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장 개방거시경제이론 제1절 주요개념 제2절 먼델-플레밍 모형 제3절 고정환율제도와 소규모 개방경제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상해에 소재한 해외자문사인 Citic-Pru ( 이하 “ 신성기금관리유한공사 ”) 이 중국 본토 A Share 주식에 대한 종목 선정 및 포트폴리오 구성을 담당 중국 A Share 주식편입비율은 60%~80% 수준 으로 유지. 다만, 시장에 대한 운용역의 확신이 높을 경우.
Advertisements

제 26 강 : 국제 수지 1 한국경제교육협회 일반인 표준 경제 개념 10. 국제 거래와 환율.
경제 경영 이야기 -9 기준금리 Call 금리. 기준금리 Official Bank Rate 한국은행이 금융회사와 거래하는 금리로 월부터 금융통화위원회가 발표하는 정 책금리를 기준금리로 바꾸고 대표적인 기준금 리인 RP 금리를 정례적으로 발표. 미국의 정책금리.
정부의 역할 – 재정정책과 통화정책. POD&mid=tvh&oid=422&aid=
제 24 장 금융위기 제 1 절 양적 완화 제 2 절 출구전략 제 3 절 맺음말. 제 1 절 양적 완화 (quantitative easing) 1. 양적 완화 ○ 유동성 함정 확장적 재정정책 - 시차, 승수의 크기, 재정적자 축소정책, … 양적 완화 - 일본 :
제24장 금융위기 제1절 양적 완화 제2절 출구전략 제3절 맺음말.
외환제도의 역사 과거에 국가간 무역거래와 금융거래의 형태는? 금본위제도(1821~1914) 금환본위제도( 중간기 )
총성없는 ‘환율전쟁’ 주단비 황진주 허아름 김유정 김소현 최지은.
실물경제 따라잡기 환율의 이해.
글로벌시대의 국제금융론 Part 03. 국제수지와 국민소득 균형.
4. 금융의 국제화 가.국제화와 세계경제 (1)국제화와 세계경제의 변화
개방경제의 거시경제학 : 기본 개념.
제 10 장 전자화폐와 통화신용정책.
위안화 절상 가능성과 한국경제에 대한 영향 차 례 Ⅰ. 위안화 절상 논쟁 김석진 · 송태정 · 신민영
국제금융론 무역학과 교수 한복연.
환율과 개방경제 CHAPTER 30.
11 거시경제의 단기균형: 개방경제.
제2장 주요 거시경제변수 제1절 : 국내총생산 제2절 : 실업률 제3절 : 생계비용의 측정 제4절 : 맺음말.
3장. 글로벌금융환경.
환율의 결정 Ch 환율결정의 메커니즘과 요인 5.2 전통적 플로우접근법 5.3 자산시장접근법
1.화폐수요의 정의 2.화폐수량설 3.유동성선호설 4.신화폐수량설
제6장 상품 및 화폐시장 제1절 : 상품시장과 IS곡선 제2절 : 화폐시장과 LM곡선 제3절 : IS-LM곡선과 정책효과
1-1 중기 20장에서는 단기를 분석하면서 고정 및 변동환율제하에 경제의 특징을 고찰하였음:
10장 거시경제학의 개관.
거시경제학 강의 1 거시경제학에의 초대.
제IV편 거시경제모형과 경제정책 제11장 화폐시장을 고려한 케인스이론(IS-LM모형)
개방경제의 거시경제학 : 기본 개념 © 2007 Thomson South-Western.
제9장 IS-LM-BP 모형 제1절 BP곡선의 도출 제2절 BP곡선과 정책효과 제3절 물가수준의 변화와 IS-LM-BP모형
금융정책과 재정정책이 총수요에 미치는 효과.
개방경제의 거시경제 이론 © 2007 Thomson South-Western.
거시경제정책의 이론과 실제 CHAPTER 29.
국제금융론 무역학과 교수 한복연.
우리나라의 환율제도 구 분 기 간 주요 내용 고정환율제도 Fixed Exchange Rate ~
제 18 장 화폐공급과 화폐수요.
계량분석에 의한 중동부유럽 경제위기 진단과 시사점
14-1 명목 및 실질 이자율 화폐단위로 나타낸 이자율을 명목이자율(nominal interest rates)라 한다.
17-1 기대와 결정: 기대, 소비 및 투자 결정 Figure 기대와 지출채널
환율에 대하여 예비 9기 조영완.
디플레이션의 정의 ☞ 물가수준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 종 류 ① 좋은 영향을 미치는 디플레이션
제7장 총수요곡선 제1절 총수요곡선의 도출 제2절 재정 및 통화정책과 총수요곡선의 이동 제3절 총수요곡선의 수학적 도출
제 7 장 거시경제의 단기균형: 폐쇄경제.
제 29 장+ 30 장(일부) 개방경제의 거시경제학: 기본개념.
파생금융상품 통화선물 4조 : 경영06 김민지 경영06 김인강 영문05 정연승 경영03 김일순.
제19장 솔로우 모형 제1절: 인구가 일정하고 기술진보가 없는 경우 제2절: 인구가 증가하는 경우
제20장 내생적 성장이론 제1절: 자본스톡의 재해석 제2절: 기술진보의 내생화 제3절: 맺음말.
빅맥지수와 GDP per capita 의 상관도
제10장 단기총공급이론 제1절 케인즈학파의 단기총공급이론 제2절 합리적 기대론자들의 단기총공급 이론 제3절 장기총공급곡선
개방경제의 거시경제 이론.
제16장 투자 제1절 토빈의 q이론 제2절 옵션이론 제3절 건축투자 제4절 재고투자 제5절 맺음말.
제 17 장 재정정책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경 제 학 원 론 경제학원론 제9장 거시경제학 개관.
개방경제의 거시경제학 : 기본 개념.
경기안정화정책: 연방준비제도의 역할 CHAPTER 27.
제 13 장 거시경제이론의 기초 13.1 거시경제이론의 기본 개념 13.2 총수요와 총공급.
제 33 장 총수요와 총공급.
제11장 실물경기변동이론 제1절 경기변동의 정형화된 사실 제2절 시장균형모형 제3절 기술충격과 실물경기변동이론 제4절 평가
제5장 무차별곡선과 현시이론 5-1 무차별곡선.
Chapter 3 변동환율 하에서의 거시경제의 독립성
기업과 거시경제 제5장 환율과 국제수지 국제통상학부 장성 열 교수.
국제수지와 환율 1학년 Ⅷ. 국민경제와 합리적 선택>3.세계 시장의 경제 경쟁과 협력> 13-14/16 사회
경 제 학 원 론 경제학원론 제14장 AD-AS와 균형국민소득.
ㄴ 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계량경제학 경제학과 오준혁 전산통계학과 김기현 경제학과 한민영
빈곤 및 소득분배와 개선효과 추이 대통령자문 빈부격차ㆍ차별시정위원회.
총수요와 총공급.
9 총수요곡선: 개방경제.
제 18 장 화폐, 연방준비제도와 통화정책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환율 & 환율변동의 영향 이해.
중국시장 전망 미래에셋자산운용 이덕청 상무 글로벌자산배분본부 본부장
제3장 글로벌금융환경 사회복지경영학부 2학년 전용배 박요한 곽영무.
중국시장 전망 미래에셋자산운용 이덕청 상무 글로벌자산배분본부 본부장
Presentation transcript:

