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기관의 해부 및 생리 우송대 언어치료청각재활학과 탁 평 곤.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적화, 적과를 할 때 액화, 액과 따기의 중요성 前 이바라기현 과수협회장 구로다 야스마사.
Advertisements

3-4 주빈, 신예린 목차 탐구 동기와 탐구 일시 및 장소, 참고 자료 갯벌이란 ? 갯벌 탐사에 사용되는 도구 (1,2) 유명한 갯벌 ( 우리나라 ), 여러 갯벌 축제 갯벌이 만들어지는 조건 람사르 협약이란 ? 람사르 협약에 가입된 우리나라 생태지 밀물과 썰물 갯벌에.
응 급 처 치 법응 급 처 치 법 응 급 처 치 법응 급 처 치 법. 응급처치법 1) 현장조사, 의식확인, 연락 현장은 안전한가 조사한다. 119 나 응급의료기관에 연락한다. 발바닥을 간지럽히거나 가볍게 꼬집어 본다. 0 ~ 4 분 4 ~ 6 분 6 ~ 10 분 10.
트렁크 안에서 천정을 보았을 때 무늬와 같은 형태의 홈이 있습니다. 트렁크 실내등 트렁크 스프링 앞으로 볼링핀 모양 이라 부르겠 습니다.
도덕적 성찰 준거의 의미와 필요성을 이해할 수 있다. 학습 목표 올바른 도덕적 성찰의 준거를 설명할 수 있다.
과채류 ( 수 박 ) 발표자 : 농어업조사과 장 천 숙. 목 차 1 월별 작업 흐름 2 재배 방법 3 병충해 방지 4 수박의 효능.
학생의 건강문제와 건강관리 김미애 박경순 심지연 이은주 이지혜 정형범 황보섭 황지영.
경주 수학여행 6학년 5반 15번 유송연.
용주사 보고서 6-5 / 16번 / 장경서.
지구온난화란? 지구 표면의 평균온도가 상승하는 현상이다. 땅이나 물에 있는 생태계가 변화하거나 해수면이 올라가서 해안선이 달라지는 등 기온이 올라감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를 포함하기도 한다.
若者文化 김현주 이규혁 박현빈 전인성 임준형.
瑞山 가는 길 지난 10월 31일 07:00 ~ 11월 01 21:00 서해안 여행을 했습니다
상처와 출혈 응급처치 한국산업안전공단.
Ⅴ. 건설 기술과 환경.
◈ 동명 건축 연구회 ◈ 건축 시공 III 제I장 - 2. 블록 쌓기 공사 편 동명정보공업고등학교.
생 각 하 기 1. 내가 생각하는 어린이란? 2. 내가 생각하는 어른이란? 3. 어른이 된다는 것 은?
북한의 음식 북한음식…..
취업/자기계발동아리 참가자 오리엔테이션 전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각주구검(刻舟求劍) - 刻 새길 각 舟배 주 求구할 구 劍칼 검 판단력이 둔하여 세상일에 어둡고 어리석다는 뜻
Prayer Attendance Homework.
이리신광교회 건축관련보고 문준태 익산시노인종합복지관장.
순환&면역 6조 박아름 이명동 최제춘.
종이헬리콥터 하귀일초등학교 5-1 양현석.
제주북초등학교 6학년 심화반 김학선 지도교사 : 고동림 선생님
소음성 난청 서울강서 근로자건강센터 강모열.
청각기관의 구조와 기능 옥 정 달.
Modeling of Auditory System
The Trismus Muscle (牙關緊急 근육)
발의 12경맥과 경혈.
Chap 7_2. 실제 세계와의 통로 센서 기울기 센서(SW-520D) 진동 센서(SW-18020P)
