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개정 특수학교교육과정 기본교육과정의 이해 경기도교육청.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자유학기제와 예술교과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광 주 동 신 중 교사 국광윤. 예술교과 교육과정의 편성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 2009 개정 교육과정 (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 · 성취수준 지역 및 학교의 교육과정.
Advertisements

관계부처 합동. 보고순서 환경변화와 정부대책 안전인식 과 추진방향.
합 덕 여 자 중 학 교합 덕 여 자 중 학 교. 합 덕 여 자 중 학 교합 덕 여 자 중 학 교 제 언 필 요 성 연구 목적 연구 문제 연구 범위 실천 과제 연구 결과
시기별 학급경영의 평가 시기별 학급경영의 평가 1. 시기별 학급경영의 평가 분류 2. 시기별 학급경영 평가 내용 음악교육과 이해인.
제 7 차 실과 ( 기술ㆍ가정 ) 교육과정 학교 현장 운영상의 문제점 개선 주 40 시간 근무제 도입, 기술ㆍ산업의 발달, 가족 형태의 다양화 등으로 인한 생활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저출산ㆍ고령 사회, 진로 교육 강화 등 국가ㆍ사회 요구 사항 반영.
 수학  2 학년 - 가  1. 세 자리 수 (04/09) 수업계획수업활동 뛰어서 세어 봅시다.
학생 포트폴리오 에너지자원공학과 학생 포트폴리오란 ? 포트폴리오의 기능  학생의 경험 및 전공 관련 학습결과를 정리한 결과물  학교생활에 따른 학습자의 학습과정, 목표, 노력, 태도, 교육활동, 성과물  재능 및 취미 등을 의도적으로 조직하여 모아둔 것  자신의.
Ⅰ Ⅰ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과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1.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 2.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청년고용률 3. 일 · 학습병행제 추진현황 4.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특징 Ⅱ Ⅱ 산업계 주도 직업교육훈련체제 구축 및 산업별단체.
강의 SKILL-UP 과정 신 현 호. 2 교육 개요 Ⅰ Verbal, Document, Visual Presentation 성공적인 강의스킬 실현 - 학습심리 -HRD 개요 - 교수 설계 & 교안 작성법 지식 - 교수의 제기법 - 교수매체 활용 - 강의.
6학년 교육과정 간담회 인천도림초등학교 / 6학년. 1. 학교 교육과정 및 교육활동 안내 차례 2. 학년 교육과정 및 교육활동 안내 3. 학부모회 역할과 활동 계획 안내 4. 체육대회 및 기타 협의.
본교 방문을 진심으로 환영 합니다 문 현 여 자 중 학 교
2015 개정교육과정 (제2차 수학교육 종합계획).
초등용 빛으로 노래해요.
Ⅰ 개정 배경 Ⅱ 개정 방향과 중점 Ⅲ 주요 개정 내용 Ⅳ 성취평가제.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이해 박 제 윤 서 울 특 별 시 교 육 연 구 정 보 원.
KPC 자격 강원지역센터 사업계획서 OO. OO. 제안사 명칭.
Internet Addiction Disorder
2009개정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이해 영암교육지원청 장학사 김동환.
2013 학년도 삼리초등학교 부설 영재학급 학생 오리엔테이션 경기도 광주시 삼리초등학교
ʹ 수학 ʹ 6학년 가 단계 ʹ 7. 비례식>3/7 비의 성질 이용하기 수업 계획 수업 활동.
(1.1 v) 엔트리교육연구소 엔트리 카드게임 설명서.
수 학 5학년 2학기 1. 소수의 곱셈 > 8/8 수준별 학습하기.
• 수학 • 6학년 나단계 • 7. 연비>1/9 홈 두 수의 대응 관계를 , 를 사용한 식으로 나타내기 수업활동 수업계획.
2009개정 초등 체육,예술 교육과정.
수업전문성 신장을 위한 연구회 운산초등학교.
