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IV편 거시경제모형과 경제정책 제14장 안정화 정책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 화 ) 주네덜란드대사관 (e)2013(e) GDP(%) 민간소비 (%) 투자 (%) 정부지출 (%)
Advertisements

Energy Demand and Supply Outlook 2040 APERC. Business as Usual Scenario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총 에너지 수요는 2040 년까지 50% 증가할 것으로 예상 에너지 수요의 증가는 수송부문의 수요 증가에 기인. 수송용.
정부의 역할 – 재정정책과 통화정책. POD&mid=tvh&oid=422&aid=
1 2. 시황 및 전망 ♦ 미국 금리인상 우려로 급락후 반등 과정  대형주 중심의 포트폴리오 수급이동이 KOSPI, KOSDAQ 의 극명한 수익률 차이를 보임.
© 김경환, 김종석 제 31 장 총수요와 총공급. © 김경환, 김종석 경기변동의 세 가지 중요한 특징  경기변동은 불규칙적이고 예측하기 어렵다. -불경기와 호경기가 반복되지만, 그 지속기간에는 일정한 패턴이 없다.  대부분의 거시경제변수들은 함께 움직인다. -소득,
1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 이차전지 시장에서 국내 업체들이 선전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위의 시장점유율, 양산경쟁력 확보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제 24 장 금융위기 제 1 절 양적 완화 제 2 절 출구전략 제 3 절 맺음말. 제 1 절 양적 완화 (quantitative easing) 1. 양적 완화 ○ 유동성 함정 확장적 재정정책 - 시차, 승수의 크기, 재정적자 축소정책, … 양적 완화 - 일본 :
Trend Watching 과정 (주) 미래인재개발원 변화의 시대를 읽자!
구조조정(restructuring)의 필요성
사회적 비용&외부효과 이별희 최미니.
Samsung Electronics 5 forces
11 거시경제의 단기균형: 개방경제.
1.화폐수요의 정의 2.화폐수량설 3.유동성선호설 4.신화폐수량설
제6장 상품 및 화폐시장 제1절 : 상품시장과 IS곡선 제2절 : 화폐시장과 LM곡선 제3절 : IS-LM곡선과 정책효과
제 18 장 생산요소시장 1.
거시경제학 강의 1 거시경제학에의 초대.
제 36 장 거시경제에 관한 다섯 가지 쟁점.
제IV편 거시경제모형과 경제정책 제11장 화폐시장을 고려한 케인스이론(IS-LM모형)
단기에서의 총지출과 총생산 CHAPTER 26.
인플레이션, 총수요, 총공급 CHAPTER 28.
외부효과.
금융정책과 재정정책이 총수요에 미치는 효과.
개방경제의 거시경제 이론 © 2007 Thomson South-Western.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1. 식량자원 3. 식품 안전성.
[부가가치세회계] 정지선 교수 제1주 부가가치세회계.
가계 부채가 늘어나는 진짜 이유는 따로 있다?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박용호.
거시경제정책의 이론과 실제 CHAPTER 29.
재무회계의 개념체계 재무회계의 목적 회계의 기본가정 회계정보의 질적 특성 재무제표의 구성요소 회계원칙(회계기준) 제약조건
제 36 장 거시경제에 관한 다섯 가지 쟁점.
생산요소시장.
제 16 장 총공급과 총수요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제7장 생산량과 생산비 7-1 생산비용 7-3 단기비용함수 7-4 장기비용함수 7-5 결합생산물의 수입극대화조건
응용 : 조세의 경제적 비용 © 2007 Thomson South-Western.
환율에 대하여 예비 9기 조영완.
디플레이션의 정의 ☞ 물가수준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 종 류 ① 좋은 영향을 미치는 디플레이션
제 7 장 거시경제의 단기균형: 폐쇄경제.
6 거시경제의 장기균형:폐쇄경제.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제19장 솔로우 모형 제1절: 인구가 일정하고 기술진보가 없는 경우 제2절: 인구가 증가하는 경우
마케팅연구의 필요성 기업의 경영관리 인사관리(men : 인력관리) 재무관리(money : 운전자본)
개방경제의 거시경제 이론.
제 17 장 재정정책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7.1 경기변동의 후생비용.
OECD 평균 한국
1. 인력계획 1) 인력 계획 프로세스 사업계획 인력계획 과부족 비교 인적자원 수요 예측 가용 인적자원 예측 과잉인력 적정인력
경제학원론 제 3 장 탄력성의 개념과 경제적의의 1.
제 33 장 총수요와 총공급.
제3장 수요.공급이론의 적용 3-1 가격 및 임금의 통제.
3 시장청산과 총공급곡선.
제11장 실물경기변동이론 제1절 경기변동의 정형화된 사실 제2절 시장균형모형 제3절 기술충격과 실물경기변동이론 제4절 평가
제 3 장 공급과 수요 (Supply and Demand)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제5장 무차별곡선과 현시이론 5-1 무차별곡선.
제4장 세계화 이슈 제1절 세계화와 빈곤 제2절 세계화와 환경 제3절 세계화와 노동 제4절 세계화와 지역화 논쟁.
홍수추적 담당교수명 : 서 영 민 연 락 처 :
1. 노동시장의 개념 “노동시장(labor market)이란 노동공급과 수요가 상호작용하여 임금과 고용이 결정되는 메커니즘”
제8장 개방거시경제이론 제1절 주요개념 제2절 먼델-플레밍 모형 제3절 고정환율제도와 소규모 개방경제
외부효과.
부분균형과 무역.
제 11 장 독점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소비자 선택 이론 © 2007 Thomson South-Western.
빈곤 및 소득분배와 개선효과 추이 대통령자문 빈부격차ㆍ차별시정위원회.
총수요와 총공급.
Pro-log 경영자 수난시대 -한국:김우중, 정몽구, 두산그룹 형제 등 -미국:기업비리혐의 유죄 선고 CEO 증가
제1장 재무관리란 무엇인가? 에센스 재무관리 (제5판).
9 총수요곡선: 개방경제.
제 18 장 화폐, 연방준비제도와 통화정책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중국 중산층 장기 해외여행자 증가 이유 언어정보학과 김예원.
9장 계산하기 (paying the bill)
중국시장 전망 미래에셋자산운용 이덕청 상무 글로벌자산배분본부 본부장
중국시장 전망 미래에셋자산운용 이덕청 상무 글로벌자산배분본부 본부장
Presentation transcript:

제IV편 거시경제모형과 경제정책 제14장 안정화 정책 1.재정정책 2.통화정책 3.소득정책

제14장 안정화 정책 -경제정책: 단기적 안정화 정책과 장기적 성장정책 -안정화 정책(stabilization policy): 경제의 총수요조절로 거시경제목표달성   거시경제목표: 산출량증대, 완전고용, 물가안정, 환율안정 등   총수요곡선의 이동(총수요측면의 교란을 조절): 통화, 재정정책    단기 총공급곡선의 하향 이동유발: 소득정책    -성장정책: 경제의 생산기반확충 =장기 총공급곡선의 우측이동 , 생산가능성곡선(PPF)의 외연확대 -주요 안정화 정책: 재정정책, 통화정책, 소득정책 -여기서는 이러한 안정화 정책이 갖는 특성을 중심으로 살펴봄

1.재정정책 (1)예산과 재정정책 *재정의 의미 -정부가 가계와 기업으로부터 거두어들인 조세수입 등을 기반으로 하여 공공재와 공공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수행하는 정부부문의 경제활동을 통칭하여 재정이라 함. -재정은 주로 예산의 편성을 통해 집행되는데 이러한 재정의 집행을 재정정책이라고 함 1)예산(budget) -예산; 주어진 기간(통상 1년)의 정부사업의 지출계획(세출)과 예상수입(세입)을 나타냄   흑자예산(세입>세출), 적자예산, 균형예산 -적자예산의 경우 주로 국공채 발행하여 차입

