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태음소론 2017. 3. 3. 국어문법사연구.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품사. 의미 기능형태 기능에 따라 분류해 봅니다 조사와 결합하는데 ? 형태가 변하지 않아 ^^ 체언.
Advertisements

히브리어 “ 야레 ( ירא )” 에 대한 이해 박영준. 기본적으로 “ 두려워하다, 놀라다 ” 를 의미하 는 히브리어 동사 “ 야레 (ירא)” 와 이 단어의 파생어는 구약에서 435 번 쓰였는데, 주로 시편 (83 번 ), 신명기 (44 번 ) 그리고 지혜 (48 번.
정의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이 다른 문장의 일부가 될 때 주어와 동 사의 위치가 바뀌게 되는데 이것을 간접의문문이라고 한다. 간접의문문 A Do you know what time it is? I don’t understand why they are angry. No one.
누구든지 그리스도 안에 있으면 새로운 피조물이라 이전 것은 지나 갔으니 보라 새 것이 되었도다 그런즉 고린도후서 5 장 17 절 말씀 – 아멘.
선행선행 죄 죄 구원구원 선행 ※ 경기 규칙 1. 윷놀이의 아래를 제외한 대부분의 규칙은 동일하다. 2. 이 윷놀이의 궁극적인 목적은 험한 세상을 지나 천국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3. 윷놀이를 하다가 앞서 가고 싶은 욕심 때문에 ‘ 죄 ’ 칸에 멈춰서면 반드시 목욕탕으로.
Ⅱ 세포의 주기와 생명의 연속성 Ⅱ 세포의 주기와 생명의 연속성 - 1. 세포주기와 세포분열.
- 0 - 버그 내용  링크 안 걸려 있음 Screenshot 커뮤니 티 버그 내용 점선 처리 안되었음 ( 모든 링크 부분 ) Screenshot 커뮤니 티.
→ 「 too+ 형용사 [ 부사 ]+to 부정사」는 ‘ 너무 ~ 해서... 할 수 없다 ’ 라는 의미 로 이때의 to 부정사는 정도를 나타내는 부사적 용법으로 쓰였다. too ~ to 용법 A → 「 so+ 형용사 [ 부사 ]+that+ 주어 +cannot+ 동사원형」으로.
훈민정음 훈민정음을 만든 이유, 역사적 가치, 만들어진 시대, 훈민정음의 분류의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 청각 장애인에 대한 에티켓 ◀ 1. 대화를 할 때 수화 뿐만 아니라 입도 사용한다. 2. 입 안에 껌 등을 씹으며 말하지 않는다. 3. 얼굴의 표정을 조심한다. 4. 듣지 못한다고 하여 건청인 ( 말하고 듣 는 사람 ) 끼리 속삭이지 않는다.
형태소 분석 형태소의 정의 형태소 분석 의미가 있는 최소의 단위 (minimally meaningful unit)
(1) 말소리와 발음 갈래 : 설명문 성격 : 체계적, 해설적, 객관적 제재 : 우리말의 음운
4. 알고 싶은 것, 묻고 싶은 것 ⑴ 국어의 음운 체계와 변동 이해하기.
☆훈민정음을 만든 사람 ☆훈민정음을 반포한 날 ☆훈민정음을 만든 이유 ☆훈민정음의 원리
작도에 대하여 조사자 : 이준호 담당선생님 : 박문열 선생님.
이 세상 - 가 장 아 - 름 다 운 - 순종 의 눈 물 - 그가 오신 이유 1. 이 세상 가장 2. 온 세상 다시
Entity Relationship Diagram
1-1 일과 일률.
3강 한글 맞춤법 총칙.
d g b a z w h j x l k y s n m c p [ t v r q
능동형동사의 형태와 용법 09 고아라 11 김지완 11 유지은.
KAKAO TALK l o 임제희 손상화 ALL RIGHT RESERVED ⓒ EZ WORLD.
(생각열기) 옷가게에서 옷을 살 때와 옥가게 밖으로 나와 서 옷을 볼 때 옷 색이 달라져 보이는 이유는?
10강. JSP 본격적으로 살펴보기-II 스크립트릿, 선언, 표현식 지시자 주석 Lecturer Kim Myoung-Ho
문제 2명의 사형수가 있다. 둘에게는 검정색 모자와 흰색 모자를 임의로 씌우는데, 자기가 쓴 모자의 색은 절대로 알 수가 없다. 서로 상대의 모자색만을 볼 수 있고, 이들이 살기 위해선 자신의 쓴 색의 모자를 맞춰야 한다. 단, 둘 중 한명만이라도 자신이 쓴 모자의 색을.