PBL 점수: 총점 20점 개별 성찰 일지 6점 (3회- 회당 각 2점)
각뿔의 전개도 알기 수학 6 – 가 2. 각기둥과 각뿔 > (7/9)
1. 현대 생활과 응용 윤리의 필요성 2. 윤리 문제의 탐구와 실천 3.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목원대학교 유아교육 교과교육 강민정.
‘나의 몸’ 프로젝트(Project) 서명 초등학교 병설 유치원 예쁜반 교사 신 현 정 프로젝트 (Project) 학습
2009개정 중등 생활교양 및 전문교과 교육과정.
사회 1학년 1학기 1. 지역과 사회 탐구 > 2. 지역사회의 이해 (5/7) 지역사회의 변화와 발전.
남다른 아이로 미래를 디자인하라!.
수학10-나 1학년 2학기 Ⅰ. 도형의 방정식 3. 원의 방정식 (14/24) 두 원의 공통현 수업계획 수업활동.
초,중,고등학생 역량강화를 위한 GFAT& 맞춤형 진로탐색/자기주도학습
군포발명창의교실 접수 안내 2019년 군포시어린이도서관 접수안내 유의사항
1. 나의 이해 나의 정보 나의 특성 나와 관련된 정보를 파악하고 나의 특성을 알아봅니다. 기본교육과정 고등학교㉮ 10쪽.
수학 8나 대한 37쪽 II.도형의 성질 시작하기 전에 (1/24) 시작하기 전에.
중등용 몸으로 말해요.
미 술 6 학년 3. 다양한 표현 (1~2/6) 초기화면 다양한 표현 방법 알아보기.
수학10-나 1학년 2학기 Ⅰ. 도형의 방정식 2. 직선의 방정식 (9/24)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 수업계획 수업활동.
전북대학교 물 재이용 증진을 위한 범국민적 사고전환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College of Engineering
수학10-나 1학년 2학기 Ⅳ.삼각함수 4. 삼각방정식과 삼각부등식(9/12) 삼각함수 수업계획 수업활동.
수학10-나 1학년 2학기 Ⅲ. 함수 3. 유리함수와 무리함수 (13/15) 무리함수의 그래프 수업계획 수업활동.
의복 계획의 필요성과 순서 수업계획 수업활동 기술ㆍ가정 8학년 2학기
수학10-나 1학년 2학기 Ⅱ.부등식의 영역 2. 연립부등식의 영역 (3/5) 부등식 영역 수업계획 수업활동.
수학10-나 1학년 2학기 Ⅱ.부등식의 영역 1. 부등식의 영역(2/5) 부등식 영역 수업계획 수업활동.
음악과 교육과정 2011 교육과정(2007 비교).
제 5장 교수설계의 실제 - ASSURE 모델 적용
「 All children have strengths 」
삼각형의 무게중심(1) 수학 8나 대한 109쪽 Ⅲ. 도형의 닮음
음악 수업 & 수업 지도안.
수학10-나 1학년 2학기 Ⅳ.삼각함수 3. 삼각함수의 그래프( 8 / 12 ) 삼각함수 수업계획 수업활동.
슬기로운 생활 1학년 1학기 1. 봄나들이 > 산과 들의 모습 관찰하기 (9-10/10 ) 산과 들의 모습 관찰.
Freedom For What? 자유학기제의 준비와 운영 매뉴얼 활용 광 주 동 신 중 교사 국광윤.
여러 가지 집의 같은 점과 다른 점 비교하기 슬기로운 생활 2학년 1학기
사회과 서술형 평가 문항 자료집 -중학교 일반사회 영역 -.
다문화교육론 호 원 대 학 교.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수학10-나 1학년 2학기 Ⅲ. 함수 1. 함수 (4/15) 역함수의 그래프 수업계획 수업활동.
수학10-나 1학년 2학기 Ⅰ. 도형의 방정식 4. 도형의 이동 (20/24) 도형의 평행이동 수업계획 수업활동.
이차함수와 방정식, 부등식과의 관계 수학10-나 1학년 2학기 Ⅲ. 함수 2. 이차함수와 그 활용 (7/15) 수업계획
신곡 새샘터 도서관 개관 구축 및 운영보고 (화) 신곡초등학교.
- 수학 - 5학년 나 단계 - 3. 도형의 합동 > (7) 7. 수준별 학습 수업 계획 수업 활동.
특수학교 교육과정 이해 정 동 일.
수학10-나 1학년 2학기 Ⅱ.부등식의 영역 3. 부등식의 영역에서 최대, 최소(5/5) 부등식 영역 수업계획 수업활동.
2012학년도 주5일수업제 전면 자율 도입에 대비한 설문조사 결과
교육 교육목적: Why ? 교육내용: What ? 교육방법: How ?.
교직이수 2학년 학기 초(3월) 선발 선발 기준 교직적성, 인성 및 학업성적 선발 인원 당해 입학정원의 10% 이내
이 은 Tyler 교육과정 개발 모형 이 은
Presentation transcript:

2008 개정 특수학교교육과정 기본교육과정의 이해 경기도교육청

연수 개요 교육과정의 정의, 개정의 필요성 기본교육과정의 성격 기본교육과정 개정의 기본방향 개정된 기본교육과정의 주요내용

교육과정 : 무엇(What)을 가르칠 것인가? 1. 교육과정이란 교육과정 : 무엇(What)을 가르칠 것인가? 교육내용의 선정과 조직 국가(교과부) : 국가수준 교육과정 및 평가기준 제시 교과서 편찬 등 시.도교육청(지역교육청) :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제시 학교 :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운영 교사 : 교육과정의 실천자, 교수-학습 계획 수립 (교과교육목표, 단원목표, 차시별 학습목표 수립 및 평가)

모든 특수교육 대상자의 기본 학습 능력과 사회적응 능력 함양을 위한 2. 교육과정 개정의 필요성 모든 특수교육 대상자의 기본 학습 능력과 사회적응 능력 함양을 위한 학습자 중심의 “기능성” 교육과정 구현 국가적 차원의 요구 반영 :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사회적 차원의 요구 반영 : 사교육비 증가 , 주5일수업제 실시, 일반학교교육과정의 개정 학습자의 교육적 요구 반영 : 장애의 중증·중복화 경향, 통합교육 현행 교육과정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 요구의 반영 : 장애유형보다 학교급별에 따른 교육과정의 필요성 단위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자율성 확대

3. 기본교육과정의 성격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의 적용이 어려운 특수교육 대상학생을 위한 ‘대체 적용’교육과정이다(교육과정의 기능성 강화) 일반유치원교육과정과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의 간극을 메워주는 ‘보충 보완’적 성격의 교육과정 (일반교육과정과의 연계성 보완) 유치원교육과정 선택중심교육과정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기본교육과정 정신연령에 따른 “발달과업”과 생활연령에 따른 “생활경험”을 중심으로 3단계로 구성한 수준별교육과정이다. ”생활”을 중심으로 한 12년간을 하나의 교육체제로 보고 교육과정의 계속성과 계열성을 강조하는 교육과정이다.

4. 개정의 기본 방향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을 적용하기 어려운 모든 특수교육학생을 대상으로 함 교육과정의 ‘기능성’과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의 성격 대폭 강화 학습자의 요구와 사회환경의 변화를 최대한 반영 학습량의 적정화 및 수업시간 수의 합리적 조정

4. 개정의 기본 방향 일반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및 접근성 강화를 위해 교과목의 신설 및 분과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은 유지하되 1단계는 유치원과 중도·중복장애아에게도 적용, 2.3단계는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과 연계되도록 함 교수학습방법은 되도록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제시, 평가의 목표도 명확히 제시하여 학습자의 특성을 반영함

