 대한 공동체적 소유를 기반 -계급 지배가 없는 상태에서 자유롭게 생산활동을 함 -이를 통해 자아 실현

“현존하는 모든 사회의 역사는 계급 투쟁의 역사이다” 특정사회의 경제적 생산양식이 그 사회의 구조와 성격을 결정한다 *역사 발전 5단계론 “현존하는 모든 사회의 역사는 계급 투쟁의 역사이다” 특정사회의 경제적 생산양식이 그 사회의 구조와 성격을 결정한다

Ⅲ. Discussion 1.역사를 유물론적 관점에서 볼 것인가? 2.역사 발전 5단계론을 보편적인 역사 발전 설명 방법으로 볼 수 있는가? 3.마르크스가 말한 프롤레타리아트의 연대를 통해 공산주의가 가능할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