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인적자원관리의 의의 노무관리, 인사관리, 인적자원관리란? 전략적 인적자원관리란? 인적자원관리의 발전 추이는?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1 AMTC Consulting Group “ 믿음과 신뢰 ” AMTC 컨설팅 Group Value Creating Company.
Advertisements

HRD 체계 및 계획수립 Contents  HRD 체계 / 계획 수립 기본 Process  성인학습자의 특성  기업 교육의 형태  기업 교육의 일반적 정의  학습이론의 변천  HRD 의 정의  HRD 패러다임 Shift  Mission, Vision,
Service Operations Management
2002년 CJ-HRD 경영계획.
C ontents Ⅰ 서 론 Ⅱ 교육훈련프로그램 효과성 평가 개념 및 모형 Ⅲ 교육훈련프로그램 효과성 평가 우수 사례 Ⅳ
1. IT 환경 변화 Ⅳ. 프로젝트 추진방안 기업이 당면한 다양한 문제 해결을 위해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IT 시스템이 개발되었으며, 이는 기업 내 데이터 발생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음. IT 환경 변화는 단순 데이터가 아닌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급격하게.
3차원 입체영상 pc방 사업제안서 2005.
1. 인적자원관리의 개념 인사·노무관리란 기업 내 인간노동에 관한 관리활동의 총칭으로 인사·노무관리의 영역과 개념 구분의 차이에 따라 다양한 용어가 쓰이고 있다. 미국에서는 노동자관리(labor management), 인사관리(personnel management, personnel.
제1장 인적자원관리의 의의 노무관리, 인사관리, 인적자원관리란? 전략적 인적자원관리란? 인적자원관리의 구조는?
인사전략과 인적자원개발 Wisdom21 Management Consulting
품질개선활동 본 강의 자료는 2003학년도 교육인적자원부·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지원에 의하여 개발된 것임.
직무가치중심인사시스템 2004년 5월 발표자 : 오 영환(경영학박사) 한국능률협회컨설턴트.
Cisco Systems의 리더십과 조직문화
비전및중.장기경영전략수립TFT 세미나.
HR Strategy의 전체상 3. 인적자원관리 전략과 기능 1) 인적자원관리 전략과 정책 Unchangeable
인사조직 부분 컨설팅성공사례 ㅡ조직혁신(Organization Innovation) 컨설팅 사례연구ㅡ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운영 사례 LG Electronics LG전자 목 차 Learning Center
사업장의 교육이론과 실제 산업안전교육원.
제3장 인사 환경과 정책적 이슈 학습과제 저성장은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고령화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Comshare Decision을 이용한 SCM Monitoring
경쟁력이 있는 기업의 영업전략 Wisdom21 Management Consulting
우수기업사례 금호아시아나의 핵심역량 모델링을 통한 교육체계와 인재육성 사례
핵심 인재 육성 전략 2006년 4월 우 하영.
2001년 4월 성공적인 중소기업 ERP시스템 구축전략
선진기업의 인적자원관리 성공 사례 유 규 창 (숙명여자대학교 경영학부)
BPMS의 이해 (Business Process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by Performance Objectives)
한국통신 BSC도입사례 한국통신 김윤정.
CRM에서의 Data Quality Management
ISO 9001:2000 프로세스 접근방법의 이해와 적용 베스트경영컨설팅(BMC).
S18/S49 The VISUAL Quality System
품질경영(ISO/FDIS 9001:2008) 개정규격 핵심내용 설명
제 2 장 기업경영이란.
Human Resource Management
Action Planning : 변화관리 7단계 모델과 변화추진계획 수립.
인사부장 교류회 강의용 핵심인재 선발/육성 사례 LG전자 인사팀장.
보호지역 관리효과성 평가 개요 Management Effectiveness Evaluation on Protected Areas Jirisan & Sumjin river 국립공원관리공단 MEE Team.
KMS 구현 및 활용사례 경쟁력 강화를 위한 2002년 5월 28일(화) 김 연 홍 상무 / 기술사
6시그마의 최근 동향과 적용사례.
조직개발 4 조직개발의 개념과 특성 조직개발(organizational development: OD)
경영전략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강사 박 지 혜.
제 1 장 소 개 시스템 분석 및 설계 허철회 2006학년도 2학기 상주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AMOREPACIFIC Human Resources
인사, 조직, 전략 연구의 분화와 통합 송 계 충 (충남대학교 경영학부) 년 8월21일 도입사례 (3분)
제 13 장 경영혁신과 혁신적 경영기법 학과 교수.
Chap 2 Developing and Implementing Marketing Strategies and Plans
강의 구성 제 1부 기업과 경영 및 환경 제 2부 경영의 관리기능 제 3부 경영의 업무기능 제 4부 경영의 신조류 및 기법
사 내 한 성명 NDS 업적목표관리제도(PMS)운영 매뉴얼 주식회사 엔디에스 인사교육팀.
지식경영 현황 및 과제 발 표 자 료 서울 2003년 2월 Booz Allen Hamilton Standard Colors
BISCO International® 본 자료는 비서 및 사무 전문가들의 국제적인 협회인
신입사원육성체계 및 Mentoring System
The Pay System Techno MBA과정 박 시 연.
The Practice of KM operations
The eight quality management principles are: (품질경영의 8가지 원칙)
ERP 개념과 성공요인.
Physical Distribution
Ⅰ. 인적자원관리의 기초 Ⅱ. 인적자원관리의 중요성 Ⅲ. 인적자원관리의 목표와 기준 Ⅳ. 인적자원관리의 주체.
(Source: G.T.Milkovich and J.M.Newman, Compensation 7th ed, 2002.)
전략적 경영관리.
제1장 21세기 환경변화와 노사관계 전략 한국표준협회.
제1강 경제학과 경영학 박덕제 교수 안영도 교수.
ISO 9000:2000 이해와 필요성.
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직원 역량개발과 육성전략
- 자기계발혁신 프로그램 - PCIP 개발의 목표 HPWS의 구축과 PCIP PCIP Concept PCIP 목적
제2장 인적자원관리시스템의 유형 동서양의 인적자원관리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사람 중심의 인적자원관리란?
목 표 관 리.
E-HR 설계 기본(안) for x x x HR 팀.
인적자원관리론 1장 인적자원관리의 내용, 목표, 주체 하성욱 사회과학대학 경영학부.
인사관리의 의의와 목적.
2013년도 혁신적 인적자원관리 - 인적자원관리에서 해답을 찾아라 - 제 1장 인적자원관리의 개념 및 체계.
Presentation transcript:

제1장 인적자원관리의 의의 노무관리, 인사관리, 인적자원관리란? 전략적 인적자원관리란? 인적자원관리의 발전 추이는? 인적자원관리 부서(원)의 기능과 역할은? 인적자원관리의 관리 원칙은?

1. 인적자원관리의 개념 인사·노무관리란 기업 내 인간노동에 관한 관리활동의 총칭으로 인사·노무관리의 영역과 개념 구분의 차이에 따라 다양한 용어가 쓰이고 있다. 미국에서는 노동자관리(labor management), 인사관리(personnel management, personnel administration), 인력관리(manpower management), 인적자원관리(human resources management) 등의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는 인사관리와 노무관리라는 용어를 구별해서 사용하고 있다. 화이트칼라 관리를 인사관리, 블루칼라 관리를 노무관리로 구별하는 경우가 있다. 직종간 차별의 해소라든가 학력별 신분제의 구별이 희석되는 가운데도 인사관리는 인사과, 노무관리는 노무과, 노사관계 관리는 노정과(勞政課)라는 식의 관행이 남아있다. 중소기업은 총무팀 등에서 인사기능을 수행하고, 대기업은 인사지원팀, 인사기획팀, 노경협력팀 등의 명칭으로 기능을 구분하는 경우가 있다. 기능별 구별로 볼 때 인사관리는 종업원의 개별관리, 즉 인력확보, 활용 및 육성, 성과평가, 성과보상 등의 관리에 관한 것임. 이를 협의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종업원에 공통적인 사항의 처리, 즉 임금·노동시간·복리시설·작업조직·안전위생 등의 모든 사항과 집단적 노동의 모든 규칙의 결정 및 관리, 운영과 이에 따른 취업규칙, 노동협약, 단체교섭, 노사협의회 등의 노사관계의 관리는 광의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1) 인적자원관리란?