5. 기본교육과정의 편제 구분 현행 개정 비고 구성 • 정신지체.정서장애학교 -유치부 -초등.중학.고등부 • 기본교육과정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 각 과정별 명칭 변경 • 유치원교육과정과 기본교육과정 별도 구분 유 치 원 교육과정 • 기본교육과정을 근간으로 • 5개 영역 : 건강생활, 사회생활, 표현생활, 언어생활, 탐구생활 • 일반 유치원교육과정에 의하되 필요시 기본교육 과정의 내용을 건강. 사 회. 표현.언어. 탐구생활 영역으로 편성 가능   기본 • 교과 : 7개(국어,사회,수학, 과학,건강,예능,직업) • 치료교육활동 : 8개 영역 • 재량활동 : 교과재량과 창의적 재량활동 • 특별활동 : 자치.적응.계발. 행사.봉사활동 • 교과 : 8개(국어,사회, 수학,과학,체육,음악,미술, 실과/직업) -초1 : ’우리들은 1학년’ 신설 • 치료교육활동 : 삭제 • 재량활동 • 특별활동으로 구성 • 교과명 변경, 교과 분과, 신설 및 개편 -우리들은 1학년 신설 -건강을 체육으로 -예능을 음악과 미술로 -직업을 실과․직업으로 개편 • 치료교육활동 삭제

6. 기본교육과정의 시간(단위) 배당 기준 교과군별, 학년별(초등학교), 학교급별(중학교, 고등학교)로 연간 수업시간 수 명시 학교(학년)별로 교과별 최소 수업시간 수 명시 교 과 : 국어·사회교과군, 수학·과학교과군 – 초.중.고(증가) 체육, 음악, 미술교과군 – 초(동일), 중.고(증가) 실과·직업교과 – 실과 : 초(신설) / 직업 : 중.고(감소) 재량활동 : 초.중.고(감소) 특별활동 : 초.중.고(큰 변화 없음) 주당 3시간 이상의 수업시수가 배당된 교과는 주당 1시간 이내에서 감축하여 필요교과 및 재량활동 수업시간으로 운영 가능

기본교육과정(정신지체.정서장애 학교) 현행교육과정 1 2 3 4 5 6 교 과 국어 언어생활 사회생활 탐구생활 건강생활   학년 구분 유치부 초등부 중학부 고등부 1 2 3 4 5 6 교 과 국어 언어생활 사회생활 탐구생활 건강생활 표현생활 238~306 204~238 170 사회 수학 170~238 136 과학 건강 102~136 예능 직업  · 340 408 교과수업시간 수 612~782 782~850 816~850 치료교육 68 34~68 재량활동 68~102 238 특별활동 연간수업시간 수 180분*180일 이상 850~1,088 1,088~1,156 1,156~1,224 이 표에 제시된 시간 수는 34주를 기준으로 한 교과(군)별, 영역별 학년당 연간 최소, 최대 수업시간 수임 1시간의 수업은 40분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기후, 계절, 학생의 발달 정도, 학습내용의 성격 등을 고려하여 실정에 알맞게 조정할 수 있다. 교과별, 학교급(부)별 수업시간 배정은 학생들의 균형적인 발달을 위하여 특정교과에 치중되지 않도록 한다.

기본 교육과정 개정교육과정 학교 구분 학년 초 등 학 교 중 학 교 고 등 학 교 68 272 1 2 3 4 5 6 7 8 9 구분 학년 초 등 학 교 중 학 교 고 등 학 교 1 2 3 4 5 6 7 8 9 10 11 12 교 과 국어 240 : 272 (90) (102) 340 (136) 306 사회 수학 210 : 238 238 204 과학 (68) 체육 180 : 204 (우리들은 1학년 80) 음악 (34) 미술 실과・직업 68 272 재량 활동 90 102 특별 활동 30 34 연간 수업 시간 수 830 850 952 1,054 1,122 1,190 ① 이 표에 제시된 시간 수는 34주를 기준으로 한 교과군별, 영역별 연간 최소 수업 시간 수이며, ( )은 교과별 최소 수업 시간 수 이다. ② 1학년의 교과, 재량 활동, 특별 활동에 배당된 시간 수는 30주를 기준으로 한 것이며, ‘우리들은 1학년’에 배당된 시간 수는 3월 한 달 동안의 수업 시간 수를 제시한 것이다. ③ 1시간의 수업은 초등학교 40분, 중학교 45분, 고등학교 50분을 기준으로 한다. 다만, 기후, 계절, 학생의 발달 정도, 학습 내용의 성격 등을 고려하여 실정에 알맞도록 조절할 수 있다. ④ 교과 중에서 주당 3시간 이상의 수업 시간 수가 배당된 교과는 주당 1시간 이내에서 감축하여 필요 교과 및 재량 활동 수업 시간으로 운영할 수 있다.