큐맨 PPT 활용법 매 달마다 큐맨이 나와서 직접 몸동작으로 정답을 알려주는 방법 외에 PPT를 활용한 방법을 제시해 드립니다. 큐맨이 등장해서 PPT 퀴즈 형식을 설명한 후, 힌트를 보여줍니다. 주제를 변경하실 때에는 PPT 수정이 가능하오니 원하시는 주제로 변경하여.
제7장 전치사 by before above over to after with under in on into of for
50. 시편 116편.
형동사(Причастие).
Section 1. 음소와 최소 대립쌍 전다흰.
위치 에너지(2) 들어 올리기만 해도 에너지가 생겨. 탄성력에 의한 위치 에너지.
109. 헌당예배.
보고서 #7 (기한: 6/2) 2개의 스택, stk1, stk2를 이용하여 큐를 구현하라.
텍스트 분석 기초.
논문작성을 위한 연구모형 설정 양동훈.
접어의 정의 및 특징 박진현.
끓는점을 이용한 물질의 분리 (1) 열 받으면 누가 먼저 나올까? 증류.
516-옳은 길 따르라 의의 길을 265.
390장- 예수가 거느리시니 444.
원고지 사용법.
약식 진리표를 이용한 타당성 증명 진리표 그리기 방법의 한계
3-5. 태양계와 행성(2).
김정숙 (고려대학교 2014년) 국어국문학과 한국어학 석사 1기 이 드미뜨리
2. 누화와 케이블링 1. 서론 2. 용량성 누화 3. 유도성 누화 4. 복합적인 누화(누화의 일반적인 이해)
바넘효과 [Barnum effect]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격이나 심리적 특징을 자신만의 특성으로 여기는 심리적 경향. 19세기 말 곡예단에서 사람들의 성격과 특징 등을 알아 내는 일을 하던 바넘(P.T. Barnum)에서 유래하였다. 1940년대 말 심리학자인.
1. 갈 길 을 밝 히 보 이 시 니 주 앞 에 빨리 나 갑 시다 1. 갈 길을 밝히 보이시니 2. 우리를 찾는 구주예수
Chapter 1 단위, 물리량, 벡터.
(생각열기) 요리를 할 때 뚝배기로 하면 식탁에 올라온 후에도 오랫동 안 음식이 뜨거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이유는?
112장 - 그 맑고 환한밤중에.
(2) 국어의 음운 단모음과 이중모음 단모음 체계 자음 체계.
Chapter 1 단위, 물리량, 벡터.
문제: 길이 1. 5m의 봉을 두 번 인장하여 길이 3. 0m로 만들려고 한다 아! 변형(deformation)
학습 주제 p 끓는점은 물질마다 다를까.
1. 만유의 주 앞 에 감 사 를 드리고 다 경배 하면 서 찬 송을 부 르 세 1. 만유의 주 앞에
학습 주제 p 질량과 부피 측정 방법 알기.
단어 허인영 한국어 형태론 발제
5.1-1 전하의 흐름과 전류 학습목표 1. 도선에서 전류의 흐름을 설명할 수 있다.
..재외동포 대상 한국어 교육 방안 (학습자 연령에 따른 한국어 교육)
1. 나 행 한 것 죄 뿐 이 니 주 예수 께 비 옵 기 는 - 1. 나 행한 것 죄 뿐이니 4. 내 어둔 눈 밝히시니
바벨탑을 만드는 사람들.
만 입이 내게 있으면 / 찬양하라 복되신 만 입 이 내 게 있 으 면 그 입 다 가 지 고.
Automatic Music Transcription
1장 C 언어의 개요 C 언어의 역사와 기원 C 언어의 특징 프로그램 과정 C 프로그램 구조 C 프로그램 예제.
자연언어 처리 인지과학 입문.
드럼 악보 보기 드럼 악보는 일반 악보와 표기 방법이 약간 다릅니다. 콩나물의 위치에 따라 악기가 선택되는 것이고 표시되는 음표에 따라 비트가 선택되는 겁니다. 드럼 악보는 드럼을 시작하는 사람이 가장 먼저 알아야 하는 사항입니다. 또 드럼 좀 한다는 사람은 드럼을 튜닝.
스물여덟 자를 하여금 쉽게 익혀 매일 씀에 편안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다. 만드니 사람마다 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는
1. 하늘이 푸 르 고 드 높이 맑은 날 찬란한 아 침이 열리며 밝 - 았 네 1. 하늘이 푸르고 2. 주 앞에 나아가
형태소의 식별과 분류 :구조주의 언어학자 Harris(1942)와 Nida(1948)의 논의를 중심으로
중국 중산층 장기 해외여행자 증가 이유 언어정보학과 김예원.
피보나치수열에 대하여 한림초 5학년 신동오.
Presentation transcript:

형태음소론 2017. 3. 3. 국어문법사연구

중세 한국어 문법과 형태음소론 형태음소론(morphophonemics) 형태음소론은 문법 연구를 위한 전제조건 하나의 형태소(morpheme)가 여러 이형태(allomorph)로 교체(alternation)되는 현상, 특히 그 교체의 조건(condition)을 탐구. 형태음소론은 문법 연구를 위한 전제조건 문법 연구를 위해서는 각 형태소들이 어떤 의미/기능을 지니는지 밝혀야 함. 그 이전에, 어떤 언어 단위(발화/문장, 구, 단어 등) 내에 어떤 형태소들이 들어 있는지를 알아내는 것(형태소 분석)이 문법 연구를 위한 최우선 과제 형태소들이 결합할 때 환경에 따라 모양이 바뀌기 때문에, 형태음소론을 정확히 알아야, 형태소 분석을 정확히 할 수 있음. 예: 노라=++오+다 시놋다=+시++옷+다 샷다=+시+옷+다 위와 같은 분석을 정확히 해야 각 형태소의 의미/기능에 대한 연구가 시작될 수 있음.

교체 조건에 따른 교체의 분류 특수 조건(idiosyncratic condition)에 의한 교체 일반화해서 진술할 수 없고, 특정 언어요소를 환경으로 해서 교체가 일어나는 경우 ≒ 어휘적 조건(lexical condition)에 의한 교체(lexically conditioned alternation) 예: 선어말어미 ‘-거-’는 동사 ‘오-’(來) 뒤에서는 ‘-나-’로 교체됨. 일반 조건(general condition)에 의한 교체 교체를 일으키는 원인을 일반화해서 진술할 수 있는 경우 음운론적 조건(phonological condition)에 의한 교체(phonologically conditioned alternation) 교체 조건을 음운론적으로 일반화해서 진술할 수 있음. 예: 조사 ‘-로‘는 모음 뒤에서는 /로/, 자음 뒤에서는 /으로/로 실현됨. 문법적 조건(grammatical condition)에 의한 교체 형태론적 조건(morphological condition)에 의한 교체(morphologically conditioned alternation) 교체 조건을 형태론적으로 일반화해서 진술할 수 있음. 즉 교체를 일으키는 원인이 형태론적 맥락(같은 어절) 안에 있음. 예: 선어말어미 ‘-거-’는 타동사 뒤에서는 /아/ 또는 /어/로, 非타동사 뒤에서는 /거/로 실현됨. /아/와 /어/의 교체는 음운론적 조건에 의한 교체: 양성모음 뒤에서는 /아/, 음성모음 뒤에서는 /어/ 통사론적 조건(syntactic condition)에 의한 교체(syntactically conditioned alternation) 교체 조건을 통사론적으로 일반화해서 진술할 수 있음. 즉 교체를 일으키는 원인이 통사론적 맥락(같은 문장 내 다른 어절) 안에 있음. 예: 의문 조사는 판정의문문에서는 /가/ 또는 /아/로, 설명의문문에서는 /고/ 또는 /오/로 실현됨. /가/와 /아/의 교체, /고/와 /오/의 교체는 음운론적 조건에 의한 교체: 자음 뒤에서는 /가/, /고/, 모음이나 /ㄹ/ 뒤에서 는 /아/, /오/

형태음소론적 관점에서의 한국어 어미의 분류 자음 어미 모음 어미 매개모음 어미 항상 자음으로 시작됨 예: -고, -져, -디, -거든, -거늘, -고져, -과뎌, -디옷, -고라/고려 모음조화와 무관함. 모음 어미 항상 모음으로 시작됨 예: -아/어, -오/우-, -옴/움 모음조화에 따라 양성모음형과 음성모음형이 교체됨. 매개모음 어미 자음 뒤에서는 매개모음 ‘-/으-’가 들어가고, /ㄹ/이나 모음 뒤에서는 매개모음 ‘-/으-’가 빠짐 예: -(/으)ㄴ, -(/으)ㄹ, -(/으)니, -(/으)며, -(/으)면, -(/으)리-, -(/으)- 매개모음은 모음조화에 따라 교체하고, 그 뒤 부분은 모음조화와 무관함.

형태음소론적 관점에서의 한국어 조사의 분류 어미와 마찬가지로 분류될 수 있음. 자음 조사: -도, -와/과 모음 조사: -애/에/예, -/의 매개모음 조사: -(/으)로, -(/으)ㄹ, -(/으)ㄴ 현대 한국어에는 매개모음 ‘-이-’를 갖는 매개모음 조사들이 생겨났음. -(이)야, -(이)든, -(이)니, -(이)며 어떤 용언의 활용 양상, 어떤 체언의 곡용 양상은 위의 분류를 바탕으로 하여 간결하게 진술될 수 있음. 어떤 용언이 어떻게 활용하는가 하는 질문에 대해, 수많은 활용형들을 다 나열할 필요 없이, 3개(자음어미, 모음어미, 매개모음어미 앞에서)의 활용형만 제시하면 됨.