1.재정정책 (1)예산과 재정정책

1.재정정책 (1)예산과 재정정책 -정부부채(gov't debt) 또는 공공부채(public debt) 또는 국가채무, 국가부채: 정부가 발행하여 민간(가계, 은행, 기업, 외국 등)이 보유하고 있는 국공채의 총액   -최근 한국의 경우 정부부채의 비중이 크게 증가 2)재정정책 (fiscal policy)   -재정(예산)의 집행: 재정활동=재정정책 -재정의 기능 자원배분: 생산요소의 공급과 각 생산부문의 생산량에 영향(공급측면 정책)  소득분배 경기조절(경제안정과 성장): 거시경제목표(경제안정, 높은 성장, 높은 고용 등)를 위해 조세와 정부(재정)지출을 이용(수요측면 정책)

1.재정정책 (1)예산과 재정정책

1.재정정책 (1)예산과 재정정책 3)정부규모 *최근에 정부규모에 대해 논란이 제기됨 -정부는 재정지출뿐 아니라 규제를 통해서도 민간 경제활동에 개입: 정부는 재정지출을 통해 공공재와 공공서비스를 공급하고 규제를 통해 민간의 경제활동을 규율 -그러나 과다한 재정지출은 세부담과 국가채무를 증대시키고 지나친 규제는 경제활동의 자유를 제약하여 시장활력을 저해 *전통적으로 정부규모의 척도로는 재정지출만이 이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규제를 포함하여 정부규모를 파악하는 추세 -한국은 외환위기 이후 GDP대비 재정지출이 증가추세

1.재정정책 (1)예산과 재정정책 3)정부규모 *재정지출규모로 본 정부규모 -정부의 범위에 대해서는 견해차 존재 -정부범위에 대한 국제적 기준(IMF의 GFS)은 ‘중앙정부+지방정부+비영리공공기관’ -정부공식통계는 비영리공공기관 중 일부만 포함 -재정지출규모 산정시 가장 큰 견해차이는 공기업의 포함여부(국제기준은 공기업을 재정지출에서 제외)

1.재정정책 *정부규모 -IMF의 GFS(A Manual on Government Finance Statistics)

1.재정정책 (2)재정정책의 운용방식: 재량적 정책과 자동안정장치 1)재량적 재정정책(discretionary fiscal policy) -정부가 경제여건의 변화에 대응하여 세율이나 지출프로그램을 변화시키는 의도적 활동 *재량적 재정정책의 주요수단   공공사업, 공공고용사업, 세율의 변화 등 -공공사업은 성장과 발전을 위한 장기적 재정정책으로 단기적 안정화 정책으로 보기 곤란   경제를 안정화시키기 보다는 오히려 경제를 불안정화시킬 가능성 -공공고용사업: 단기적, 일시적 고용창출사업   효과가 직접적, 낭비적 -세율의 변화:  효과가 빠르고 광범위, 그러나 낮추기는 쉬워도 올리기는 어려우며 국회동의 필요   일시적 세율변화는 효과가 미미

1.재정정책 (2)재정정책의 운용방식: 재량적 정책과 자동안정장치 1)재량적 재정정책(discretionary fiscal policy) *경기침체기에는 적극적 재정지출확대가 필요 -경기침체기의 재정정책의 목적은 정부의 직접적 투자나 기업지원을 통해 투자를 촉진하고 소득보조와 일자리창출로 소비를 증진하는 것으로 =도로, 교량건설 등 SOC투자 확대, 생활안정자금 지원 등 소득보조, 중소기업 고용보조, 공공기관의 고용확대를 위한 기금조성 등이 핵심 -예컨대, 한국도 2008년의 금융위기 시에 약 27조원의 재정지출투입

1.재정정책 (2)재정정책의 운용방식: 재량적 정책과 자동안정장치 1)재량적 재정정책(discretionary fiscal policy)