기본교육과정의 시간(단위) 배당 기준 비교표 구분 현행 개정 비고 연간수업 시간수 • 초등부 : 830-1088 초1(830),초2(850) • 중학부 : 1088-1156 • 고등부 : 1156-1224 *수업시간 : 초중고(40분) • 초등학교 : 초1(830), 초2(850) 초3-4(952), 초5-6(1054) • 중학교 : 1122 • 고등학교 : 1190 *수업시간 : 초(40),중(45),고(50) • 주5일 수업제 대 비 연간 34시간을 감축.반영한 시수 • 각 과정별로 수업 시간이 다름 치료교육활동 • 초등부 : 136 • 중학부 : 68 • 고등부 : 34-68 삭제 • 치료지원 : 주당 3시간 이상인 교과에서 1시간을 재량활동으로 활용가능 재량활동 특별활동 • 초등부 : 68-102 • 중학부 : 170 • 고등부 : 238 • 초등부 : 34-68 • 고등부 : 68 • 초등학교 : 초1(90), 초2-6(102) • 중학교 : 102 • 고등학교 : 102 • 초등학교 : 초1(30), 초2-4(34) 초5-6(68) • 중학교 : 68 • 고등학교 : 68 • 재량활동 : 대폭 감축 • 특별활동 : 거의 변동 없음

7.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과 고등학교 선택 중심 교육과정의 적용이 어려운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다 각 학년별 교과(군), 재량활동, 특별활동의 수업 시간 수는 이 기간 동안에 모든 학생들이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할 연간 기준 수업 시간 수이다 기본 교육과정의 수준 3단계는 학습내용의 수준이므로 학교급별 및 학년에 구애됨이 없이 학생의 능력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교과는 필요에 따라 통합교육과정으로 편성.운영할 수 있으며, 직업교과는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전문.직업교과에서 선택 및 편성할 수 있다 교과재량활동은 교과의 심화.보충학습을 위한 것이며, 창의적 재량활동은 학교의 독특한 교육적 필요, 학생의 요구 등에 따른 범교과학습, 자기주도적 학습, 체험활동, 치료지원 등을 위한 것이다. 초등학교는 창의적 재량활동으로 운영한다 특별활동은 학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시간 운영을 통합하거나 분할하여 융통성 있게 운영할 수 있다

8. 교과별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

우리들은 1학년 신설 교과 입학초기 30일 동안 새로운 학교생활에 적응하는 것을 돕기 위한 생활중심으로 구성된 통합교과 4개의 대주제로 구성 친숙한 학교 생활, 바른 학교 생활, 즐거운 학교 생활, 슬기로운 학교 생활 원만한 학교생활을 위한 가장 기초적인 수준의 내용 지역의 특수성, 학교와 학급의 실정, 학생의 학습 경험과 요구 및 성장 발달 상황, 장애의 특성 및 정도를 고려하여 재구성하고 통합적으로 운영

국어 성격 다양한 실생활 상황에서 언어사용 기능 강조 목표 기본적인 언어사용 능력을 향상시켜 일상생활에서 국어를 바르게 사용하는 태도와 습관을 기른다 내용 각 영역별로 3단계 수준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교수학습방법 지도계획의 수립과 학습방법에서 자료의 활용방안 제시 지도상의 유의점을 영역별로 제시 평가 목표와 방법을 구분하여 구체적으로 제시

사회 성격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학습특성과 생활연령을 고려 사회생활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기술 학습에 중점 목표 생활연령에 적합한 기술 함양에 중점 문화생활 관련 목표 추가 내용 바른생활공동생활(영역명에 적합한 지역사회 중심 생활기술 추가) 경제생활경제·문화생활(문화 관련 내용 추가) 실제생활 적용이 가능한 내용 위험한 상황에 대처하는 방법에 관한 내용 추가 실과·직업 과목 내용과 중복되는 직업 인식 내용 삭제 교수학습방법 각 영역별로 교수·학습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 실생활 적용 능력과 사회생활 능력 향상에 중점 평가 수행중심의 평가 강조, 영역별로 평가 방법 제시