용언 어간의 규칙적 교체 중세 한국어에서 모음 //와 /으/는 약모음(schwa). 다른 모음과 만나 면 쉽게 탈락됨. 모음 뒤에서 매개모음 탈락: 셔(立)+으면→셔면 용언 어간말의 //, /으/는 모음어미 앞에서 탈락 cf. 현대의 ‘으‘ 탈락 다(盡)+아→다아, 더으(加)+어→더어 (裹, 包)+아→, (用)+어→ 용언 어간말의 /ㄹ/은 ‘ㅅ, ㄷ, ㅈ’ 계열 앞에서 탈락 cf. 현대의 ‘ㄹ‘ 탈락 놀(遊)+사다→노사다, 알(知)+→아~, 알+도+다→아도다, 알+져→아져

용언의 불규칙 활용 1: ㅂ 불규칙 현대 한국어: 덥다(暑), 굽다(炙), 밉다(憎) 중세 한국어 자음어미 앞: 덥고 (덥+고) 매개모음어미 앞: 더우니(더우+니) 모음어미 앞: 더워(더우+어) 즉 형태소 //덥//은 자음어미 앞에서는 이형태 /덥/으로 실현되고, 매개모음어미나 모음어 미 앞에서는 이형태 /더우/로 실현된다고 진술할 수 있음. 문제: ‘더워‘는 사실 /təwə/이므로, 모음어미 앞에서는 /təw/(또는 /더w/)로 실현된다고 해 야 하지 않을까? 답: 한국어에서 용언 어간이 모음으로 끝나고 그 뒤에 모음어미가 결합될 때, 끝 음절에 초 성이 없으면 축약이 필수적이고(오+아→와/*오아, 세우+어→세워/*세우어), 끝 음절에 초성 이 있으면 축약이 수의적임(주+어→주어/줘, 바꾸+어→바꾸어/바꿔). 따라서 모음어미 앞 에서 실현되는 이형태를 굳이 /더w/라고 하지 않고 /더우/라고 해도 이것이 궁극적으로 / 더w/로 실현되는 것은 어차피 설명할 수 있음. 중세 한국어 매개모음어미 앞: 더니(+으니) > 더우니(더우+니) 모음어미 앞: 더(+어) > 더워(더우+어) 음소 /ㅸ/의 소실(비음운화) 이전: 형태소 //덥//은 자음어미 앞에서는 /덥/으로, 매개모음어 미나 모음어미 앞에서는 //으로 실현된다고 진술할 수 있음. /ㅸ/의 소실 후에는 현대 한국어와 같아짐.

용언의 불규칙 활용 2: ㅅ 불규칙 현대 한국어: 짓다(作), 잇다(連), 긋다(劃), 젓다 중세 한국어 자음어미 앞: 짓고(짓+고) 매개모음 어미 앞: 지으니(지으+니) (‘지+으니’로 분석하면 안 되는 이유 후술) 모음어미 앞: 지어(ⓛ지으+어/②지+어) ⓛ안: 형태소 //짓//은 자음어미 앞에서는 /짓/, 매개모음어미나 모음어미 앞애서 는 /지으/로 실현됨. (②안보다 간결함) ②안: 형태소 //짓//은 자음어미 앞에서는 /짓/, 매개모음어미 앞에서는 /지으/, 모음어미 앞에서는 /지/로 실현됨. 중세 한국어 매개모음어미 앞: 지니(+으니) 모음어미 앞: 지(+어) 형태소 //짓//은 자음어미 앞에서는 /짓/, 매개모음어미나 모음어미 앞에서는 //으로 실현됨.

용언의 불규칙 활용 3: ㄷ 불규칙 현대 한국어: 듣다(聞), 묻다(問), 걷다(步), 붇다(增) 중세 한국어 자음어미 앞: 듣고(듣+고) 매개모음 어미 앞: 들으니(들으+니) 모음어미 앞: 들어(들으+어/들+어) 형태소 //듣//은 자음어미 앞에서는 /듣/, 매개모음어미나 모음어미 앞 에서는 /들으/로 교체 중세 한국어 매개모음어미 앞: 드르니(드르+니) 모음어미 앞: 드러(드르+어/들+어) 형태소 //듣//은 자음어미 앞에서는 /듣/, 매개모음어미나 모음어미 앞 에서는 /드르/로 교체

‘들으니’, ‘드르니‘의 분석 현대 한국어의 ‘들으니‘를 ‘들+으니‘가 아니라 ‘들으+니‘로 분석해야 하는 이유 현대 한국어의 ‘들으니‘를 ‘들+으니‘가 아니라 ‘들으+니‘로 분석해야 하는 이유 /ㄹ/이나 모음 뒤에서는 매개모음 ‘으’가 탈락되는데, ‘들+으니‘로 분석하면 / ㄹ/ 뒤에서도 매개모음이 탈락되지 않는 예외를 상정해야 함. 굳이 설명하려면, 본래 /듣/이었는데 /들/로 바뀐 뒤에도 흔적을 남기기 때문 에 매개모음이 탈락하지 않는다고 해야 함. 이런 全局 조건(global condition) 은 문법 기술에서 가능한 한 피하는 것이 좋음. ‘들으+니‘로 분석하면 형태음소론에 대한 기술이 훨씬 간결해짐. ‘지으니’의 분석도 마찬가지임. 중세 한국어의 ‘드르니‘는 위의 이유에 덧붙어 다른 이유가 추가됨. 중세 한국어의 매개모음은 성조가 고정적 去聲임. ‘드르니‘의 성조는 平平去임. 제2음절의 성조가 평성이므로 이 모음은 매개모음일 리가 없음.