1.재정정책 (2)재정정책의 운용방식: 재량적 정책과 자동안정장치 1)재량적 재정정책(discretionary fiscal policy) *경기침체기에는 적극적 재정지출 확대가 필요하나 지출확대만으로는 경기부양에 성공할 수 없으며 중장기 재정건전성도 반드시 확보해야 함 =재정적자의 만성화를 방지하여 중장기 재정건전성도 확보해야 함: 재정적자가 장기간 지속되면 정부가 증세를 통해 적자 해소할 것이라는 우려로 오히려 소비침체를 유발하고 국가신인도 저해, 세부담 가중되기 때문(일본의 예) =출구전략(exit strategy)이 필요 -지출의 경직화 방지를 위한 제도적 장치를 강화 경기부양목적의 재정지출과 관계된 법령에는 1-2년의 한시성부여 경기부양용 소규모 SOC와 국가경쟁력강화용 대규모 SOC를 구분 소득보조지출은 사회보험지출확대를 억제하고 재량적 지출(기초생활보장제도, 긴급지원제도, 근로장려세제 등)활용

1.재정정책 (2)재정정책의 운용방식: 재량적 정책과 자동안정장치 2)자동안정(화)장치(automatic stabilizers) -경제여건의 변화에 따라 조세와 지출이 자동적으로 변하여 경제를 안정시키는 제도적 장치 -조세(누진세제도)수입과 이전지출(실업보험, 저소득층에 대한 정부보조금) -이것만으로 경기변동을 완전히 해결할 수 없음

1.재정정책 (3)예산과 재정적자의 개념: 구조적 예산과 경기적 예산 -통상 예산(재정)적자발생(세출>세입)->총수요증가->경제활성화 유발하는 것으로 인식 -그러나 구조적 예산(structural budget)과 경기적 예산(cyclical budget)으로 구분해야 함   구조적 재정수지(high employment budget balance, standardized budget balance)와 경기적 재정수지(cyclical budget balance)로 구분 -구조적 재정적자인 경우에만 총수요의 증가 유발 -IMF는 구조적 재정수지를 추정, 공표할 것을 권고(2002년 초) *실제예산은 구조적 예산과 경기적 예산으로 구분 -실제예산 주어진 기간 동안의 명목적인 지출, 수입과 적자의 실제적인 기록

1.재정정책 (3)예산과 재정적자의 개념: 구조적 예산과 경기적 예산 *실제예산은 구조적 예산과 경기적 예산으로 구분 -구조적 예산   정부의 재량적 재정정책에 의해 결정되는 적극적인 예산부분   경제가 완전고용상태(잠재적 GDP)에 있는 때의 지출, 수입, 적자 -경기적 예산 경기변동에 의해 수동적으로 결정되는 예산부분   자동안정장치에 의해 유발되는 예산부분   실제예산과 구조적 예산의 차이   경기변동이 예산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냄 -재정정책의 효과를 알기 위해서는 구조적 적자를 보아야 함  구조적 적자의 증가는 총수요를 증가시켜 경제를 활성화시킴   경기적 적자의 증가는 재정확대의 표시라기 보다는 오히려 경제가 하강함으로 보여줌

1.재정정책 (4)재정적자와 정부부채의 영향 *재정적자(유량변수); 단기적 문제 -정부부채는 주어져 있다고 가정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와 관련된 문제 *정부부채(저량변수): 장기적 문제   -정부부채의 장기적 영향 1)구축효과 -정부지출증가(재정적자의 증가)가 민간투자(그리고 소비)를 감소시키는 효과 -정부지출증가(재정적자)에 따른 이자율의 변화로 정부지출의 효과가 상쇄된다는 주장

1.재정정책 (4)재정적자와 정부부채의 영향 1)구축효과 -구축효과에 대한 몇 가지 문제와 반론 ①구축효과는 구조적 적자인 경우에만 나타나고 경기적 적자(경기하락으로 인해 적자가 발생)의 경우에는 나타나지 않음. 왜냐하면 경기적 적자의 경우에는 적자가 있더라도 화폐수요감소로 이자율이 하락하기 때문 ②구축효과의 크기: 통상 불완전한 구축효과 발생 불완전(부분)구축(케인지안) 완전구축(고전학파, 통화론자): LM선이 수직이거나 AS선이 수직(이 경우 물가상승으로 이자율 상승)인 경우