제8장 개방거시경제이론 제1절 주요개념 제2절 먼델-플레밍 모형 제3절 고정환율제도와 소규모 개방경제 제4절 변동환율제도와 소규모 개방경제 제5절 변동환율제도와 고정환율제도 제6절 이자율의 국가간 차이 제7절 물가수준의 변화와 먼델-플레밍 모형 제8절 맺음말

1. 개방경제하의 국민경제 제1절 주요개념 GNP = GDP + 순수취요소소득 = C + I + G + 순해외자산증가 + 외환보유고증가  경상수지(순해외투자) = 순해외자산 증가 + 외환보유고 증가 순해외자산 증가 >  자본수지 적자  자본 순유출 순해외자산 증가 <  자본수지 흑자  자본 순유입 경상수지 = GDP - (C+I+G) + 순수취 요소소득 = GNP - (C+G+I) = GNP - (C+G) - I = S - I

제2절 먼델-플레밍 모형 - 물가수준 고정 - 소규모 개방경제 • r > rF : 자금유입  원화 절상  NX  IS 좌측 이동  r하락 - <그림 8.1> • r < rF : 자금유출  원화 절하  NX  IS 우측 이동  r상승 - <그림 8.2> • LM의 역할 : 화폐시장에서 균형소득(Y) 결정 - <그림 8.3>

제3절 고정환율제도와 소규모 개방경제 • 고평가된 고정환율과 차익거래: - 고정환율 1000원/$, 시장환율 1500원/$ - 고정환율 1000원/$, 시장환율 1500원/$ - 김선달 (가) 한국은행 : 1000만원  $10000 (나) 외환시장 : $10000  1500만원 - (가)  국내통화공급  LM 좌측이동 시장환율 • 저평가된 고정환율과 차익거래: - 고정환율 1000원/$, 시장환율 800원/$ - 김선달 (가) 외환시장 : 800만원  $10000 (나) 한국은행 : $10000  1000만원 - (나)  국내통화공급  LM 우측이동 시장환율