용언의 불규칙 활용 4: 르 불규칙 현대 한국어: 다르다(異), 빠르다, 이르다(早), 이르다(謂) 중세 한국어: ‘ㄹㅇ‘류 자음어미 앞: 다르고(다르+고) 매개모음 어미 앞: 다르니(다르+니) 모음어미 앞: 달라(달ㄹ+아) 중세 한국어: ‘ㄹㅇ‘류 자음어미 앞: 다고(다+고) 매개모음어미 앞: 다+니(다+니) 모음어미 앞: 달아(달ㅇ+아) 중세 한국어: ‘ㄹㄹ‘류 자음어미 앞: 고(+고) 매개모음어미 앞: +니(+니) 모음어미 앞: 라(ㄹ+아)

용언의 불규칙 활용 5: 러 불규칙 현대 한국어: 이르다(到), 푸르다, 누르다(黃) 중세 한국어 자음어미 앞: 이르고(이르+고) 매개모음 어미 앞: 이르니(이르+니) 모음어미 앞: 이르러(이를+어) /이르/~/이를/ 중세 한국어 자음어미 앞: 니르고(니르+고)/니를오(니를+고) 매개모음 어미 앞: 니르니(니르+니) 모음어미 앞: 니르러(니를+어) /니르/~/니를/

용언의 불규칙 활용 6: ㅎ 불규칙 현대 한국어: 파랗다, 하얗다, 노랗다, 까맣다; 이렇다, 그렇다 중세 한국어 자음어미 앞: 파랗고(파랗+고), 이렇고(이렇+고) 매개모음 어미 앞: 파라니(파라+니), 이러니(이러+니) 모음어미 앞: 파래, 이래 (어간과 어미로 분석하기 어려움) /파랗/~/파라/, /이렇/~/이러/ 중세 한국어 자음어미 앞: 파라고/파라코(파라+고) 매개모음어미 앞: 파라니/파라니(파라+니) 모음어미 앞: 파라야(파라+아) ‘X’형 용언의 형태음소론은 따로 논함. 현대 한국어의 ㅎ 불규칙 용언은 모두 ‘X’형이었음.

‘X’형 용언의 형태음소론 X의 말음이 장애음인 경우: 깨끗하-<- 자음어미 앞: ‘하‘가 탈락될 수 있음: 깨끗하지, 깨끗지; 디, 디 X의 말음이 공명음인 경우: 무던하-<므던- 자음어미 앞: ‘아‘가 탈락될 수 있음: 무던하지, 무던치(무던ㅎ+지); 므던디, 므 던티 X의 말음이 모음 ‘아/어‘인 경우 자음어미 앞: ‘아‘가 탈락될 수 있음: 이러고, 이러코 형태소 ‘이렇-’의 이형태 중 /이렇/을 발생시킨 원인이 여기에 있음. 매개모음어미 앞: ‘’가 탈락될 수 있음: 이러니, 이러니 형태소 ‘이렇-’의 이형태 중 /이러/를 발생시킨 원인이 여기에 있음. 모음어미 앞: 중세에는 ‘X야’이나 근세(19세기)에 ‘X(>X해)’로 축약 가능: 이 러야, 이러 형태소 ‘이렇-’의 모음어미 앞 활용형 ‘이래‘를 발생시킨 원인이 여기에 있음.

특수 어간 교체: 이기문(1962) ㅁㄱ형 용언 체언 ㅿㅇ형 용언 체언 ㄹㅇ형 용언 체언 ㄹㄹ형 용언 체언 ㅁㄱ형 용언 체언 자음어미 시므고(시므+고) 나모도(나모+도), 불무도(불무+도) 매개모음어미 시므니(시므+니) 남(남ㄱ+), 붊근(붊ㄱ+은) 모음어미 심거(심ㄱ+어) 남기(남ㄱ+이), 붊기(붊ㄱ+이) ㅿㅇ형 용언 체언 자음어미 비고(비+고) 아도(아+도), 여도(여+도) 매개모음어미 비니(비+니) (ㅇ+), 은(ㅇ+은) 모음어미 어(ㅇ+어) 이(ㅇ+이), 이(ㅇ+이) ㄹㅇ형 용언 체언 자음어미 다고(다+고) 도(+도) 매개모음어미 다니(다+니) (ㅇ+) 모음어미 달아(달ㅇ+아) 이(ㅇ+이) ㄹㄹ형 용언 체언 자음어미 누르고(누르+고) 도(+도) 매개모음어미 누르니(누르+니) (ㄹ+) 모음어미 눌러(눌ㄹ+어) 리(ㄹ+이)

