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질해양학 과제 최성진 이창진 박영재 이은선.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I. 내가 사는 세계 2. 위치에 따른 지역 차이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시간 위치에 따른 낮과 밤의 변화 태양시와 표준시, 시차 계절이 다른 북반구와 남반구 계절이 반대인 북반구와 남반구.
Advertisements

목성에 대해서 서동우 박민수. 목성 목성은 태양계의 5 번째 궤도를 돌고 있습니다. 또 한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으로 지구의 약 11 배 크기이며, 지름이 약 14 만 3,000km 이다. 목성은 태양계의 5 번째 궤도를 돌고 있습니다. 또 한.
농도 퍼센트 농도 용액 (2) 내 안에 너 있다 !. 학습 목표 용액의 묽고 진한 정도를 결정하는 요인을 설 명할 수 있다.
7 대 자연 경관으로 선정된 성산일출봉.  제주도의 지질  한라산의 지질및 생태환경  백록담.
- 인류의 역사와 환경 및 기후변화. 인류의 역사 지구 기후 시스템과 주요 메커니즘 산업혁명 전 ∙ 후 지구환경 및 기후변화 주요 원인.
최근 겨울이 추운 이유 : 지구온난화의 비선형성 국종성 한국해양과학기술원 Collaborators : 장연수, 정지훈, 김백민.
1. 도형의 연결 상태 2. 꼭지점과 변으로 이루어진 도형 Ⅷ. 도형의 관찰 도형의 연결상태 연결상태가 같은 도형 단일폐곡선의 성질 연결상태가 같은 입체도형 뫼비우스의 띠.
1 지구상의 물 분포 2 염류의 근원 : 바닷물은 왜 짤까요? 3 염분비 일정의 법칙 4 염분의 정의 및 발전과정 5 표층해수의 염분 분포.
R>0R
조사자 : 이준호 담당선생님 : 박문열 선생님. 1. 선정동기 2. 작도란 ? 3. 작도의 규칙과 기본작도 4. 정삼각형과 정사각형의 작도 5. 정오각형의 작도 6. 정오각형 작도 그리기 순서 7. 3 대 작도 불능 문제 8. 결론 9. 느낀점 10. 자료 출처.
서론 결론 및 향후 계획 본론 ( 기압계 유형별 안개 사례 분석 ) 가지산 옥녀봉 치술령 삼태봉 동대산 무룡산 울산공항.
주제 – 식물에 자외 선차단제를 바르면 어떻게 될까 ? 주제선정이유 우리는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면 타지 않는데 식물은 어떤 반응을 나타낼까 궁금해서.
III.유럽의 생활 일찍 산업화를 이룬 서부 및 북부 유럽 수목농업이 발달한 남부 유럽 민족과 문화가 다양한 동부유럽과 러시아.
포도산업의 고부가가치 융복합화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사례 (농가형 와이너리-관광산업 연계)
Volumetric efficiency, ηv (체적효율)
HOT한 것은 싫어! 운리중학교 1학년 6반 27번 박성준.
귀납적 탐구 활동 단계 관찰 주제 선정 관찰 방법 및 절차 고안 관찰 수행 관찰 결과의 기록과 정리 교사의 안내.
태 풍 예 보 분 석 서-발 생 감 시 단 계 해수온도 850hPa 유선 해 양 상 태 일 기 도 수 평 순 환
Ⅱ. 태양계와 지구 Ⅱ-2. 지구 구성 원소와 지구계 2. 지구의 진화.
II. 생동하는 지구 2. 유체 지구의변화 2-1 기압과 날씨(1).
2011학년도 1학년 융합과학 수업자료 019 Part.3 지구의 형성과 진화.
태 풍 예 보 분 석 서-발 생 감 시 단 계 해수온도 850hPa 유선 해 양 상 태 일 기 도 수 평 순 환
작도에 대하여 조사자 : 이준호 담당선생님 : 박문열 선생님.
세계의 날씨 Weather of the world.
왜 이렇게 덥지? 김정녀 작사, 작곡 2010년 MBC 창작동요제 대상.
원정초등학교 5학년1반 48번 윤민정.
정전유도 커패시턴스와 콘덴서 콘덴서의 접속 정전 에너지 정전기의 흡인력
Excel 일차 강사 : 박영민.
전기에 대해 알아보자 영화초등학교 조원석.
앨고어의 긴급한 환경리포트 불편한 진실 AN INCONVENIENT TRUTH.
1-3. 지구의 탄생과 진화(1)
발명의 명칭 IR LED Auto Control 발명의 목적
연안실험실습 결과 발표 5조 고인준 박지성 최 별 탁용진 한아름.
지구온난화 안녕하십니까? 비즈니스 IT학부 최준하 입니다. 비즈니스 IT학부 최준하.
박성진 컴퓨터 프로그래밍 기초 [09] 배열 part 1 박성진
Dokdo abyssal current 4조
지구의 환경이 생물에게 미치는 영향 지구온난화로 인한 문제.
지구 환경은 어떻게 되어가고 있는가? 8조 노 범 식 이 승 용.
2조 식품생명공학과 조광국 배석재 윤성수 우홍배
2. 기후와 기후 변화는 어떻게 일어나는 것일까? 기상과 기후 엘니뇨와 라니냐.
극지해양학 발표논문 Antarctic circumpolar current's role in the Antarctic ice system: An overview 이 종석.
지구온난화 보고서.
밀도 (1) 부피가 같아도 질량은 달라요 ! 밀도의 측정 밀도의 특징.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다음 노래들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노래 듣기 바람 노래 제목에 이 들어 간다..
생활 속의 밀도 (1) 뜨고 싶니? 내게 연락해 ! 물질의 뜨고 가라앉음 여러 가지 물질의 밀도.
해양생태학 2016년 1학기 안순모.
자원과 환경 제 4장. 태양 에너지
Ⅰ. 소중한 지구 1. 행성으로서의 지구 1-3. 지구계의 순환과 상호작용.
태풍과 토네이도 물리현상의 원리 제5조.
2017 겨울 極夜, 오로라 여행 북유럽의 온난한 날씨와 한파 극야 현상 오로라 폴란드, 발트3국, 핀란드.
균형이진탐색트리 이진 탐색(binary search)과 이진 탐색 트리(binary search tree)와의 차이점
4.4-3 대기 대순환 학습목표 1. 대기 대순환의 원인과 순환세포를 설명할 수 있다.
중2 사회 Ⅴ.자연재해와 인간생활.
3-5. 태양계와 행성(2).
물리 현상의 원리 TIME MACHINE.
Changing Arctic Ocean freshwater pathways
빛을 가장 잘 받는 색깔은? 물메초등학교 6학년 홍민선.
Cause and Evidence Group 10.
덴마크의 Herrzsprung과 Russell에 의해 고안된 태양 부근 별들의 표면온도와 절대등급 사이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별들이 몇개의 무리로 분류된다는 사실을 알았다. 후에 이것이 그들의 이름자를 딴 H-R도가 되었으며, 별의 분류와 그 특징을 알아보는 중요한.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P 86.
P (2) 지구계의 구성 요소의 특징과 역할.
24 명 사망 246 명 사망 Telangana州 2014년 독립 188 명 사망
II. 생동하는 지구 1. 고체 지구의변화 1-3 판의 운동과 변동대(2).
유체 속에서 움직이는 것들의 발전 진행하는 추진력에 따라 압력 차이에 의한 저항력을 가지게 된다. 그런데, 앞에서 받는 저항보다 뒤에서 받는 저항(흡인력)이 훨씬 더 크다. 유체 속에서 움직이는 것들은 흡인에 의한 저항력의 최소화를 위한 발전을 거듭한다. 그것들은, 유선형(Streamlined.
7장 원운동과 중력의 법칙.
한국 등 서태평양지역 겨울 기상이변 (혹한) 우려 라니냐 (La Nina, 反엘리뇨 Anti-El Niño) 현상
(3) 바람 ① 계절풍(monsoon) – 대륙과 해양의 비열차 ㉠ 여름 – 고온다습한 남동·남서계절풍 벼농사
꽃잎의 수로 피보나치 수열하기 장전초등학교 6학년 신찬유.
Presentation transcript:

지질해양학 과제 최성진 이창진 박영재 이은선

ㅇ 깊은 해수는 밀도 차이에 의해 이동 → 밀도는 염분과 열에 좌우 ㅇ 밀도차에 의한 거대한 흐름 → Conveyor Belt ㅇ Conveyor Belt에의해 열적평형을 이룸

ㅇ Green land의 빙하가 녹아 많은 양의 담수가 유입 ㅇ 차갑지만 상대적으로 밀도가 작아 침강하지 못함 ㅇ Conveyor Belt가 정지 ㅇ 열적평형이 이루어 지지 못해 북반구는 더 추워지고 남반구는 더 더워지게 된다. ㅇ 유럽에 빙하기가 올 수 있다 → 소빙하기 이론

ㅇ 영화속 거대한 토네이도 , 우박등 → 실제 빙하기가 올 때 발생하는 현상 X ㅇ 지구온난화가 더욱 강한 폭풍을 야기할수 있다. ㅇ 거대한 폭풍의 중심의 강한 하강기류 → 영하 50도의 공기가 지상으로 하강 →하강하는 공기가 너무 빨리 지표에 도착 → 지표를 얼리는 냉풍

ㅇ 북극해의 담수(fresh water)가 1990년대 이후 무려 20% 증가 ㅇ 북극의 빙하가 녹고 강물 유입량의 증가 ㅇ 대서양 해류의 흐름이 바뀔 것인가에도 주목 ㅇ 해류의 흐름이 바뀌는 상황이 올지는 아직 더 두고 봐야함 ㅇ 북대서양에 담수가 많이 유입되면 열차단 효과가 나타나기에 냉각효과가 나타 나게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