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회학 2장 교육사회학의 이해.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목차 C ontents 개요 모범사례 결론 주일학교는 교회의 미래다 교회의 노쇠화 지금부터 100 년 전 영국 어린이들의 두 명 중에 한 명, 50% 가 넘는 숫자가 주일 학교에 출석했는데, 그 중에 많은 수는 교회에 다니지 않는 가정의 아이들이었 다. 그러나.
Advertisements

School of Computer Science & Engineering Page 1 3, 4 학년 대상 공학교육인증제 소개 경성대학교 컴퓨터공학부 2012 년 3 월 5 일.
제 10 장 재가 노인복지서비스. 재가노인복지서비스 1.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이해 2.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현황 3. 문제점 및 개선방안.
4. 세계 속의 우리 경제 우리나라 무역의 특징 무역이 이루어지는 까닭무역의 개념 우리나라 무역의 미래.
1 경제전쟁시대, 이순신을 만나다 ( 이순신 리더십 ) 경제전쟁시대, 이순신을 만나다 ( 이순신 리더십 )
시작합니다. 오후 6 시 15 분, 당신은 집으로 향해 혼자 운전 중입니다. 오늘은 직장에서 유난히 힘든 하루였습니다. 너무 지치고 피곤하고 또한 좌절스럽고 ……
www.ohmygallery.co.kr 전세계의 명화들을 모았다 ! 오마이갤러리 소개서.
( 시행) 수강학생들은 첨부자료를 다운 받아, 수업시간에 가져오기 바랍니다.
-이 실습을 통해 반영적 의사소통(적극적 경청)과 비 반영적인 의사소통(걸림돌)의 차이점을 많이 발견하도록 해 줍니다.
2015년 동계 어학 + 기업 탐방 GLP프로그램 (제20기)
건강가족지원센터 다문화가정지원센터.
GYEONGSANGNAM-DO OFFICE OF EDUCATION
내과분과전문의 수련 및 자격 인정 등에 관한 규정과 동 시행 규칙
청소년과 함께 밝은 미래를 향하여! 현 황 소 개 사단 법인 한국청소년육성회 (
마음을 담아 드립니다. ING생명 백두지점 Financial Consultant 이 인 기 ☞
CGV+월드비전 공동 연말 나눔 캠페인 월드비전경남지역본부 055) 하재현 팀장
교육과 언어적 상호작용, 체험학습 3조 E41040 김권 E46038 최병문 E46059 강에리 E46060 강주희
귀농/귀촌과 지역(충주시) (사)농촌으로 가는길 성 여 경.
신입생학부모교육과정연수자료 울산광역시교육청 ULSA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3학년 3반 29번 하상현.
“선교지의 문화를 이해하라” 샅치기 게임 준비물 : 표지, 진행지, 페이스페인팅 물감 선교지의 풍습을 이해하라.
2007년 충북경영자총협회 workshop 일본 정부와 사이타마현의 노사정 협력모델 한신대학교 한광희 교수.
문화정책 및 문화예술 교육의 이해.
지금 시각 오후 6시15분…평소와 다름없이 하루 일과를 마치고 피곤한 몸을 이끌고 자동차를 운전해서 집으로 돌아가고 있다고 생각해봅니다.(당신은 차안에 혼자 있습니다) 기운도 없고 몸은 천근만근처럼 느껴집니다…
대학 특성화사업 (CK-Ⅰ, CK-Ⅱ) 한국연구재단 학술진흥본부 대학지원팀 대학지원팀.
도 로 주 행 (A) 코 스 남 천 남 천 ⊙ ▣ FANUC KOREA㈜ 위아㈜ 정동공장 ㈜세양정공 ㈜효성 에바라
6. 공학교육인증 대상: 학부 또는 학과 (인증대학 2005년 14개, 2013년 88개)
인성교육중심 수업강화를 위한 관리자 워크숍 강 성 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장
고전읽기융합전공 설명회 일시: 2014년 11월 24일(월) 18:30 장소: 제2공학관 302호
진로 목표 설정 이 대 성.
국제회계기준 시행 후 변화업무 예측 및 사례교육
CAD/CAM 및 실습(04) 메 카 트 로 닉 스 공 학 부 1. 도면 2. 공구설정 3. NC Data 작성
자동차부품 취급설명서 Volkswagen Korea는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제50조 1항에 근거하여 자기인증제 대상품목에 대한 안전성을 보증하며, 자기인증제 해당 부품에 대한 취급설명서를 소비자분들께 공지해 드립니다. 헤드램프 안전벨트 브레이크호스 후부반사기 창유리 안전삼각대.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제 4 강
1장 교육의 본질 2주 - 교육이란 무엇인가?.
Affective Computing 산업 정보 시스템 공학과 임지택.
Biblical Parent Education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대안교육과 대안학교 [ 공 연 의 상 학 과 ] 고은경 김남희 송예민 이초희 장혜경.
사회복지개론 직업으로서의 사회복지 13차시.
흔히들 잘 알려져 있는 IT 엔지니어의 분류.
현대 교육철학 이론들(1): -실존주의교육론, 분석철학과 교육론, 비판교육론- 3월 26일 강 옥 화
교육학 개론(1조) introduct to education
Wee Class 란? 전남생명과학고 wee class 임은주.
Ⅰ. 가족복지 개관 가족복지론 최진령.
4월 둘째 주 광 고 2016학년도 1학기 채플 위 광고내용은 학교 홈페이지에 게시합니다.
생태유아교육.
교육사회학의 이해 (2판) - 강창동 저 -.
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
3. 백터해석(Kinematic Analysis using Vector)
자아 찾기 / 정체성 확립 창의공학설계.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꼰대와 멘토.
아동복지의 의의 1차 방어선 친가정 2차 방어선 입양 대리가정 위탁가정 3차 방어선 시설보호.
사교육 없는 세상과 부모 역량강화 I · N · V · I · T · A · T · I · O · N 열린부모교육학회
Last Update : Mar 2018 EBSCO KOREA
교육의 사회적 기초 교과명 교육학개론 담당교수명 홍성훈 교수님 학과 유아교육과 중등특수교육과 발표자 한수진, 김형미,
LTSystem in Korea since 2011
로 마 서 서울장로회신학교 2007년 1학기 김학철 (Ph.D.).
교육목표와 교육목표 이론 | 교육학과 | B반 | 문성현.
미래를 준비하는 VR 코딩 제품소개서 2019 ㈜헬로앱스 4차산업 시대의 핵심 기술 VR 김영준
Chapter 8 교육과정의 이해.
PBL 토의 회의록 1. 만난 날짜,시간, 만난 사람들 기록 2 책 제목 정하기 - 책 선정하기까지의 과정
제2강 사회학의 형성과 발달.
컴퓨터의 이해와 활용 (수).
지용희 교수 서강대학교 경영학부 <경제전쟁시대, 이순신을 만나다>著
경북대학교 IT대학 컴퓨터학부 소개자료.
CODING SOFTWARE CREATIVE EDUCATION CENTER
1. 프로젝트접근법의 정의 □ 프로젝트 접근법이란?
㈜커티스국제여행사.
Presentation transcript:

교육사회학 2장 교육사회학의 이해

1. 교육사회학의 발달과정 1883년, Ward의 역동적 사회학에서 시작 인간진보와 사회변화의 원천으로서의 교육의 중요성 강조 인간진보와 사회변화의 원천으로서의 교육의 중요성 강조 2. 1899년, Dewey의 학교와 사회는 교육사회학 발달의 활력소가 됨 3. 뒤르켐(Durkheim), 교육사회학의 창시자 교육의 기능을 인간의 사회화, 교육을 통한 사회화. 저서 : 교육과 사회, 도덕교육

1. 교육사회학의 발달과정 사회는 사회구성원들 사이에 일정 수준의 동질성을 가지고 있을 때에 존재할 수 있다. 교육의 기능은 동질성을 가르치고 영속화, 강화한 다. 4. 1907년, 미국, 스잘로, 교육사회학 강좌 개설 5. 1927년, Journal of Education Sociology

(Sociology of Education) 1. 교육사회학의 발달과정 6. 젠센(1965), - 교육적 사회학 : 교육을 사회진보(발전)의 수단, 사회의 요구가 학교의 목표와 과정에 반영되어 야 한다. - 교육의 사회학 : 교육관계자에게 필요한 사회학 적 방법과 기술을 부여하는데 초점이 있다. 7. Morrish(1972), 교육학자 & 사회학자, 다학문적 접근을 제시 교육사회학 (Sociology of Education) Now

1. 교육사회학의 발달과정 8. 한국(1952년), 서울대 사범대, 교육사회학(선택) In Korea 8. 한국(1952년), 서울대 사범대, 교육사회학(선택) 9. 1954년, 서울대 사범대, 필수과목으로 개설 10. 1955년, 중등교사 교직과목에 포함

2. 교육사회학의 성격 교육 사회는 상호간에 밀접한 관계성을 가진다. 교육 사회는 상호간에 밀접한 관계성을 가진다. 교육 사회 교육사회학은 교육에 대한 사회학적 접근을 통해서 교육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있다.

2. 교육사회학의 성격(개념) 교육사회학은 사회학적 연구방법에 의하여 교육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교육의 기능 및 현상을 사회학적으로 파악하려고 하는 학문이다. 교육현상에 이해, 분석하려는 학문 교육과정, 교사와 학생의 관계와 기능을 파악 교육의 사회성에 초점을 맞추고 교육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려는 지적 활동 , 김신일(2000)

2. 교육사회학의 성격(개념) 결론적으로 교육사회학은 1)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의 차이를 이해하게 하고, 2)교육정책결과를 평가할 수 있는 안목 기르며 3)교육에 대한 사회학적 상상력을 기르게 하여, 사회통합을 통한 공동체 정신을 일깨우는데 도움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