수학 성격 생활에 필요한 수학적 기초지식을 습득하여 실제생활에 활용하는 생활기능 중심 교과 ‘발달지체학생’용어 삭제 목표 생활에 필요한 수학적 기초지식을 습득하여 실제생활에 활용하는 생활기능 중심 교과 ‘발달지체학생’용어 삭제 목표 행동적 목표 진술로 표현 내용 위치, 방향, 시간, 화폐 (I단계, II단계에 추가) 공통교육과정과의 연계를 위해 내용의 단계 이동 및 심화 내용 추가 수 영역(III단계내용II), 두 자리, 세 자리 수(III단계 추가) 한 자리 수 가감산(IIIII), 두 자리 수 가감산(III단계 추가) 도형(여러 가지 모양 알기I, II 로 확충) 측정(위치,방향,거리,시간,화폐 내용에 대한 연계성과 계열성 표현) 표와 그래프(조사표 만들기를 각 단계에 계열적으로 제시) 교수학습방법 시계보기, 화폐계산하기, 달력보기 등의 실생활 중심의 교수·학습 활동 강화

과학 목표 학습자 중심으로 목표 진술 탐구와 경험을 통한 활동중심 목표 진술 내용 교수학습방법 공통교육과정의 영역과 통합·일치 시킴 실과·직업에서 다룰 내용은 삭제 과정어 (알아보기, 살펴보기, 구별하기, 관찰하기)로 표현 에너지 영역(소리와 빛+생활용구) 양팔저울과 용수철, 지레와 시소 (중력 학습) 용수철의 성질(탄성력 학습)/ 자석(자기력 학습)/ 전기와 전기기구(전기력 학습) 물질영역(감각의 변별맛, 냄새, 촉감의 변별/ 용도 쓰임새) 생명영역(동물+식물+우리의 몸/ 생명을 소중하게 다루는 태도 내용 추가) 지구(종전 I단계의 ‘자연의 모습’과 ‘자연 현상’을 친숙한 환경부터 구체적으로 I,II,III 단계로 계열성있게 제시) 교수학습방법 생활과학교육, 탐구활동중심의 교수·학습활동에 중점 평가 과학지식, 탐구력, 과학적 태도를 균형있게 평가

체육 목표 종전의 ‘건강’목표를 참고로 학습자 중심의 목표로 진술 내용 공통교육과정과의 연계성 중시 기존의 5개 영역(기본운동, 체력과 운동기능, 놀이와 게임, 스포츠 보건과 안전)  6개 영역(체조활동, 육상활동, 놀이.게임 및 스포츠, 표현활동 및 무용, 체력운동, 보건과 안전)으로 확대 단계별 내용은 기존의 내용을 참고하여 심화·보충 시킴 교수 학습 방법 교수·학습의 계획과 평가로 구분하여 제시 평가 과학지식, 탐구력, 과학적 태도를 균형 있게 평가

음악 성격 종전의 예능교과의 성격을 참고로 재구성함 목표 종전의 예능교과의 목표를 참고로 재구성함 우리나라 전통음악의 중요성을 강조 내용 지각활동, 표현활동, 감상활동으로 구성 종전의 예능 교과 내용 중에서 음악에 해당하는 내용 추출하고 심화· 보충 하여 재구성함 지각활동영역 : 음악개념의 형성과 기초지식에 관한 내용으로 구체 화하되 공통교육과정과 연계 유지시킴 교수학습방법 종전의 예능 교과의 방법에 일부 사항 추가 평가 종전의 예능 교과의 음악관련 평가내용을 현실에 맞게 재구성

미술 성격 종전의 예능교과의 성격을 참고로 재구성함 목표 종전의 예능교과 중 미술에 해당하는 목표를 도출하여 재구성 내용 미적체험활동, 표현활동, 감상활동으로 구성 내용 수준을 심화· 보충 하여 재구성함 교수학습방법 종전의 예능 교과의 방법을 유지하되 교육현실에 맞게 재구성 평가 종전의 예능 교과 중 미술관련 부분을 현실성 있게 재구성