1. 인적자원관리의 개념 1) 인적자원관리란? The management function that is concerned with getting, training, motivating, and keeping competent employees. Balancing the supply of employees with the demand for employees. Matching the talents and skills of employees with those required by the organization. Creating a working environment that fosters high employee performance. Meeting the pay and benefits needs of employees. HRM refers to the polices, practices, and systems that influence employees’ behavior, attitudes, and performance (Raymond A. Noe et al, 2003) 직무분석 인력계획 모집선발 활용 및 육성 성과평가 성과보상 노사관계 환경 성과

Competent employee → + 환경적 요소 → SHRM 1. 인적자원관리의 개념 2) 전략적 인적자원관리란? “HRM is the management function concerned with getting, training, motivating, and keeping Competent employee → + 환경적 요소 → SHRM (Source : Stephen P. Robins, David A. DeCenzo, Fundamentals of management, Prentice Hall, 2008, p.129.)

1. 인적자원관리의 개념 2) 전략적 인적자원관리란?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Framework 경영이념을 구현하고 사업전략을 달성하기 위한 인적자원 관리 구조와 운영 -경영 환경 -경영 이념 - 인사원칙 사업 전략 - 인사방침 능력관리 성과관리 조직관리 혁신관리 리더쉽 2) 전략적 인적자원관리란?

* of the customer 1. 인적자원관리의 개념 For the strategy By the people 전략과 제도화 경영이념/비전 전략 인사정책 제도화 변화관리 승진제도 직급제도 배치이동제도 평가제도 교섭 제도 보상제도 정치,경제,법률,기술,사회문화적 환경 채용제도 육성제도 구조와 운영 환경 For the strategy By the people TOOL * of the customer 2) 전략적 인적자원관리란?

1. 인적자원관리의 개념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개요(삼성그룹 사례) 2) 전략적 인적자원관리란?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process(삼성생명 사례) 1. 인적자원관리의 개념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process(삼성생명 사례) 2) 전략적 인적자원관리란?

2. 인적자원관리의 발전추이 20세기초 21세기초 Craft Production Mechanized Automated M.E.(Digital) Skilled Labor Machine Operator Controller Knowledge (IT,BT etc) Mgt Personnel Manpower HR 생산성(efficiency) 비용절감 감독 직무만족도 동기유발 리더십 고객만족도 경쟁력강화 품질관리 화이트칼라생산성 가치창출 성과관리 人在시대 人材시대 人才시대 人財시대

3. 인적자원관리 전략과 기능 1) 인적자원관리 전략과 정책의 변화 ● 99년도 인사노무관리 발전 방향에 관한 조사 ● 조사일시 : 98년 12월 ● 조사대상 : 286 개 사(제조업 212, 비제조업 74, 중소기업 150, 대기업 136)

3. 인적자원관리 전략과 기능 As art For people Satisfaction/Equity Equal opportunity Contingency As science For information Effectiveness Accountability Competitiveness “HR as a competitive advantage” “HR professionals as strategic business partners” 2) HRM Principle/Role Shift

3. 인적자원관리 전략과 기능 3) 인사부서(원)의 역할과 기능 Future/Strategic Focus People Processes Operational Management of Strategic human resources transformation And change firm infrastructure employee contribution Change agent Strategic partner Administrative Expert Employee Advocate (champion) Negotiation communication overcoming resistance to change data-based decision making performance –based Legal compliance contract administration e-HRM & HR information system counseling developing teams

3. 인적자원관리 전략과 기능 4) 인적자원관리 패러다임 변화와 관리원칙

End of Docu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