1.재정정책 (4)재정적자와 정부부채의 영향 1)구축효과 ③구인효과(crowding in effect)=負의 구축효과(케인지안) -정부지출의 증가로 투자가 더 촉진 정부지출증가->산출량증가->투자증가    케인스의 경제 가정: 투자가 소득의 함수(이자율고정), 불황경제 -구인효과는 케인스 모형에서 나타나는 또 하나의 역설로 투자촉진의 역설(paradox of investment encouragement)이라고 볼 수 있음 절약의 역설: 저축증가(민간저축증가)->산출량감소, 투자감소 투자촉진의 역설: 정부지출의 증가(정부저축의 감소)->산출량증가->투자증가

1.재정정책 (4)재정적자와 정부부채의 영향 1)구축효과 -구축효과냐, 구인효과냐? 현실의 실증적 문제 =>전체적으로 부분구축효과를 지지

1.재정정책 (4)재정적자와 정부부채의 영향 2)정부부채의 장기적 영향 ① 정부부채의 원리금상환을 위해 세금부과 *조세부담은 미시경제적 왜곡유발: 이자소득과 근로소득에 과세 =>저축과 노동유인감소

1.재정정책 (4)재정적자와 정부부채의 영향 2)정부부채의 장기적 영향 ② 정부부채의 증가가 실물민간자본에 영향을 미침 -민간이 소지하는 자산의 형태=정부채권(국공채)과 민간자본(민간의 자본과 시설에 대한 청구권) -정부부채의 자본구축(치환, 대체)효과(displacement of capital)   정부부채의 증가 =>민간의 재산에서 국채보유증가 =>민간자본스톡이 공공부채에 의해 구축(치환) =>민간자본량 감소 =>잠재적 산출량감소 => 산출량감소=>생활수준하락

1.재정정책 (4)재정적자와 정부부채의 영향 2)정부부채의 장기적 영향 ② 정부부채의 증가가 실물민간자본에 영향을 미침 -<그림14-2>에는 민간자본에 대한 수요공급곡선이 그려져 있음   정부부채가 없는 초기균형점은 E0 정부부채(ab만큼의 정부부채)가 있는 경우 자본공급곡선이 Ks1으로 왼쪽으로 이동 =>새 균형점은 E1(민간자본스톡은 K1이고 이자율은 r1):  민간자본이 감소하고 성장이 둔화

1.재정정책 (4)재정적자와 정부부채의 영향 2)정부부채의 장기적 영향 -자본구축(치환)효과는 장기적 관점에서 본 (지출)구축효과   단기에서 정부지출(재정적자)증가로 투자감소   장기에서 정부부채증가로 민간자본스톡감소  

1.재정정책 (4)재정적자와 정부부채의 영향 2)정부부채의 장기적 영향 *전체적으로 정부부채의 증가는 장기적으로 성장에 유해하다는 것이 전통적 견해

1.재정정책 (4)재정적자와 정부부채의 영향 2)정부부채의 장기적 영향 *그러나 정부부채로 정부투자(SOC, R&D)=>성장에 기여 -정부의 적극적 역할강조 -최근의 금융위기를 돌파하고 신성장동력의 확보를 위해 각국이 정부 R&D투자를 확대하고 있음 *한국도 위기극복을 위해 대규모 R&D투자를 계획하고 있으나 성과가 미흡하다는 지적

1.재정정책 (5)재정정책과 공급측면 *재정정책이 총지출만이 아니라 경제의 생산능력 또는 잠재산출량에 영향을 미침 =>재정정책은 종종 공급측면정책이라고 볼 수 있음 -공공자본에 대한 정부지출은 총수요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공급측면정책이 됨 -정부의 조세 및 지출프로그램은 유인구조에 영향을 미치며 따라서 가계와 기업의 경제적 행동에 영향을 미침: 공급측면경제학(Supply Side Economics, 1980년대 R. Reagan 대통령 집권 당시) Ex)이자소득에 대한 세율인하 =>저축증대 =>단기적으로 총수요 감소하지만 장기적으로 투자증가와 자본증가유발   