실과 성격 초등 5~6학년을 대상으로 7~12학년 직업과 연계성을 가지도록 구성 신설교과 목표 건강한 가정생활과 개인생활을 익히고, 현재와 미래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기르게 함 내용 나의 가족과 진로 : 나의 가족 알기, 나의 진로 생각해보기 가정생활 : 음식 만들기와 식사하기, 의류와 침구관리하기, 청소하기, 가전제품 사용하기, 생활용품 사용하기 기술의 세계 : 간단한 생활용품 만들기, 동식물과 함께 생활하기, 정보생활 익히기 교수학습방법 진로와 직업에 대한 관심과 기초적인 조작활동의 경험을 제공 평가 지식, 이해, 태도, 기능 등 다양하고 지속적인 평가가 되도록 함

직업 성격 기존과 같이 기능적 생할중심의 성격을 강조함 목표 종전에는 직업인의 역할 강조하였으나 개정에서는 기초적인 소양을 중시 내용 직업생활, 직업준비, 직업기능의 3영역으로 분류 직업생활 : 청소하기, 지역사회 이동하기 추가 직업준비 : 컴퓨터와 정보통신활용하기 추가 직업기능 : 교내에서 실습하기, 지역사회 실습하기 추가 교수학습방법 직업생활에 필요한 경험을 다양하게 제공하여 기초적인 직업태도와 기능을 익히도록 강조함 평가 종전의 평가방식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서술하였음

9. 재량활동, 특별활동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재량활동』은 일반학교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에 의한다. - 교과 재량활동 - 창의적 재량활동 - 초등학교 : 창의적 재량활동만 적용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특별활동』은 일반학교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에 의한다. - 자치활동, 적응활동, 계발활동, 행사활동, 봉사활동

순회교육, 통합교육, 영아교육, 전공과 운영교에서의 편성.운영 순회교육 실시교 : - 해당 장애 영역 학교 교육과정의 편제를 고려하여 학생의 장애특성과 정도에 알맞게 편성, 운영한다 - 교육과정 시간 배정은 시.도 교육청에서 정한다 통합교육 실시교 : - 일반학급, 특수학급 등에 배치된 특수교육 대상 학생에게는 해당 학교 학년의 편제를 적용하되, 특수학교 교육과정을 고려하여 조정할 수 있다 - 교육과정 시간 배정은 당해 학년의 교육과정을 따르되, 특수학교 교육과정을 고려하여 학교 교육과정에서 정한다 영아 교육과정 편성,운영 : 교육감의 승인을 받아 학교장이 학교실정에 알맞 게 편성,운영한다 전공과 교육과정 편성.운영 : -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전문,직업교과를 중심으로 학교실정에 맞게 편성.운영한다 - 교육과정 시간 배정은 학교 교육과정에서 정한다

개정된 기본교육과정 적용 시기 이 교육과정은 학교급별, 학년별로 다음과 같이 시행합니다. 2009년 3월 1일 : 유치원, 초등학교 1,2학년 2010년 3월 1일 : 초등학교 3,4학년, 중학교1학년 2011년 3월 1일 : 초등학교 5,6학년, 중학교2학년, 고등학교 1학년 2012년 3월 1일 : 중학교3학년, 고등학교2학년 2013년 3월 1일 : 고등학교 3학년 – 전면적 시행 개정 교육과정 명칭 :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 현행 7차 교육과정 : 1998 고시 - 2000년부터 시행 “2008 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 : 2008.2.26. 고시(제2008-3호) ‘국가.시대 변화에 맞추어 보완하는 “수시개정체제”의 일환으로 추진 2009년부터 점차적으로 적용 – 2013년에 전면적으로 실시

안내 http://cafe.daum.net/2008spec 치료교사 : “특수학교 교육과정 전문가 과정” 교재 파일 : - 2008. 10월경 : 특수교사 2정 자격연수 실시 예정 (초등 : 336시간, 중등:456시간) - 2009. 원격연수 60시간 실시 치료준교사 : 2008.12월경 자격연수 실시 예정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