어미와 조사의 두음 /ㄱ/의 실현 양상 /ㄱ/으로 시작되는 어미: -고, -거-, -거든, -거늘 /ㄹ/, /y/ 뒤에서 /ㄱ/이 /ㅇ/([ɦ])으로 약화됨. 예: 알+고→알오, 놀+거늘→놀어늘 /ㄱ/이 완전히 탈락되는 것은 아님. 완전히 탈락되었다면 앞 음절의 종 성이 연철되어 표기되었을 것임. 분철되었다는 것은 뒤 음절 초성에 자 음이 있음을 의미함. /ㄱ/으로 시작되는 조사: -과/와, -곳/옷, -곰/옴, -가/고 /ㄹ/이나 모음 뒤에서 /ㄱ/이 /ㅇ/([ɦ])으로 약화됨. 예: 나모+과→나모와, 나+곳→나옷

ㅎ 말음 체언: 하ㅎ(天), 나라ㅎ(國) 등 자음조사 앞: 하ㅎ+도→하토, 하ㅎ+과→하콰, 하ㅎ+만→하만 /ㅎ/과 융합될 수 있는 자음이면 융합되고, 그럴 수 없으면 /ㅎ/ 탈락 매개모음조사 앞: 하ㅎ+→하, 나라ㅎ+→나라 /ㅎ/이 다음 음절의 초성으로 실현됨 모음조사 앞: 하ㅎ+이→하히, 나라ㅎ+이→나라히 명칭 문제 과거에는 ‘ㅎ 종성 체언’이라는 용어가 흔히 사용되었음. 그러나 이들 체언의 곡용에서 /ㅎ/이 종성으로 실현된 경우는 단 하나도 없음. 사실 한국어에서 자음 /ㅎ/은 종성(음절말)에서 실현될 수 없다는 음절구조제약(syllable structure constraint)이 있음. ‘ㅎ 종성 체언’이란 명칭은 부적절. 후대에 /ㅎ/이 탈락된 뒤에도 보수적인 곡용 양상이 뒤에까지 남음. ‘나라ㅎ’의 주격형 ‘나라히‘가 후대에 ‘나라이‘로 표기됨. ‘나라가‘는 훨씬 후대에야 쓰이게 됨. 主祈禱文(舊版): 나라이 임하옵시며

선어말어미 ‘--’의 이형태 교체 선행 요소 ㄷ,ㅈ계열 장애음 공명음 자음어미 앞    선행 요소 ㄷ,ㅈ계열 장애음 공명음 자음어미 앞    매개모음어미, 모음어미 앞 >오 >오 >오 자음어미 앞이냐 매개모음어미/모음어미 앞이냐에 따라 교체하는 양상 은 ㅂ 불규칙 용언과 동일함. 본래 동사 ‘-’(白)에서 왔는데, 동사였을 때의 활용 양상을 유지하고 있는 것 선행 요소에 따른 분화는 음운론적 조건에 따른 것. 본래 동사였을 때는 교체가 없었으나, 문법화가 진전됨에 따라 선행 요소와의 결합이 긴밀해져서 교체가 발생한 듯.

선어말어미 ‘-거-’의 이형태 교체 ①동사 ‘오-’(來) 뒤에서는 /나/로 실현 예: 오나다, 오나, 오나 ②非타동사(자동사, 형용사, 계사) 뒤에서는 /거/로 실현: 바미 깁거다 ②’ /ㄹ/, /y/ 뒤에서는 /ㄱ/이 약화되어 ‘어’/ɦə/로 실현 (음운론적 조건에 의한 교체): 놀+거든→놀어든, 외+거든→외어든, 이(계사)+거든→이어든(후술) 자음어미임. ‘가‘는 ‘거‘의 모음조화 교체형이 아니라 ‘거+오‘ ③타동사 뒤에서는 /아/나 /어/로 실현 ③’ 양성모음 뒤에서는 /아/, 음성모음 뒤에서는 /어/로 실현 (음운론적 조건에 의한 교체): 아라라(알+아+라), 드러라(듣+어+라) 모음어미임. ‘아‘와 ‘어‘는 모음조화에 따른 교체형. ②와 ③은 문법적(형태론적) 조건에 의한 교체 ①은(①과 나머지 사이의 교체는) 특수(어휘적) 조건에 의한 교체

선어말어미 ‘-시-’ 모음 뒤: 시 /ㄹ/을 포함한 자음 뒤: 시, 으시 ‘시’와 ‘으시’의 교체는 모음조화에 따름. ‘시, 으시’의 ‘/으’는 일반 매개모음과는 다름. 일반 매개모음은 /ㄹ/ 뒤에서 탈락되나, ‘시, 으시’의 ‘/으’는 /ㄹ/ 뒤에서 탈 락되지 않음: 알+시+니→아시니 일반 매개모음은 성조가 고정적 去聲이나, ‘시, 으시’의 ‘/으’는 前倚的 성조 (앞 음절이 L이면 자기도 L, 앞 음절이 H이면 자기도 H)임. 현대어로 오면서 일반 매개모음과 같아졌음. /ㄹ/ 뒤에서 탈락: 알+(으)시+니→아시니 성조 소멸. 시+아(연결어미)→샤 (‘셔‘로 실현되는 일은 없음. cf. 고영근 說) 고려 중기에는 ‘-시-’의 이형태 교체 양상이 사뭇 달랐던 듯 고려 중기 석독구결 자료에서는 ‘-시-’ 뒤에서 /ㄱ/ 약화/탈락이 있었던 듯 ‘시+오’가 ‘샤‘로 융합되지 않음.