고령 사용자를 위한 인간공학적 제품 설계 제 1장 고령화시대와 인간공학 권 구 태.
혜원 신윤복 [申潤福, 1758~. ] 조선 후기의 풍속화가
피부의 구조와 기능 피부로 읽는다. 피부의 감각점 피부 감각점의 분포와 자극의 민감도.
자전거 기어의 원리 한림초등학교 6학년수학영재 임지혁.
목차 인체생리학의 개요 인체의 구성체계 세포의 구조와 기능 세포막을 통한 물질이동 Ⅰ Ⅱ Ⅲ Ⅳ.
지하탱크저장소 1. 정의 지하에 매설된 탱크에 위험물을 저장하는 장소 2. 특징
안전보호구 교육교재 대우조선해양주식회사 (HSE지원팀).
김은영 수줍은 자기소개서☞☜.
우리나라의 수자원 물 보기를 금같이 우리나라의 수자원 현황 우리나라의 수자원 이용 현황.
조복(朝服) 조선시대 문무백관들이 조하(朝賀)나 의식 때 입던 관복
태양의 크기 지구, 달, 태양 누가 가장 클까? 태양의 크기 측정 지구, 달, 태양의 크기 비교.
장애인 바로 이해하기 - 청각장애 동양대학교 장애학생지원센터 작성일 : 2016년 7월.
기주 공명 실험 1. 실험 목적 진동수를 알고 있는 소리 굽쇠의 진동을 이용하여 기주를 공명시켜
잔류전류감지기 광명소방서 광명119안전센터 정대성.
지역의 자연 환경과 인문환경 조사 사회 1학년 1학기 Ⅰ.지역과 사회 탐구>1.지역사회의 지리적 환경(3/6
P 탄성력과 마찰력 생각열기 – 높이뛰기 세계 신기록은 약 240cm 인데, 장대높이뛰기 세계 신기록은 약 620cm 이다. 이렇게 차이가 나는 까닭은? ( 높이뛰기는 다리의 근육의 힘으로 뛰는 반면 장대높이 뛰기는 장대의 탄성력을 이용하기 때문이다.)
소음성 난청의 원인과 대책 - 지원팀 -.
제 8강. 영유아 발달과 보육프로그램.
우리는 누구인가?.
3조:김다영,나민지, 서빛나,송영호, 장연정,연희 발표자:서빛나
기본 테이블 스타일링 학교 : 대경대학 푸드과 학번 : 이름 : 김예림 과목 : 양식 테이블 세팅
가을에 만날 수 있는 곤충.
4분의 기적, 심폐소생술 1.
장신구 4학년 5반 김도형.
상차림과 식사 예절.
제주북초등학교 영재학급 기초반 김지원 지도 교사 : 김대진 선생님
자연환기 벤틸레이터 형태에 따른 환기 특성 자연환기 벤틸레이터 형태에 따른 환기 특성을 발표하게된 창원대학교 하현철입니다.
주유취급소 마) 설치위치 고정주유설비 : 도로경계선 - 4m 부지경계선,담,건축물 벽 - 2m(개구부 없는 벽1m)
1 끼임 1 크레인 취급 작업 2 화재/폭발·파열 3 물체에 맞음 4 떨어짐 5 부딪힘 2 지게차 취급 작업
유체역학 마이크로마노미터의 이론과 공식을 설명하라. 환경공학과 김기복.
세포는 어떻게 분열할까? 학습 주제 <들어가기> 양파를 물이 담긴 유리컵에 기르면 뿌리가
고기압과 저기압이 이동하는 위치 예상하기 수업활동.
소리와 초음파 파동(wave) : 한 곳에서 생긴 (매질의) 진동상태가 다른 곳으로 퍼져가는 (energy) 현상
6.3-4 탄성력에 의한 위치 에너지 이 단원을 배우면 탄성력에 의한 위치 에너지를 설명할 수 있다.
청력 검사 탁 평곤 우송대학교 언어치료청각재활학과 1.
Ⅱ. 생활 속의 과학 탐구 7. 생활 주변에서 탐구 가능한 질문 찾아 수행하기 과학탐구실험 고등학교 탐구 목표 단원 열기
아프타성 구내염- 환자 교육용.
2강. 경학의 개념과 기혈 대체의학 강사 박지혜
Sound on 아름다운 인생을 위하여 ‘러브 북’ 중에서.
Presentation transcript:

청각기관의 해부 및 생리 우송대 언어치료청각재활학과 탁 평 곤

귀 구조  내이로 전달된 소리는 청신경을 통 해 뇌의 청각 영역으로 전달됨 외이(external ear, outer ear) – 소리를 모아 전달해 주는 역할 중이(middle ear) – 음파를 기계적인 에 너지로 바꾸어주는 역할 내이(inner ear) – 기계적인 에너지를 전 기적 에너지로 바꾸어주는 역할  내이로 전달된 소리는 청신경을 통 해 뇌의 청각 영역으로 전달됨

소리 전달 방식 공기 전도 ( air conduction) 골 전도(bone conduction) -> 소리 – 외이- 중이 - 내이 골 전도(bone conduction) ->두개골 – 내이 ( 순수골전도) ->두개골 – 이소골 – 난원창 (골고실전도)

외이 귓바퀴 또는 이개 (pinna or auricle) 외이도 ( external auditory canal, EAC) 외이의 주요 기능은 소리를 모아주는 것 외이는 소리의 방향을 지각하는데 도움 줌 Preyer reflex ( 먹잇감이 있는 곳을 향해 귀를 쫑긋 세우는 반사를 가리킴)

이개 (귓바퀴) 이륜 (helix) 대이륜 (antihelix) 주상와: 이륜과 대이륜 사이의 함몰부 삼각와: 대이륜 안쪽의 함몰부 이개정( cymba concha):대이륜 안쪽 함몰부 위쪽 이개강(cavum concha): 대이륜 안쪽 함몰부 아래쪽 이주(tragus) : 이개정을 덮는 모양으로 전방에서 돌출한 것 대이주(antitragus) 주간절흔: 이주와 대이주 사이 귓볼(lobule)

외이 이개 두께 : 0.5 ~ 1mm 탄성연골(elastic cartilage)과 피부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음 피하 지방층이 없고 혈관도 단층으로 되어있 어서 동상에 걸리기 쉬움 이개는 삼차신경의 지배를 받음

외이도 이개정(cavum concha)에서 고막까지 성인의 길이 : 3 ~3.5cm, 넓이 7~9mm S 자형으로 굽어져 있음 바깥쪽 1/3은 연골, 2/3은 뼈로 구성 신생아는 측두골이 발달이 안되어서 골부 외이도 가 없음 연골부에는 이모낭, 피지선, 이도선이 있어서 귀 지(cerumen/ear wax)가 생김 귀지는 이도선의 분비물, 산성 성분이 있어서 벌 레들을 물리치는 성질을 가지고 있음

미주신경(vagus nerve)과 삼차신경이 지배 하고 있음 외이도를 자극했을 때 기침이 나는 것은 미주 신경 때문 임 후두질환이 있을 때 귀에 통증이 있는 것도 미주 신경 때문 임

외이에서 소리전달 방향지각하는 요인 고주파 : 반사(reflection)가 되어 양이의 소리 크기가 차이가 남 저주파 : 회절(diffraction)되어 양이에 도달 하는 시간차이가 남

외이 공명효과 소리를 공명(resonance)시키는 역할을 함 외이도 공명 주파수 : 2-3kHz 외이도 공명 효과 : 15-20dB

중이 측두골(temporal bone) 안에 위치 중이 구조물 : 고막 (tympanic membrane) 고실 혹은 중이강(middle ear cavity) 이관(Eustachian tube) 이소골(ossicle)

고막 외이도와 고실 사이에 위치한 얇은 막 크기 : 가로 9-10mm, 세로 8-9mm 두께 : 0.1mm 모양 : 타원형으로 40-50도 기울어짐(성인) 색깔 : 진주회백색 빛에 반사되어 밝게 보이는 부분 : 광추(cone of light) – 5시방향(오른쪽) 7시방향(왼쪽) 고막은 내측으로 약간 함몰됨 : 제(umbo)

Umbo 부분에 추골병(handle of malleus)이 붙어있음 추골추벽을 중심으로 긴장부와 이완부로 구분 됨 3개의 층 : 피부층, 섬유층, 점막층 고막이 팽팽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은 섬유층이 있기 때문