1.재정정책 (5)재정정책과 공급측면 Ex)소득세율인하(한계세율이 중요) =>노동공급증가 Ex) E. Prescott는 “왜 미국인들은 유럽인들보다 더 많은 시간을 일하는가?”의 문제에 대해 이러한 차이의 대부분이 나라들 사이의 근로소득에 대한 한계세율의 차이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고 주장. =>재정정책이 총수요뿐 아니라 총공급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재정정책입안자는 총수요안정과 생산능력에 대한 효과를 함께 고려해야 함

1.재정정책 (6)재정정책의 특성 1)재정정책의 문제점 -공공사업은 대규모적이고 장기적 성격 =>안정화 정책에는 부적합 -공공고용사업은 비효율적, 낭비적 -조세변화의 일시적 효과는 미미

1.재정정책 2)재정정책의 특성 *내부시차가 길고 외부시차가 짧다 -정책시차=내부시차+외부시차   내부시차(inside lag): 정책이 집행될 때까지 내부적으로 소요되는 시간=인식시차+결정시차+집행시차   외부시차(outside lag): 정책의 집행에서 효과가 나타날 때까지 -정책의 효과는 정책시차와 정책규모에 달려 있음 통상 시차는 길고 가변적임->시기(timing)를 맞추기가 어려움   재정정책은 내부시차가 길고 외부시차는 비교적 짧음   내부시차가 더욱 길어지는 경향 <-정쟁 *정치적 영향을 크게 받는다 -선거에 의해 선출된 사람에 의해 결정->매우 정치적 -재정정책의 집행은 매우 비대칭적: 세금 인하는 쉬우나 인상은 어렵고 지출 증대는 쉬워도 줄이기는 어려움

2.통화정책 -안정화 정책수단으로 어느 것이 더 효율적인가? -안정화를 위해 정책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1)통화정책의 특성 *외부시차가 길고 내부시차가 짧다 -내부시차가 짧다는 장점이 있음. 즉, 의사결정이 빠름 -그러나 효과가 간접적이기 때문에 외부시차가 김 *정책효과가 광범위하고 일반적이며 대칭적이다 -경제활성화와 긴축화에 모두 효과적: 최근에 비대칭성이 나타남 -통화정책은 배분효과가 없음 -민간부문(시장) 중심의 정책 -단기안정화 정책의 일차적 수단으로 통화정책을 선호

2.통화정책 (2)안정화 정책의 주 수단은 통화정책 1)통화정책이 안정화의 주 수단 *재정정책은 많은 단점을 갖고 있다 -정책시차, 특히 내부시차가 길어 정책시기를 놓치기 일쑤   -집행이 비대칭적   -재정정책의 효과가 제한적이고 비효율적임  -정부부채가 큰 경우 한계가 있음 *통상 통화정책이 주 수단이 된다: 많은 한계가 있지만 주 수단임   -정책집행이 대칭적 -효과가 광범위함 -정책결정이 신속함 -재정정책으로 할 수 있는 것을 거의 모두 할 수 있음 그러나 경기침체기에는 재정정책이 더 효과적

2.통화정책 (2)안정화 정책의 주 수단은 통화정책 2)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의 결합(policy mix) -산출량의 구성에 영향을 미침(배분효과를 유발) -예를 들어 투자를 증가시켜 장기적으로 성장을 유발하면서 현재의 산출량을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  긴축적 재정정책(세금증가, 정부지출감소) + 팽창적 통화정책 =>산출량은 고정, 이자율은 하락   새 균형점에서 소비(소비세부과의 경우)와 정부지출감소, 투자와 순수출은 증가