선어말어미 ‘-오-’ 모음어미이므로 모음조화에 따라 /오/, /우/로 교체함. 다른 어미와 융합되는 경향이 있음. +오→노, +옷→놋 시+오→샤, 시+옷→샷 더+오→다, 더+옷→닷 거+오→과 or 가: ~과라, ~관뎌; -가니, -간디니, -가지라(~-거지라) 거+옷→괏: -과소라(거+옷+오+다), -과소니(거+옷+오+니) ‘-거-’와 달리 융합형 ‘-과-‘, ‘-가-’, ‘-괏-’은 타동성에 따른 교체를 보이지 않음. 다른 어미에 이형태 교체를 유발함. ~오+다(평서형 종결어미) → ~오라 ~이(계사)+오~ → ~일+오~ → ~이로~ 이것을 선어말어미 ‘-오-’가 계사 뒤에서 ‘-로-’로 교체된다고 기술할 수도 있겠으나 문법요소의 이형태를 증가시키는 것보다는 어휘요소의 이형태를 증가시키는 것이 보 다 효율적인 文法 記述임.

계사 ‘-이-’ 선행 요소에 따른 교체 후행 요소에 따른 교체 후행 요소에 이형태 교체 유발 모음 /이/나 /y/ 뒤에서는 zero로 실현됨: 아비+이→아비~ 기타 모음 뒤에서는 /y/로 실현됨: 부텨+이→부톄~ 자음 뒤에서는 /이/로 실현됨: 집+이→지비~ 후행 요소에 따른 교체 연결어미 ‘-아‘, 선어말어미 ‘-오-’ 앞에서는 /일/로 실현: 일+오→-이로~, 일+아→- 이라(고려 중기에 이미 이 교체 있었음) 후행 요소에 이형태 교체 유발 /ㄷ/으로 시작되는 어미는 /ㄷ/이 /ㄹ/로 바뀜: 이+더→이러~, 이+도→이로~, 이+ 돗→이롯~, 이+다→이라(고려 중기에는 이 교체가 없었음) 고려 중기 석독구결 자료에서 계사의 활용형 중 종결형은 ‘이다‘, 연결형은 ‘이라‘로 구분됨. 15세기 및 그 이후에는 이 구분이 없어져 둘 다 ‘이라‘가 됨. /ㄱ/으로 시작되는 어미의 /ㄱ/이 /ㅇ/[ɦ]으로 약화됨: 이+고→이오, 이+거→이어~ 이 현상으로 추측하건대, 계사는 단모음 /i/가 아니라 하향이중모음 /iy/이었을 가능성이 있음.

선어말어미 ‘-리-’ 기원적으로 동명사 어미 ‘-ㄹ‘, (형식명사 ‘이‘), 계사 ‘-이-’의 결합. 본래 끝에 계사 ‘-이-’가 있기 때문에, 후행 요소에 이형태 교체를 유발 하는 양상은 계사 ‘-이-’와 같음. 리+도→리로~, 리+거→리어~ 15세기 공시적으로 ‘-리-’를 하나의 덩어리로 보는 게 나은 경우도 있고 ‘ㄹ+이+이‘로 분석하는 게 나은 경우도 있음. ‘-리-’ 뒤에 선어말어미 ‘-거-’가 올 때, ‘-리-’가 하나의 어미라면 ‘-거-’의 이형태 교체는 그 앞의 용언에 의해 유발될 것이고 ‘-리-’가 세 형태소의 결합이라면 ‘-거-’는 ‘어’[ɦə]로 실현될 것이다. ‘-리-’ 뒤에 선어말어미 ‘-거-’가 결합되어 이 둘이 융합되어 ‘려‘(리+어)로 표기되 었고 그 앞의 용언이 타동사라면, ‘거’의 ‘어‘[ə]로의 교체를 유발한 것은 타동사 이므로, 타동사와 ‘-어-‘ 사이에 있는 ‘-리-’는 하나의 어미임이 분명. ‘리+거‘가 ‘-리어-’로 실현되었다면, 두 가지 가능성이 다 있음. 선어말어미 ‘-거-’가 ‘-리-’ 앞에 오면, 그 앞의 용언에 의해 직접 교체가 유발됨.