이소골(ossicle) 고막 뒤에 위치 추골(malleus), 침골(incus), 등골(stapes)로 구분 추골 이소골 중에서 가장 큰 뼈 두부(head), 경부(neck), 자루(handle)로 구성

침골 몸체(Body), 장각(long crus), 단각(short crus) 등골 우리 몸에서 가장 작은 뼈 Head, neck, 전각, 후각, 족판(footplate) 윤상인대(annular ligament)에 의해 난원창 (oval window)에 부착

고실 중이강이라고도 함 공기로 가득 차 있음 고실 안에는 이소골과 이내근이 있음 난원창(oval window)과 정원창(round window)이 위치해 있음 고막 부착 위치에 따라 상고실, 중고실, 하고 실로 나뉨 고실 앞쪽은 이관에 의해 코와 연결

이내근 고막장근(tensor tympani muscle) – 이관의 상부 에서 나와 추골의 경부(neck) 하방에 부착 됨, 삼차신경 에 의해 지배를 받음 등골근(stapedius muscle) –중이 후벽에서 나와 건 (tendon) 형태로 등골 neck에 부착 됨, 안면신경의 지배 를 받음, 수축하면 등골이 후외방으로 당겨진다. 이 두개의 근육은 강한 음으로부터 반사적으로 수 축하여(고막장근의 수축은 고막을 중이강쪽으로, 등골근의 수축은 등골을 수직으로 들어올림) 내 이를 보호하는 기능

이관 Eustachian tube라고 함 이관의 길이 : 3.5-4cm 고실쪽 1/3은 골부, 2/3는 연골로 구성 이관은 평상시 폐쇄되어 있으나 연하, 하품, 침 삼키는 행동을 통해 열리게 됨 공기 압력 조절 이관이 열리는데 주고 구개범 장근이 역할 아동의 경우, 짧고 수평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중이염에 걸리기 쉽다.

중이에서 소리 전달 소리가 중이에서 내이로 전달될 때 임피던스가 발 생해서 소리 대부분이 반사되고 오직 0.1%만이 흡수되므로 증폭기전이 필요함 1. 고막과 등골족판(혹은 난원창)의 면적비가 17:1이므로 음압이 증가하여 약 25dB 정도 증폭 2. 지렛대효과 – 추골병과 침골 비율이 1.3:1 -> 2.5dB 정도 증폭 3. 고막의 buckling effect : 약 6 dB 정도 증가

내이 측두골의 추체부에 위치 구조와 형태가 복잡하므로 미로(labyrinth) 구성 : 와우, 전정, 반규관 미로는 골미로와 막미로로 구성 골미로에는 외림프(perilymph), 막미로는 내 림프(endolymph)로 차 있음 내이에서 기계에너지가 신경전기 에너지로 전환되어 뇌로 전달됨

와우 Cochlea란 달팽이를 의미 와우는 2.5번 회전 길이 : 3.5cm 기저, 중간, 첨단부로 구분 기저막은 상부보다 하부가 더 얇고 좁으며 뻣 뻣하다. 즉 상부는 두껍고 넓으며 느슨하다. 고주파수는 기저부에서 저주파수 소리는 첨 단부에서 반응

와우 가운데는 와우의 축이 되는 뼈가 있는데 와우축(modiolus)이라 함 와우관 정상은 helicotrema에 의해 연결 전정계 (scala vestibuli) 중간계 (scala media) 고실계(scala tympani) 와우 가운데는 와우의 축이 되는 뼈가 있는데 와우축(modiolus)이라 함 와우관 정상은 helicotrema에 의해 연결 중간계 외측 벽에 혈관조(stria vascularis)가 있어서 내림프 분비 및 영양 공급 라이즈너막 기저막

기저막 위에 코르티 기관이라 하는 와우 감수기가 있음 위쪽에는 tectorial membrane(개막)이 있음 코르티 기관 에는 내유모세포와 외유모세포가 있는데 주 세포간에 의해 분리됨 내유모세포는 1줄로 배열, 외유모세포는 3줄로 배열. 유모세포 주위에는 지지세포들이 있음(Dieter 세 포)(Hansen)(claudis)

성인의 코르티기관의 전체길이: 평균 34mm 이중 기저회전은 20.9mm, 중간회전 9.2mm, 첨단 회전 3.9mm 내유모세포는 플라스크 모형이며, V자형으로 1-2열 배열 외유모세포는 원주형 모양, W자형으로 3열 배열되 어 있고 내유모세포보다 glycogen이 많이 함유되 어 있다. 유모세포의 강직도는 기저회전에서 강하고 첨단으 로 갈수록 유연하다.