2.통화정책 (3)재량과 준칙 1)재량(discretion)과 준칙(rule) -준칙: 다양한 상황에 따라 어떤 정책을 수립할 것인가를 미리 밝히고 이에 기초하여 정책을 집행할 것을 약속(commitment)한다면 정책은 준칙에 따라 시행되는 것(통화론자 등) -재량: 사안별로 상황을 판단하여 어떤 정책이 적합한지를 선택할 수 있다면 자유재량에 의해 시행되는 것(케인지안)

2.통화정책 (3)재량과 준칙 1)재량(discretion)과 준칙(rule) -준칙(rule)의 선호이유 ①정책입안자에 대한 불신(무지, 무능) -내부시차발생, 정책규모책정이 곤란    정책시기(policy timing)와 정책규모의 선택이 어려움 -재량이 오히려 경제를 더욱 불안정화시킬 가능성 있음 ②정치적 영향으로부터의 단절 ③재량정책의 시간비일관성(time inconsistency) 또는 동태적 비일관성(dynamic inconsistency)으로 인한 피해를 제거    -최적정책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달라지는 유인이 있는데 이러한 유인을 없애기 위해 준칙 필요 =>준칙으로 신뢰성 확보하여 인플레이션예상을 감소시킴(통화론자)

2.통화정책 (3)재량과 준칙 2)준칙의 형태 *재정정책에 대한 준칙 -균형예산준칙(balanced budget rule): 조세수입의 내에서 지출   -지방정부차원에서 가능한 준칙 -그러나 연방정부차원에서 균형예산준칙에 반대하는 이유 ①경제안정화에 도움이 되지 않고 오히려 경제를 불안정화 시킴 -세금과 지출의 조정이 가능하여야 경제안정가능 ②세율의 안정화에 방해: 세율의 등락은 사람들의 행동에 왜곡을 유발가능 *통화정책준칙 -k%통화준칙(k-% monetary rule) : M. Friedman -물가안정목표준칙(inflation targeting rule) 등

3.소득정책 (1)소득정책의 의의와 정의 *물가(인플레이션)안정에 대한 총수요관리정책의 효과는 총공급곡선의 기울기에 의존 -총공급곡선의 기울기가 큰 경우 총수요관리정책은 적은 산출량감소(실업증가)로 물가안정가능 -총공급곡선의 기울기가 작은 경우 총수요관리정책은 물가안정을 위해 많은 비용(산출량감소) 유발 -케인지안(가격경직성강조)은 총공급곡선의 기울기가 작다고 봄 =>물가안정을 위해 총수요감소정책보다 더 유효한 방법을 강구 =>소득정책(incomes policy) *소득정책 -정부가 직접적으로 시장에 개입하여 임금과 가격을 통제하는 안정화 정책의 일종 -정부개입으로 단기총공급곡선을 아래로 이동시키려는 시도

3.소득정책 (2)소득정책의 형태와 효과 *평시의 임금-가격통제(peacetime wage-price control) -단기적 효과가 있지만 장기적으로 효과가 없음 *자발적 임금-가격 가이드라인제도(voluntary wage-price guideline) -별 효과가 없는 결과 유발 -확장적 재정, 통화정책과 병행하는 경우 매우 불공정한 결과 유발 *시장활성화 전략(market strategy) -시장의 규칙에 따르도록 함으로써 가격과 임금의 인상을 억제하는 방법 -규제완화, 경쟁제한 장치 폐지, 국제경쟁촉진 -불완전경쟁상태에 있는 노동시장과 재화시장에서 경쟁제한요소 폐지

3.소득정책 (2)소득정책의 형태와 효과 *조세를 이용한 소득정책(tax-based incomes policy: TIP) -시장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한 방법으로 조세를 이용한 소득정책 -임금이나 가격을 빨리 상승시키는 기업에 세금부과, 그렇지 않는 기업에 보조금 지불 -동구권국가에서 효과를 경험 *소득정책의 효과에 대한 평가 -논란이 심한 정책 -불만스러운 실증적 결과와 정부간섭에 대한 불만으로 소득정책은 부적절 -효과도 없고 사용하지 않는 것만 못한 결과 유발: 물가안정에 효과가 없고 가격만 왜곡

제14장 안정화 정책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