금본위제 : 고정환율제도 차익거래 → A국 중앙은행에서 → 50%의 수익률 A국의 통화와 금의 교환비율 1:1 B국의 통화와 금의 교환비율 2:1 → 금을 기준으로 한 A국 통화와 B국 통화의 교환비율은 1:2 만약 A국 통화와 B국 통화의 교환비율이 1:3 이면 차익거래 외환시장에서 A국 통화 한 단위로 B국 통화 3 단위를 구입 → B국의 중앙은행에서 금 1.5 온스와 교환 → A국 중앙은행에서 A국 통화 1.5 단위와 교환 → 50%의 수익률 → A국 통화공급 증가, B국 통화공급 감소 → A국 통화와 B국 통화의 교환비율은 1:2 로 수렴

1. 재정정책의 효과 2. 통화정책의 효과 제3절 고정환율제도와 소규모 개방경제 • G, T  IS 우측 이동  절상압력  M  LM 우측 이동  e 고정, Y - 순수출은 감소(e 고정, Y) - <그림 8.4> 2. 통화정책의 효과 •  MS  LM 우측 이동  절하압력  M  LM 원위치 - <그림 8.5> • 고정환율제도하에서 통화정책은 무력

3. 평가절하의 효과 제3절 고정환율제도와 소규모 개방경제 • 평가절하 IS 우측 이동  절상압력  M,  외환보유고 • 평가절하 IS 우측 이동  절상압력  M,  외환보유고  LM 우측 이동  e 절하, Y - <그림 8.6> • 평가절하, 평가절상 : 대공황기 평가절하국(덴마크, 핀란드, 노르웨이, 스웨덴, 영국 등)의 경험 외환위기 이전 중국의 평가절하

1. 재정정책의 효과 2. 통화정책의 효과 제4절 변동환율제도와 소규모 개방경제 • G, T  IS 우측 이동  r 상승압력  자본유입  주어진 Y에서 환율절상  IS 좌측 이동  Y불변 • 구축효과 : G  e  NX • 화폐시장 : 실질통화공급 불변  실질화폐수요 불변  r 고정. Y도 불변 <그림 8.7> 2. 통화정책의 효과 • M  M/P LM 우측 이동 r 하락압력 자본유출  환율절하  NX  IS 우측 이동  Y <그림 8.8>

제5절 변동환율제도와 고정환율제도 - 환율불안정 - 외환위기 가능성 - 사례: 1971 고정환율제도 붕괴 • 변동환율제도 • 변동환율제도 - 환율불안정 • 고정환율제도 - 외환위기 가능성 - 사례: 1971 고정환율제도 붕괴 - 게임의 법칙 경상수지 적자 외환보유고 감소, 국내통화공급 감소  장기적으로 물가수준 하락  실질환율 상승  경상수지 개선

제6절 이자율의 국가간 차이 r  rF • 위험보상 - <그림 8.9> • 환율변화기대 : 국내외 금리차 = 기대절하율 (제26장) r = rF +  •   I  IS 좌측 이동, L  LM 우측 이동  r 하락 압력, 자본 유출, 환율 상승  NX  IS 우측 이동 - <그림 8.10>

제6절 이자율의 국가간 차이 • 소득감소 가능성 : LM 좌측 이동 - <그림 8.11> - 절하기대  자본유출  외환시장 개입(자국통화 매수, 외환보유고 감소)  국내통화공급 감소 - 환율 절하  수입물가 상승  국내물가 상승  실질통화공급 감소 - 화폐수요 (안전자산) 증가

제7절 물가수준의 변화와 먼델-플레밍 모형 • P M/P LM 우측 이동, NX  IS 우측 이동  , Y <그림 8.12> • 총수요곡선 우하향 <그림 8.13 > • 단기  장기 - 불황 P  M/P LM 우측 이동, NX IS 우측 이동  , Y P  SRAS 아래로 이동  Y <그림 8.14> , <그림 8.15>

<그림8.1> <다시본문으로>

<그림8.2> <다시본문으로>

<그림8.3> <다시본문으로>

<그림8.4> <다시본문으로>

<그림8.5> <다시본문으로>

<그림8.6> <다시본문으로>

<그림8.7> <다시본문으로>

<그림8.8> <다시본문으로>

<그림8.9> <다시본문으로>

<그림8.10> <다시본문으로>

<그림8.11> <다시본문으로>

<그림8.12> <다시본문으로>

<그림8.13> <다시본문으로>

<그림8.14> <다시본문으로>

<그림8.15> <다시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