감탄 선어말어미 保守的인 것: 옷 改新的인 것: 도, 돗 사용 조건 선어말어미 ‘--’ 뒤에는 ‘-옷-’이 쓰임: +옷→놋 선어말어미 ‘-더-’ 뒤에는 ‘-옷-’이 쓰임: 더+옷→닷 ‘-옷-’은 선어말어미 ‘--’, ‘-더-’, ‘-시-’ 뒤에만 쓰임: 시+옷→샷 ‘-시-’ 뒤에는 ‘-옷-’ 외에 ‘-도-’, ‘-돗-’도 쓰일 수 있음: ~시도다, ~시도소니, ~시도소다 선어말어미 ‘-더-’ 앞에는 ‘-돗-’이 쓰임: ~돗더~ 종결어미 ‘-다‘ 앞에는 ‘-돗-‘이 쓰이지 않음: ~도다, ~놋다, ~샷다, ~닷다 매개모음어미, 모음어미 앞에는 ‘-도-’가 쓰이지 않음: ~도소니, ~도소다, ~노 소니 ‘-ㅅ-’은 종래 [감탄]으로 보아 왔으나, 河崎(2014, 2015)에 의해 주어가 [복수]임을 나타내는 (일치) 표지 용법이 있음이 밝혀짐. 종래 ‘감탄/감동법’이라고 한 것은 의외성(mirativity)이라고 하는 게 더 정확함.

모음 동화 ‘-돗-’ 뒤에 매개모음어미가 올 때, 매개모음 ‘’가 ‘돗‘의 원순성 에 동화되어 ‘오‘가 됨. 돗+니→*도니, 도소니; 돗++다→*도다, 도소다 ‘도니, 도다’는 한글 자료에는 안 보이고 구결 자료에만 보임. ‘도소니, 도소다‘의 제2음절의 모음 ‘오‘는 선어말어미 ‘-오-’일 수도 있 고, 매개모음이 원순성 동화를 입은 것일 수도 있다고 보아 왔으나, 최 근 연구에 따르면 ‘-돗-’ 뒤에는 선어말어미 ‘-오-’가 올 수 없음. 따라서 ‘도소니, 도소다‘의 ‘오’는 매개모음이 원순성 동화를 입은 것임. ‘-샷-’(시+옷) 뒤에 매개모음어미 ‘--’가 올 때, ‘’의 전설성에 동화되어 그 앞 음절에 /y/가 삽입되어 하향이중모음이 됨. 샷++다→~샤다, ~샤다 (한글 자료에 둘 다 보임)

古代 韓國語의 두 가지 ‘ㄹ’ 古代 韓國語 借字表記 자료에서, 후대의 音節末(종성) /ㄹ/을 表記하는 借字로 ‘乙’과 ‘尸’ 두 가지가 있었고 이 두 表記는 서로 섞이지 않고 명확하게 구별됨. (李基文 1972) 대격 조사 ‘-을‘은 항상 ‘乙‘로 表記 동명사 어미 ‘-을‘은 항상 ‘尸’로 表記 道尸(긿), 二尸(둟), 秋察尸(); 日尸(날) 李基文(1972): ‘乙’은 /l/, ‘尸’는 /r/을 나타낸 것으로 봄. 알타이 제어의 동명사 어미 /r/ ‘길‘ : 만주어 girin(線, 條), ‘날‘ : 몽골어 naran(太陽) 音節末 자음의 불파화 경향에 따라, 나중에 /l/과 /r/이 합류됨. 借字 ‘尸’의 音價를 /r/로 추정한 주된 근거는 알타이 제어와의 對應. 韓國語와 알타이 제어의 계통적 관계가 불확실한 만큼, 이 音價 추정도 그 근거 가 불안정함. 구체적인 음가는 차치하더라도, 고대에 2개의 ‘ㄹ‘이 있었음은 분명.

세 가지 불규칙 활용의 발생 과정에 대한 가설 ‘ㅂ’ 불규칙 ‘ㅅ’ 불규칙 ‘ㄷ’ 불규칙 古代 중세 자음어미 고 /təβko/ 덥고 /təpko/ 고 /nizko/ 닛고 /nisko/ 고 /tɨɬko/ 듣고 /tɨtko/ 매개모음어미 니 /təβni/ 더니 /təβɨni/ 니 /nizni/ 니니 /nizɨni/ 니 /tɨɬni/ 드르니 /tɨrɨni/ 모음어미 더 /təβə/ 니 /nizə/ 드러 /tɨɬə/ /tɨrə/ 古代 韓國語에서는 音節末 자음이 不破되지 않고 外破되었으므로, /ㅸ/, /ㅿ/, /ㅭ/ 등의 소리 가 音節末에서도 발음될 수 있었다. 중세 韓國語로 넘어오면서 音節末 자음의 불파화 경향이 강해져서 音節末에서 /ㅸ/, /ㅿ/, / ㅭ/ 등이 발음될 수 없게 됨에 따라, 자음 어미 앞에서 이들은 각각 /ㅂ/, /ㅅ/, /ㄷ/으로 발음 되게 되었다. 공명 자음 앞에서는 이들 자음의 불파화가 일어나지 않고 그 대신에 이들 자음 뒤에 모음이 있는 것으로 인식하게 되어 매개모음이 생겨났다. 모음 어미 앞에서는 이들 자음이 뒤 음절의 초성으로 발음되므로 본래의 音價가 유지되었다. 단 /ㅭ/의 경우 초성 위치에서는 古代 韓國語 시기부터 ‘ㄹ1’과 대립이 없었을 가능성도 있다.