각 코르티 기관의 유모세포는 15,500 – 17,000개이 며 내유모세포가 3500 -4500, 외유모세포가 12,000 – 12,500 정도다. 섬모의 길이는 4um, 두께는 0.1um이며 섬모의 끝 은 개막에 들어가 있다. 기저막은 길이 32mm, 폭은 기저부에서 0.08mm 첨단으로 갈수록 0.498mm이다. 외유모세포는 개막에 견고하게 붙어있고 내유모세 포는 느슨하게 부착되어있어 기저막이 움직일 때 외유모세포는 직접 영향을 받는다.

내이에서의 소리전달 진행파(travelling wave) 기저막은 음의 주파수에 따라 진동되는 부위가 다름 기저막은 기저부에서 첨단부로 갈수록 넓어짐 경직성(stiffness)은 기저부가 크고 무게는 첨단부가 큼 저주파수는 첨단부에서 최대 진폭을 하고 고주파수는 기저부에서 최대 진폭을 한다-tonotopic 현상 – 베케 시의 이동파 이론에 의해 밝혀짐

유모세포들과 연결된 청신경섬유는 2가지로 나눌 수 있음 - 구심성 신경(afferent neuron) : 뇌쪽으로 정보 전달 - 원심성 신경(efferent neuron) : 뇌로부터 말초 부분으로 정보 전달

구심성 신경 중 95%는 type 1 섬유로 내유모 세포와 연결되어 있고 나머지 5%는 type2로 외유모 세포와 연결되어 있음

중간계에는 내림프액이 있음 전정계와 고실계는 외림프액이 있음 내림프 액은 Na+이온보다 K+ 이온이 더 많이 포함되어 있음 외림프 액은 K+이온보다 Na+ 이온이 더 많이 포함되어 있음

소리자극의 전달경로 뇌의 저장 표현 이해 확인 신경명령 변별 운동신경의 유형 감지 음향신호 입력 언어 그리고 산출

감지(detection) : 소리의 유무에 대한 인식 변별(discrimination) :두 소리를 들었을 때 같거나 다르다고 말하는 능력 확인(identification) : 들리는 소리가 어떤 소 리인지 말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 이해(comprehension) : 감지하고 변별하고 확인에 대한 종합적이고 최종적인 단계를 가 리킴

음의 전파 경로 이개 – 외이도 – 고막 – 이소골 – 난원창 – 전정계 – 고실계 – 정원창 – 내림프액에 압력을 가함 – 기저막 진동 – 개막 진동 – 유모세포를 움직임 – 신경 흥분 –청신경 – 대뇌 피질

청신경의 전도 전정와우신경은 전정신경가지(vestibular branch)와 청 각신경가지(acoustic branch)로 갈라짐 전정신경가지는 평형감각을 담당 청각신경가지는 소리 전달을 담당 청신경은 측두골을 지나 내이도를 통과하여 뇌간으로 이 어짐. 이 단계에서 대부분의 신경섬유들이 한쪽 귀에서 다 른 쪽 귀로 교차되고 일부는 교차되지 않음 뇌가 양쪽 귀에서 들리는 소리를 비교할 수 있음

중추청각경로

귀의 지각 능력 공간 및 시간에 대한 변별능력은 양쪽 귀를 필요로 함(binaural hearing) 1400Hz 이하의 음원(sound source) 방향을 결정하는 데는 두 귀의 시간차가 중요한 역할 1400Hz 이상의 음원 방향을 결정하는 데는 두 귀 사이의 소리 크기 차이가 역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